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호 성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석호 성운은 궁수자리에 위치한 산광 성운으로, 지구에서 4,000~6,000 광년 거리에 있으며, 실제 크기는 110 x 50 광년에 달한다. 장시간 노출 사진에서는 분홍색으로 보이지만, 쌍안경이나 망원경으로는 회색으로 관측된다. 성운 내에는 보크 구상체, 모래시계 성운, 섬광성, 궁수자리 9번 별 등이 존재하며, 활발한 별 형성이 일어나고 있다. 1654년 이전에 조반니 바티스타 오디에르나에 의해 처음 관측되었으며, 1764년 샤를 메시에가 메시에 목록에 M8로 등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54년 발견한 천체 - 삼각형자리 은하
삼각형자리 은하는 삼각형자리 방향에 위치한 국부 은하군에서 세 번째로 큰 나선 은하이며, 안드로메다 은하와 중력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고, 약 273만 광년 거리에 약 400억 개의 별을 포함하며 활발한 항성 형성이 이루어지고 있다. - 1654년 발견한 천체 - 메시에 41
메시에 41은 큰개자리에 위치하여 시리우스 근처에서 쉽게 관측할 수 있는 산개성단으로, 붉은 거성이 중심부에 위치한 것이 특징이다. - 궁수자리-용골자리 팔 - 메시에 26
δ별에서 동쪽으로 50분 거리에 위치한 메시에 26은 은하수의 짙은 부분에 자리 잡아 어두운 하늘에서도 찾기 어려운 산개 성단으로, 주위에 암흑 성운이 분포하며 1764년 샤를 메시에가 발견하고 존 허셜이 추가 관측했다. - 궁수자리-용골자리 팔 - 메시에 24
메시에 24는 샤를 메시에가 발견한 은하수 내 성운으로, 밝기가 다양한 별들이 흩어져 있으며 NGC 6603을 포함하고, 존 허셜의 관측 기록은 추후 연구에 혼란을 주기도 했다. - 샤플리스 천체 - 게 성운
게 성운은 1054년 초신성 SN 1054의 잔해로, 중심부의 게 성운 펄서가 에너지 방출을 통해 성운의 팽창과 싱크로트론 복사를 일으키는 황소자리의 산광성운이다. - 샤플리스 천체 - 시메이즈 147
석호 성운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H II 영역 |
별자리 | 궁수자리 |
거리 | 4,100 광년 (약 1,250 pc) |
겉보기 등급 | 4.6 |
시직경 | 90 × 40 arcmins |
반지름 | 55 × 20 광년 |
시선 속도 | 3.8 km/s |
적색 편이 | 0.000013 |
명칭 | |
다른 이름 | M8 NGC 6523 Sharpless 25 RCW 146 Gum 72 석호 성운 간석지 성운 |
포함된 천체 | NGC 6523 NGC 6530 모래시계 성운 |
위치 정보 |
2. 특징
석호 성운은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관측 및 연구 대상으로서 가치가 높다.
궁수자리 μ별(남두육성 자루 끝) 남서쪽 약 4°에 위치하며, M20이 석호 성운(M8) 북쪽 1.4°에 있다. 이들은 모두 여름철 대표적인 산광 성운이다. 시직경이 커서 쌍안경으로도 관찰 가능하며, 어두운 곳에서는 육안으로도 보인다. 쌍안경으로도 충분히 즐길 수 있고, 망원경에 간섭 필터를 쓰면 더욱 선명해진다. 소구경 천체 망원경으로 볼 수 있는 암흑 성운 중 가장 인상적이다.
2. 1. 물리적 특징
석호 성운은 지구에서 4,000~6,000 광년 떨어진 곳에 있으며, 지구 하늘에서 90' x 40' 크기로 보인다. 이는 실제 크기로 110 x 50 광년에 해당한다. 장시간 노출된 컬러 사진에서는 분홍색으로 나타나지만, 쌍안경이나 망원경으로 보면 회색으로 보인다. 이는 인간의 시각이 어두운 곳에서 색을 잘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2]이 성운에는 여러 개의 보크 구상체(원시별 물질의 어둡고 붕괴하는 구름)가 포함되어 있으며, 가장 눈에 띄는 것들은 E. E. 바나드에 의해 B88, B89, B296으로 분류되었다.[2] 또한 뜨거운 O형 별에서 방출되는 자외선 때문에 깔때기 또는 토네이도와 같은 구조가 나타나며, 성운 표면의 가스가 가열되고 이온화된다.[2]
석호 성운 중심에는 존 허셜이 이름 붙인 모래시계 성운이 있는데, 이는 파리자리의 조각된 모래시계 성운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2] 2006년에는 모래시계 성운 내에서 4개의 헤르비히-아로 천체가 발견되었으며, 이는 내부에서 활발한 별 형성이 일어나고 있다는 증거를 제시한다.[2]
성운 곳곳에는 보크 구상체라고 불리는 작고 둥근 암흑 성운 덩어리들이 보인다. 이것은 분자운의 밀도가 높은 부분이 자체 중력으로 수축하여 원시별이 되기 직전의 단계로 여겨진다. M16에도 비슷한 암흑 성운이 있으며,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촬영되었다. M16의 암흑 성운은 태양계 정도 크기이지만, 석호 성운의 것은 그보다 50배 정도 크다. 허블 우주 망원경은 지상의 토네이도와 같은 기괴한 성운 덩어리도 촬영했다.
