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노푸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노푸스는 용골자리에 있는 밝은 별로, 고대 그리스어 이름에서 유래했다. 다양한 문화에서 중요하게 여겨졌으며, 바빌로니아, 이집트, 중국, 인도, 폴리네시아 등에서 각기 다른 이름과 의미를 지녔다. 물리적으로는 태양보다 훨씬 크고 밝으며, 우주 항해에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노푸스 - 남극선옹
남극선옹은 동아시아 신화에서 장수를 상징하는 인물로, 남극성의 화신으로 여겨지며, 장수를 축하하는 행사나 문학 작품, 현대 상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F형 초거성 - 폴라리스
폴라리스는 작은곰자리의 알파별이자 지구 자전축과 거의 일직선상에 있어 밤하늘에서 거의 움직이지 않는 북극성이며, 황백색 초거성인 폴라리스 A와 두 개의 동반 천체를 거느린 항성계의 가장 밝은 별로, 항해의 지표로 사용되어 왔다. - F형 초거성 - 세페우스자리 델타
세페우스자리 델타는 5.36627일 주기로 밝기가 변하는 세페이드 변광성의 원형별로, 주기-광도 관계를 통해 거리를 측정하는 데 중요하며 지구로부터 약 800~890광년 떨어져 있고 분광 동반성을 가진 연성계이다.
카노푸스 | |
---|---|
기본 정보 | |
![]() | |
별자리 | 용골자리 |
명칭 | 수하일 수헬 스하일 |
다른 명칭 | 용골자리 알파별 CPD −52°1941 FK5 245 HD 45348 HIP 30438 HR 2326 SAO 234480 GC 8302 |
관측 정보 | |
겉보기 등급 | -0.74 |
시선 속도 | 20.30 km/s |
고유 운동 | 적경: 19.93 밀리초각/년 적위: 23.24 밀리초각/년 |
연주 시차 | 10.55 밀리초각 |
적색 편이 | 0.000068 |
절대 등급 | -5.624 |
특징 | |
분광형 | A9 II, F0 II, F0 Ib |
B-V 색 지수 | +0.15 |
U-B 색 지수 | +0.10 |
금속 함량 | 태양의 90% |
물리적 특징 | |
반지름 | 71 ± 4 태양 반지름 |
질량 | 8.0 ± 0.3 태양 질량 |
자전 속도 | 8.0 km/s |
표면 중력 | 2.10 |
유효 온도 | 7,557 ± 35 켈빈 |
광도 | 10,700 ± 1,000 태양 광도 |
기타 정보 | |
영어 이름 | Canopus |
로마자 표기 | Kanopeuseu |
한자 표기 | 남극노인성 (南極老人星) |
2. 명칭
카노푸스라는 이름은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마게스트』(서기 150년경)에 기록된 고대 그리스어 Κάνωβος/Kanôbos의 라틴어 표기이다.[71] 히파르코스는 Κάνωπος라고 기록했다.[10] 존 플램스티드는 카노푸스라고 기록했고,[10] 에드먼드 핼리도 1679년 『남천별 목록』(Catalogus Stellarum Australium)에서 카노푸스라고 기록했다.[11]
이 이름은 세 가지 가능한 어원을 가지고 있다.[12]
- 낡은 별자리인 아르고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은 이 별자리에 나오는 배, 즉 이아손과 아르고 영웅들이 사용한 배의 조타수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그리스 신화의 또 다른 이야기에서 나오는 메넬라오스의 배의 조타수, 헬레네가 파리스에게 납치된 후 헬레네를 되찾기 위한 그의 여정에서 배를 조종한 카노푸스이다.[12]
- 나일 강 어귀 근처에 있는 카노푸스라는 폐허가 된 고대 이집트 항구가 있는데 이곳은 나일 해전이 벌어진 곳이다. 이 이름은 이집트의 콥트어 ''Kahi Nub''("황금 대지")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측되는데, 이는 고대 이집트에서 지평선 근처에 나타났을 때 대기 소광으로 붉게 보이는 카노푸스를 가리킨다.[12][13]
2016년, 국제천문연맹(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은 별의 고유 이름을 목록화하고 표준화하기 위한 별 이름 작업반(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WGSN)을 구성했다.[14] WGSN은 이 별을 위한 ''Canopus''를 승인했다.[15] 카노푸스는 이제 IAU 별 이름 목록(IAU Catalog of Star Names)에 포함되어 있다.[16]
카노푸스는 전통적으로 아르고자리의 키를 나타낸다.[17][71] 독일의 천체지도 제작자인 요한 바이어는 1603년에 이 별에 α Argus라는 바이어 명명법을 부여했다. 1763년, 프랑스 천문학자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는 카노푸스를 α Carinae로 명명했다.[18] 벤자민 애프소프 골드는 그의 『아르헨티나 우라노메트리아』에서 이 별에 7(7 G. Carinae)이라는 번호를 부여했다.[19]
영어로는 ''Soheil'' 또는 여성형 Soheila, 터키어로는 ''Süheyl'' 또는 여성형 Süheyla로 불린다. 이는 여러 밝은 별에 대한 아랍어 이름 سهيل ''suhayl''에서 유래한다.[12] 카노푸스는 중세 시대에 Suhel 로 알려져 있었다.[20] 다른 철자로는 Suhail, Souhail, Suhilon, Suheyl, Sohayl, Sohail, Suhayil, Shoel, Sohil, Soheil, Sahil, Suhayeel, Sohayil, Sihel, Sihil 등이 있다.[12] 또 다른 이름은 "무게"를 의미하는 ''Wazn'' 또는 "땅"을 의미하는 ''Haḍar''인데, 이는 배가 사용하는 닻돌을 의미한다.[12] 『알폰소 표』에서는 Suhel ponderosus라는 이름으로 나오는데, 이는 ''Al Suhayl al Wazn''의 라틴어 표기이다.[12] 르네상스 시대에 그리스 이름이 다시 사용되었다.[20]
대한민국에서는 방총반도 연안 지역에서 “부라성”이라 불렀다. 부라는 방총반도 남단에 있는 어항이며, 이 방향에 보이는 별이라는 의미가 있다. 힌두교에서는 리시 중 한 명의 이름을 따서 아가스티야()라고 부른다.[12]
2. 1. 어원
카노푸스라는 이름은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마게스트』(서기 150년경)에 기록된 고대 그리스어 Κάνωβος/Kanôbos의 라틴어 표기이다.[71] 히파르코스는 Κάνωπος라고 기록했다.[10]이 이름은 두 가지 어원을 가진다.[12]
- 첫번째는, 낡은 별자리인 아르고 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은 이 별자리에 나오는 배, 즉 이아손과 아르고 영웅들이 사용한 배의 조타수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는 것이다.
