란프랑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란프랑코는 11세기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벡 수도원에서 활동하며 학문적 명성을 얻은 인물이다. 그는 캉 생테티엔 수도원장과 캔터베리 대주교를 역임하며 잉글랜드 교회 개혁과 노르만 정복에 기여했다. 란프랑코는 성변화 교리를 옹호하고, 윌리엄 1세의 통치를 지원했으며, 잉글랜드 교회와 백성에게 노르만 통치를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영국 성공회에서 기념되고 있으며, 현대에도 학교와 도로명 등으로 기념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세기 로마 가톨릭 신학자 - 안셀무스 칸투아리엔시스
안셀무스 칸투아리엔시스는 '이해하기 위하여 나는 믿는다'는 신념으로 신앙과 이성의 조화를 추구한 중세 스콜라 철학의 선구자이자 신학자, 철학자로서, 르 벡 수도원 원장과 캔터베리 대주교를 역임하며 주요 저서를 남겼고 잉글랜드 국왕과의 서임권 투쟁에서 교회의 독립을 옹호했다. - 11세기 로마 가톨릭 신학자 - 샹포의 기욤
기욤 드 샹포는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신학자로, 파리 노트르담 학교에서 아벨라르를 가르쳤고, 생 빅토르 수도원을 세웠으며, 샬롱앙샹파뉴 주교를 역임했고, 초기 온건한 실재론의 창시자로 윤리, 영혼, 구원 등에 대한 사상을 펼쳤다. - 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 대주교 - 비르질리오 노에
비르질리오 노에는 1922년 이탈리아 출생으로, 사제 서품 후 전례 개혁에 기여하고 교황청 경신성사성에서 활동하다 1991년 추기경에 서임되었으며,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그를 교황청의 부지런한 협력자로 평가했다. - 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 대주교 - 로베르토 벨라르미노
로베르토 벨라르미노는 종교개혁 시기 가톨릭 교리를 옹호하고 갈릴레오 갈릴레이 사건에 관여한 이탈리아 출신 예수회 신학자이자 추기경으로, 사후 가톨릭 교회에서 시성되어 교회학자로 공경받는다. - 11세기 로마 가톨릭 대주교 - 안셀무스 칸투아리엔시스
안셀무스 칸투아리엔시스는 '이해하기 위하여 나는 믿는다'는 신념으로 신앙과 이성의 조화를 추구한 중세 스콜라 철학의 선구자이자 신학자, 철학자로서, 르 벡 수도원 원장과 캔터베리 대주교를 역임하며 주요 저서를 남겼고 잉글랜드 국왕과의 서임권 투쟁에서 교회의 독립을 옹호했다. - 11세기 로마 가톨릭 대주교 - 교황 빅토르 3세
교황 빅토르 3세는 1086년부터 1087년까지 재임한 제158대 교황으로, 란고바르드족 출신 몬테카시노 수도원장이었으며, 그레고리오 개혁의 정신을 이어가고자 노력했다.
