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갈자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갈자리는 여러 밝은 별들을 포함하는 별자리로, 안타레스를 비롯한 1등성 별들을 포함한다. 전갈의 형태를 이루는 별들과 '고양이 눈'으로 불리는 별, 과거 전갈자리에 속했던 천칭자리 σ별 등이 있다. 은하수가 지나가는 곳에 위치하여 산개성단, 구상성단, 성운 등 많은 심원 천체를 포함한다. 그리스 신화에서는 오리온을 죽이기 위해 헤라가 보낸 전갈로 묘사되며, 동아시아에서는 청룡, 베트남의 신농, 일본의 낚시 바늘 등에 비유되기도 한다. 서양 점성술에서는 10월 23일부터 11월 22일까지에 해당하며, 천문학적 별자리와는 차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갈자리 - 안타레스
안타레스는 붉은색을 띠는 M형 초거성이며, 화성과 유사한 색으로 인해 '아레스의 대적자'라는 이름을 가지며, 쌍성계를 이루는 전갈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다. - 전갈자리 - OGLE-2005-BLG-390Lb
OGLE-2005-BLG-390Lb는 지구로부터 6.6 ± 1.0 파섹 떨어진 전갈자리에 위치한 외계 행성으로, 미시중력렌즈 효과로 발견되었으며 지구 질량의 약 5.5배이고, 어머니 항성으로부터 2.0 ~ 4.1 천문단위 거리에서 공전하며 표면 온도는 약 50 켈빈으로 추정되는 매우 추운 행성이다. - 남반구의 별자리 - 큰개자리
큰개자리는 오리온의 사냥개로 묘사되며,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를 포함하고 있고, 다양한 밝은 별들과 천체들을 품고 있는 별자리이다. - 남반구의 별자리 - 비둘기자리
1679년 오귀스탱 루아예에 의해 큰개자리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별자리로 인정받은 비둘기자리는 성경 속 노아의 비둘기를 상징하며, 2.65 등급의 가장 밝은 별 '팍트'와 궤도 이탈성인 뮤별, 그리고 NGC 1851, NGC 1792, NGC 1808 등의 천체를 포함한다. - 프톨레마이오스의 별자리 - 페르세우스자리
겨울철 북쪽 하늘의 밝은 별자리인 페르세우스자리는 그리스 신화 영웅을 모티브로 'u'자 모양으로 묘사되며, 알골과 같은 변광성, 이중성단, 은하단을 포함하고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의 방사점이다. - 프톨레마이오스의 별자리 - 작은개자리
작은개자리는 톨레미의 48개 별자리 중 하나로 오리온의 사냥개로 여겨지며, 가장 밝은 별인 프로키온과 함께 다양한 문화권에서 여러 신화 및 전설과 관련된 작은 크기에 비해 문화적 의미와 역사적 배경이 풍부한 별자리이다.
전갈자리 | |
---|---|
기본 정보 | |
![]() | |
심볼 | 전갈 |
약자 | Sco |
소유격 | Scorpii |
발음 | , 속격: |
일본어 이름 | さそり座 (Sasoriza) |
로마자 표기 | Sasorija |
위치 | 남반구 |
적경 | 16.8875 시 |
적위 | -30.7367 도 |
은하 사분면 | SQ3 |
면적 | 497 평방도 |
순위 | 33위 |
주요 별의 수 | 18 |
Bayer/Flamsteed 별의 수 | 47 |
행성을 가진 별의 수 | 14 |
밝은 별의 수 | 13 |
가까운 별의 수 | 3 |
가장 밝은 별 | 안타레스 (α Sco) |
별의 밝기 | 0.96 등급 |
가장 가까운 별 | 글리제 682 |
별까지의 거리 (광년) | 16.44 광년 |
별까지의 거리 (파섹) | 5.04 파섹 |
메시에 천체 수 | 4 |
유성우 | 전갈자리 알파별 유성우 전갈자리 오메가별 유성우 |
인접 별자리 | 궁수자리 뱀주인자리 천칭자리 이리자리 직각자자리 제단자리 남쪽왕관자리 |
최대 위도 | 북위 40도 |
최소 위도 | 남위 90도 |
관측 용이 달 | 7월 |
남중일 | 7월 20일 21시 |
기타 | 전갈자리는 황도대 별자리이다. |
항성 | |
주요 별 | 안타레스 |
기타 별 | 샤울라 세르케트 아크라브 입실론1 스코르피 누 스코르피 |
성단, 성운, 은하 | |
구상 성단 | M4 M80 |
산개 성단 | NGC 6231 |
신화 | |
신화 | 오리온을 쏘아 죽인 전갈 |
위치 (Google Maps) |
2. 주요 특징
전갈자리는 안타레스를 비롯한 여러 밝은 별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은하수가 지나는 곳에 위치하여 많은 성단과 성운을 포함하고 있다.
