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궁수자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궁수자리는 그리스 신화에서 전갈자리에 활을 겨누는 켄타우로스 또는 사티로스로 묘사되는 별자리이다. 바빌로니아에서는 전쟁과 사냥의 신 네르갈과 관련되었으며, 현대에는 국제천문연맹에 의해 88개 별자리 중 하나로 인정되었다. 궁수자리에는 은하수의 중심이 위치하여 다수의 성단과 성운이 관측되며, 주요 별로는 카우스 오스트랄리스, 눈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반구의 별자리 - 큰개자리
    큰개자리는 오리온의 사냥개로 묘사되며,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를 포함하고 있고, 다양한 밝은 별들과 천체들을 품고 있는 별자리이다.
  • 남반구의 별자리 - 비둘기자리
    1679년 오귀스탱 루아예에 의해 큰개자리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별자리로 인정받은 비둘기자리는 성경 속 노아의 비둘기를 상징하며, 2.65 등급의 가장 밝은 별 '팍트'와 궤도 이탈성인 뮤별, 그리고 NGC 1851, NGC 1792, NGC 1808 등의 천체를 포함한다.
  • 프톨레마이오스의 별자리 - 페르세우스자리
    겨울철 북쪽 하늘의 밝은 별자리인 페르세우스자리는 그리스 신화 영웅을 모티브로 'u'자 모양으로 묘사되며, 알골과 같은 변광성, 이중성단, 은하단을 포함하고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의 방사점이다.
  • 프톨레마이오스의 별자리 - 작은개자리
    작은개자리는 톨레미의 48개 별자리 중 하나로 오리온의 사냥개로 여겨지며, 가장 밝은 별인 프로키온과 함께 다양한 문화권에서 여러 신화 및 전설과 관련된 작은 크기에 비해 문화적 의미와 역사적 배경이 풍부한 별자리이다.
  • 궁수자리 - 메시에 24
    메시에 24는 샤를 메시에가 발견한 은하수 내 성운으로, 밝기가 다양한 별들이 흩어져 있으며 NGC 6603을 포함하고, 존 허셜의 관측 기록은 추후 연구에 혼란을 주기도 했다.
  • 궁수자리 - 아치스 성단
    아치스 성단은 짙은 먼지로 둘러싸여 가시광선 관측이 어렵지만 엑스선, 적외선, 전파 관측으로 연구되는, 반지름 약 1광년의 젊고 뜨거운 별 약 150개로 이루어진 성단으로, 별들은 밝고 빠른 항성풍을 방출하며 수백만 년 안에 수소를 소모한다.
궁수자리
기본 정보
궁수자리 별자리 지도
궁수자리 별자리 지도
심볼활을 든 궁수
약어Sgr
소유격Sagittarii (사지타리)
발음'', 속격:
황도대황도대
위치남반구
면적867 평방도
면적 순위15위
주요 별의 수12개 (8개)
Bayer/Flamsteed 별의 수68개
행성을 가진 별의 수32개
밝은 별의 수7개
가장 가까운 별 이름로스154
가장 가까운 별까지의 거리 (광년)9.69 광년
가장 가까운 별까지의 거리 (파섹)2.97 파섹
메시에 천체 수15개
유성우해당 없음
인접 별자리독수리자리
방패자리
뱀자리 (꼬리)
뱀주인자리
전갈자리
남쪽왕관자리
망원경자리
인디언자리 (모서리)
현미경자리
염소자리
위도 (최대)북위 55도
위도 (최소)남위 90도 (남극)
관측 용이 시기8월
참고[[파일:Milky Way and Sagittarius (with note).JPG|center|thumb|320px|은하수와 궁수자리]]
가장 밝은 별 이름ε Sgr (카우스 오스트랄리스)
별의 밝기1.79 등급
관측
남중 시각20시
남중 날짜8월 20일

2. 역사와 신화

궁수자리를 묘사한 조각상


궁수자리는 오랜 역사를 통해 다양한 문화권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 온 별자리이다. 그 기원은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수메르의 신 파빌사그(Pabilsag)나 바빌로니아의 신 네르갈(Nergal)과 연관된 신화가 전해진다. 이들 신은 활을 든 반인반마 또는 복합적인 모습으로 묘사되어 현대 궁수자리의 형상과 유사성을 보인다.