- 두번째는, 그리스 신화에서 메넬라오스의 배의 조타수였던 카노푸스의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12] 헬레네가 파리스에게 납치된 후, 그녀를 되찾기 위한 여정에서 메넬라오스의 배를 조종했다고 한다.
- 세번째는, 나일 강 어귀 근처에 있는 카노푸스라는 폐허가 된 고대 이집트 항구 도시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 이 이름은 이집트 콥트어 ''Kahi Nub''("황금 대지")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측되는데, 이는 고대 이집트에서 지평선 근처에 나타났을 때 대기 소광으로 붉게 보이는 카노푸스를 가리킨다.[12][13]
2016년, 국제천문연맹(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은 별의 고유 이름을 목록화하고 표준화하기 위한 별 이름 작업반(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WGSN)을 구성했다.[14] WGSN은 이 별을 위한 ''Canopus''를 승인했다.[15] 카노푸스는 이제 IAU 별 이름 목록(IAU Catalog of Star Names)에 포함되어 있다.[16]
카노푸스는 여러 밝은 별에 대한 아랍어 이름인 سهيل ''suhayl''에서 유래한 ''Soheil'' 또는 여성형 Soheila, 터키어로는 ''Süheyl'' 또는 여성형 Süheyla로 불리기도 한다.[12] 중세 시대에는 Suhel 로 알려져 있었다.[20] 다른 이름으로는 "무게"를 의미하는 ''Wazn'' 또는 "땅"을 의미하는 ''Haḍar''가 있다.[12] 『알폰소 표』(Alfonsine tables)에서는 Suhel ponderosus라는 이름으로 나오는데, 이는 ''Al Suhayl al Wazn''의 라틴어 표기이다.[12] 르네상스 시대에 그리스 이름이 다시 사용되었다.[20]
대한민국에서는 “부라성”이라는 이름이 있는데, 부라는 방총반도 남단에 있는 어항이며, 이 방향에 보이는 별이라는 의미가 있다.
힌두교에서는 리시(성현) 중 한 명의 이름을 따서 아가스티야()라고 부른다.[12]
2. 2. 역사적 명칭
카노푸스라는 이름은 클라우디우스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마게스트』(서기 150년경)에 기록된 고대 그리스어 이름 Κάνωβος/Kanôbos의 라틴어 표기이다.[71] 히파르코스는 이를 Κάνωπος라고 기록했다. 존 플램스티드는 카노푸스라고 기록했고,[10] 에드먼드 핼리도 1679년 『남천별 목록』(Catalogus Stellarum Australium)에서 카노푸스라고 기록했다.[11]이 이름은 두 가지 가능한 어원을 가지고 있다.
- 낡은 별자리인 아르고자리(Argo Navis)에서 가장 밝은 별은 이 별자리에 나오는 배, 즉 이아손과 아르고 영웅들이 사용한 배의 조타수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그리스 신화의 또 다른 이야기에서 나오는 메넬라오스의 배의 조타수, 헬레네가 파리스에게 납치된 후 헬레네를 되찾기 위한 그의 여정에서 배를 조종한 카노푸스이다.[12]
나일강 어귀 근처에 있는 카노푸스(Canopus, Egypt)라는 폐허가 된 고대 이집트 항구가 있는데 이곳은 나일 해전이 벌어진 곳이다. 이 이름은 이집트의 콥트어(Coptic language) ''Kahi Nub''("황금 대지")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측되는데, 이는 고대 이집트에서 지평선 근처에 나타났을 때 대기 소광으로 붉게 보이는 카노푸스를 가리킨다.[12][13]
2016년, 국제천문연맹(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은 별의 고유 이름을 목록화하고 표준화하기 위한 별 이름 작업반(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WGSN)을 구성했다.[14] WGSN의 2016년 7월 첫 번째 게시판에는 WGSN이 승인한 처음 두 배치의 이름이 포함된 표가 있었는데, 여기에는 이 별을 위한 ''Canopus''가 포함되어 있었다.[15] 카노푸스는 이제 IAU 별 이름 목록(IAU Catalog of Star Names)에 포함되어 있다.[16]
카노푸스는 전통적으로 아르고자리(Argo Navis)의 키를 나타낸다.[17][71] 독일의 천체지도 제작자인 요한 바이어는 1603년에 이 별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라는 이유로 이 별에 α Argus라는 바이어 명명법(Bayer designation)(라틴어화된 Alpha Argus)을 부여했다. 1763년, 프랑스 천문학자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는 거대한 별자리를 세 개의 작은 별자리로 나누었고,[18] 따라서 카노푸스는 α Carinae(라틴어화된 Alpha Carinae)가 되었다. 벤자민 애프소프 골드는 그의 『아르헨티나 우라노메트리아』(Uranometria Argentina)에서 이 별에 7(7 G. Carinae)이라는 번호를 부여했다.[19]
영어로는 가끔 ''Soheil'' 또는 여성형 Soheila라는 이름이 사용되며, 터키어로는 ''Süheyl'' 또는 여성형 Süheyla로, 여러 밝은 별에 대한 아랍어 이름 سهيل ''suhayl''에서 유래하며,[12] 카노푸스는 중세 시대에 Suhel 로 알려져 있었다.[20] 다른 철자로는 Suhail, Souhail, Suhilon, Suheyl, Sohayl, Sohail, Suhayil, Shoel, Sohil, Soheil, Sahil, Suhayeel, Sohayil, Sihel, Sihil 등이 있다.[12] 또 다른 이름은 "무게"를 의미하는 ''Wazn'' 또는 "땅"을 의미하는 ''Haḍar''인데, 이는 지평선 근처에 있는 낮은 위치와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니라 배가 사용하는 닻돌을 의미하는 것이다.[12] 따라서 『알폰소 표』(Alfonsine tables)에서는 Suhel ponderosus라는 이름으로 나오는데, 이는 ''Al Suhayl al Wazn''의 라틴어 표기이다.[12] 르네상스 시대에 그리스 이름이 다시 사용되었다.[20]
대한민국에서는, 보통 방총반도 연안 지역에서의 별칭으로 “부라성”(메라보시)이라는 이름이 있다.