전갈자리 λ와 전갈자리 υ는 매우 가까워 보여 '고양이의 눈'으로도 불린다.
은하수가 전갈자리를 지나가기 때문에, M6(나비 성단), M7, M4, M80, NGC 6231과 같은 다양한 성단과 성운들이 존재한다.[4]
2. 1. 별
전갈자리는 안타레스(α Sco)를 비롯한 여러 밝은 별들을 포함하고 있다.전갈자리 β1(Graffias), 전갈자리 δ (Dschubba), 전갈자리 θ (Sargas), 전갈자리 λ (Shaula), 전갈자리 ν (Jabbah), 전갈자리 ξ (Grafias), 전갈자리 σ (Alniyat), 전갈자리 τ (Paikauhale), 전갈자리 υ (Lesath) 등이 전갈의 형태를 이룬다.
전갈자리 λ와 전갈자리 υ는 매우 가까이 있어 '고양이의 눈'이라고도 불린다.[3]
전갈자리 γ별은 현재 천칭자리에 속하며, 천칭자리 σ별로 불린다.
전갈자리 ζ는 청백색, 오렌지색 별로 이루어진 안시 이중성이다.
국제천문연맹의 항성 명명에 관한 워킹 그룹(WGSN)은 아래 별들에 고유 명칭을 부여했다.
별 | 고유 명칭 | 밝기 | 기타 |
---|---|---|---|
α별 | 안타레스(Antares) | 1등성, 이중성 | 전갈자리에서 가장 밝은 항성, 전갈의 심장 부분 |
β별 | 아크라브(Acrab) | 다중성 | 소형 망원경으로 보면 이중성 |
δ별 | 주바(Dschubba) | 2등성 | 머리 부분 |
ε별 | 라라와그(Larawag) | 2등성 | |
θ별 | 사르가스(Sargas) | 2등성, 이중성 | 꼬리 부분 |
λ별 | 샤울라(Shaula) | 2등성, 다중성 | 전갈의 독침 위치 |
μ1별 | 하미디무라(Xamidimura) | 육안으로 분리 가능한 이중성 | |
μ2별 | 피피리마(Pipirima) | 육안으로 분리 가능한 이중성 | |
ν별 | 자바(Jabbah) | 다중성 | |
π별 | 팡(Fang) | 다중성 | |
ρ별 | 이클릴(Iklil) | 다중성 | |
σ별 | 알니야트(Alniyat) | 쌍성계 | |
τ별 | 파이카우하레(Paikauhale) | ||
υ별 | 레사트(Lesath) | ||
G별 | 푸예(부열, Fuyue) | 중국 은나라 시대 전설적인 명신의 이름 |
그 외에,
- ζ별는 ζ1별(그래피아스, Graffias)와 ζ2별의 겉보기 이중성이다.
- κ별은 2등성이며 길타브라고도 불린다.
- ξ별은 그래피아스(Graffias)라고도 불린다.
- ω별은 자바트 알 아크라브(Jabhat al Acrab)라고도 불리며, 육안으로 분리 가능한 이중성이다.
- AH별은 안타레스와 마찬가지로 적색 초거성이지만, 안타레스보다 멀리 떨어져 쌍안경으로 관측해야 한다.
- AI별은 황소자리 RV형 변광성이다.
- OGLE-2005-BLG-390L은 행성이 1개 발견된 천체이며, 적색 왜성 또는 백색 왜성으로 추정되지만 정체는 불명이다.