그리스 신화에서는 궁수자리의 정체성에 대해 여러 해석이 존재한다.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반인반마의 켄타우로스, 특히 현명한 스승 케이론이라는 설이다.[5] 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켄타우로스족이 활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점 등을 들어, 궁술을 발명한 사티로스 크로토스가 궁수자리의 진짜 모델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5][15] 에라토스테네스히기누스 등이 이 설을 지지했으며, 케이론은 센타우루스자리의 모델이라고 보았다. 궁수자리의 화살은 전갈자리의 심장인 별 안타레스를 겨누고 있는데, 이는 전갈자리의 위협에 대비하거나[16], 전갈이 오리온자리를 죽인 것에 대한 복수라는 해석 등이 있다.

현대에 이르러 궁수자리는 1922년 국제천문연맹(IAU) 총회에서 88개의 공식 별자리 중 하나로 지정되었으며, 약자는 'Sgr'로 정해졌다. 과거에는 'Sag'라는 약자도 사용되었으나, IAU의 결정으로 'Sgr'이 공식 약자가 되었다.

일본 등 일부 문화권에서는 궁수자리가 헤라클레스의 독화살에 맞아 고통스러워하다 죽음을 택한 케이론이 별자리가 된 것이라는 이야기가 널리 퍼져 있으나, 이는 에라토스테네스나 히기누스가 전하는 고대 그리스 신화의 내용과는 차이가 있다.

2. 1. 수메르 및 바빌로니아 신화

1825년경 런던에서 출판된 별자리 카드 세트인 ''우라니아의 거울''에 묘사된 궁수자리. 켄타우르스의 뒤편에서 작은 사각형 별자리(Terebellum)가 보인다.


궁수자리는 수메르에 기원을 둔 것으로 여겨지며, 전쟁과 사냥의 신 PA.BIL.SAG|파・빌・사그sux가 그 원형으로 간주된다. 수메르 이름 파빌사그(Pabilsaĝ)는 '아버지뻘 되는 친족'을 의미하는 파빌(Pabil)과 '우두머리, 머리'를 의미하는 사그(Sag)로 구성되어, '선조' 또는 '수장'으로 번역될 수 있다. 파빌사그는 활을 든 모습으로 묘사되며, 반인반마 형태나 전갈의 몸과 꼬리를 가진 모습 등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기원전 1100년경 바빌로니아의 네부카드네자르 1세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쿠두루(경계석)에는 날개를 가진 전갈의 몸을 한 파빌사그가 묘사되어 있으며, 엔릴의 아들 닌우르타와 동일시되기도 했다. 기원전 500년경의 메소포타미아 점토판 문서인 『MUL.APIN|물・아핀akk』에서도 궁수자리의 별들은 파빌사그로 여겨졌다.

한편, 바빌로니아인들은 궁수자리를 신 네르갈(Nergal)로 보기도 했는데, 이는 활로 화살을 쏘는 켄타우로스와 유사한 모습이다. 네르갈은 일반적으로 날개가 있고, 표범 머리와 사람 머리 두 개를 가졌으며, 말의 꼬리 위로 전갈의 침이 솟아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이러한 파빌사그와 네르갈의 형상들은 현대의 궁수자리 묘사와 연관성을 보인다.

2. 2. 그리스 신화



그리스 신화에서 궁수자리는 보통 반인반마인 켄타우로스로 여겨진다. 그러나 그리스인들이 수메르의 별자리를 받아들이면서 궁수의 정체성에 대해 다소 혼란이 생겼다.[5]

일부 전승에서는 궁수자리를 켄타우로스 케이론으로 본다. 케이론은 필리라와 크로노스의 아들이자 제이슨의 스승으로, 질투심 많은 아내 레아를 피하기 위해 스스로 말로 변신했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하늘에는 켄타우로스 별자리가 두 개(궁수자리와 센타우루스자리) 있기 때문에, 일부에서는 케이론을 센타우루스자리와 동일시하기도 한다.[5] 다른 전승에 따르면, 케이론은 황금 양털을 찾아 떠나는 아르고호의 항해자들을 돕기 위해 궁수자리와 센타우루스자리를 만들었다고 한다.[14]