3. 물리적 특성
히파르코스 위성이 정밀측정을 하기 전까지 이 별의 거리 예측값은 310광년에서 1200광년까지 제각각이었다. 히파르코스가 측정한 값은 지구에서 약 310광년(96파섹)이다.[102]
카노푸스와 지구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어려운 이유는 카노푸스가 일반적이지 않은 상태에 있기 때문이다. 카노푸스의 분광형은 F0 II 또는 F0Ib(Ib는 덜 밝은 초거성이라는 뜻임)으로[105] 이런 분광형은 매우 드물어 상세한 연구가 이뤄지지 않았다. 항성 진화 단계상 카노푸스는 적색 거성으로부터 쭈그러든 것이거나 혹은 적색 거성을 향해 부풀어 오르는 중간단계일 수도 있다.[106]
카노푸스는 태양보다 15,000배 더 밝다. 카노푸스의 표면 온도는 7350 ± 30켈빈 정도이다.[107] 강력한 엑스선원이기도 하며 엑스선은 자기적으로 1500만 켈빈까지 가열된 별의 코로나에서 나오는 것으로 보인다.
적외선 간섭기로 측정한 각지름은 6.93 ± 0.15 밀리초각이었다. 히파르코스 위성이 측정한 거리에 이 값을 대입하면 카노푸스의 지름은 태양의 71.4 ± 0.4배가 나온다. 만약 이 별을 태양 대신 태양계 중앙에 갖다 놓는다면, 카노푸스의 표면은 수성 궤도의 90%까지 이를 것이다.[108]
지구로부터 약 600 광년 거리 이내 있는 별 중에 카노푸스는 독보적으로 밝아 지난 400만 년 동안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 자리를 지킨 적이 있다.[109]
종전에는 카노푸스를 전갈자리-센타우루스자리 성협의 일원으로 보았으나[106] 히파르코스 위성의 측성자료를 이용하여 운동학적으로 연구한 결과 성협의 구성원이 아니라는 결론이 나왔다.[110] 현 시점에서 카노푸스는 인근의 어떠한 젊은 성군에도 속해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111]
2014년 천문학자 에릭 마마제크는 카노푸스에서 1.16도 떨어진 곳에 아주 강력한 X선을 뿜는 적색 왜성 2MASS J06234738-5351131을 발견했다. 이 별은 카노푸스와 고유 운동을 공유하고 있어서 카노푸스 '''B''' 이름을 받았다. 1.16도 거리는 그다지 가깝지 않으나 카노푸스의 질량이 커서 조석 반경(약 9.5광년, 2.9 파섹) 안에 들어간다.[111]
카노푸스의 스펙트럼에서 흡수선은 6.9일의 주기로 약간씩 이동한다. 카노푸스는 마이크로파 파장에서 밝게 빛나는데, 전파로 감지된 몇 안 되는 F형 별 중 하나이다.[57] 별의 자전 주기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300일 이상일 수 있다.[58]
초장기선 간섭계를 사용하여 카노푸스의 각 지름을 6.9mas로 계산했다. 이는 히파르코스의 시차로 계산된 거리와 결합하여 71배의 태양 반지름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50] 만약 카노푸스가 태양계 중심에 있다면, 수성 궤도의 90%까지 확장될 것이다.[60] 태양에 대한 반지름과 온도는 태양보다 10,700배 더 밝다는 것을 의미하며, H-R 도표에서 이론적인 항성 진화 궤적에 대한 위치는 태양 질량의 8.0±0.3배임을 의미한다.[50]
카노푸스는 X선의 근원이며, 이는 아마도 수백만 켈빈까지 자기적으로 가열된 코로나에 의해 생성된 것이다.
3. 1. 진화
카노푸스는 중심핵의 수소를 소진하고 주계열에서 벗어난 별이다.[63] H-R 도표에서 카노푸스의 위치는 현재 헬륨 핵융합 단계에 있음을 보여준다.[50] 중간 질량의 별인 카노푸스는 핵이 축퇴되기 전에 적색 거성 가지를 벗어나 현재 청색 루프에 있다.[64] 청색 루프 단계의 항성 진화 모델은 청색 루프의 길이가 항성 내부의 회전과 혼합 효과에 크게 영향을 받음을 보여준다.[65]카노푸스는 불안정대의 따뜻한 쪽에 위치하며, 비슷한 광도를 가진 세페이드 변광성과 같이 맥동하지 않는다.[66] 그러나 대기는 불안정한 것으로 보이며 강한 대류의 징후를 보인다.[65]
카노푸스의 분광형은 F0 II 또는 F0Ib이다.[105] 항성 진화 단계상 카노푸스는 적색 거성으로부터 쭈그러든 것이거나 혹은 적색 거성을 향해 부풀어 오르는 중간단계일 수도 있다.[106]
카노푸스는 철핵 붕괴 초신성으로 폭발할 만큼 충분히 질량이 클 수 있다.