성운에서는 M42나 M45와 마찬가지로 섬광성이 발견되었다. 이들은 짧은 시간 동안 급격하게 밝기가 증가하는데, 20초 만에 10.3등급에서 6.8등급까지 밝아진 사례도 있다.
성운 서쪽 중심에는 궁수자리 9번 별(5.89등급)이 있다. 이 별은 스펙트럼 분류상 O6형의 매우 뜨거운 별로, 여기서 나오는 자외선이 M8의 가스를 이온화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2. 2. 모래시계 성운
석호 성운 중심에는 존 허셜이 이름 붙인 모래시계 성운이 있다. 이는 파리자리의 조각된 모래시계 성운과는 다른 천체이다. 2006년 모래시계 성운 안에서 4개의 헤르비히-아로 천체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그 내부에서 활발한 별 형성이 일어나고 있다는 직접적인 증거이다.[2]2. 3. 섬광성
성운 중에는 M42 오리온 대성운이나 M45 플레이아데스 성단과 마찬가지로 섬광성이 발견되었다. 섬광성은 짧은 시간 동안 극단적으로 광도가 상승하는 별을 의미한다. 20초 사이에 10.3 등급에서 6.8 등급까지 상승한 예가 있다.2. 4. 궁수자리 9번 별
성운의 서쪽 중심에는 궁수자리 9번 별 (5.89 등급)이 있다. 이 별은 스펙트럼 분류가 O6형인 매우 뜨거운 별로, 석호 성운의 가스를 이온화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추정된다.[2]3. 관측 역사
석호 성운은 17세기부터 관측되어 온 천체이다. 1654년 이전에 조반니 바티스타 오디에르나가 처음 관측했고, 1680년경 존 플램스티드가 성운 전경의 NGC 6530을 발견했다. 1746년 장-필립 로아 드 셰조는 성단으로, 1747년 기욤 르 장티는 성운으로 관측했다. 1764년 샤를 메시에는 메시에 목록에 M8로 등록하며 성단으로 기록했지만, 성운의 존재도 언급했다. 1890년 애그니스 클라크는 저서에서 암흑 성운의 검은 줄기를 "간석지"로 표현했다.
3. 1. 초기 관측
1654년 이전에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조반니 바티스타 오디에르나가 처음 관측한 것으로 추정된다.. 오디에르나와 별개로, 성운 전경에 있는 NGC 6530은 1680년경 존 플램스티드에 의해 발견되었다.이후 1746년에 장-필립 로아 드 셰조는 성단으로 재발견했고, 1747년에는 프랑스의 기욤 르 장티가 성운으로 관측했다.
3. 2. 메시에 목록 등재
1764년 샤를 메시에가 메시에 목록에 추가하면서 M8이라는 번호를 부여받았다. 메시는 석호 성운을 성단으로 기록했지만, "단순한 3피트 망원경으로 보면 성운처럼 보인다. 그러나 훌륭한 장비로는 수많은 어두운 별들의 성단이다"라고 기록하며 성운의 존재도 함께 언급했다.3. 3. "간석지" 명칭
"간석지"라는 표현은 애그니스 클라크가 1890년 자신의 저서 "The System of Stars"에서 암흑 성운의 검은 줄기를 묘사하면서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참조
[1]
simbad
M 8
2006-11-15
[2]
학술지
The infrared Hourglass cluster in M8
2006
[3]
서적
Atlas of the Messier Objects: Highlights of the Deep Sk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http://simbad.u-stra[...]
2006-12-22
[5]
웹사이트
Messier Object 8
http://www.messier.s[...]
2018-04-11
[6]
서적
Handbook of Star-Forming Regions: Volume 2 The Southern Sky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