에라토스테네스가 지지한 다른 신화적 전통에 따르면, 궁수는 켄타우로스가 아니라 사티로스 크로토스이다.[5][15] 크로토스는 판과 요정 에우페메의 아들로, 그리스인들은 그가 궁술을 발명했다고 믿었다.[5][15] 신화에 따르면 크로토스는 종종 말을 타고 사냥을 다녔으며, 무사들 사이에서 살았다. 무사들은 제우스에게 크로토스를 하늘에 올려 그의 궁술 솜씨를 보여주도록 요청했다고 한다.[5] 기원전 1세기경의 작가 히기누스 역시 궁수자리의 모델이 크로토스라고 주장하며, 저서 『신화집 (Fabulae)』에서 그가 사티로스와 같은 모습을 한 이유를 설명했다.

에라토스테네스는 저서 『카타스테리스마이』(Καταστερισμοί)에서 궁수자리가 켄타우로스가 아니라는 설을 소개하며, 켄타우로스족은 활을 사용하지 않고 별자리가 네 발로 보이지 않는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그는 이 별자리가 말의 발과 꼬리를 가진 사티로스 같은 인물, 즉 크로토스라고 주장했다. 히기누스는 저서 『천문시 (Poeticon astronomicon)』에서 크로토스가 말의 발과 사티로스의 꼬리를 가지게 된 것은 그의 뛰어난 마술 실력과 무사들을 기쁘게 했음을 나타내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기원전 3세기경의 시인 아라토스와 2세기경의 프톨레마이오스는 궁수자리를 네 발을 가진 존재로 묘사했다.

궁수자리의 화살은 전갈자리의 심장인 별 안타레스를 겨누고 있다. 이는 전갈자리가 근처의 헤라클레스자리를 공격하는 것을 막거나, 전갈자리가 오리온자리를 죽인 것에 대한 복수를 준비하는 모습이라고 해석된다.[16] 또한, 별자리가 된 전갈이 천상에서 소란을 피울 경우 즉시 쏠 수 있도록 활을 당기고 있다는 속설도 있지만, 이에 대한 명확한 근거는 없다.

궁수자리의 기원은 수메르 신화의 전쟁과 사냥의 신 파빌사그(Pabilsag)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이는 바빌로니아 신화의 네르갈(Nergal)과도 연관된다. 파빌사그는 활을 든 모습으로 묘사되며, 반인반마 또는 전갈의 몸과 꼬리를 가진 모습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메소포타미아 신화의 영향으로 그리스 신화에서 궁수자리의 정체성에 혼란이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5]

2. 3. 기타 문화권



궁수자리는 다양한 문화권에서 여러 모습으로 해석되었다.
수메르와 바빌로니아궁수자리의 기원은 수메르 문명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수메르에서는 전쟁과 사냥의 신인 Pabilsaĝ|파빌사그sux가 궁수자리의 원형으로 여겨진다.[2] 파빌사그는 활을 든 모습으로 묘사되며, 때로는 반인반마의 모습으로, 때로는 전갈의 몸과 꼬리를 가진 모습으로 나타나는 등 다양한 변형이 있다.[2] 수메르 이름 파빌사그(Pabilsaĝ)는 '아버지뻘 되는 친족'을 의미하는 '파빌(Pabil)'과 '우두머리'를 의미하는 '사그(Sag)'가 합쳐진 것으로, '선조' 또는 '수장'으로 번역될 수 있다. 기원전 1100년경 바빌로니아의 네부카드네자르 1세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쿠두루(경계석)에는 날개를 달고 전갈의 몸을 한 파빌사그가 묘사되어 있으며, 엔릴 신의 아들인 닌우르타와 동일시되기도 했다.[3]