2. 1. 1. 밝은 별
안타레스(α Sco)는 1등성의 별이다. 붉은색을 띠는 안타레스는 "화성의 경쟁자"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전갈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다. 전갈자리 그림에서는 전갈의 심장 부분으로 묘사된다.전갈자리 β1(Graffias), 전갈자리 δ (Dschubba), 전갈자리 θ (Sargas), 전갈자리 λ (Shaula), 전갈자리 ν (Jabbah), 전갈자리 ξ (Grafias), 전갈자리 σ (Alniyat), 전갈자리 τ (Paikauhale), 전갈자리 υ (Lesath) 등의 별이 전갈의 형태를 구성한다.
이 별들은 부두목 갈고리와 같은 패턴을 형성하며, 대부분 전갈자리-켄타우루스자리의 거대한 구성원이다.[4]
전갈자리 λ와 전갈자리 υ는 매우 가까워 '고양이의 눈'으로도 불린다.[3]
전갈자리 δ는 2000년 7월에 몇 주 만에 1.9등급으로 밝아졌다가, 이후 2.0과 1.6 사이를 오가는 변광성이 되었다.[5]
U 전갈자리는 주기가 약 10년인 가장 빠른 신성으로 알려져 있다.[6]
AH 전갈자리는 적색 초거성이며 가장 큰 별 중 하나로, 태양보다 1,400배나 크다. 또한 태양보다 340,000배 밝지만,[7] 6.5에서 9.6 사이의 밝기로 맨눈으로 보기에는 너무 어둡다.[8]
가까운 쌍 별 ω1 전갈자리와 ω² 전갈자리는 광학 이중성이다. 하나는 노란색 거성이고,[9] 다른 하나는 전갈자리-켄타우루스자리 협회에 있는 청색 B형 별이다.[10]
국제천문연맹의 항성 명명에 관한 워킹 그룹(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에서 고유 명칭이 정해진 별들은 다음과 같다.
별 | 고유 명칭 | 밝기 | 기타 |
---|---|---|---|
α별 | 안타레스(Antares) | 1등성, 이중성 | 전갈자리에서 가장 밝은 항성, 전갈의 심장 부분 |
β별 | 아크라브(Acrab) | 다중성 | 소형 망원경으로 보면 이중성 |
δ별 | 주바(Dschubba) | 2등성 | 머리 부분 |
ε별 | 라라와그(Larawag) | 2등성 | |
θ별 | 사르가스(Sargas) | 2등성, 이중성 | 꼬리 부분 |
λ별 | 샤울라(Shaula) | 2등성, 다중성 | 전갈의 독침 위치 |
μ1별 | 하미디무라(Xamidimura) | 육안으로 분리 가능한 이중성 | |
μ2별 | 피피리마(Pipirima) | 육안으로 분리 가능한 이중성 | |
ν별 | 자바(Jabbah) | 다중성 | |
π별 | 팡(Fang) | 다중성 | |
ρ별 | 이클릴(Iklil) | 다중성 | |
σ별 | 알니야트(Alniyat) | 쌍성계 | |
τ별 | 파이카우하레(Paikauhale) | ||
υ별 | 레사트(Lesath) | ||
G별 | 푸예(부열, Fuyue) | 중국 은 시대의 전설적인 명신의 이름 |
그 외에,
- ζ별는 ζ1별(그래피아스, Graffias)와 ζ2별의 겉보기 이중성이다.
- κ별은 2등성이며 길타브라고도 불린다.
- ξ별은 그래피아스(Graffias)라고도 불린다.
- ω별은 자바트 알 아크라브(Jabhat al Acrab)라고도 불리며, 육안으로 분리 가능한 이중성이다.
- AH별은 안타레스와 마찬가지로 적색 초거성이지만, 안타레스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어서 쌍안경을 사용해야 관측할 수 있다.
- AI별은 황소자리 RV형 변광성이다.
- OGLE-2005-BLG-390L은 행성이 1개 발견된 천체이며, 적색 왜성 또는 백색 왜성으로 추정되지만 정체는 불명이다.
2. 1. 2. 이중성 및 다중성
전갈자리는 여러 밝은 별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 일부는 고유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이 별들 대부분은 전갈자리-켄타우루스자리라는 거대한 OB 협회의 구성원이다.[4]국제천문연맹의 항성 명명에 관한 워킹 그룹(WGSN)은 다음과 같은 별들에 고유 명칭을 부여했다.