3. 2. 스펙트럼
20세기 이전에는 서구 과학자들에 의해 카노푸스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37] 1897년 카노푸스는 수소선이 상대적으로 약하고 칼슘 K선이 상대적으로 강한 F형 스펙트럼으로 분류되었다.[37] 헨리 드레이퍼 목록에서는 F0형 표준성으로 분류되었는데, F0형 스펙트럼은 수소선의 세기가 A0형 항성의 절반이고 칼슘 K선이 Hδ선보다 세 배 강한 것으로 설명되었다.[38] 미국의 천문학자 제시 그린스타인은 맥도널드 천문대의 오토 스트루베 망원경을 사용하여 카노푸스의 스펙트럼을 자세히 분석, 1942년 논문에서 스펙트럼이 강하고 넓은 수소선이 지배적이며 탄소, 질소, 산소, 황, 철 및 많은 이온화된 금속의 흡수선도 존재한다고 보고했다.[39][40] 1966년 제미니 11호에 의해 자외선 영역에서 연구된 결과, 자외선 스펙트럼은 당시 카노푸스에 대해 받아들여진 매개변수인 온도 6,900K를 가진 F0형 초거성과 일치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41]광도 등급이 MK 스펙트럼 분류 체계에 추가되었을 때, 카노푸스는 중간 광도 초거성을 나타내는 Iab 등급으로 분류되었다.[44] 밝은 별 목록 5판에서는 F0II형 스펙트럼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광도 등급은 밝은 거성을 나타낸다.[45] 발머 선 프로필과 산소 선의 세기는 카노푸스의 크기와 광도를 나타낸다.[46] 항성 자전 속도의 영향을 고려하면, 카노푸스의 MK 스펙트럼 등급은 A9II로 조정된다.[4]
카노푸스의 스펙트럼은 주로 가시 연속 스펙트럼에 흡수선으로 구성되지만, 일부 방출선도 감지되었다. 예를 들어, 칼슘 K선은 강한 중심 흡수선의 양쪽에 약한 방출선 날개가 있는데, 이는 1966년에 처음 관측되었다.[47] 방출선 프로필은 윌슨-바푸 효과에 의해 설명되는 항성의 광도와 상관관계가 있지만, 카노푸스의 경우 다른 방법으로 계산된 광도보다 훨씬 낮은 광도를 나타낸다.[47] 이온화된 마그네슘의 h 및 k 선과 같은 다른 선에서도 방출선을 찾을 수 있다.[48] 보다 자세한 관측 결과, 방출선 프로필은 변광성이며 항성 표면의 플라주 영역 때문일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48]
3. 3. 거리
히파르코스 위성이 정밀측정을 하기 전까지 카노푸스의 거리 예측값은 96광년에서 1200광년까지 매우 다양했다.[102] 이전의 거리 추정치 중 하나인 652광년(200파섹)은 카노푸스의 광도를 태양 광도의 80,000배로 나타냈는데,[49] 이는 현대의 추정치보다 훨씬 높은 수치이다.[50] 히파르코스 위성은 카노푸스가 태양계로부터 310광년(96파섹) 떨어져 있다는 것을 밝혔으며, 이는 10.43 ± 0.53 밀리초각의 시차 측정에 기반한다.[102][2]카노푸스는 너무 밝아 가이아 위성의 일반적인 관측 대상에는 포함되지 않으며, 발표된 가이아 시차는 없다.[53] 카노푸스와 지구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어려운 이유는 이 별이 매우 드문 분광형(F0 II 또는 F0Ib)을 가지고 있어 상세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105] 항성 진화 단계상 적색 거성으로부터 쭈그러든 것이거나 혹은 적색 거성을 향해 부풀어 오르는 중간단계일 수도 있다.[106]
카노푸스는 현재 초속 20km의 시선 속도로 태양으로부터 멀어지고 있다. 약 310만 년 전에는 태양에 약 52.87파섹 거리로 가장 가까이 접근했었다. 카노푸스는 24.5km/s의 태양 중심 속도와 0.065의 낮은 궤도 이심률을 가지고 우리 은하를 공전하고 있다.[54]
2014년에는 카노푸스에서 1.16도 떨어진 곳에서 카노푸스와 고유 운동을 공유하는 적색 왜성 2MASS J06234738-5351131이 발견되어 카노푸스 B로 명명되었다. 이 별은 카노푸스의 조석 반경(약 9.5광년) 안에 들어간다.[111] 종전에는 카노푸스를 전갈자리-센타우루스자리 성협의 일원으로 보았으나,[106] 히파르코스 위성의 측성자료를 이용한 연구 결과 성협의 구성원이 아니라는 결론이 나왔다.[110] 현재 카노푸스는 인근의 어떠한 젊은 성군에도 속해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111]
4. 가시성
카노푸스는 천구 남극에 가까워 남회귀선 아래에 있는 나라들에서는 시리우스와 함께 잘 보인다. 남반구에서는 매년 12월 27일 자정과 2월 11일 저녁 9시에 천정에 위치한다.[112] 남위 37도 18분 아래에서는 주극성으로 보이므로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에서는 지평선 아래로 지지 않는다.[112] 반대로 북위 37도 18분 위에서는 카노푸스가 지평선 아래에 가려 보이지 않지만, 관측 조건이 좋으면 북위 37도 31분 태평양 해안가, 북위 37도 59분 터키 넴루트 산에서도 볼 수 있다.[113][25]
대한민국에서는 제주도가 관측에 가장 적합하다. 토정비결 저자 이지함은 조선 사대부들이 이 별을 보기 원했고, 관측을 위해 한라산에 세 번 올랐다고 한다.[114] 1521년 김정, 1601년 김상헌, 1841년 이원조 등도 제주도에서 노인성(카노푸스) 관측을 기록했다.[115]
일본에서는 동북 지방 남부 이남 지역에서만 볼 수 있다. 도쿄에서는 남쪽 지평선 근처 2도, 교토에서는 3도 정도 높이에 불과하며, 광해와 대기 때문에 붉게 보여 찾기 어렵다. 규슈 지방에서는 더 높은 위치에서 관측 가능하며, 가고시마현가고시마에서는 6도, 오키나와현나하에서는 10도 정도 높이까지 올라간다. 남위 37도 18분 이남,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등에서는 주극성이 된다.
일본 우주 탐사선 사키가케와 스이세이는 자세 제어를 위한 스타 트래커 대상으로 카노푸스를 사용했다.
