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등포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등포구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서남부에 위치한 구로, 한강을 경계로 마포구, 용산구, 동작구, 양천구와 접한다. 영등포라는 지명은 음력 2월 1일 영등굿과 관련된 "영등"과 물가 마을을 뜻하는 "포"가 합쳐져 유래되었다는 설이 일반적이다. 고구려 시대에는 임벌노현, 통일신라 시대에는 곡양현, 고려 시대에는 금주로 불렸으며, 조선 시대에는 금천현, 시흥현을 거쳐 시흥군에 속했다. 1936년 경성부에 편입되었고, 1946년 서울시 영등포구로 개칭되었다. 현재는 금융 중심지인 여의도를 포함하며, 다양한 상업 시설과 문화 시설, 교통망을 갖춘 지역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3년 설치 - 종로구
종로구는 서울특별시 중심에 위치한 자치구로서, 조선 시대 한양의 중심지이자 대한민국 정치·행정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며, 구 이름은 종루가 있던 종로에서 유래했고, 청와대, 정부서울청사, 경복궁, 창덕궁 등 주요 기관과 유적지가 위치한 "한국 정치 1번지"로 불리는 지역이다. - 1943년 설치 - 서대문구
서대문구는 서울특별시 중서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산과 하천이 어우러진 지형적 특징을 지니며, 대학교와 역사 유적지가 위치하고 신촌 지역을 중심으로 젊은 세대의 문화가 발달한 14개 행정동으로 구성된 지역이다. - 서울 영등포구의 행정 구역 - 영등포동
영등포동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속하는 법정동이자 영등포본동의 행정동 명칭으로 사용되며, 한림대학교 한강성심병원, 서울영원초등학교, 영원중학교 등이 위치하고, 서울 지하철 5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 등이 지나간다. - 서울 영등포구의 행정 구역 - 대림동 (서울)
대림동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속하는 법정동으로, 신대동과 신도림동의 글자를 합쳐 이름을 지었으며, 서울 지하철 2호선과 7호선 대림역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영등포구 - 금융감독원
금융감독원은 금융위원회의 설치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대한민국의 금융감독 기구이며, 금융 시장 안정과 금융 소비자 보호를 목표로 은행감독원 등을 통합하여 출범했다. - 서울 영등포구 - 한국거래소
한국거래소는 자본시장법에 따라 설립된 대한민국의 금융투자상품 거래 시장으로, 주식, 채권, ETF, 파생상품 등의 매매를 지원하며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 시장을 운영하고 부산광역시에 본사를 둔다.
영등포구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 |
로마자 표기 | Yeongdeungpo-gu |
한글 표기 | 영등포구 |
한자 표기 | 永登浦區 |
행정 구역 종류 | 서울특별시 자치구 |
위치 | 대한민국 수도권 서울특별시 |
면적 | 24.56 km² |
행정동 | 22개 |
법정동 | 34개 |
시간대 | 한국 표준시 (UTC+9) |
우편 번호 | 07200 – 07499 |
지역 번호 | +82-2-2600,800,780~ |
웹사이트 | 영등포구청 공식 웹사이트 |
행정 및 정치 | |
구청장 | 최호권 (국민의힘) |
국회의원 | 김영주 (국민의힘) 김민석 (더불어민주당) |
구의회 | 영등포구의회 |
정당 | 국민의힘 |
인구 | |
총 인구 | 396,243명 (2010년) |
총 인구 (2022년) | 375,785명 |
세대수 (2022년) | 188,756세대 |
상징 | |
구 나무 | 은행나무 |
구 꽃 | 목련 |
구 새 | 청둥오리 |
마스코트 | 영롱이 |
![]() | |
기타 |
2. 명칭 유래
기록상으로는 1789년 조선 정조 13년의 통계자료인 《호구총수》 경기도 금천현조에서 '영등포'라는 명칭이 처음으로 발견된다. 당시 영등포 나루터는 현재의 한강성심병원 건너편 여의도 샛강변에 있었으며, 여의도의 옛 '양말산'(현재는 사라짐)을 오가며 밤섬과 마포를 연결하는 작은 규모였다.