란프랑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직함 | 캔터베리 대주교 |
![]() | |
임명 | 1070년 8월 |
임기 종료 | 1089년 5월 24일 |
전임자 | 스티간드 |
후임자 | 캔터베리의 안셀무스 |
주교 서임 | 1070년 8월 15일 |
다른 직책 | 성 에티엔 수도원장 |
출생일 | 1005년 ~ 1010년 사이 |
출생지 | 신성 로마 제국 파비아 |
사망일 | 1089년 5월 24일 |
사망지 | 잉글랜드 왕국 캔터베리 |
안장지 | 캔터베리 대성당, 캔터베리, 잉글랜드 |
국적 | 이탈리아인 |
종교 | 가톨릭교회 |
부모 | 한발트 |
축일 | 5월 28일 |
공경 | 가톨릭교회 성공회 |
시성 | 주교, 수도사, 학자 |
시복일 | 트리엔트 공의회 이후 |
성지 | 캔터베리 대성당 |
상징 | 책, 십자가, 주교 예복 |
존칭 접미사 | 베네딕도회 |
존칭 접두사 | 복자 |
추가 정보 | |
원어 이름 (이탈리아어) | Lanfranco di Pavia |
원어 이름 (프랑스어) | Lanfranc du Bec |
원어 이름 (라틴어) | Lanfrancus Cantuariensis |
2. 초기 생애와 교육
란프랑코는 11세기 초 파비아에서 태어났으며, 이후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그의 아버지 한발드는 치안 판사와 비슷한 직책을 맡았다고 한다. 그는 어린 나이에 고아가 되었다.[3]
란프랑코는 벡 수도원의 수도원장 에를루앵 드 벡의 설득으로 벡에 학교를 열어 수도원의 빈곤을 덜고자 했다. 그는 처음부터 "totius Latinitatis magister"(라틴어의 대가la)라는 명성을 얻었다.[5] 그의 제자들은 프랑스와 노르망디뿐만 아니라 가스코뉴, 플랑드르, 독일, 이탈리아에서도 찾아왔다.[5] 이들 중 다수는 훗날 교회에서 높은 지위에 올랐다. 제자 중 한 명인 안젤모 다 바다조는 교황 알렉산데르 2세가 되었고, 벡의 안셀름은 란프랑코의 뒤를 이어 캔터베리 대주교가 되었다.
란프랑코는 투르의 베렝가르가 공격한 성변화 교리를 옹호하도록 초청받았다. 그는 베렝가르와 개인적인 친구였음에도 불구하고 이 임무를 가장 열정적으로 맡았다. 그는 베르첼리 공의회(1050), 투르 공의회(1054) 및 로마 공의회(1059)에서 정통 교리의 주창자였다.[7] 교황 그레고리오 7세와 더 폭넓은 시각을 가진 추기경들이 베렝가르의 주장을 기각한 것은 란프랑코의 영향으로 여겨진다.
란프랑코는 학문 및 논쟁 활동을 통해 정치적 영향력을 얻었다. 후대의 전승에 따르면, 벡 수도원의 수도원 부원장으로서 정복왕 윌리엄과 플랑드르의 마틸다의 결혼(1053년)이 성경에 어긋난다고 반대하여 추방령을 받을 뻔했다. 그들의 관계는 금지된 친족 관계에 해당했다.[3] 그러나 그가 떠나려 할 때 다툼은 해결되었고, 그는 교황에게 결혼 승인을 받는 어려운 임무를 맡았다. 그는 베렌가르와의 세 번째 논쟁에서 승리(1059년)한 같은 공의회에서 이 임무를 성공시켜 윌리엄의 감사를 받았다. 1066년 란프랑코는 윌리엄이 교황청에 대한 불복종에 대한 참회로 세우라고 명령받았다고 전해지는 캉의 생테티엔느 수도원의 초대 수도원장이 되었다.
1067년 루앙 대교구가 공석이 되자 란프랑코가 후보로 거론되었으나 사양하였다. 1070년 8월 15일 스티간드가 물러나자 잉글랜드의 수석 주교이자 캔터베리 대주교로 임명되었고, 1070년 8월 29일에 서임되었다.[8] 란프랑코는 교황 알렉산데르 2세로부터 캔터베리-요크 분쟁 해결을 위해 잉글랜드 교회 공의회 소집 명령을 받았다.[9]
란프랑코는 당시 북이탈리아가 유명했던 자유 교양을 배웠다. 알 수 없는 이유와 불확실한 시기에 그는 알프스 산맥을 넘어 프랑스, 결국 노르망디에서 교사 역할을 맡게 되었다. 1039년경 그는 아브랑슈의 대성당 부속 학교의 교장이 되었고, 그곳에서 3년 동안 눈에 띄는 성공을 거두며 가르쳤다. 그러나 1042년 그는 새로 설립된 벡 수도원에서 수도사 서약을 했다. 1045년까지 그는 벡에서 철저한 은둔 생활을 했다.[4]
3. 벡 수도원에서의 활동
란프랑코가 강의에서 가장 선호한 과목은 문법, 논리, 수사학의 삼학](trivium)]과 이러한 원리들을 신학적으로 해설하는 것이었다. 란프랑코의 주요 저작 중 하나인 ''성 바울 서신 주석''에서 그는 '
4. 성찬 논쟁
란프랑코의 논쟁에 대한 지식은 주로 1060~63년경 쓰여진 소책자 ''De corpore et sanguine Domini''(주의 육신과 피에 관하여)에서 얻을 수 있다.[7] 이 저작은 형이상학적 능력의 징후는 보이지 않았지만, 결정적인 것으로 여겨져 한동안 학교의 교과서가 되었다. 이 책은 아리스토텔레스주의적 구별, 즉 실체와 우유 사이의 구별이 성찬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처음 적용된 곳이라고 흔히 말한다. 이것은 란프랑코에게 귀속되는 현존하는 저작 중 가장 중요하다.