5. 문화적 의의
카노푸스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인들에게 알려져 있었으며, 기원전 1100년경의 「각 별 세 개씩」 바빌로니아 항성 목록과 후대의 MUL.APIN에서 에리두 도시를 나타냈다.[67] 바빌로니아인들은 카노푸스를 MUL.NUNKI라고 불렀는데, 이는 "에리두 도시의 별"로 번역된다. 에리두는 가장 남쪽에 위치한 고대 수메르 도시 중 하나였다.[68]
오늘날, 시그마 사수자리는 눔키라는 일반적인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69]
카노푸스는 본토 고대 그리스인과 로마 제국 사람들에게는 보이지 않았지만, 고대 이집트인들에게는 보였다.[70] 따라서 아라투스는 지평선 아래에 있었던 이 별에 대해 기록하지 않았지만, 알렉산드리아에서 관측한 에라토스테네스와 프톨레마이오스는 이 별을 "카노보스 (''Kanōbos'')"라고 불렀다.[71] 투트모세 3세 시대의 이집트 사제 시인은 이 별을 "카르바나 (''Karbana'')"라고 언급하며, "아침 이슬을 흩어버릴 때, 불꽃 같은 시선으로 빛을 쏟는 별"이라고 묘사했다.[12]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에는 이 별을 "프톨레마이온 (''Ptolemaion'', 프톨레마이온/Πτολεμαῖονgrc)"이라고 불렀으며, 그 별의 초저녁 출현은 기원전 262년부터 145년까지 4년마다 열리는 프톨레마이아 축제의 날짜를 알려주었다.[72]
그리스 천문학자 포시도니우스는 카노푸스 관측을 이용하여 기원전 90~120년경에 지구의 둘레를 매우 정확하게 계산했다.
5. 1. 고대 문명
카노푸스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인들에게 알려져 있었으며, 기원전 1100년경의 「각 별 세 개씩」 바빌로니아 항성 목록과 후대의 MUL.APIN에서 에리두 도시를 나타냈다.[67] 바빌로니아인들은 카노푸스를 MUL.NUNKI라고 불렀는데, 이는 "에리두 도시의 별"로 번역된다. 에리두는 가장 남쪽에 위치한 고대 수메르 도시 중 하나였다.[68]오늘날, 시그마 사수자리는 눔키라는 일반적인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69]
카노푸스는 본토 고대 그리스인과 로마 제국 사람들에게는 보이지 않았지만, 고대 이집트인들에게는 보였다.[70] 따라서 아라투스는 지평선 아래에 있었던 이 별에 대해 기록하지 않았지만, 알렉산드리아에서 관측한 에라토스테네스와 프톨레마이오스는 이 별을 "카노보스 (''Kanōbos'')"라고 불렀다.[71] 투트모세 3세 시대의 이집트 사제 시인은 이 별을 "카르바나 (''Karbana'')"라고 언급하며, "아침 이슬을 흩어버릴 때, 불꽃 같은 시선으로 빛을 쏟는 별"이라고 묘사했다.[12]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에는 이 별을 "프톨레마이온 (''Ptolemaion'', 프톨레마이온/Πτολεμαῖονgrc)"이라고 불렀으며, 그 별의 초저녁 출현은 기원전 262년부터 145년까지 4년마다 열리는 프톨레마이아 축제의 날짜를 알려주었다.[72]
그리스 천문학자 포시도니우스는 카노푸스 관측을 이용하여 기원전 90~120년경에 지구의 둘레를 매우 정확하게 계산했다.
그는 1153년 마라케시에서 카노푸스를 관측한 것을, 그의 고향인 스페인에서는 보이지 않는다는 점을 들어 지구가 둥글다는 주장의 근거로 사용했다.[21]
5. 2. 인도
인도의 베다 문헌에서 카노푸스는 고대 시다르이자 리시 중 한 명인 아가스티야와 관련이 있다(다른 리시들은 북두칠성의 별들과 관련이 있다). 아가스티야에게 카노푸스는 '물을 정화하는 자'로 여겨지며, 그 별이 뜨는 것은 인도양의 물이 가라앉는 것과 일치한다고 한다. 카노푸스는 플리니우스와 솔리누스에 의해 탐라파르니 섬(고대 스리랑카) 근처 항해사들에게 많은 밤 동안 가장 크고 밝은 유일한 별빛의 근원으로 묘사되었다.5. 3. 중국
카노푸스는 기원전 94년 중국 역사가 사마천이 완성한 사기(史記,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에서 수성(壽星), 즉 장수의 별로 묘사되었다.[76] 그는 전국 시대(戰國時代, Warring States period)의 자료를 바탕으로 카노푸스가 시리우스(Sirius)의 남쪽에 위치한 별이라고 언급했으며,[78] 기원전 221년에서 210년 사이에 진시황제(秦始皇)가 카노푸스를 위한 사당을 세웠다고 기록했다. 한나라(漢) 시대에는 카노푸스가 길조의 별로 여겨져 남쪽 하늘에 나타나는 것은 평화와 전쟁의 부재를 알리는 징조였다.[76] 당시 수도였던 장안(長安, Chang'an)에서는 카노푸스가 남쪽 하늘을 낮게 지나가 관측자에게 남쪽 방향을 알려주었지만, 구름에 가려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77]이 시기에 카노푸스는 남극노인(南極老人, Old Man of the South Pole)과 동일시되기도 했다.[76] 이 이름으로 카노푸스는 (북쪽으로 잘못 위치했지만) 중세 중국 문서인 둔황성도(敦煌星圖, Dunhuang Star Chart)에 등장하지만, 중국 수도 장안에서는 볼 수 없었다.[78] 중국 천문학자 이형(一行, Yi Xing)은 724년에 카노푸스와 다른 남쪽 별들을 관측하기 위해 남쪽으로 여행을 떠났다.[79] 노인성(老人星)으로서의 카노푸스는 당나라(唐) 시대에 유행하여 시와 기념비에 자주 등장했다.
명나라(明) 시대에는 삼성(三省, Three Stars, Fu Lo Shou) 중 하나로 자리 잡아 당시 회화와 문학 작품에 자주 등장했다.[76] 이러한 상징성은 아시아 인근 문화권으로 퍼져나갔다.[77] 고도가 낮아 붉게 보이는 것에서, 중국의 전설에서는 수노인의 별, '''남극노인성'''(남극로인성, 칠복신의 복록수와 수노인의 원형)으로 여겨진다.[101] 간단히 노인성, 수성이라고도 한다. 또한, 전쟁이나 소란이 일어날 때는 이 별이 보이지 않고, 천하가 태평해지면 보인다는 속신이 있으며, 이 별이 나타나면 사람들은 다투어 행복과 장수를 빌었다고 한다.