바빌로니아인들은 궁수자리를 활 쏘는 켄타우로스와 유사한 신 네르갈(Nergal)로 여기기도 했다. 이 모습은 일반적으로 날개가 있고, 표범 머리와 사람 머리 두 개를 가졌으며, 말의 꼬리 위로 전갈의 침이 솟아있는 형태로 묘사된다. 기원전 500년경의 메소포타미아 점토판 문서인 MUL.APIN|물아핀akk에서도 궁수자리의 별들은 파빌사그로 기록되어 있다.[4]
그리스그리스 신화에서는 궁수자리가 전갈자리에 활을 겨누는 켄타우로스, 특히 현명한 스승 케이론으로 묘사된다. 전갈자리가 하늘에서 소란을 피울 경우 즉시 제압하기 위해 항상 활을 당기고 있다는 속설이 전해지지만, 명확한 신화적 근거는 부족하다.
아랍아랍 문화권에서는 궁수자리의 일부 별들을 타조 무리로 해석했다. γ, δ, η별은 은하수의 물을 마시러 온 타조 무리(al-Naʽām al-Wārid|알-나암 알-와리드ar)로, χ, τ, σ, φ별은 물을 마시고 돌아가는 타조 무리(al-Naʽām al-Ṣādirah|알-나암 알-사디라ar)로 여겼다.
중국중국 천문학에서 궁수자리의 별들은 이십팔수 중 동방 청룡 칠수의 일곱 번째 수인 기수(箕宿)와 북방 현무 칠수의 첫 번째 수인 두수(斗宿)에 속한다.

  • 기수(箕宿): γ, δ, ε, η 네 별이 곡식을 까부는 농기구인 키를 나타내는 성관 '기(箕)'를 이루었다.
  • 두수(斗宿):
  • φ, λ, μ, σ, τ, ζ 여섯 별(남두육성)이 국자 모양의 성관 '두(斗)'를 이루었다.
  • 일부 별은 뱀주인자리의 별들과 함께 성관 '천약(天籥)'을 이루었다.
  • ξ2, ο, π, 43, ρ1, υ 다섯 별은 깃발을 뜻하는 성관 '건(建)'을 이루었다.
  • 55번 별과 56번 별은 시간을 관장하는 새로 여겨진 성관 '천계(天鶏)'를 이루었다.
  • 52번 별과 χ별은 개를 나타내는 성관 '구(狗)'를 이루었다.
  • ω, 60, 62, 59 네 별은 개가 사는 나라를 뜻하는 성관 '구국(狗国)'을 이루었다.
  • β2, β1, α 세 별은 하늘의 연못을 의미하는 성관 '천연(天淵)'을 이루었다.
  • 농사를 관장하는 관직을 나타내는 '농장인(農丈人)'은 HD172910 별 하나로 나타냈다.

3. 특징

궁수자리의 밝은 별들(ζ, τ, σ, φ, λ, μ)은 쉽게 알아볼 수 있는 뒤집어진 작은 국자 모양의 남두육성을 형성한다.

별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을 뜻하는 알파성인 루크바트(α Sgr)는 겉보기 등급 4.1로, 실제로는 궁수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은 아니다.

지구에서 볼 때 은하수의 가장 짙은 부분이 궁수자리를 지나가며, 이곳은 우리 은하의 은하 중심이 있는 방향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궁수자리에는 많은 성단성운이 밀집해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 δ Sgr 서쪽 약 7.5° 거리에 위치한 구상성단 M55가 있다.

3. 1. 주요 별

궁수자리의 "주전자" 별자리. 은하수는 주전자 주둥이에서 나오는 "증기"로 비유된다. 은하 중심 궁수자리 A*는 주전자 주둥이 위쪽에 위치한다.


궁수자리의 밝은 별들인 ζ Sgr, τ Sgr, σ Sgr, φ Sgr, λ Sgr, μ Sgr은 뒤집어진 국자 모양의 남두육성(南斗六星)을 형성한다. 영어권에서는 '밀크 디퍼'(Milk Dipper)라고도 불린다.

또한 북반구에서 볼 때, 밝은 별들이 만드는 주전자(Teapot) 모양의 애스터리즘도 잘 알려져 있다.[1][2] δ Sgr(카우스 메디아), ε Sgr(카우스 오스트랄리스), ζ Sgr(아셀라), φ Sgr가 주전자 몸통을 이루고, λ Sgr(카우스 보레알리스)는 뚜껑 꼭대기, γ2 Sgr(알나슬)는 주전자 주둥이 끝, σ Sgr(눈키)와 τ Sgr는 손잡이를 형성한다.[3] 이 별들은 본래 궁수의 활과 화살 모양이었다고 전해진다. 주전자 북쪽의 ξ2 Sgr, ο Sgr, π Sgr, ρ1 Sgr이 만드는 배열은 '티스푼'(Tea spoon)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궁수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은 ε Sgr(카우스 오스트랄리스)로, 겉보기 등급 1.81~1.85[7]이다. 이름은 아랍어로 '활의 남쪽 부분'을 의미한다.[5] 두 번째로 밝은 별은 σ Sgr(눈키)로, 겉보기 등급 2.08이다. 눈키는 약 260광년 거리에 있는 B2V형 별이며,[6] 그 이름은 아카드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며, 바빌로니아의 도시 에리두를 나타내는 가장 오래된 별 이름 중 하나일 수 있다.[5]

α Sgr(루크바트)는 알파성임에도 불구하고 겉보기 등급 3.94~4.1등급으로 별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은 아니다.[6] 그 이름은 아랍어로 '궁수의 무릎'을 뜻한다.