바이어 명칭 | 고유 명칭 | 의미 | 기타 |
---|---|---|---|
α Sco A | 안타레스 (Antares) | 화성의 경쟁자 | 전갈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 전갈의 심장 부분[2] |
β Sco Aa | 아크라브 (Acrab) | 전갈자리 β1, 삼중성, 작은 망원경으로 보면 이중성 | |
δ Sco A | 주바 (Dschubba) | 이마 | 전갈의 머리 부분, 2000년 7월 밝기 변화 후 변광성[5] |
ε Sco | 라라와그 (Larawag) | ||
θ Sco A | 사르가스 (Sargas) | 수메르 기원, 꼬리 부분[2] | |
λ Sco Aa | 샤울라 (Shaula) | 침 | 꼬리(독침) 부분 |
μ1 Sco | 하미디무라 (Xamidimura) | ||
μ2 Sco | 피피리마 (Pipirima) | ||
ν Sco Aa | 자바 (Jabbah) | 다중성 | |
π Sco Aa | 팡 (Fang) | 다중성 | |
ρ Sco Aa | 이클릴 (Iklil) | 다중성 | |
σ Sco Aa | 알니야트 (Alniyat) | 쌍성계 | |
τ Sco A | 파이카우하레 (Paikauhale) | ||
υ Sco | 레사트 (Lesath) | 침 | 꼬리(독침) 부분, 전갈자리 λ (샤울라)와 함께 고양이 눈 [3] |
G Sco | 푸예 (Fuyue) | 은나라 시대 전설적인 명신 | |
ζ1 Sco | 그래피아스 (Graffias) | ζ1별 | |
ζ2 Sco | ζ2별 | ||
κ Sco | 길타브 (Girtab) | 2등성 | |
ξ Sco | 그래피아스 (Graffias) | 다중성 | |
ω Sco | 자바트 알 아크라브 (Jabhat al Acrab) | ω1 전갈자리와 ω² 전갈자리는 육안으로 분리가능한 광학 이중성, ω1 전갈자리는 노란색 거성,[9] ω² 전갈자리는 청색 B형 별[10] |
그 외,
- AH Sco: 적색 초거성으로, 가장 큰 별 중 하나이다. 안타레스보다 광도는 더 크지만, 더 멀리 떨어져 있어 쌍안경으로 관측해야 한다.
- AI Sco: 황소자리 RV형 변광성이다.
- OGLE-2005-BLG-390L: 행성이 1개 발견된 천체로, 적색 왜성 또는 백색 왜성으로 추정되지만 정체는 불명이다.
2. 1. 3. 변광성
δ Sco는 2.3 등급의 안정적인 별이었으나, 2000년 7월에 몇 주 만에 1.9 등급으로 밝아졌다. 그 이후 2.0과 1.6 사이를 오가는 변광성이 되었다.[5] 이는 가장 밝을 때 전갈자리에서 두 번째로 밝은 별에 해당한다.U 전갈자리는 주기가 약 10년으로 알려진 가장 빠른 신성이다.[6]
AH 전갈자리는 적색 초거성이자 가장 큰 별 중 하나로, 태양 지름의 1,400배에 달한다. 또한 태양보다 340,000배 더 밝지만,[7] 6.5에서 9.6 사이의 밝기로 인해 맨눈으로는 관측하기 어렵다.[8]
AI별은 황소자리 RV형 변광성이다.