5. 4. 일본
5. 5. 폴리네시아
밝은 별들은 고대 폴리네시아 문화의 사람들에게 태평양의 많은 섬과 환초 사이를 항해하는 데 중요했다. 지평선 가까이에서, 별들은 선원들이 특정 목적지로 항로를 계획하는 데 도움이 되는 별자리 나침반 역할을 했다.[81] 카노푸스는 '마누(Manu)'라고 불리는 "큰 새" 별자리의 남쪽 날개 끝으로, 시리우스가 몸체이고 프로키온이 북쪽 날개 끝으로, 폴리네시아 밤하늘을 두 개의 반구로 나누었다.[81]하와이 사람들은 카노푸스를 "케 알리오 코나 이 카 레와(Ke Alii-o-kona-i-ka-lewa)", "남쪽 끝의 우두머리"라고 불렀다. 이 별은 하와이로아와 키가 남극해로 여행할 때 사용한 별 중 하나였다. 뉴질랜드의 마오리족은 카노푸스를 여러 이름으로 불렀다. "아리키(Ariki)"("고귀한")는 동쪽에 나타나는 외로운 별로 알려져 있어 사람들이 울고 노래를 불렀다. 또한 "아투타히(Atutahi)", "아오타히(Aotahi)" 또는 "아투아타히(Atuatahi)", "홀로 서다"라고도 불렀다.[82] 그 외로운 성격은 그것이 '타푸' 별임을 나타낸다. 마루아로아(Maruaroa) 계절의 시작에 나타나는 것은 겨울이 다가옴을 예고한다. 남쪽으로 향하는 광선은 춥고 습한 겨울을, 북쪽으로 향하는 광선은 온화한 겨울을 예고한다. 이 별이 나타나면 음식을 바쳤다.[83]
5. 6. 아프리카
보츠와나의 츠와나족은 카노푸스를 ''나카(Naka)''라고 불렀다. 겨울 하늘 늦게 나타나는 이 별은 강한 바람과 나무들이 잎을 떨구는 시기를 알렸다. 목축업자들은 이 시기에 양과 숫양을 함께 두어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85] 남아프리카에서는 소토족, 츠와나족, 벤다족이 카노푸스를 ''나카(Naka)'' 또는 ''낭가(Nanga)'' 즉 "뿔 별"이라고 불렀고, 줄루족과 스와지족은 ''인크웬크웨지(inKhwenkwezi)'' "빛나는 별"이라고 불렀다. 이 별은 5월 셋째 주 새벽 하늘에 나타난다. 벤다족에 따르면, 카노푸스를 처음 본 사람은 언덕 위에서 ''팔라팔라(phalaphala)'' 나팔을 불었고, 소 한 마리를 상으로 받았다. 소토족 족장들도 소를 상으로 주었고, 의술사들에게 뼈 주사위를 굴려 다음 해의 운세를 점치도록 명령했다.[86] 남아프리카의 !쿵어를 사용하는 부시맨들에게 카노푸스와 시리우스는 흰개미와 날아다니는 개미의 출현을 알리는 신호였다. 그들은 또한 별들이 죽음과 불행을 초래할 수 있다고 믿었고, 특히 시리우스와 카노푸스에게 행운이나 기술을 내려달라고 기도했다.[87] 보츠와나 칼라하리 사막의 쿵족은 카노푸스와 카펠라를 ''츠훔(tshxum)''(플레이아데스 성단)의 뿔로 여겼으며, 이 세 별이 모두 나타나는 것은 건조기의 끝과 우기의 시작을 알리는 것이었다.[88]5. 7. 아메리카
나바호족은 카노푸스를 “코요테 별”을 뜻하는 ''Maʼii Bizòʼ''라고 불렀다.[89] 전설에 따르면, 마이(코요테)는 우주 창조 당시 별자리의 명명과 배치에 참여했으며, 카노푸스를 남쪽에 직접 배치하고 자신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브라질 마투그로수주의 칼라팔로족은 카노푸스와 프로키온을 “오리”를 뜻하는 ''Kofongo''로 보았고, 카스토르와 폴룩스는 오리의 날개를 나타낸다고 여겼다. 이 별자리의 출현은 우기에 접어들고 카사바(마니옥) 수확량이 늘어나는 것을 의미했는데, 카사바는 축제 때 손님들에게 대접하는 주요 식량이었다.[90]
5. 8. 오스트레일리아
카노푸스는 오스트레일리아 남동부 일부 코리(Koori) 원주민들에게는 조상신인 '와(Waa)' 즉 '까마귀'로 여겨진다.[91] 빅토리아주 북서부 부족인 부롱(Boorong)족은 '와(War)'(카노푸스)가 '와레필(Warepil)'(시리우스)의 형제이며, 하늘에서 불을 가져와 인류에게 전해주었다고 전한다. 그의 아내는 '콜로굴루릭 와(Collowgullouric War)'(에타 카리나)였다.[92] 빅토리아주 서부 피르트-코판-눗(Pirt-Kopan-noot)족은 '와(Waa)' '까마귀'가 '그니앙가(Gneeanggar)' '쐐기꼬리 독수리'(시리우스) 여왕과 그녀의 여섯 시녀(플레이아데스 성단)에게 사랑을 고백했고 그의 구애가 거절당하자, 그는 거인으로 변신하여 그녀를 납치한다.[93]쿨린(Kulin)족은 카노푸스를 '로-안-투카(Lo-an-tuka)'라고 부른다.[92] 뉴사우스웨일스주 북부 와일원(Wailwun)족은 카노푸스를 '움바(Wumba)' '귀머거리'라고 부른다.[94]
타즈메이니아 원주민 전승에는 카노푸스가 '드로머딘(Dromerdene)'이며 '모이니(Moinee)'의 형제라고 하며, 천문학자 두에인 하마처(Duane Hamacher)는 타즈메이니아 원주민 구전 전통을 후기 플라이스토세[96]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논문에서 카노푸스를 '모이니'와 동일시했는데, 당시 카노푸스는 남쪽 천구의극에 훨씬 가까이 있었다.