국제천문연맹(IAU)은 궁수자리의 여러 별에 고유 명칭을 부여했다. 주요 별들은 다음과 같다.

기호고유 명칭겉보기 등급특징 및 이름 유래
β1 Sgr아르카브 프리오르 (Arkab Prior)4.01β1과 β2는 하늘에서 0.36° 떨어져 있으며, 지구로부터 약 378광년 거리에 있다. 아르카브는 아랍어로 아킬레스건을 의미하며, 프리오르는 라틴어로 앞선 것을 뜻한다.
β2 Sgr아르카브 포스테리오르 (Arkab Posterior)4.27포스테리오르는 라틴어로 뒤따르는 것을 뜻한다.
γ2 Sgr알나슬 (Alnasl)2.99주전자 주둥이 끝 부분. 이름은 아랍어로 화살촉을 의미한다.[5]
δ Sgr카우스 메디아 (Kaus Media)2.67~2.71[8]K2 분광형 별. 약 350광년 거리에 있다.[8] 이름은 아랍어로 활의 중앙 부분을 의미한다.[5]
ε Sgr카우스 오스트랄리스 (Kaus Australis)1.81~1.85[7]궁수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 이름은 아랍어로 활의 남쪽 부분을 의미한다.[5]
ζ Sgr아셀라 (Ascella)2.59~2.61[8]A2 분광형의 쌍성. 구성 별의 등급은 각각 3.3과 3.5이다.[8] 이름은 라틴어겨드랑이를 의미한다.
η Sgr(없음)3.18겉보기 등급 3.18과 10인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쌍성.[8]
λ Sgr카우스 보레알리스 (Kaus Borealis)2.81주전자 뚜껑 꼭대기. 이름은 아랍어로 활의 북쪽 부분을 의미한다.[5]
μ Sgr폴리스 (Polis)3.85Aa별에 부여된 이름.
ν1 Sgr아인알라미 (Ainalrami)4.85A별에 부여된 이름.
π Sgr알발다 (Albaldah)[9]2.88삼중성계. 구성 별의 등급은 3.7, 3.8, 6.0이다.[8] A별에 부여된 이름.
σ Sgr눈키 (Nunki)2.08궁수자리에서 두 번째로 밝은 별. 이름은 수메르 문자와 관련된 바빌로니아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5]
ω Sgr테레벨룸 (Terebellum)4.70이름은 프톨레마이오스가 『알마게스트』에서 이 별과 주변 별들을 묶어 부른 작은 별자리 테레벨룸에서 유래했다.



그 외 주목할 만한 별로는 고광도 청색 변광성인 권총별과 LBV 1806-20, 태양계에서 약 9.68광년 거리에 있는 적색왜성 로스 154, 그리고 우리 은하 중심의 초대질량 블랙홀 궁수자리 A* 주위를 공전하는 S2 등이 있다.

또한, 국제천문연맹(IAU)의 "IAU100 NameExoworlds" 프로젝트를 통해 몇몇 별과 그 외계 행성에 이름이 붙여졌다.


  • HD 164604 (주성: 핀코야, 행성: 칼레우체 - 칠레)
  • HD 179949 (주성: 구말라, 행성: 마스티카 - 브루나이)
  • HD 181342 (주성: 베렐, 행성: 도페레 - 세네갈)
  • HD 181720 (주성: 시카, 행성: 토게 - 가나)


2015년 3월 15일에는 신성인 Nova Sagittarii 2015 No. 2가 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 주의 존 서치(John Seach)에 의해 발견되었다. 이 신성은 한때 겉보기 등급 4.3까지 밝아졌다가 서서히 어두워졌다.