2. 1. 4. 기타 항성
국제천문연맹(IAU)에서 공식적으로 고유 명칭이 부여된 전갈자리의 항성은 다음과 같다.항성 이름 | 고유 명칭 | 밝기 | 특징 |
---|---|---|---|
전갈자리 α (α Sco) | 안타레스 (Antares) | 1등성 | 적색 초거성, 전갈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 전갈의 심장 부분 |
전갈자리 β (β Sco) | 아크라브 (Acrab) | 다중성, 소형 망원경으로 보면 이중성 | |
전갈자리 δ (δ Sco) | 주바 (Dschubba) | 2등성 | 머리 부분 |
전갈자리 ε (ε Sco) | 라라와그 (Larawag) | 2등성 | |
전갈자리 θ (θ Sco) | 사르가스 (Sargas) | 2등성 | 이중성, 꼬리 부분 |
전갈자리 λ (λ Sco) | 샤울라 (Shaula) | 2등성 | 다중성, 전갈의 독침 위치 |
전갈자리 μ¹ (μ¹ Sco) | 하미디무라 (Xamidimura) | 육안으로 분리 가능한 이중성 | |
전갈자리 μ² (μ² Sco) | 피피리마 (Pipirima) | 육안으로 분리 가능한 이중성 | |
전갈자리 ν (ν Sco) | 자바 (Jabbah) | 다중성 | |
전갈자리 π (π Sco) | 팡 (Fang) | 다중성 | |
전갈자리 ρ (ρ Sco) | 이클릴 (Iklil) | 다중성 | |
전갈자리 σ (σ Sco) | 알니야트 (Alniyat) | 쌍성계 | |
전갈자리 τ (τ Sco) | 파이카우하레 (Paikauhale) | ||
전갈자리 υ (υ Sco) | 레사트 (Lesath) | ||
전갈자리 G (G Sco) | 푸예 (Fuyue) | 중국 은나라 전설적인 명신의 이름 |
이 외에도, 전갈자리 ζ¹ (그래피아스, Graffias)와 전갈자리 ζ²는 겉보기 이중성이며, 전갈자리 κ는 길타브라고도 불린다. 전갈자리 ξ는 그래피아스(Graffias)라고도 불리며, ω별은 자바트 알 아크라브(Jabhat al Acrab)라고도 불리는 육안으로 분리 가능한 이중성이다. 전갈자리 AH는 안타레스와 마찬가지로 적색 초거성이지만, 더 멀리 떨어져 있어 쌍안경으로 관측해야 한다. 전갈자리 AI는 황소자리 RV형 변광성이며, OGLE-2005-BLG-390L에는 행성이 1개 발견되었으나, 적색 왜성 또는 백색 왜성으로 추정될 뿐 정확한 정체는 불명이다.
2. 2. 심원 천체
은하수가 지나는 위치에 있어 전갈자리에는 여러 심원 천체들이 있다. 대표적인 심원 천체로는 산개성단인 M6(나비 성단)와 M7(프톨레마이오스 성단), 구상성단인 M4와 M80 등이 있다. 이 외에도 NGC 6231 (ζ²별 부근)과 같은 산개성단과, NGC 6302(벌레 성운), NGC 6334(고양이 발 성운)와 같은 성운들도 전갈자리에서 관측할 수 있다.

2. 2. 1. 성단
은하수를 가로지르는 위치 때문에 전갈자리는 많은 성단을 포함한다.- M6 (나비 성단): 산개성단이다.
- M7 (프톨레마이오스 성단): 산개성단이다.
- NGC 6124: 산개성단이다.
- NGC 6231: 산개성단으로, 전갈자리 남쪽 끝부분 ζ²별 부근에 위치한다.
- M4: 구상성단이다.
- M80: 구상성단이다.





M80 (NGC 6093)은 지구에서 33,000 광년 떨어진 7.3등급의 구상 성단이다. 이 성단은 핵이 고도로 집중되고 밀도가 높은, 조밀한 Shapley class II 성단이다. M80은 1781년 샤를 메시에에 의해 발견되었다. 1860년에는 아르투어 폰 아우어스가 신성 T Scorpii를 발견하여 희귀한 발견 장소가 되었다.
2. 2. 2. 성운
NGC 6302는 벌레 성운이라고도 불리는 쌍극 행성상 성운이다. NGC 6334는 고양이 발 성운이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방출 성운이자 별 형성 지역이다.[4]2. 2. 3. 기타 천체
- M6 (나비 성단): 산개성단이다.
- M7 (프톨레마이오스 성단): 산개성단이다.
- NGC 6124: 산개성단이다.
- NGC 6231: 산개성단이다.
- M4: 구상성단이다.
- M80: 구상성단이다.
- NGC 6302: 행성상성운이다.
- NGC 6334: 방출 성운이자 별 형성 지역이다.
- IGR J17091-3624: 알려진 것 중 가장 작은 질량(3태양 질량)을 가질 가능성이 있는 블랙홀이다.