6. 현대적 이용
카노푸스는 밝고 황도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우주 항해에 유용하다.[36] 많은 우주선은 "카노푸스 항성 추적기"라는 특수 카메라와 태양 센서를 사용하여 자세를 제어한다.[36] 마리너 4호는 1964년 태양을 고정한 후 카노푸스를 이용하여 제2축 안정화를 수행했는데, 이는 최초로 별을 사용한 사례이다.[36]
7. 기타
러시아의 지구관측위성 카노푸스-B-IR이 이 별의 이름을 사용했다.[117] 카노푸스는 브라질 국기에 등장하며, 고이아스주를 상징한다.[97]
미국 해군에는 카노푸스급 잠수함 지원함이 두 척 있었다. 첫 번째 함선은 1922년부터 1942년까지, 두 번째 함선은 1965년부터 1994년까지 운용되었다. 영국 해군은 19세기 초에 9척의 카노푸스급 함선을 건조했으며, 1899년부터 1902년 사이에 6척의 카노푸스급 전함을 취역시켰다.
이 별의 이름을 딴 산이 적어도 두 곳 있다. 남극 대륙의 카노푸스 산과, 타스마니아에 있는 카노푸스 산 또는 카노푸스 언덕(카노푸스 언덕 천문대가 위치한 곳)이 그것이다.
프랭크 허버트의 1965년 소설 『듄』에 나오는 허구의 행성 아라키스는 카노푸스를 공전한다.[98] 도리스 레싱의 『아르고스의 카노푸스』 시리즈에서 카노푸스는 우월하고 자비로운 외계인들의 고향이다.[99]
참조
[1]
OED
Canopus
[2]
논문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http://webviz.u-stra[...]
2007
[3]
논문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http://vizier.u-stra[...]
2002
[4]
논문
The early F-type stars – Refined classification, confrontation with Stromgren photometry, and the effects of rotation
1989
[5]
논문
A Spectroscopic Study of High Galactic Latitude F Supergiant Stars
1993
[6]
논문
Pullkovo Compilation of Radial Velocities for 39495 Hipparcos stars in a common system
http://vizier.u-stra[...]
2007
[7]
논문
Refined fundamental parameters of Canopus from combined near-IR interferometry and spectral energy distribution
2021
[8]
논문
Cracking the Conundrum of F-supergiant Coronae
2018
[9]
SIMBAD
alf Car
2019-03-09
[10]
서적
Atlas coelestis
http://lhldigital.li[...]
1729
[11]
서적
Catalogus stellarum australium; sive, Supplementum catalogi Tychenici, exhibens longitudines et latitudines stellarum fixarum, quae, prope polum Antarcticum sitae, in horizonte Uraniburgico Tychoni inconspicuae fuere, accurato calculo ex distantiis supputatas, & ad annum 1677 completum correctas...Accedit appendicula de rebus quibusdam astronomicis
http://babel.hathitr[...]
T. James
1679
[12]
서적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https://archive.org/[...]
Dover Publications
1963
[13]
논문
The brightest fixed star and its name
1905
[14]
웹사이트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s://www.iau.org/[...]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6-05-22
[15]
웹사이트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https://www.iau.org/[...]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20-09-06
[16]
웹사이트
IAU Catalog of Star Names
https://www.iau.org/[...]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20-09-06
[17]
논문
On Frederick de Houtman's Catalogue of Southern Stars, and the Origin of the Southern Constellations
1917
[18]
서적
Nicolas-Louis De La Caille, Astronomer and Geodesist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2-11-17
[19]
논문
Uranometria Argentina: Brightness and position of every fixed star, down to the seventh magnitude, within one hundred degrees of the South Pole; with atlas
1878
[20]
서적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 A Short Guide to 254 Star Names and Their Derivations
Sky Publishing Corporation
2006
[21]
백과사전
The development of Arabic science in Andalusia
Routledge
1996
[22]
문서
Knobel, p. 416.
[23]
문서
Schaaf, p. 257.
[24]
간행물
Exploring the Tropic of Canopus
1985-12
[25]
웹사이트
Zodiacal Light and Nemrut Heritage
http://www.twanight.[...]
2013-10-08
[26]
서적
The Constellations: An Enthusiast's Guide to the Night Sky
Aurum Press
1991
[27]
서적
Bright Star Catalogue
CDS
1991
[28]
문서
Schaaf, pp. 112–13.
[29]
서적
Exploring the night sky with binocular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30]
논문
A HIPPARCOS Census of the Nearby OB Associations
1999
[31]
AV 미디어
Canopus B: A Candidate Common Proper Motion Companion to the Second Brightest Star
https://figshare.com[...]
Figshare
2020-09-10
[32]
논문
Once and Future Celestial Kings
1998-04
[33]
서적
The Book in the Islamic World: The Written Word and Communication in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95-01-01
[34]
논문
Bedouin Star-Lore in Sinai and the Negev
1974
[35]
서적
A Walk Through the Heavens: A Guide to Stars and Constellations and Their Legen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36]
서적
Astronautics and Aeronautics, 1964: Chronology on Science, Technology and Policy
https://books.google[...]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Division,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1965
[37]
학술지
Spectra of bright southern stars
[38]
학술지
The Henry Draper catalogue : 4h, 5h and 6h
[39]
서적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Astronomer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7
[40]
학술지
The Spectrum of α Carinae
[41]
학술지
Ultraviolet Spectrophotometry of Canopus from Gemini XI
[42]
학술지
The spectrum of Canopus
[43]
학술지
The spectrum of Canopus II - Analysis and composition
[44]
학술지
Spectral types and luminosities of B, A and F southern stars
1957
[45]
서적
The Bright star catalogue
[46]
학술지
Accurate luminosities from the oxygen λ7771-4 Å triplet and the fundamental parameters of F-G supergiants
[47]
학술지
CA II emission in the spectrum of Canopus
1966-04-01
[48]
학술지
CA II K emission in Canopus
[49]
웹사이트
Galaxy v23n06 (1965 08)
https://archive.org/[...]