1899년 경인선과 1905년 경부선 철도가 개통되고, 시흥군청이 영등포로 이전하면서 교통과 상업의 중심지로 발전하기 시작했다.[3]
현재 '영등포'라는 명칭의 유래에 대해 가장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설은 음력 2월 1일을 '''영등일'''(靈登日)로 하여 보름까지 여의도 샛강변에서 성행했던 영등굿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이 영등굿에서 비롯된 '永登(영등)'이라는 표기와 물가 마을을 뜻하는 '浦(포)'가 합쳐져 만들어졌다고 추정한다.
다른 견해로는 현재의 영등포역 주변으로 추정되는 소머리재(牛頭峴, 우두현)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이 고개에서 "멀리 동쪽으로 왕성(王城)을 바라볼 수 있어 궁궐을 사모하는 사람이 의례히 이 재에 오른다"는 이야기에서 '영등포(永登浦)'라는 이름이 나왔다고 본다.
3. 역사
원래 여의도와 양화동을 제외한 대부분의 영등포 지역은 경기도 시흥군에 속해 있었다. 1936년, 영등포읍과 주변 일부 지역이 경성부(현재의 서울특별시)에 편입되었다. 1949년에는 시흥군의 일부였던 현재의 구로동, 신도림동, 대림동, 신대방동 지역이 추가로 편입되었다.
영등포는 서울 지하철 1호선이 통과하는 서울의 주요 부도심 중 하나로 기능해왔다. 한국 전쟁 이후 산업화 시기를 거치며 경제와 인구가 빠르게 성장하였고, 이로 인해 1973년 관악구, 1977년 강서구, 1980년 구로구가 차례로 분리되어 나가면서 현재의 행정 구역을 갖추게 되었다.[3]
3. 1. 고대 ~ 조선 시대
고구려 시대에는 임벌노현에 속했다. 이후 통일신라 시대에는 곡양현으로 불렸으며, 고려 시대에는 금주로 불렸다. 조선 시대에 들어서는 금천현으로 불리다가, 1795년(정조 19년)에 시흥현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895년에는 갑오개혁의 일환으로 행정구역이 개편되면서 시흥군으로 바뀌었다.
3. 2. 일제강점기
1914년 4월 1일, 경기도 시흥군, 안산군, 과천군이 통합되어 시흥군이 되었다. 이후 1917년에는 시흥군 북면의 일부가 분리되어 영등포면이 신설되었고, 1931년 4월 1일에는 영등포면이 영등포읍으로 승격하였다.
1936년 4월 1일,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대경성계획 정책에 따라 경기도 시흥군 영등포읍과 북면 일부(신길리, 번대방리 일부(현 대방동), 도림리 일부(현 도림동), 노량진리, 상도리, 본동리, 흑석리, 동작리), 그리고 고양군 용강면 여율리(현 여의도동)가 경성부에 편입되었다.[42] 이 편입은 1930년대 초 영등포가 신생 공업도시로 성장하던 시기에 이루어졌으며, 일부 일본인 유지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단행되었다.[42] 이전까지 강북 지역에 속했던 여의도 역시 이때 영등포 지역으로 편입되었는데, 당시 여의도는 여의도공항 외에는 거의 개발되지 않은 상태였다. 경성부에 편입된 이 지역들을 관할하기 위해 영등포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43년 6월 10일, 기존의 출장소 제도가 폐지되고 구제(區制)가 실시됨에 따라 경성부 영등포구역소가 설치되었다.[32] 구역소 청사는 양화정(현 양화동)에 두었으며, 관할 구역은 당산정, 영등포정, 여의도정, 도림정, 신길정, 양화정, 양평정, 본동정, 노량진정, 상도정, 흑석정, 동작정이었다.
3. 3. 해방 이후 ~ 현재
1946년 대한민국 정부는 일제강점기의 행정 명칭을 변경하여, '구역소'를 '구청'으로, '구장'을 '구청장'으로, '정'(町)을 '동'(洞)으로 개칭하였다. 이에 따라 경성부 영등포구역소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로 바뀌었다. 당시 관할 구역은 당산동, 사옥동(현재의 문래동), 신길동, 양평동, 양화동, 영등포동, 도림동, 여의도동, 노량진동, 상도동, 본동, 흑석동, 동작동이었다.
1949년 8월 13일, 서울시 행정구역 확장에 따라 경기도 시흥군 동면 구로리(현 구로구 구로동), 도림리(현 구로구 신도림동 및 영등포구 대림동), 번대방리(현 동작구 신대방동)가 영등포구에 편입되었다.[33] 이때 편입된 도림리는 '신도림리'로 불렸다.
