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 청룡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 청룡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은 1660년 조각승 승일 등이 제작하여 용밀사에 봉안되었던 석조 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 일괄이다. 지장보살상, 도명존자, 무독귀왕을 중심으로 시왕상 10점, 귀왕, 판관, 사자, 동자상, 장군상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 22구의 상들은 조선 후기 명부전 조각의 구성을 잘 보여주며, 승일이 제작한 지장보살상은 방형의 얼굴과 움츠린 듯한 체구가 특징이다.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관련 기록이 전해져 조선 후기 불교 조각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1950년대에 대구 보현사에서 청룡사로 이안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왕상 - 서울 안양암 지장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서울 안양암 지장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은 1941년에 제작된 목지장보살상을 중심으로 도명존자상, 무독귀왕상과 시왕, 판관, 인왕, 동자, 동녀상으로 구성되어 20세기 초 시왕상의 완전한 형태를 보여주는 문화재자료이다.
  • 시왕상 - 고창 문수사 목조지장보살좌상 및 시왕상 일괄
    1654년에 조성된 고창 문수사 목조지장보살좌상 및 시왕상 일괄은 벽암각성의 문도들이 불사를 주도하고 조각승 해심을 비롯한 15명의 장인이 참여하여 제작되었으며, 조각적 완성도와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보물로 지정되었다.
  • 삼존불 -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은 군위군에 있는 석굴 사원으로,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관세음보살, 대세지보살로 이루어진 삼존불을 모시고 있으며, 여러 나라의 불상 양식 영향을 받은 조형 기법이 나타난다.
  • 삼존불 - 공주 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유물
    공주 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유물은 1606년에 제작된 석가여래삼불좌상과 복장유물로, 조선 중·후기 불교 조각 양식을 보여주며, 17세기 불교 조각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서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될 가치가 있다.
서울 청룡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문화재 정보
이름서울 청룡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영문 이름(서울 靑龍寺 石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 一括)
국가대한민국
유형보물
지정 번호1821
지정일2014년 3월 11일
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동망산길 65(숭인동)
시대조선시대
소유자청룡사
수량22점
문화재청 ID12,18210000,11
서울시 문화재 정보
명칭청룡사 석 지장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한자 명칭靑龍寺 石 地藏三尊像 및 十王像 一括
국가서울특별시
유형유형문화재
지정 번호285
지정일2009년 3월 5일
해지일2014년 3월 11일
문화재청 ID21,02850000,11

2. 역사

2. 1. 제작 및 봉안

1660년(현종 1년)에 조각승 승일 등이 동학산 용밀사에서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을 제작하였다. 진광대왕 복장 조성기(造成記)에는 제작 시기, 제작자, 시주자 등 관련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1950년대에 대구 보현사로부터 청룡사에 이안되었다.

이 불상은 당대 최고의 조각승 승일(勝一)이 조성하여 용밀사에 봉안했던 상으로, 22구 모두 석조로 조성한 희귀한 상이다. 칠곡 송림사 삼장상과 비견되며, 시대를 대표할 수 있는 지장시왕상이라 할 수 있다. 진광대왕상에서 발견된 조성기를 통해 조성 시기, 조성 화원, 시주자 등을 정확히 알 수 있다.

2. 2. 이안

2. 3. 문화재 지정 및 승격

서울 청룡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은 지장보살삼존상을 중심으로 시왕상 10점과 귀왕 2점, 판관 2점, 사자 2점, 동자상 1점, 장군상 2점이 잘 남아 있어 조선 후기 명부전 조각의 구성을 잘 보여준다.[3]

승일(勝一)이 수(首)조각승으로 제작한 상들로 지장보살상의 높이가 92cm로 그의 다른 작품처럼 방형의 얼굴에 입이 특징적인 얼굴 표현형식을 보여준다. 커다란 두부에 비해서 체구는 약간 움츠려 있는데 석조라는 재료상의 제약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특성은 도명존자, 무독귀왕의 경직된 자세에서도 엿볼 수 있지만 각 시왕의 관모, 복식, 옷주름, 지물 등 세부표현이 충실하게 이루어진 모습도 관찰된다.[3]