3. 역사와 신화
전갈자리는 꼬리를 특징으로 하는 전갈의 형태를 하고 있다.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는 오래전부터 S자를 그리는 별의 배열을 전갈로 비유했으며, 기원전 500년경에 제작된 것으로 여겨지는 점토판 문서 『MUL.APIN영어』에는 현재 전갈자리의 원형이 되는 전갈이나 전갈 꼬리의 별자리가 보인다.
옛날에는 현재의 천칭자리의 별들도 전갈자리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천칭자리 α별, β별, γ별의 고유명에 보이는 "갈고리"를 의미하는 말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마오리족 신화에서 이 별자리는 마우이의 마법 턱뼈, 타마-레레티의 나룻배, 랑기누이를 잡아두기 위한 말뚝이라고도 한다. 랑기누이는 상반신을 시리우스, 플레이아데스, 오리온의 세 말뚝이, 하반신을 전갈자리 하나로 고정시키고 있으며, 그 무게로 전갈자리가 휘어졌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전갈자리를 청룡에 비유했다. 이 상상의 생물은 강력하지만 자비롭고, 하늘에 나타남으로써 봄을 예고한다. 별과의 대응은 전갈자리의 전갈과 거의 같으며, 머리 부분에 방수, 심장 부분에 심수, 꼬리 부분에 미수의 3 성수를 두었지만, 청룡의 두 개의 뿔 중 하나는 목동자리의 아크투루스 (대각성), 다른 하나는 처녀자리의 스피카 (각수)까지 뻗는다고 했다. 베트남 별자리에서는 방수 (전갈자리 파이 별 등에서 구성)를 관으로, 심수 (안타레스 등에서 구성)를 둥근 등에 비유하여, 이 둘을 합쳐 신농 ([https://www.noron.vn/post/than-nong-co-phai-chom-sao-bo-cap-efsjh7gst6y Thần Nông])이라 부르며, 사직의 신(곡물신)으로 숭배했다.
뉴질랜드에 전해지는 마오리 신화에서는, 마우이가 뉴질랜드의 북섬을 낚아 올릴 때 사용한 낚시 바늘이 하늘에 걸린 것이라고 한다.
3. 1. 그리스 신화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전갈자리는 사냥꾼 오리온을 죽이기 위해 헤라 여신이 보낸 전갈이다.[11] 전갈자리와 오리온자리는 하늘에서 거의 반대편에 위치하는데, 이는 그들의 앙숙 관계가 하늘에서도 계속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고 한다. 혹은 오리온이 전갈로부터 달아나는 것이라고도 한다. 전갈을 보낸 것은 가이아나 아폴론이라고도 한다.[11]헬리오스의 아들 파에톤과 관련된 이야기도 있다. 파에톤이 태양 마차를 몰 때, 독침을 세운 전갈을 보고 말들이 놀라 제대로 조종할 수 없게 되었다.[12] 결국 제우스가 번개로 이를 멈추게 하였다.
고대 그리스의 가짜 에라토스테네스나 아라토스에 따르면, 영웅 오리온을 독침으로 죽게 한 전갈이 별자리가 되었다고 한다. 여신 아르테미스는 그녀를 강간하려 했던 오리온에게 전갈을 보내 독침으로 죽였다고도 하고, 가이아가 보낸 전갈이라고도 한다. 지금도 오리온은 전갈을 두려워하여 동쪽 하늘에서 전갈자리가 나타나면 오리온자리는 서쪽 지평선으로 도망가 숨고, 전갈자리가 서쪽 지평선으로 지면 오리온자리는 안심하고 동쪽 하늘로 떠오른다고 한다.
로마 제국 시대의 시인 오비디우스는 파에톤이 하늘을 가로지르는 태양의 마차를 억지로 운전했을 때 황도 근처에 모여 말을 놀라게 한 전갈이라고도 한다.
3. 2. 기타 문화권
전갈자리는 꼬리를 특징으로 하는 전갈의 형태를 하고 있다.그리스 신화에서는 사냥꾼 오리온을 죽이기 위해 헤라 여신이 보낸 전갈이라고 한다. 전갈자리와 오리온자리는 하늘에서 거의 반대편에 있는데, 이는 이들의 앙숙 관계가 하늘에서도 계속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고 한다. 또는 오리온이 전갈로부터 달아나는 것이라고도 한다. 전갈을 보낸 것은 가이아나 아폴론이라고도 한다.[11] 헬리오스의 아들 파에톤 이야기에도 전갈이 등장하는데, 파에톤이 태양의 전차를 몰 때 말이 독침을 세운 전갈을 보고 놀라 조종을 할 수 없게 되었다고 한다.[12]
마오리족 신화에서 이 별자리는 마우이의 마법 턱뼈, 타마-레레티의 나룻배 등으로 불린다.