1962년 12월 12일 법률 개정으로, 1963년 1월 1일부터 경기도 시흥군 동면 일부와 신동면, 부천군 소사읍 일부와 오정면 일부, 김포군 양서면과 양동면이 영등포구에 편입되었다.[34] 이 편입 지역을 관할하기 위해 5개 출장소(관악, 신동, 오류, 양서, 양동)가 설치되었으나,[35] 1967년 오류, 양동, 관악 출장소는 폐지되고 구청 직할로 편제되었다.
1973년 7월 1일, 행정구역 개편으로 노량진동, 상도동, 상도1동, 봉천동, 본동, 흑석동, 동작동, 사당동, 대방동, 신대방동, 방배동, 신림동이 신설된 관악구로 분리되었다.[36] 같은 날, 신동출장소 관할이던 일부 지역(반포동, 잠원동, 서초동, 양재동, 우면동, 원지동)은 성동구로 이관되었다.
1975년 가리봉동이 독산동과 가리봉동으로 분동되었고, 1977년에는 가리봉동이 가리봉1동과 가리봉2동으로 다시 분동되었다. 1977년 9월 1일에는 염창동, 목동, 등촌동, 화곡동, 신월동, 마곡동, 내발산동, 외발산동, 공항동, 방화동, 개화동, 과해동, 오곡동, 오쇠동 및 신정동 일부 지역이 강서구로 분리되었다.[37]
1980년 4월 1일, 구로동, 가리봉동, 독산동, 시흥동, 고척동, 개봉동, 오류동, 궁동, 온수동, 천왕동, 항동 및 신도림동 일부 지역이 구로구로 분리되었다.[38] 이 과정에서 법정동 신도림동 중 영등포구에 남은 지역(도림천 이북)은 대림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영등포구의 행정동은 21개로 조정되었다. 같은 해 7월 1일에는 대림1동과 대림2동의 각 일부를 분리하여 대림3동이 신설되면서 행정동은 22개가 되었다.[39][23]
2008년 9월 1일, 행정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일부 행정동이 통폐합되었다. 영등포1동과 신길2동이 영등포본동으로, 영등포2동과 영등포3동이 영등포동으로, 도림1동과 도림2동이 도림동으로, 문래1동과 문래2동이 문래동으로 각각 통합되어 행정동은 18개로 줄었다.[40][24]
4. 지리
서울특별시 한강 이남 서부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동작구, 서쪽으로는 양천구, 남서쪽으로는 구로구와 접한다. 북쪽으로는 한강과 여의도를 사이에 두고 마포구, 용산구와 마주하고 있다. 주요 하천으로는 한강 외에 안양천이 흐른다. 한강에 위치한 섬인 여의도는 영등포구에 속한다.
영등포구에는 여러 대규모 녹지 공간이 있다. 여의도에는 인기 있는 휴식 및 관광지인 한강공원과 여의도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여의도공원이 있다. 한강공원에서는 봄꽃 축제, 서울세계불꽃축제, 한강 여름 축제 등 여러 주요 축제가 열린다. 여의도공원은 1970년대까지 공항으로 사용되었으나 이후 아스팔트 광장으로 바뀌었다. 이 광장은 1961년 박정희가 주도한 5·16 쿠데타를 기념하여 5·16광장으로 명명되기도 했다. 1984년에는 요한 바오로 2세가 이곳에서 시성 미사를 집전했다. 1999년 공원은 자연 상태로 복원되어 일반에 공개되었다.
또한 안양천 하류 구간의 둔치길(양천구와 공유)도 영등포구에 포함된다.