5. 캉 수도원장과 노르만 정복
이때부터 란프랑코는 윌리엄의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다. 윌리엄은 클뤼니 수도원의 개혁 프로그램을 채택했고, 분열과 부패에 맞선 십자군 지도자 역할을 하면서 로마의 잉글랜드 원정 지원을 얻었다. 란프랑코의 제자이자 친구였던 교황 알렉산데르 2세는 노르만 정복에 교황의 축복을 내렸는데, 이는 윌리엄에게는 당시에는 큰 이점이었지만, 이후 심각한 문제를 야기했다.
6. 캔터베리 대주교
그는 윌리엄 1세와 협력하여 노르만 통치를 잉글랜드 교회와 백성에게 고정시킨 인물로, 성직자 규율과 교육 수준을 높였다. 그의 개혁은 교황 레오 9세의 정신을 따랐으나, 교회와 국가 간의 긴장 관계로 이어졌고, 그가 확립한 균형은 윌리엄 1세와의 개인적인 영향력에 크게 의존했다.[9]
6. 1. 잉글랜드 교회 개혁
란프랑코는 1070년 캔터베리 대주교로 임명된 후, 잉글랜드 교회의 재조직과 개혁을 추진했다.[8] 그는 요크 대교구의 토마스 드 바예와 캔터베리-요크 분쟁을 겪었으나, 1072년 윈체스터 공의회에서 캔터베리의 수위권을 확인받았다.[9]
란프랑코는 교황 그레고리오 7세의 즉위로 교황청으로부터 공식적인 수위권 확인을 얻지는 못했지만, 윌리엄 1세의 잉글랜드 교회 독립성 유지를 도왔다. 그는 교회 부패 척결을 목표로 수도원 제도를 후원하고 성직자 독신주의를 장려했다.[9]
란프랑코는 시노드를 통해 교회 문제를 처리하고, 주교 재판에 법적 재치를 활용했다. 그는 노르만족을 잉글랜드인으로 대체하는 과정을 가속화했으며, 윌리엄 1세 부재 시 부총독 역할을 수행했다.[9]
1075년 백작들의 반란을 진압하는 데 기여했고, 왈테오프 백작의 생명을 위해 중재했다. 그는 우스터의 윌프스탄 주교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9]
1087년 윌리엄 1세 사후 윌리엄 루퍼스의 왕위 계승을 확보했으며, 1088년 오도 드 바예 등에 대항하는 잉글랜드 민병대를 지원하도록 유도했다. 그는 윌리엄 루퍼스에게 정당한 정부에 대한 약속을 요구하고, 약속이 무시되자 항의했다.[9]
란프랑코는 1089년 사망할 때까지 왕의 행정부의 최악의 경향을 억제했다. 그는 성직자 규율과 교육 수준을 높이는 등 잉글랜드 교회와 백성에게 노르만 통치를 고정하는 데 기여했다.[9]
6. 2. 정치적 역할
루앙 대교구가 공석이 된 1067년, 선출자들은 란프랑코에게 주목했다. 그러나 그는 이를 사양했고, 1070년 8월 15일 스티간드가 폐위되자 잉글랜드의 수도 대주교이자 캔터베리 대주교로 임명되어 1070년 8월 29일에 서임되었다.[8] 새 대주교는 즉시 재조직 및 개혁 정책을 시작했다. 그의 첫 번째 어려움은 요크 대교구의 대주교인 토마스 드 바예와의 분쟁이었는데, 그는 자신의 교구가 캔터베리 대주교와 독립되어 있으며 잉글랜드 미들랜즈 대부분에 대한 관할권을 주장했다. 이것이 캔터베리-요크 분쟁으로 알려진 캔터베리와 요크 교구 사이의 오랜 분쟁의 시작이었다.[9]
란프랑코는 팔리움을 받기 위해 교황을 방문했을 때 알렉산데르 2세로부터 분쟁을 잉글랜드 교회의 공의회에서 해결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1072년 윈체스터에서 열린 공의회에서 란프랑코는 그가 추구했던 수위권 확인을 얻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교황청으로부터 공식적인 확인을 얻을 수 없었는데, 이는 아마도 1073년 교황 그레고리오 7세가 교황 자리에 즉위한 결과일 것이다.
