샹포의 기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샹포의 기욤은 12세기 프랑스의 신학자이자 철학자이다. 멜룅 근처 샹포에서 태어났으며, 라옹의 안셀름과 로셀리누스에게서 배운 후 파리 노트르담 학교에서 가르쳤다. 피에르 아벨라르가 그의 제자였으나, 의견 충돌을 겪었다. 1108년 생 빅토르 수도원 설립에 기여했고, 1113년 샬롱앙샹파뉴 주교가 되어 서임권 투쟁에 참여했으며, 샹파뉴 와인 산지의 기틀을 마련했다. 주요 저작으로는 'Moralia A brevi ala', 'De Origine Animae' 등이 있으며, 초기 온건 실재론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21년 사망 - 주방언
주방언은 북송 시대의 사(詞) 작가로, 유영, 신기질, 강규와 함께 "4대 사(詞) 시인"으로 불리며 후대 시에 큰 영향을 미쳤고, 《편옥사(片玉詞)》라는 대표 시집을 남겼으며, 궁중 음악을 주관하기도 했다. - 11세기 로마 가톨릭 신학자 - 안셀무스 칸투아리엔시스
안셀무스 칸투아리엔시스는 '이해하기 위하여 나는 믿는다'는 신념으로 신앙과 이성의 조화를 추구한 중세 스콜라 철학의 선구자이자 신학자, 철학자로서, 르 벡 수도원 원장과 캔터베리 대주교를 역임하며 주요 저서를 남겼고 잉글랜드 국왕과의 서임권 투쟁에서 교회의 독립을 옹호했다. - 11세기 로마 가톨릭 신학자 - 란프랑코
란프랑코는 11세기 캔터베리 대주교이자 베크 수도원장, 학자로, 성변화 교리 논쟁에서 승리하고 윌리엄 1세의 잉글랜드 정복 후 캔터베리 대주교가 되어 잉글랜드 교회 개혁을 이끌었으며, 교회 개혁과 교육 발전에 기여한 공로와 노르만 통치 공고화에 대한 비판 속에 복자로 칭해진다. - 12세기 로마 가톨릭 신학자 - 안셀무스 칸투아리엔시스
안셀무스 칸투아리엔시스는 '이해하기 위하여 나는 믿는다'는 신념으로 신앙과 이성의 조화를 추구한 중세 스콜라 철학의 선구자이자 신학자, 철학자로서, 르 벡 수도원 원장과 캔터베리 대주교를 역임하며 주요 저서를 남겼고 잉글랜드 국왕과의 서임권 투쟁에서 교회의 독립을 옹호했다. - 12세기 로마 가톨릭 신학자 - 힐데가르트 폰 빙엔
힐데가르트 폰 빙엔은 1098년경 태어난 신성 로마 제국의 베네딕토회 수녀이자, 신비주의자, 작가, 작곡가, 철학자, 의학자로서 환시를 바탕으로 다양한 저술과 음악 작품을 남겼으며,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강조하는 의학 사상으로 현대에도 영향을 주고 2012년 교회 학자로 지명되었다.
샹포의 기욤 | |
---|---|
인물 정보 | |
이름 | 기욤 드 샹포 |
원어 이름 | Guillaume de Champeaux |
출생 | 1070년경 |
출생지 | 샹포, 센에마른, 프랑스 왕국 |
사망 | 1121년 1월 18일 |
사망지 | 샬롱앙샹파뉴, 프랑스 왕국 |
철학 정보 | |
분야 | 서양 철학 |
시대 | 중세 철학 |
사상 | 스콜라 철학 |
2. 생애
샹포의 기욤은 멜룅 근처 샹포에서 태어났다.[2] 라옹의 안셀름과 로셀리누스에게서 배우고, 1103년 파리 노트르담 학교에서 성직자로 가르쳤다.[2] 1108년 파리 부제와 노트르담 스승직을 사임하고 파리 성벽 밖 생 빅토르 신사로 은퇴, 생 빅토르 수도원을 설립했다.[5]
클레르보의 베르나르의 친구로, 베르나르의 건강 회복을 도왔다. 1113년 샬롱앙샹파뉴 주교가 되어 서임권 투쟁에서 교황 갈리스토 2세를 지지, 무송 회의에서 교황 대리인으로 활동했다.[2] 1114년 그랑드 샤르트 샹파뉴(샹파뉴 대헌장)를 발행, 생 피에르 오 몽 수도원의 농업 및 포도 재배 소유권을 정의하여 샹파뉴 와인 산지 형성에 기여했다.[3]
장 마비용이 성 베르나르 작품집에 삽입한 성찬례에 관한 단편, ''Moralia A brevi ala'', ''De Origine Animae'' 등의 작품이 현존한다.[6] ''De Origine Animae''에서 세례받지 않고 죽은 아이들의 구원 불가, 순수 영혼의 타락, 하나님의 뜻에 대한 의문 제기 불가 등을 주장하며 창조론을 지지했다. 라비송-몰리에는 ''De Essentia Dei et de Substantia Dei'' 등 다수의 단편을 발견했다. 윤리와 성경 해석을 다룬 ''Liber Sententiarum''도 샹포의 저작으로 여겨진다.[2]
그는 초기의 온건한 실재론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기욤은 멜룅 근처 샹포에서 태어났다.[2] 그는 라옹의 안셀름과 로셀리누스에게서 수학했으며, 1103년 파리 노트르담 부속 학교에서 성직자로 가르치기 시작했다.[2] 그의 제자 중에는 피에르 아벨라르가 있었는데, 아벨라르가 그의 몇몇 생각을 문제 삼았고, 기욤이 아벨라르가 너무 오만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그와 의견 충돌을 겪었다.[3] 아벨라르는 그의 스승을 대신하여 새로운 교사가 된 후 그를 변증법의 "최고의 스승"이라고 불렀다.[4]2. 2. 파리 노트르담과 생 빅토르 수도원
샹포의 기욤은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부속 학교에서 가르치며 명성을 얻었다.[2] 그의 제자 중에는 피에르 아벨라르가 있었는데, 아벨라르는 기욤의 몇몇 생각에 문제를 제기했고, 기욤은 아벨라르가 오만하다고 생각하여 서로 의견 충돌을 겪었다.[3] 1108년, 기욤은 파리 부제와 노트르담의 스승직을 사임하고 파리 성벽 밖에 있는 생 빅토르 신사로 은퇴했다. 그곳에서 그의 영향으로 생 빅토르 수도원이 형성되었다.[5]2. 3. 샬롱앙샹파뉴 주교와 서임권 투쟁