5. 행정 구역
영등포구의 행정 구역은 18개 행정동으로 구성되며, 2013년 12월 31일 기준 하위 행정 단위는 574통 4,828반이다.[43] 영등포구의 총 면적은 24.56km2이며, 같은 시점 기준으로 인구는 377,200명, 세대수는 167,863세대이다.[43]
행정동 | 한자 | 면적 (㎢) | 세대 | 인구 (명) |
---|---|---|---|---|
영등포본동 | 永登浦本洞 | 1.02km2 | 10,424 | 23,487 |
영등포동 | 永登浦洞 | 1.26km2 | 12,518 | 19,867 |
여의동 | 汝矣洞 | 8.4km2 | 12,586 | 33,698 |
당산제1동 | 堂山第1洞 | 0.75km2 | 9,747 | 20,917 |
당산제2동 | 堂山第2洞 | 1.55km2 | 16,538 | 36,176 |
문래동 | 文來洞 | 1.49km2 | 12,477 | 32,758 |
양평제1동 | 楊坪第1洞 | 0.88km2 | 7,380 | 17,656 |
양평제2동 | 楊坪第2洞 | 3km2 | 8,800 | 22,514 |
신길제1동 | 新吉第1洞 | 0.66km2 | 9,953 | 23,813 |
신길제3동 | 新吉第3洞 | 0.48km2 | 6,976 | 17,786 |
신길제4동 | 新吉第4洞 | 0.35km2 | 5,554 | 13,946 |
신길제5동 | 新吉第5洞 | 0.47km2 | 7,100 | 19,728 |
신길제6동 | 新吉第6洞 | 0.68km2 | 9,610 | 24,791 |
신길제7동 | 新吉第7洞 | 0.64km2 | 5,966 | 15,864 |
대림제1동 | 大林第1洞 | 0.49km2 | 7,281 | 19,998 |
대림제2동 | 大林第2洞 | 0.55km2 | 8,039 | 25,417 |
대림제3동 | 大林第3洞 | 1km2 | 11,550 | 31,881 |
도림동 | 道林洞 | 0.89km2 | 8,924 | 21,841 |
영등포구 | 永登浦區 | 24.56km2 | 167,863 | 377,200 |
영등포구의 법정동은 다음과 같다.

2011년 기준 행정동별 관할 법정동은 아래와 같다.[25]
행정동 | 법정동 |
---|---|
영등포본동 | 영등포동, 신길동 |
영등포동 | 영등포동, 영등포동1가, 영등포동2가, 영등포동3가, 영등포동4가, 영등포동5가, 영등포동6가, 영등포동7가, 영등포동8가 |
여의동 | 여의도동 |
당산제1동 | 당산동1가, 당산동2가, 당산동3가 |
당산제2동 | 당산동4가, 당산동5가, 당산동6가, 당산동 |
도림동 | 도림동 |
문래동 | 문래동1가, 문래동2가, 문래동3가, 문래동4가, 문래동5가, 문래동6가 |
양평제1동 | 양평동1가, 양평동2가, 양평동3가 |
양평제2동 | 양평동3가, 양평동4가, 양평동5가, 양평동6가, 양평동, 양화동 |
신길제1동 | 신길동 |
신길제3동 | |
신길제4동 | |
신길제5동 | 신길동, 대림동 |
신길제6동 | 신길동 |
신길제7동 | |
대림제1동 | 대림동 |
대림제2동 | |
대림제3동 |
6. 인구
영등포구의 인구는 1970년 1,203,002명으로 정점을 기록한 후 감소 추세를 보였다. 1980년에는 431,291명으로 줄어들었고, 2010년에는 374,543명까지 감소했다. 2015년에는 406,528명으로 소폭 증가하였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의 연도별 인구(내국인) 추이
연도 | 총인구 |
---|---|
1966년 | 675,193명 |
1970년 | 1,203,002명 |
1975년 | 1,050,035명 |
1980년 | 431,291명 |
1985년 | 445,941명 |
1990년 | 469,862명 |
1995년 | 413,473명 |
2000년 | 387,404명 |
2005년 | 392,507명 |
2010년 | 374,543명 |
2015년 | 406,528명 |
7. 정치
국회의원 선거구는 영등포구 갑과 영등포구 을 두 곳으로 나뉜다. 제22대 국회 기준으로 영등포구 갑 지역구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소속 채현일이며, 영등포구 을 지역구 국회의원은 같은 당 소속 김민석이다.