란프랑코는 정복왕 윌리엄이 잉글랜드 교회의 독립성을 유지하는 것을 도왔고, 한때 교황청과 제국 간의 다툼에 대해 중립적인 태도를 유지하는 생각을 지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잉글랜드 국내 문제에서 대주교는 더 큰 영적 열정을 보여주었다. 그의 가장 큰 목표는 교회를 부패의 족쇄에서 해방시키는 것이었다. 그는 수도원주의의 관대한 후원자였다. 그는 세속 성직자에게 독신주의를 강요하려고 노력했다.
란프랑코는 왕의 허락을 받아 시노드에서 교회의 문제를 처리했다. 그는 오도 드 바예 (1082년)(페넨덴 히스 재판 참조)와 윌리엄 드 생 칼레, 더럼 주교 (1088년)의 경우, 평신도 재판소에서 주교의 재판을 정당화하기 위해 그의 법적 재치를 사용했다.
란프랑코는 중요한 모든 직위에서 노르만족을 잉글랜드인으로 대체하는 과정을 가속화했고, 그의 지명자들이 일반적으로 훌륭했지만, 그들 모두가 그들이 대체한 사람들보다 더 낫다고 말할 수는 없다. 이러한 세속적인 목표와 영적인 목표의 혼합에는 상당한 이유가 있었다. 오랜 전통에 따르면, 수석 주교는 왕의 자문 위원회에서 선도적인 지위를 가질 자격이 있었고, 교회의 이익은 란프랑코가 왕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는 방식으로 자신의 권력을 사용해야 함을 요구했다. 윌리엄 1세가 잉글랜드에 부재했을 때, 란프랑코는 여러 차례 그의 부총독 역할을 했다.
란프랑코가 정복왕에게 한 가장 큰 정치적 공헌은 1075년에 이루어졌는데, 그는 백작들의 반란으로 노퍽과 헤리퍼드 백작들이 형성한 음모를 감지하고 좌절시켰다. 반란자 중 한 명인 노섬벌랜드 백작 1대 왈테오프는 곧 용기를 잃고 란프랑코에게 음모를 고백했고, 란프랑코는 헤리퍼드 백작 2대 로저 드 브레토일에게 그의 충성을 회복하도록 촉구했으며, 마침내 그와 그의 지지자들을 파문했다. 그는 왈테오프의 생명을 위해 중재했고 마지막까지 백작을 다른 사람들의 범죄에 대한 무고한 고통받는 사람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스터의 윌프스탄 주교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1087년 정복왕이 사망하자 란프랑코는 앵글로-노르만 귀족들의 불만에도 불구하고 윌리엄 루퍼스의 계승을 확보했다. 그리고 1088년 그의 권고는 잉글랜드 민병대가 오도 드 바예와 로버트 공작의 다른 지지자들에 대항하여 새로운 국왕의 편에서 싸우도록 유도했다. 그는 루퍼스에게 정당한 정부에 대한 약속을 요구했고, 그 약속이 무시되었을 때 항의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았다. 그가 살아있는 동안 그는 왕의 행정부의 최악의 경향을 억제했다. 그러나 그의 억제하는 손은 너무 빨리 제거되었다. 1089년 그는 열병에 걸렸고, 보편적인 애도 속에 5월 24일에 사망했다.[8]
7. 유산과 평가
란프랑코를 복자로 추대하려는 캔터베리 교회의 움직임은 잉글랜드의 베네딕토회에 국한되어 산발적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크로이든에 란프랑코 총주교 학교가 개교하면서 란프랑코가 칭송받았다.