3. 2. 천체

지구에서 볼 때 은하수의 가장 짙은 부분이 궁수자리를 지나가며, 이곳은 우리 은하의 중심이 있는 방향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궁수자리에는 많은 성단성운이 밀집해 있다.

은하수의 궁수자리 지역


궁수자리 대성운으로 상단에는 석호 성운이 있다


=== 성운과 성단 ===

궁수자리에는 맨눈이나 쌍안경으로도 관측하기 좋은 유명한 성운과 성단이 많다.

  • '''큰 궁수자리 성운''': 은하수에서 가장 밝게 보이는 부분으로, 은하 중심 방향의 일부이다. 거대 균열의 두꺼운 성간 먼지 때문에 가려지지 않고 보이는 가장 안쪽 은하 구조에 해당한다. 여러 성단과 암흑 성운을 포함하고 있다.[10]
  • '''작은 궁수자리 성운''' (M24): 겉보기 등급 2.5의 밝은 성운으로, 약 10,000 광년에서 16,000 광년 깊이의 넓은 공간을 차지한다. 내부에 작은 산개 성단인 NGC 6603이 있으며, 근처에 희미한 행성상 성운 NGC 6567과 보크 구상체 바너드 92가 있다.
  • '''석호 성운''' (M8): 람다 궁수자리(λ Sgr) 부근에 있는 밝은 발광 성운이다. 지구에서 약 5,000 광년 떨어져 있으며, 크기는 140 광년 x 60 광년 (하늘에서 약 1.5°)에 달한다. 맨눈으로는 회색으로 보이지만, 장시간 노출 사진에서는 분홍색을 띤다. 전체 등급은 3.0이다. 중앙의 독특한 모양 때문에 '모래시계 성운'이라고도 불리며, 이는 허셜 36 별의 영향으로 형성되었다. 바트 복이 보크 구상체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성운이기도 하다.
  • '''오메가 성운''' (M17): '백조 성운' 또는 '말굽 성운'으로도 불리는 밝은 성운이다. 방패자리와의 경계 부근에 있으며, 지구에서 약 4,890 광년 떨어져 있고 전체 등급은 6.0이다. 보는 각도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해석되어 여러 이름이 붙었다.
  • '''삼렬 성운''' (M20): 석호 성운 북쪽 약 2도 거리에 있는 큰 성운이다. 지구로부터의 거리는 2,000 광년에서 9,000 광년 사이로 추정되며, 지름은 약 50 광년이다. 바깥쪽은 푸른 반사 성운, 안쪽은 두 개의 어두운 띠로 나뉜 분홍색 발광 성운으로 구성되어 '세 개의 엽(lobe)'처럼 보인다. 중앙의 삼중성이 내뿜는 에너지로 수소가 이온화되어 특유의 색을 띤다. 6.3등급의 성단과 관련되어 있다.
  • '''NGC 6559''': 지구에서 약 5,000 광년 떨어진 별 형성 영역으로, 붉은 발광 영역과 푸른 반사 영역을 모두 보여준다. 석호 성운, 삼렬 성운과 함께 '궁수자리의 세쌍둥이(triplet)'로 불리기도 한다.


M8 석호 성운


M17 오메가 성운


M20 삼렬 성운


이 외에도 궁수자리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메시에 천체들이 있다.

천체NGC 번호종류겉보기 등급
M18NGC 6613산개 성단6.9
M21NGC 6531산개 성단5.9
M23NGC 6949산개 성단5.5
M25IC 4725산개 성단4.6
M22NGC 6656구상 성단5.1
M28NGC 6626구상 성단6.8
M54NGC 6715구상 성단7.6
M55NGC 6809구상 성단6.3
M69NGC 6637구상 성단7.6
M70NGC 6681구상 성단8.0
M75NGC 6864구상 성단8.5



M18


M28


M55


M70


M75

  • M22: M13에 필적할 정도로 밝은 구상 성단으로, 조건이 좋으면 맨눈으로도 볼 수 있다.
  • M54: 제타 궁수자리(ζ Sgr) 남서쪽에 위치한다. 대형 망원경으로도 별을 분해하기 어려우며, 실제로는 은하수 소속이 아니라 동반 은하인 궁수자리 왜소 타원 은하 (SagDEG)에 속한 성단이다.
  • M55: 델타 궁수자리(δ Sgr) 서쪽 약 7.5°에 위치하며, 쌍안경으로도 관측하기 좋은 비교적 큰 구상 성단이다.