영등포구의회는 기초의회로서 지역 현안을 다루고 구 행정을 견제 및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7. 1. 역대 구청장
1995년 이후 영등포구청장은 공선제로 선출되고 있다. 임기는 4년이며, 계속 재임 기간은 법으로 3기 12년까지로 제한되어 있다. 민선 5기(2010년 7월 1일 ~ 현재) 구청장은 조길형( 趙吉衡|조길형한국어, Cho Gil-hyeong영어, 새정치민주연합)이다.8. 경제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룸)
8. 1. 금융
수십 년간 영등포구 여의도는 서울의 금융 중심지로 여겨져 왔다. 이러한 명성은 1979년 한국거래소(KRX)가 명동에서 여의도로 이전하면서 더욱 확고해졌다.[5] 서울에 있는 금융기관 본사 291곳 중 93곳이 영등포구 여의도에 위치한다. 특히 68개 자산운용사 중 42개, 11개 선물회사 중 8개가 여의도에 본사를 두고 있다.[5] 여기에는 미래에셋그룹, 한국생명보험, KDB대우증권, 한국투자금융지주 등이 포함된다. 한국거래소는 원래 여의도에 있었지만 2009년 부산으로 이전했다. 한국금융투자협회는 여전히 여의도에 본사를 두고 있다. 금융감독원과 금융위원회도 여의도에 있다.[6]한국 금융기관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여의도는 외국 기업들에게는 상대적으로 덜 선호되는 경향이 있으며, 외국 기업들은 종로 지역을 더 선호하는 편이다.[6]
8. 2. 산업

수십 년 동안 영등포구 여의도는 서울의 금융 중심지로 여겨져 왔다. 이러한 명성은 1979년 한국거래소(KRX)가 명동에서 여의도로 이전하면서 더욱 확고해졌다. 서울에 있는 금융기관 본사 291곳 중 93곳이 영등포구 여의도에 있다. 특히 68개 자산운용사 중 42개, 11개 선물회사 중 8개가 여의도에 본사를 두고 있다.[5] 여기에는 미래에셋그룹, 한국생명보험, KDB대우증권, 한국투자금융지주 등이 포함된다. 한국거래소는 2009년 부산으로 이전했지만, 한국금융투자협회, 금융감독원(FSC), 금융위원회(FSS)는 여전히 여의도에 있다.[6] 다만, 외국 기업들은 종로 지역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6]
역사적으로 영등포구는 제조업이 발달했으며, 특히 문래동에서는 현대식 개발 시설 옆에 소규모 작업장과 대규모 공장이 함께 위치해 이러한 흔적을 볼 수 있다.[9] 1960년대 종로구 청계천 지역의 산업 시설들이 문래동으로 이전하면서 한때 성공적인 산업 지역으로 발전했다.[9] 그러나 1990년대 아시아 금융 위기가 한국 경제에 영향을 미치면서 이 지역의 산업 성장은 쇠퇴했다.[9] 2000년대 들어 비어있는 상업 건물들이 많아지자 예술가들이 이 지역으로 유입되었고, 2013년 정부는 이러한 변화를 공식적으로 지원했다. 현재 '문래 예술마을'은 인기 있는 여가 명소로, 다수의 음식점, 술집 및 기타 관련 시설과 함께 여전히 운영 중인 많은 작업실이 있다.[9]
금융기관 외에도 롯데제과, 한진해운,[7] LG그룹,[8] 케이양해운 등 여러 기업이 영등포구 여의도동에 본사를 두고 있다.
8. 3. 상업 시설
영등포구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상업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대형 쇼핑몰 및 백화점
- 롯데백화점 영등포점 (경인로 846, 영등포동)
- 타임스퀘어 (영중로 15, 영등포동 4가)
- 신세계백화점 영등포점 (영중로 9, 영등포동 4가)
- IFC몰 (국제금융로 10, 여의도동)
- 더 현대 서울 (여의대로 108, 여의도동)
대형마트
- 이마트 영등포점 (영중로 15, 영등포동 4가)
- 홈플러스 영등포점 (당산로 42, 문래동)
- 롯데마트 양평점 (선유로 138, 양평동 3가)
- 롯데마트 빅마켓 영등포점 (영중로 125, 영등포동 8가)
- 코스트코 양평점 (선유로 156, 양평동 3가)
타임스퀘어는 영등포역과 인접해 있으며, 인근 신세계백화점과 연결되어 영등포역과도 연결된 대형 쇼핑몰이다. 세계 최대 규모의 상영관인 CGV 스타리움(35mm)을 갖춘 서울 최대 규모의 쇼핑몰 중 하나이다. 타임스퀘어는 2006년 영등포구에 있던 경방 공장 부지에 착공하여 3년간의 공사 끝에 6000억원의 공사비를 들여 2009년 9월 16일 공식 개장하였으며, 개장 당시 하루 평균 21만 명의 방문객이 찾았다.[10]
9. 교육
영등포구에는 다양한 교육기관이 위치하고 있다. 관내 주요 교육기관 목록은 아래와 같다.