이 상들은 전체적인 구성이 거의 완전하고 보존상태가 양호하며 최초 봉안되었던 사찰과 불사에 동참한 시주자들, 조각을 담당했던 조각승들을 알 수 있는 발원문이 전하고 있어서, 조선 후기 불교조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3]

3. 구성



서울 청룡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은 명부전에 봉안된 지장삼존상과 시왕상 및 권속 등 총 22구로 구성되어 있다. 1660년, 상화원(上畵員) 승일 등이 동학산 용밀사에서 제작하였으며, 1950년대에 대구 보현사로부터 청룡사에 이안되었다.

지장삼존상은 지장보살상을 중심으로 도명존자와 무독귀왕상이 협시한 형태이다. 지장보살상은 움추린 듯한 사각형 상체에 긴 네모꼴 얼굴을 하고 있고, 높은 무릎을 한 것이 특징이다. 왼쪽(向右)에는 도명존자가 젊은 비구의 모습으로, 우측에는 높은 관을 쓴 무독귀왕이 합장을 하고 서 있다.

지장삼존상 좌우 불단에는 시왕상과 권속들이 배치되어 있다. 왼쪽(向右)에는 제1·3·5·7·9의 홀수 번호 다섯 분이, 오른쪽(向左)으로는 2·4·6·8·10의 짝수 번호 상 다섯 분이 자리하고 있다. 이들 좌우에는 판관1, 사자2, 금강역사1 등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왕관 모양의 관을 쓰고 있는 시왕상들은 모두 나무로 만든 의자에 앉아 발을 가지런히 한 채 홀을 잡고 있는데, 이들 중 제2․5상은 홀 대신 책을 들었고, 제8상은 반가상을 취하고 있다. 시왕상들은 대체적으로 얼굴이 길고 온화하며, 상체는 낮은 반면에 하체는 긴 편이다. 판관들은 시왕상과 유사하지만 사자는 다소 작은 편이며, 상체를 벗은 상태의 금강역사상은 한손으로 주먹을 쥐어 격파하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제1 진광대왕상 복장 조성기에 따르면, 이 지장시왕상은 1660년에 당대 최고의 조각승 승일(勝一)이 조성하여 용밀사에 봉안했던 상으로, 22구 모두 석조로 조성한 희귀한 상이다. 칠곡 송림사 삼장상과 비견되며, 시대를 대표할 수 있는 지장시왕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진광대왕상에서 조성기가 발견되어 조성 시기 및 조성 화원, 시주자 등을 정확히 알 수 있다.

4. 특징

4. 1. 조형적 특징

4. 2. 도상적 특징

5. 가치 및 의의

서울 청룡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은 지장보살삼존상을 중심으로 시왕상 10점, 귀왕 2점, 판관 2점, 사자 2점, 동자상 1점, 장군상 2점이 잘 남아 있어 조선 후기 명부전 조각의 구성을 잘 보여준다.[3]

승일(勝一)이 수(首)조각승으로 제작한 상들로 지장보살상의 높이가 92cm이다. 방형의 얼굴에 입이 특징적인 얼굴 표현형식을 보여주며, 커다란 두부에 비해 체구는 약간 움츠려 있는데, 이는 석조라는 재료상의 제약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도명존자, 무독귀왕의 경직된 자세에서도 이러한 특성이 나타나지만, 각 시왕의 관모, 복식, 옷주름, 지물 등 세부 표현이 충실하게 이루어진 모습도 관찰된다.[3]

이 상들은 전체적인 구성이 거의 완전하고 보존 상태가 양호하며 최초 봉안되었던 사찰과 불사에 동참한 시주자들, 조각을 담당했던 조각승들을 알 수 있는 발원문이 전하고 있어서, 조선 후기 불교 조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3]

참조

[1] 간행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및 문화재자료 지정 http://event.seoul.g[...] 서울특별시장 2009-03-05
[2] 간행물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예고 문화재청장 2014-01-13
[3] 간행물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문화재청장 2014-03-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