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경전철 목동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 경전철 목동선은 서울특별시 양천구와 영등포구를 잇는 경전철 노선이다. 2020년 11월 17일 제2차 서울특별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되었으며, 2024년 하반기에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신월, 오목교, 당산역 등을 포함한 역 목록이 있으며, 역 이름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 불확실성 및 노선 계획의 적절성에 대한 비판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경전철 - 서울 경전철 신림선
서울 경전철 신림선은 영등포구 샛강역에서 관악구 관악산(서울대)역까지 7.6km를 운행하는 노선으로, 2022년 5월 개통되었으며 11개 역으로 구성, 기존 지하철 노선과의 환승을 통해 서울 남부 지역의 교통 편의를 개선하고 서울대학교 접근성을 향상시켰으며, 무인 자동운전 K-AGT 방식의 고무차륜 전동차를 운영한다. - 서울 경전철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은 강북구 북한산우이역부터 동대문구 신설동역을 잇는 총 연장 11.4km의 대한민국 최초 완전 지하 경전철 노선으로, 2017년 9월 개통되어 무인자동운전 시스템으로 운영되며, 향후 1호선 방학역 연결 지선 건설 계획이 있다. - 계획 중인 철도 노선 - 대경선
대경선은 구미역과 경산역을 잇는 광역철도 노선으로, 2024년 1단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한국형 열차 제어 시스템을 적용하고 2량 대형 전동차를 운행하며, 현재 2단계 구간 사전타당성조사가 진행 중이고 일부 교통카드는 호환되지 않는다. - 계획 중인 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5호선
부산 도시철도 5호선은 녹산국가산업단지와 부산 도심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계획되었으나 경제 위기로 인해 사상-하단 구간을 우선 추진하며, 2026년 개통을 목표로 총 6.9km, 7개의 역에 무인 자동 운전 방식으로 운행될 예정이다.
서울 경전철 목동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이름 | 목동선 |
로마자 표기 | Mokdong seon |
한자 표기 | 木洞線 |
노선 개요 | |
노선 종류 | 도시 철도 |
노선 시스템 | 수도권 전철 (서울 경전철) |
노선 상태 | 제안됨 |
위치 | 서울특별시 |
기점 | 신월 |
종점 | 당산역 |
역 개수 | 12개 |
노선 길이 | 10.87km |
복선 여부 | 복선 |
전기 방식 | 직류 750V |
개통 예정 | 2028년 |
운영 | |
기술 정보 | |
기타 정보 |
2. 연혁
2020년 11월 17일 제2차 서울특별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이 고시되었다.[3] 2024년 하반기에는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2. 1. 사업 추진 경과
2020년 11월 17일 제2차 서울특별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이 고시되었다.[3] 2024년 하반기에는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3. 역 목록
거리
거리
(목동운동장)
(木洞運動場앞)
(Mokdong Stadium)
9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