구분 | 학교명 |
---|---|
대학원대학교 |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 |
대학교 | 서울체육대학교[19] |
고등학교 | 장훈고등학교 |
한강미디어고등학교 | |
선유고등학교 | |
영등포여자고등학교 | |
영신고등학교 | |
여의도여자고등학교 | |
여의도고등학교 | |
대영고등학교 | |
관악고등학교 | |
중학교 | 여의도중학교 |
문래중학교 | |
선유중학교 | |
신길중학교 | |
윤중중학교 | |
양화중학교 | |
당산서중학교 | |
당산중학교 | |
영원중학교 | |
초등학교 | 서울영동초등학교 |
서울영중초등학교 | |
서울당중초등학교 | |
서울윤중초등학교 | |
서울문래초등학교 | |
서울당산초등학교 | |
서울영원초등학교 | |
서울도림초등학교 | |
서울여의도초등학교 | |
기타 | (Berea International Theological Seminary) |
10. 문화·관광
영등포구는 다양한 문화·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여의도는 정치, 금융, 언론의 중심지이자 여러 명소가 밀집한 지역이다.
여의도
- 63빌딩: 여의도 동쪽에 위치한 250m 높이의 고층 빌딩이다. 1985년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개장했으며, 2003년까지 한국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다. 60층에는 미술관, 63층에는 전망대(63골든타워)가 있으며, 이외에도 레스토랑, 쇼핑몰, IMAX 영화관, 대형 수족관, 컨벤션 센터 등이 있다.
- 국회의사당: 1975년 준공된 대한민국의 입법 기관으로, 국회의사당 본관 외에 국회도서관, 의원회관, 헌정기념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여의도공원: 과거 공군 비행장이었으나, 1971년 광장으로 조성되어 5·16 군사 정변을 기념하는 '5·16 광장'으로 불리기도 했다. 1984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이곳에서 시성식을 집전하기도 했다. 1999년 자연 생태 공원으로 복원되어 시민들에게 개방되었다. 공원 내에는 자연생태의 숲, 문화마당, 잔디마당, 한국 전통의 숲 등이 조성되어 있으며, 주변에는 한국방송공사(KBS), 머니투데이방송, 한국거래소 등이 있다.
- 여의도 한강공원: 한강 변에 조성된 공원으로, 시민들의 휴식 공간이자 다양한 축제가 열리는 장소이다. 봄에는 벚꽃 축제, 가을에는 서울세계불꽃축제, 여름에는 한강 여름 축제 등이 개최된다.
- 서울국제금융센터(IFC): 2012년 개장한 복합 시설로, 3개의 오피스 타워와 콘래드 서울 호텔, IFC몰로 구성되어 있다. IFC몰은 지하 4층 규모로 여러 국제 브랜드 상점과 식당가가 입점해 있다.[11]
- 파크원 타워: 여의도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334m 높이의 타워를 포함한 2개의 오피스 타워, 페어몬트 호텔(2021년 개장), 그리고 현대백화점(2021년 개장)으로 이루어져 있다.[12][13][14] 현대백화점에는 미국 외 지역 최초의 아마존 고 매장 중 하나가 입점했다.[15]
- 한국방송공사(KBS) 신관 공개홀: 여의도동에 위치하며, 다양한 KBS 프로그램의 제작 및 녹화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특히 음악 프로그램 ''뮤직뱅크''의 생방송이 진행되는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16]
- SeMA 벙커: 2017년 서울시립미술관(SeMA)이 개관한 미술관으로, 2005년 여의도 버스 환승센터 공사 중 발견된 지하 벙커를 활용했다.[17] 공식 기록은 없으나, 1970년대 박정희 정권 시절 유사시 대통령 경호용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17]
영등포공원영등포역 뒤편에 위치한 공원으로, 과거 OB맥주 공장이 있던 자리에 조성되었다. 시민들의 휴식 및 운동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문래창작촌1960년대 청계천 지역의 산업 시설들이 이전하면서 형성된 공업 지역이었으나,[9] 1990년대 외환 위기 이후 쇠퇴기를 맞았다.[9] 2000년대 들어 비어있는 공장과 상가에 예술가들이 모여들기 시작했고, 2013년 정부 지원을 통해 본격적인 예술 마을로 자리 잡았다. 현재는 철공소와 예술가들의 작업실, 갤러리, 독특한 분위기의 카페와 식당 등이 공존하는 문화예술 공간이자 여가 명소로 주목받고 있다.[9]
기타안양천 하류 구간의 둔치길( 양천구와 공유)도 영등포구를 지나는 녹지 공간이다.