바빌로니아에서는 이 별자리를 MUL.GIR.TAB, 즉 '전갈'이라고 불렀다.[13] 일부 오래된 묘사에서 천칭자리는 전갈의 집게발로 취급되기도 한다.[14]
인도네시아 자바인들은 이 별자리를 ''바냑앙그렘''(알을 품는 백조)[15] 또는 ''칼라파 도용''(기울어진 코코넛 나무)[16]이라고 부른다. 하와이에서는 마우이의 낚시 바늘[17]로 알려져 있으며, 부기스 항해사들은 전갈자리를 두 개의 성군으로 나누어 사용했다.[19]
3. 2. 1. 동아시아
주어진 원문 소스는 전갈자리의 동아시아 관련 내용이 아닌, 고대 메소포타미아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따라서 '동아시아' 섹션에는 해당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섹션에 내용을 추가할 수 없습니다.4. 점성술
서양 점성술에서 전갈자리는 10월 23일부터 11월 22일까지, 인도 점성술에서는 11월 16일부터 12월 16일까지에 해당한다. 연애와 어울리는 자리로 전갈자리를 꼽는다.[1] 서양 점성술의 별자리 전갈자리는 천문학적 별자리와는 다르다. 천문학적으로 태양은 11월 23일부터 11월 28일까지 단 6일 동안만 전갈자리에 위치한다. 이러한 차이는 소수의 점성가들이 사용하는 뱀주인자리 때문이다. 전갈자리는 힌두 점성술의 낙샤트라인 아누라다, 제슈타, 물라에 해당한다.[2]
5. 참고: 전갈자리의 별 목록
참조
[1]
웹사이트
Constellation Scorpius - The Constellations on Sea and Sky
http://www.seasky.or[...]
2017-02-11
[2]
서적
Burnham's Celestial Handbook: An Observer's Guide to the Universe Beyond the Solar System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1978-01-01
[3]
서적
40 Nights to Knowing the Sky: A Night-by-Night Sky-Watching Primer
Macmillan
1988
[4]
논문
The Nearest OB Association: Scorpius–Centaurus (Sco OB2)
2009
[5]
웹사이트
Delta Scorpii Still Showing Off
https://web.archive.[...]
2008-06-28
[6]
웹사이트
AAVSO: Variable Star of the Season: U Scorpii
http://www.aavso.org[...]
[7]
논문
The atmospheric structure and fundamental parameters of the red supergiants AH Scorpii, UY Scuti, and KW Sagittarii
https://ui.adsabs.ha[...]
2013-06-01
[8]
논문
Variability in red supergiant stars: pulsations, long secondary periods and convection noise
2006-11-01
[9]
간행물
Michigan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Declinations -26°.0 to -12°.0
[10]
간행물
Radial velocity measurements of B stars in the Scorpius-Centaurus association
2006-03
[11]
문서
Scholia on Iliad 18.486 citing Pherecydes of Athens
[12]
웹사이트
Scorpio - The Legend and Myth
http://www.novareinn[...]
2008-07-20
[13]
서적
Scorpio
Taylor Trade Publishing
[14]
서적
Babylonian Star-lore
Solaria Pubs
[15]
논문
Pranatamangsa, the javanese agricultural calendar – Its bioclimatological and sociocultural function in developing rural life
1984
[16]
웹사이트
Jejak Langkah Astronomi di Indonesia
http://langitselatan[...]
2011-01-02
[17]
웹사이트
Hawaiian Astronomical Society, Constellations: Scorpius - The Scorpion who Killed Orion
http://hawastsoc.org[...]
[18]
웹사이트
Hawaiian Star Lines and Names for Stars - Star Line 3. Manaiakalani
http://pvs.kcc.hawai[...]
[19]
서적
Exploring Ancient Skies: A Survey of Ancient and Cultural Astronomy
https://books.google[...]
Spring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