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자루 성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석탄자루 성운은 켄타우루스자리와 파리자리에 걸쳐 있는 어두운 성운으로, 크기는 약 7° × 5°이다. 1499년 빈센테 야녜스 핀손에 의해 처음 관측되었으며, 아메리고 베스푸치는 이를 '검은 카노푸스'로 명명했다. 1970년 칼레비 마틸라는 석탄자루 성운이 주변 별빛을 반사하여 희미하게 빛난다는 것을 발견했다.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은 석탄자루 성운을 '하늘의 에뮤'의 머리로, 잉카인들은 '유튜'라고 불렀다. 석탄자루 성운은 《스타 트렉: 오리지널 시리즈》와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등 대중문화 작품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암흑성운 - 보크 구상체
보크 구상체는 밀도가 높고 어두운 분자 구름으로, 내부에서 별이 탄생하는 영역이며, 주로 쌍성 또는 다중성계 형성과 관련이 있고, 혜성 구상체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 암흑성운 - E자형 성운
- 남십자자리 - 가크룩스
남십자자리에서 가장 밝은 붉은색 거성인 가크룩스는 준규칙 변광성으로, 여러 국가의 국기에 남십자자리의 별로서 나타난다. - 남십자자리 - 아크룩스
아크룩스는 남십자자리의 알파별로, 대한민국에서는 관측할 수 없으며, 겉보기 등급 1.40의 아크룩스 A와 2.09의 아크룩스 B로 이루어진 쌍성이다. - 콜드웰 천체 - NGC 6397
NGC 6397은 우리 은하의 구상성단으로, 천문학적으로 별의 질량 하한선 규명, 백색왜성 집중으로 밝혀진 중심부 밀집성 천체 성질 규명, 초기 우주 은하 형성 연구 자료 제공 등 중요한 발견에 기여했다. - 콜드웰 천체 - NGC 2403
NGC 2403은 윌리엄 허셜이 발견한 M81 은하군 소속의 정면나선은하로, 800만 광년 거리에 있으며, 국부 은하군 너머에서 세페이드 변광성이 처음 발견되었고, 활발한 별 형성 활동과 왜소 은하 동반, 그리고 밝은 청색 변광성들을 포함한다.
석탄자루 성운 | |
---|---|
기본 정보 | |
![]() | |
형태 | 암흑 성운 |
별자리 | 남십자자리 |
적경 (J2000.0) | 12시 50분 |
적위 (J2000.0) | -62° 30′ |
거리 | 180 파섹 |
크기 | 7° × 5° |
반지름 | 30–35 광년 |
다른 이름 | 칼드웰 99 |
2. 상세 정보
석탄자루 성운은 약 7° × 5° 크기로, 켄타우루스자리와 파리자리에 걸쳐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별자리인 ‘하늘의 에뮤’에서 에뮤 머리 부분을 구성한다.
2. 1. 역사
석탄자루 성운은 선사 시대부터 남반구 원주민들에게는 알려져 있었지만, 제대로 보고된 최초의 관측은 1499년 빈센테 야녜스 핀손이 한 것이다.[13][6] 아메리고 베스푸치는 이 성운을 ‘검은 카노푸스’(''il Canopo fosco'')라고 명명했으며,[6] 마젤란운과 비교해 ‘흑마젤란운’(Black Magellanic Cloud)이라고 부르기도 했다.[13][6]1970년, 칼레비 마틸라는 석탄자루 성운이 아주 검지는 않다는 것을 발견했다. 매우 침침하지만(주위 은하수의 10% 밝기에 불과하다) 어느 정도 빛을 내고 있었는데, 주위의 별빛을 반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석탄자루는 엔지시 목록에는 실려있지 않지만, 콜드웰 목록에는 C99로 실려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토착민의 별자리에는 ‘하늘의 에뮤’(''Emu in the sky'')가 있는데,

잉카 제국에서는 이 성운을 ‘유튜’(Yutu)라고 불렀는데, ‘자고새를 닮은 남쪽 새’라는 뜻이다.[15][9]
2. 2. 과학적 관측
1970년, 칼레비 마틸라는 석탄자루 성운이 아주 검지는 않으며, 주위 은하수의 10% 밝기로 희미하게 빛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성운이 주위 별빛을 반사하기 때문이다.[13]석탄자루는 NGC 목록에는 등재되지 않았지만, 콜드웰 목록에는 C99로 등재되었다.[13]
3. 문화적 의미
석탄자루 성운은 남반구 원주민들에게 선사 시대부터 잘 알려져 있었다.[13] 1499년 빈센테 야녜스 핀손이 처음으로 관측 보고를 했다.[6] 아메리고 베스푸치는 이 성운을 '검은 카노푸스'(''il Canopo fosco'')라고 불렀고, '마젤란의 반점'(Macula Magellani) 또는 '흑마젤란운'(Black Magellanic Cloud)이라고도 칭했다.[6]
1970년, 칼레비 마틸라는 석탄자루 성운이 완전히 검은 것은 아니고, 주변 별빛을 반사하여 희미하게 빛을 낸다는 것을 발견했다. 석탄자루 성운은 NGC 목록에는 없지만, 콜드웰 목록에는 C99로 등재되어 있다.