11. 교통
영등포구는 서울 서남권의 주요 교통 요충지로서, 다양한 교통 인프라가 발달해 있다. 구 중심부를 관통하는 경부선 철도를 비롯하여 여러 수도권 전철 및 서울 지하철 노선이 운행되어 대중교통 접근성이 뛰어나다. 또한, 경인로, 올림픽대로 등 주요 간선도로와 고속화도로가 잘 갖추어져 있어 서울 시내는 물론 인천, 경기도 등 수도권 외곽 지역과의 연결성도 우수하다. 이러한 잘 구축된 철도 및 도로망은 영등포구를 사람과 물류가 활발히 오가는 중심지로 만드는 데 기여하고 있다.
11. 1. 철도
영등포구는 구 중앙을 통과하는 경부선의 영향을 받으며, 영등포역에는 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및 관광열차가 정차한다. 경부선은 일제 강점기부터 한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기능해왔으며, 영등포역은 서울 시내 주요 역 중 하나이다. 1974년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과 함께 영등포역까지의 구간이 전철화되었다. 영등포구를 지나는 철도 노선은 다음과 같다.운영 기관 | 노선 | 영등포구 내 역 |
---|---|---|
한국철도공사 | 경부선 | 영등포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 대방역 - 신길역 - 영등포역 | |
서울교통공사 | 서울 지하철 2호선 | 문래역 - 영등포구청역 - 당산역 |
수도권 전철 5호선 | 양평역 - 영등포구청역 - 영등포시장역 - 신길역 - 여의도역 - 여의나루역 | |
서울 지하철 7호선 | 대림역 - 신풍역 | |
서울시메트로9호선 | 서울 지하철 9호선 | 선유도역 - 당산역 - 국회의사당역 - 여의도역 - 샛강역 |
남서울경전철 | 서울 경전철 신림선 | 샛강역 - 대방역 - 서울지방병무청역 |
또한, 수도권 주요 거점을 연결하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B노선이 계획 중이며, 완공 시 영등포구에서는 여의도역에 정차할 예정이다.[18] 당산역을 경유하는 서울 경전철 목동선도 계획되어 있다.
11. 2. 도로
영등포구의 주요 간선도로 중 하나인 경인로는 남서쪽에서 북동쪽으로 이어지며, 인천, 부천, 광명 등 다른 지역과 연결하는 주요 통로 역할을 한다. 이 도로는 주요 버스 노선이기도 하며, 여의도의 여의서로 및 여의대로와 연결된다. 여의대로의 IFC몰 앞에는 대규모 버스 환승센터가 위치해 있다.
한강 남쪽 제방을 따라서는 올림픽대로가 지나간다. 이 도로는 1982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1986년에 완공된 8차선 고속도로로, 총 길이는 40.67km에 달한다. 올림픽대로는 영등포구를 인천국제공항 및 김포국제공항과 연결하고, 동쪽으로는 강남구와 송파구까지 이어진다.
12. 자매 도시
국가 | 지역 | 도시 | 체결일 |
---|---|---|---|
대한민국 | 경상남도 | 1995년 9월 14일[21] | |
전라남도 | 1995년 10월 17일[21] | ||
충청남도 | 1995년 10월 24일[21] | ||
충청북도 | 2015년 7월 28일[44] | ||
일본 | 오사카부 | 2002년 10월 31일[21] | |
중국 | 베이징시 | 먼터우거우구 | 1995년 4월 21일[21] |
상하이 | 황푸구 | align="center" | | |
미국 | 캘리포니아주 | 몬터레이 파크 | 2007년 10월 30일[21] |
참조
[1]
Infobox
[2]
웹사이트
동 명칭 및 주요 옛지명 유래
http://tour.ydp.go.k[...]