[50]
학술지
Fundamental parameters of 16 late-type stars derived from their angular diameter measured with VLTI/AMBER
[51]
학술지
Note on the Parallax of Canopus
1943
[52]
서적
Unveiling the Universe: An Introduction to Astronomy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12-06
[53]
문서
DR2
[54]
학술지
XHIP: An extended hipparcos compilation
[55]
학술지
The orbits of the spectroscopic binaries alpha Carinae, kappa Velorum, and alpha Pavonis
[56]
학술지
The magnetic field of Canopus
[57]
학술지
Stellar Radio Astronomy: Probing Stellar Atmospheres from Protostars to Giants
[58]
학술지
The Density of Coronal Plasma in Active Stellar Coronae
2004-12-01
[59]
학술지
Measurement of Stellar Diameters
[60]
웹사이트
Canopus
http://stars.astro.i[...]
University of Illinois
2009-06-26
[61]
학술지
Departure from centrosymmetry of red giants and supergiants measured with VLTI/AMBER
[62]
학술지
On the sizes of stellar X-ray coronae
[63]
학술지
An upper limit for the deuterium abundance in Canopus
1981
[64]
학술지
Diameter and photospheric structures of Canopus from AMBER/VLTI interferometry
https://hal.archives[...]
[65]
학술지
CNO in evolved intermediate mass stars
[66]
학술지
The Curious Case of the Alpha Persei Corona: A Dwarf in Supergiant's Clothing?
[67]
학술지
Origins of the Ancient Constellations: I. The Mesopotamian Traditions
1998
[68]
학술지
Canopus, der "Stern der Stadt Eridu"
https://wfs.berlin/w[...]
[69]
서적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70]
서적
[71]
웹사이트
Carina
http://www.ianridpat[...]
self-published
2023-06-17
[72]
논문
The Regulation of the Ptolemeia
[73]
서적
Gods, Sages and Kings: Vedic Secrets of Ancient Civilization
Motilal Banarsidass
1993
[74]
서적
An Historical, Political, and Statistical Account of Ceylon and Its Dependencies
https://books.google[...]
T. and W. Boone
1849
[75]
서적
Delphi Complete Works of Pliny the Elder (Illustrated)
https://books.google[...]
Delphi Classics
2015
[76]
논문
The Iconography of the Popular Gods of Happiness, Emolument, and Longevity (Fu Lu Shou)
[77]
논문
The White Old Man: Géluk-Mongolian Canopus Allegory and the Existence of God
[78]
논문
The Dunhuang Sky: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Oldest Known Star Atlas
[79]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Volume 3, Mathematics and the Sciences of the Heavens and the Earth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9
[80]
학회발표
Stellar Iconology and Astronomical Folklore in Japan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Planetarium Society
1996-07-14
[81]
서적
Sirius: Brightest Diamond in the Night Sky
https://archive.org/[...]
Praxis Publishing
2007
[82]
서적
Mythology: Myths, Legends and Fantasies
https://books.google[...]
Struik Publishers
2007
[83]
서적
Astronomical Knowledge of the Maori: Genuine and Empirical
http://nzetc.victori[...]
Dominion Museum
1922
[84]
서적
La conquista de Tenerife, 1494–1496
https://books.google[...]
Aula de Cultura de Tenerife
[85]
논문
Some Aspects of Tswana Cosmology
1986
[86]
논문
Stars and seasons in Southern Africa
1995
[87]
논문
The Sky's Things, xam Bushman 'Astrological Mythology' as recorded in the Bleek and Lloyd Manuscripts
[88]
논문
Two Ju/ wa constellations
https://journals.co.[...]
1975
[89]
서적
A Guide to Navajo Astronomy
Indigenous Education Institute
2004
[90]
서적
In Favor of Deceit: A Study of Tricksters in an Amazonian Societ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Arizona Press
1987
[91]
서적
Aboriginal mythology: an A-Z spanning the history of aboriginal mythology from the earliest legends to the present day
HarperCollins
1994
[92]
논문
An Aboriginal Australian Record of the Great Eruption of Eta Carinae
2010
[93]
서적
Aboriginal mythology: an A-Z spanning the history of aboriginal mythology from the earliest legends to the present day
[94]
서적
Night skies of aboriginal Australia: a noctua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Sydney
1998
[95]
서적
Astronomy and the Dreaming: The Astronomy of the Aboriginal Australians. Astronomy Across Cultures: The History of Non-Western Astronomy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00
[96]
논문
The archaeology of orality: Dating Tasmanian Aboriginal oral traditions to the Late Pleistocene
2023
[97]
웹사이트
Astronomy of the Brazilian Flag
https://flagspot.net[...]
FOTW Flags Of The World website
[98]
웹사이트
Can you see Canopus, the 2nd-brightest star?
https://earthsky.org[...]
2024-02-18
[99]
뉴스
Doris Lessing on Feminism, Communism and 'Space Fiction'
https://archive.nyti[...]
[100]
문서
출전중의 값은 상용대수 표시로 4.03±0.04
[101]
웹사이트
"星に願いを" ~カノープスを見よう~ お知らせ
http://www.fukuokaci[...]
[102]
논문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2007
[103]
논문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2002
[104]
논문
CNO in evolved intermediate mass stars
2006-04
[105]
논문
Diameter and photospheric structures of Canopus from AMBER/VLTI interferometry
[106]
서적
The Hundred Greatest Stars
https://archive.org/[...]
Copernicus Books
2002
[107]
저널
The spectrum of Canopus. II - Analysis and composition
1982
[108]
웹사이트
Canopus
http://stars.astro.i[...]
University of Illinois
2009-06-26
[109]
간행물
Sky and Telescope
1998-04
[110]
저널
A HIPPARCOS Census of the Nearby OB Associations
1999
[111]
웹사이트
Canopus B: A Candidate Common Proper Motion Companion to the Second Brightest Star
http://figshare.com/[...]
Figshare
2014-08-11
[112]
문서
Schaaf
[113]
웹사이트
Zodiacal Light and Nemrut Heritage
http://www.twanight.[...]
2014-03-14
[114]
뉴스
서귀포예총, '무병장수의 별' 노인성을 말하다
http://www.jejusori.[...]
제주의소리
2016-03-22
[115]
뉴스
남극노인성 제례 복원, 서귀포 축제로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03-20
[116]
문서
Schaaf
[117]
뉴스
해가 져도 햇볕 쬐게 한다?…‘궤도 조명’ 위성 현실화
http://nownews.seoul[...]
나우뉴스
2016-03-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