3. 1.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은 석탄자루 성운을 포함한 어두운 성운들을 이용하여 '하늘의 에뮤' 별자리를 만들었다. 이 별자리에서 석탄자루 성운은 에뮤의 머리 부분에 해당한다. 와르다먼 족 전설에 따르면, '우트정곤(Utdjungon)'이라는 존재가 부족의 법을 지키도록 감시하며, 이를 어기면 불타는 별로 세상을 멸망시킨다고 한다.[14][7] 가이아르바우(1880)는 석탄자루가 지구상의 보라 링을 복제한 것이며, 영혼들이 의식을 계속할 수 있게 한다고 기록했다.3. 2. 잉카
잉카 제국에서는 석탄자루 성운을 ‘유튜’(Yutu)라고 불렀는데, 이는 ‘자고새를 닮은 남쪽 새’라는 뜻이다.[15]4. 대중문화
석탄자루 성운은 TV 시리즈 《스타 트렉: 오리지널 시리즈》와 아서 클라크의 소설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에 등장한다. 제리 푸르넬의 공동지배령 세계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특히 래리 니븐과 공동 집필한 《신들의 눈 속의 티끌》과 후속작인 《붙잡는 손》에서 그러하다.
이 소설들에서 인류가 식민지화한 행성인 뉴 칼레도니아는 지구에서 석탄자루의 반대편에 위치해 있다. 석탄자루를 배경으로 붉은 초거성이 있고, 초거성과 뉴 칼레도니아 사이에는 "신들의 눈 속의 티끌"로 알려진 노란색 F6형 별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 Cosmic Sackful of Black Coal
http://www.eso.org/p[...]
2015-10-15
[2]
SIMBAD
Coalsack Nebula
http://simbad.u-stra[...]
2018-09-30
[3]
논문
Interstellar Na I D lines towards the Southern Coalsack
[4]
웹사이트
Where is the Northern Coalsack?
https://astronomy.co[...]
2023-02-10
[5]
서적
The universal book of astronomy: from the Andromeda Galaxy to the zone of avoidance
Wiley
2004
[6]
웹사이트
The Coalsack and the Southern Cross
https://www.eso.org/[...]
2018-10-01
[7]
문서
Songs of the Songmen
[8]
서적
The Hundred Greatest Star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9]
서적
Archaeoastronomy in the New World : American primitive astronomy : proceedings of an international conference held at Oxford University, September, 1981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웹사이트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2-10
[11]
웹사이트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https://simbad.u-str[...]
2012-05-04
[12]
웹사이트
アルマ望遠鏡 国立天文台 アルマ建設現場の風景 その2
http://alma.mtk.nao.[...]
[13]
문서
Paradise found; the cradle of the human race at the North pole; a study of the prehistoric world
[14]
문서
Songs of the Songmen
[15]
서적
The Hundred Greatest Stars
http://books.google.[...]
Copernicus Books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