2006-04-07
[3]
웹사이트
Location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 Yeongdeungpo-gu Official Website
https://www.ydp.go.k[...]
[4]
웹사이트
Directions - Yeongdeungpo-gu Official Website
https://www.ydp.go.k[...]
[5]
뉴스
Yeouido International Finance Center
https://archive.toda[...]
2012-09-28
[6]
웹사이트
Will rent-free Yeouido succeed in winning back foreign financial firms?
https://www.koreatim[...]
2020-07-23
[7]
웹사이트
Company Info
http://www.hanjin.co[...]
2008-11-19
[8]
웹사이트
Overview
http://www.lg.com/gl[...]
2010-01-06
[9]
웹사이트
Mullae Art Village (Mullaedong): Seoul, South Korea: travelgasm.com
https://travelgasm.c[...]
[10]
뉴스
Giant Seoul mall to open tomorrow-INSIDE Korea JoongAng Daily
http://koreajoongang[...]
[11]
웹사이트
FACILITY GUIDE
http://www.ifcmallse[...]
2023-09-01
[12]
웹사이트
Fairmont Ambassador Seoul
https://www.expedia.[...]
2023-09-01
[13]
뉴스
Hyundai to build Seoul's largest department store in Yeouido
https://en.yna.co.kr[...]
2016-09-21
[14]
웹사이트
ě"œěš¸ ěľœëŒ€ęˇœëŞ¨ í˜"ëŒ€ë°ąí™"ě ? íŒŒí Źě'?â€Śí °ě†? MZě"¸ëŒ€ ë§ˆěź€íŒ… ę°•í™" |
https://www.hankyung[...]
The Korea Economic Daily
2021-01-13
[15]
웹사이트
여의도·동탄·대전에... 새 랜드마크 백화점 생긴다
https://www.chosun.c[...]
2021-01-25
[16]
웹사이트
How to apply for K-Pop Music Shows
http://english.visit[...]
2012-06-03
[17]
뉴스
Underground VIP shelter built in '70s turned into art gallery SeMA Bunker
https://en.yna.co.kr[...]
2017-10-19
[18]
웹사이트
Korea to shorten travel time with underground roads, high-speed trains by 2030
http://www.koreahera[...]
2019-10-31
[19]
웹사이트
Worldwide Classroom: Seoul Sports Graduate University
http://www.worldwide[...]
Worldwide.edu
[20]
웹사이트
Yeong deng pou korea Chinese primary school
http://www.isi.go.kr[...]
International School Information, Government of South Korea
2016-03-30
[21]
웹사이트
Mentougou, Beijing, China - Yeongdeungpo-gu Official Website
https://www.ydp.go.k[...]
[2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23]
법률
ソウル特別市条例第1413号
1980-03-31
[24]
법률
永登浦区条例第738号 洞住民センター設置条例
2008-07-17
[25]
웹사이트
주민등록인구 및 세대수
http://www.ydp.go.kr[...]
2011-06-07
[26]
웹인용
2022년 11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7]
웹인용
2022년 11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8]
기타
[29]
기타
[30]
기타
[31]
기타
[32]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63호
:s:조선총독부령 제163호
1943-06-09
[33]
법률
대통령령 제159호 시·도의관할구역및구·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변경의건
1949-08-13
[34]
법률
법률 제1172호 서울특별시·도·군·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62-11-21
[35]
법률
시조례 제276호 서울특별시구출장소설치조례
http://legal.seoul.g[...]
1962-12-28
[36]
법률
대통령령 제6548호 서울특별시의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03-12
[37]
법률
대통령령 제8666호 서울특별시강서구설치및구간관할구역조정에관한규정
1977-08-27
[38]
법률
대통령령 제9630호 서울특별시은평구등7개구설치및구관할구역조정에관한규정
1979-09-26
[39]
법률
시조례 제1413호
1980-03-31
[40]
법률
구조례 제738호 동주민센터설치조례
2008-07-17
[41]
뉴스
http://newslibrary.n[...]
1939-10-03
[42]
저널
1930년대 전후 공업도시 담론과 영등포의 서울 편입
2014-06
[43]
간행물
제28회 영등포통계연보 (2013년판)
영등포구청
2013
[44]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