다른 주목할 만한 천체들은 다음과 같다.

  • 적색거미 성운 (NGC 6537): 지구에서 약 4,000 광년 떨어진 행성상 성운.
  • NGC 6445: 약 11등급의 행성상 성운. 지름이 1각분 이상이며, 구상 성단 NGC 6440과 매우 가깝게 보인다.
  • NGC 6638: 9.2등급의 구상 성단. 지구에서 약 26,000 광년 떨어져 있다.
  • 바데의 창: 성간 먼지가 적어 은하 중심 방향을 비교적 선명하게 관측할 수 있는 영역이다. 이 창을 통해 구상 성단 NGC 6522 (8.6등급)와 NGC 6528 (9.5등급)을 볼 수 있다. 이들은 각각 지구에서 약 20,000 광년과 24,000 광년 떨어져 있다.
  • 2MASS-GC02 (Hurt 2): 지구에서 약 16,000 광년 떨어진 구상 성단. 2000년에 발견되었다.[11]
  • NGC 6530: 석호 성운 내부에 있는 젊은 산개 성단.

허블 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NGC 6530.


=== 블랙홀과 전파원 ===

  • 궁수자리 V4641: 1999년 격렬한 폭발 현상이 관측되어 한때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블랙홀 후보로 여겨졌으나,[19] 이후 연구에서 거리가 훨씬 먼 것으로 밝혀졌다.
  • 궁수자리 A: 은하수 중심부에 위치한 강력한 복합 전파원이다.
  • 궁수자리 A*: 궁수자리 A 내부에 있는 매우 밝고 밀집된 전파원으로, 우리 은하 중심에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로 강력히 추정된다. 질량은 태양 질량의 약 4백만 배로 추산된다. 2022년 5월,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EHT) 프로젝트를 통해 궁수자리 A*의 모습이 최초로 촬영되어 공개되었다.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주전자' 별자리의 주둥이 끝 바로 위쪽에 위치한다.[1]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이 포착한 궁수자리 A*


=== 동반 은하 ===

  • 궁수자리 왜소 타원 은하 (SagDEG): 은하수 바로 바깥에 위치한 작은 타원 은하로, 은하수의 위성 은하 중 하나이다. M54 성단은 이 은하에 속해 있다.


=== 별자리 모양 ===

북반구 중위도에서 볼 때 궁수자리의 밝은 별들은 쉽게 알아볼 수 있는 모양을 형성한다.

  • '''주전자 (Teapot)''': 서양권에서 널리 알려진 애스터리즘이다. 별 델타 궁수자리 (δ Sgr, 카우스 메디아), 엡실론 궁수자리 (ε Sgr, 카우스 아우스트랄리스), 제타 궁수자리 (ζ Sgr, 아스켈라), 파이 궁수자리 (φ Sgr)가 주전자의 몸체를 이루고, 람다 궁수자리 (λ Sgr, 카우스 보레알리스)가 뚜껑 꼭대기, 감마2 궁수자리 (γ2 Sgr, 알나슬)이 주둥이 끝, 시그마 궁수자리 (σ Sgr, 눈키)와 타우 궁수자리 (τ Sgr)가 손잡이를 형성한다.[1][2][3] 어두운 밤하늘에서는 주전자 주둥이 위쪽으로 은하수의 밝은 부분이 마치 주전자에서 피어오르는 증기처럼 보인다.[4] 이 별들은 원래 궁수의 활과 화살을 나타냈다고 여겨진다.[5]
  • '''남두육성 (南斗六星)''': 동아시아에서 전통적으로 불리는 이름으로, 제타 궁수자리(ζ Sgr), 타우 궁수자리(τ Sgr), 시그마 궁수자리(σ Sgr), 파이 궁수자리(φ Sgr), 람다 궁수자리(λ Sgr), 뮤 궁수자리(μ Sgr)의 여섯 별이 국자 모양을 이루는 것을 가리킨다. 영어권에서는 '밀크 디퍼 (Milk Dipper)'라고도 불린다.
  • '''티스푼 (Tea spoon)''': 주전자 북쪽에 있는 ξ2(크시), ο(오미크론), π(파이), ρ1(로) 별들의 배열을 '티스푼'에 비유하기도 한다.