란프랑코의 권위있는 첫 번째 전기는 『란프랑코의 생애』( Vita Lanfrancila )이다. 저자인 밀로 크리스핀은 벡(Bec) 교회의 성가대 선창자였으며, 1149년에 사망했다. 14세기에 편찬된 『벡 수도원 연대기』( Chronicon Beccensis abbatiaela )도 참조된다. 이 두 사료와 란프랑코 자신의 기술 초판은 장-뤽 도 아셰리의 『복자 란프랑코 전집』( Beati Lanfranci operala , 파리, 1648년)에서 읽을 수 있다. 약간 증보된 다른 판은 J. A. 질의 『란프랑코 저작집』( Lanfranci operala , 2권, 옥스퍼드, 1844년)에서 볼 수 있다. 란프랑코와 교황 그레고리오 7세의 일치는 P. 야페의 『그레고리오의 기록』( Monumenta Gregorianala , 베를린, 1865년)에서 확인할 수 있다.
7. 1. 현대의 기념
크로이든에 있는 란프랑코 대주교 아카데미(1931년 개교)는 크로이든 궁전에 거주했던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12] 캔터베리 크리스트 처치 대학교는 기숙사 건물 이름을 란프랑코 하우스라고 지었다. 런던과 웨스트 서식스의 워싱의 도로명으로도 기억되고 있다.란프랑코는 영국 성공회에서 5월 28일에 기념일로 기념되고 있다.[12] 파비아, 베크, 바이에에서는 성인으로 숭배받고 있지만 캔터베리에서는 그렇지 않다.
7. 2. 시복 문제
캔터베리 크라이스트 처치에서 란프랑코를 성인으로 추대하려는 노력은 잉글랜드 베네딕토회 내부에서만 간헐적으로 이루어졌고, 그 효과도 제한적이었다. 그러나 트리엔트 공의회 이후 란프랑코의 이름은 로마 순교록에 포함되었으며, 현재는 5월 28일에 복자(beatus)로 기념되고 있다.[10][11]캔터베리 교회의 란프랑코 복자 추대 움직임은 잉글랜드 베네딕토회에 국한되어 산발적으로 진행되었다. 크로이든에 란프랑코 총주교 학교가 개교하면서 란프랑코가 칭송받았는데, 그는 크로이든 궁전에 장기간 거주한 바 있다. 캔터베리 크라이스트 처치 대학교는 최신 기숙사를 '란프랑크 하우스'로 명명했다. 런던과 웨스트 서식스 워싱의 길 이름에도 그의 이름이 남아있다.
란프랑코는 파비아, 베크, 바이에에서는 성인으로 숭배받지만, 캔터베리에서는 그렇지 않다. 그의 축일은 5월 28일이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3-27
[2]
백과사전
Lanfranc
The Columbia Encyclopedia
2012-10-22
[3]
간행물
Lanfranc
[4]
서적
Information Revolutions in the History of the West
https://books.google[...]
Elgar
2017-10-30
[5]
문서
Vita Heluini
Gilbert Crispin
[6]
문서
Liber de Scriptoribus Ecclesiasticis
Sigebert of Gembloux
[7]
문서
Saint Anselm
[8]
서적
Handbook of British Chron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English Church 1066–1154: A History of the Anglo-Norman Church
Longman
[10]
서적
Martyrologium Romanum
[11]
서적
Oxford Dictionary of Saints
Oxford University Press
[12]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3-27
[13]
서적
Lanfranco di Pavia e L'Europa del secolo xi
[14]
서적
Biographia Britannica Literaria: Or, Biography of Literary Characters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J.W. Parker
[15]
간행물
Lanfranc
[16]
서적
Handbook of British Chron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서적
The English Church 1066–1154: A History of the Anglo-Norman Church
Longman
[18]
서적
Oxford Dictionary of Saints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