1113년 샹포의 기욤은 샬롱앙샹파뉴 주교가 되었고, 서임권 투쟁 당시 교황 갈리스토 2세를 지지하며 무송 회의에 교황 대리인으로 참석했다.[2]2. 4. 샹파뉴 대헌장과 시토회
1114년, 기욤은 그랑드 샤르트 샹파뉴(샹파뉴 대헌장)를 발행하여 생 피에르 오 몽 수도원의 농업 및 포도 재배 소유권을 정의함으로써 오늘날의 샹파뉴 와인 산지가 생겨나는 데 기여했다.[3] 이후 랭스의 시토회 수도원으로 옮겨가 ''비타 프리마''와 같은 영성 서적을 저술했으며, 이 책들은 수도원 사회에서 널리 읽혔다.[3]3. 사상
샹포의 기욤은 보편 논쟁에서 초기 온건 실재론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그는 보편자가 개별적인 사물 안에 본질적으로 존재하며, 동시에 인간의 정신 안에 추상적인 개념으로 존재한다고 주장했다.[2] 그의 현존하는 작품으로는 장 마비용이 성 베르나르의 작품집에 삽입한 성찬례에 관한 단편과 ''Moralia A brevi ala'' 및 ''De Origine Animae''가 있으며,[6] 윤리와 성경 해석에 대한 논의로 구성된 ''Liber Sententiarum''도 그의 저작으로 여겨진다.[2]
3. 1. 실재론
샹포의 기욤은 보편 논쟁에서 초기 온건 실재론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그는 보편자가 개별적인 사물 안에 본질적으로 존재하며, 동시에 인간의 정신 안에 추상적인 개념으로 존재한다고 주장했다.[2]3. 2. 영혼 창조론
샹포의 기욤은 영혼 창조론을 지지했다.[2] 즉, 각 인간의 영혼이 신에 의해 개별적으로 창조된다는 것이다. 그는 ''De Origine Animae''라는 작품에서 세례받지 않고 죽은 아이들은 구원받을 수 없으며, 순수한 영혼은 육체의 거친 것으로 더럽혀지고, 하나님의 뜻에 의문을 제기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6]4. 저작
장 마비용이 성 베르나르의 작품집에 삽입한 성찬례에 관한 단편과 ''Moralia A brevi ala'', ''De Origine Animae''가 현존하는 그의 작품이다.[6] ''De Origine Animae''에서 그는 세례를 받지 않고 죽은 아이들은 구원받을 수 없으며, 순수한 영혼은 육체의 거친 것으로 더럽혀지며, 하나님의 뜻에 의문을 제기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그는 창조론(각 인간을 위해 영혼이 특별히 창조된다는 것)을 지지한다. 라비송-몰리에는 그가 쓴 다수의 단편을 발견했는데,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De Essentia Dei et de Substantia Dei''이다. 윤리와 성경 해석에 대한 논의로 구성된 ''Liber Sententiarum''도 샹포의 저작으로 여겨진다.[2]
5. 영향
샹포의 기욤은 중세 스콜라 철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실재론은 이후 철학 논쟁의 중요한 주제가 되었으며, 그의 영향으로 생 빅토르 수도원이 형성되어[5] 중세 지성사의 중심지 중 하나로 발전했다. 특히, 그의 제자였던 피에르 아벨라르는 스승과의 논쟁을 통해 독자적인 철학 체계를 구축해 나갔다.[3]
6. 참고 문헌
- 캐머런, 마거릿. "이름에 담긴 의미는? 샹포의 기욤의 제자들이 'Vox Significativa'에 대해", 《보훔 고대 및 중세 철학 연감》 9권, 2004년, 93–114쪽.
- 이와쿠마 유코. "샹포의 기욤,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에 대하여", 조엘 비아르, 이렌 로지에-카타흐 (편), 《범주론의 중세 전통 (12–15세기)》, 루뱅-파리: 피터스, 2003년, 313–328쪽.
- 뮤스, 콘스탄트. "철학을 위한 논리학: 샹포의 기욤과 그의 영향", 레너 베른트 (편), 《글, 서기, 기증자. 파리 생 빅토르 수도원과 빅토린에 대한 연구》, 베를린, 악사미디 출판사, 2005년, 77–117쪽.
참조
[1]
서적
Des Châlonnais célébres illustres et mémorables
2000
[2]
간행물
Champeaux, William of
[3]
서적
Finding the Monk Within: Great Monastic Values for Today
https://books.google[...]
Paulist Press
2008
[4]
서적
The Envy of Angels: Cathedral Schools and Social Ideals in Medieval Europe, 950-120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1-01-01
[5]
서적
Bernard of Clairvaux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0-01-07
[6]
간행물
Thesaurus novus Anecdotorum
17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