궁수자리는 전체적으로 활을 당기는 궁수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그 화살은 이웃한 전갈자리의 심장, 즉 붉은 별 안타레스를 겨누고 있는 형상이다. 감마2 궁수자리(알나슬, Alnasl)은 아랍어로 '화살촉'을, 델타 궁수자리(카우스 메디아, Kaus Media)는 '활의 중앙', 람다 궁수자리(카우스 보레알리스, Kaus Borealis)와 엡실론 궁수자리(카우스 아우스트랄리스, Kaus Australis)는 각각 '활의 북쪽'과 '남쪽' 부분을 의미한다.[5]

=== 관측 ===

궁수자리는 황도대 별자리 중 하나로 잘 알려져 있으며, 북반구 여름철 밤하늘에서 남쪽 낮게 보인다. 북위 43° 이상 지역에서는 관측이 어렵거나 불가능하지만, 남반구 대부분 지역에서는 하늘 높이 떠오른다. 태양은 매년 11월 중순부터 1월 중순까지 궁수자리를 지나며, 동지점(12월)이 현재 궁수자리에 위치한다. 고대에는 동지점이 염소자리에 있었으나, 세차 운동의 영향으로 로마 제국 시대에 궁수자리로 이동했다. 약 2700년경에는 동지점이 전갈자리로 이동할 것으로 예측된다.

4. 현대적 의의

서양에서는 11월 23일부터 12월 24일 사이에 태어난 사람들이 궁수자리에 해당된다. 2002년 기준으로, 태양은 매년 12월 18일부터 1월 18일까지 궁수자리를 통과한다. 그러나 열대 점성술에서는 태양이 11월 22일부터 12월 21일까지, 항성 점성술에서는 12월 16일부터 1월 14일까지 궁수자리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18]

탐사선 뉴 호라이즌스는 2016년을 기준으로 태양계를 벗어나는 궤도로 이동 중이며, 지구에서 볼 때 궁수자리 방향에 위치해 있다.[12] 뉴 호라이즌스는 다른 별에 도달하기 전에 방사성 동위원소 열전 발전기의 전력이 소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1977년에 수신된 와우! 신호는 궁수자리 방향에서 온 것으로 추정되는 강한 협대역 라디오 신호였다.[13]

참조

[1] 웹사이트 Find the Teapot, and look toward the galaxy's center https://earthsky.org[...] 2019-08-19
[2] 웹사이트 Sagittarius? Here's your constellation https://earthsky.org[...] 2017-08-01
[3] 웹사이트 The bow and arrow of Sagittarius http://www.ianridpat[...]
[4] 서적 A Constellation Album: Stars and Mythology of the Night Sky Sky Publishing 2007
[5] 서적 Star Tales Lutterworth Press
[6] 서적 Skyguide: A Field Guide for Amateur Astronomers Golden Press
[7] 문서 James B. Kaler, Prof. Emeritus of Astronomy, University of Illinois http://stars.astro.i[...]
[8] 서적 The Henry Holt Guide to Astronomy The Hamlyn Publishing Group, Ltd.
[9] 웹사이트 Naming Stars https://www.iau.org/[...] IAU.org 2018-08-08
[10] 간행물 Observing the Milky Way, part I: Sagittarius & Scorpius 2013-07
[11] 웹사이트 2MASS-GC02, Hurt 2 http://spider.seds.o[...] 2016-01-15
[12] 웹사이트 Where will New Horizons Go After Pluto? – Science Mission Directorate https://science.nasa[...] 2017-07-12
[13] 웹사이트 Famous 'alien' Wow! signal may have come from distant, sunlike star https://www.space.co[...] 2023-02-24
[14] 서적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G. E. Stechert 1899
[15] 서적 Star Myths of the Greeks and Romans: A Sourcebook Red Wheel/Weiser 1997
[16] 서적 A Walk Through the Heavens: A Guide to Stars and Constellations and Their Legen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17] 웹사이트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https://penelope.uch[...] Dover Publications 2019-10-13
[18] 웹사이트 Sagittarius - The Archer, The Ninth Zodiac Sign http://www.herongyan[...] Herong Yang 2022-12-22
[19] 뉴스 Dramatic Outburst Reveals Nearest Black Hole http://www.nrao.ed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