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선군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군절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기념일로, 김정일의 선군정치 시작을 기념한다. 2005년 6월 선군절로 제정되었으며, 2013년 8월 25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선군영도 개시 50주년을 맞아 휴식일로 지정되었다. 선군절은 본래 1995년 1월 1일 김정일의 다박솔 초소 방문을 기리는 날이었으나, 이후 1960년 8월 25일 김일성과 함께 류경수 105근위 땅크사단을 현지지도한 날로 변경되었다. 선군 사상은 군사적 문제에 우선순위를 두는 북한의 정치 이념으로, 김정일 시대에 특히 강조되었으며, 선군절은 김정일 개인을 기리는 성격이 강하다. 선군절에는 국기 게양, 군인 축제, 야외 콘서트 등 다양한 기념 행사가 진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휴일 - 광복절
    광복절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기념하는 날로서, 대한민국에서는 1945년 8월 15일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난 것을 기념하여 국경일 및 공휴일로 지정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국해방의 날로 기념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휴일 - 광명성절
    광명성절은 김정일의 생일을 기념하는 북한의 명절로, 2월 16일부터 이틀간 다양한 기념 행사가 열리며, 김정일의 개인 숭배를 조장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 8월의 기념일 - 멜론의 날
    멜론의 날은 투르크메니스탄의 국가 공휴일로, 농업인들의 노고를 기리고자 1994년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 대통령에 의해 제정되었으며, 8월 둘째 일요일에 기념된다.
  • 8월의 기념일 - 광복절
    광복절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기념하는 날로서, 대한민국에서는 1945년 8월 15일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난 것을 기념하여 국경일 및 공휴일로 지정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국해방의 날로 기념한다.
선군절
기본 정보
이름선군절
로마자 표기Seongunjeol
한글선군절
한자先軍節
조선어 (북한) 로마자 표기Sŏn'gun-jŏl
기념
종류국경일
기념 대상김정일의 선군 영도 시작 (1960년)
날짜8월 25일
주기매년
첫 시행2013년
기념 행사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기 게양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깃발 게양
축하 행사
무도회
음악회
헌화
사적지 방문
개선문에서 선군절을 기념하는 군중 무용
개선문에서 선군절을 기념하는 군중 무용

2. 역사

김정일이 1995년 1월 1일 평양 근교의 다박솔 초소를 방문한 것을 선군정치의 시작으로 삼았다. 이후 김일성과 함께 1960년 8월 25일 류경수 105근위 땅크사단을 현지지도한 날을 기려 2000년대 초 '''선군혁명 영도 기념일'''로 지정했다가 2005년 6월 선군절로 정했다.[19]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기


김정일 통치 시기에는 주요 행사로 기념하지 않았지만,[8] 공식적인 공휴일 제정 이전에도 연례 행사가 있었다.[7] 2012년에 공식 공휴일 계획이 수면 위로 떠올랐으며,[9] 조선중앙통신사(KCNA)는 이미 그 당시 "선군절" 기념 행사를 보도했다.[10] 2013년 8월 25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에서 선군절을 휴식일로 제정했다.

2. 1. 선군정치 시작일 논란

초기에는 1995년 1월 1일 김정일이 평양 근교의 다박솔 초소를 방문한 날을 선군정치의 시작으로 보았다. 그러나 2005년 이후, 김일성과 김정일이 함께 1960년 8월 25일 류경수 105근위 땅크사단을 현지지도한 날로 변경되었다.[19] 당시 김정일은 18세였고 김일성종합대학에서 학업을 시작하기 전이었지만,[9] 표도르 터티스키는 "\[김정일이] 정치적 입지를 다지기 시작한 날짜로 보인다."라고 평가했다.[6]

2. 2. 선군절 제정 과정

김정일은 1995년 1월 1일 평양 근교의 다박솔 초소를 방문했는데, 이날을 선군정치의 시작으로 삼았다. 이후 김일성과 함께 1960년 8월 25일 류경수 105근위 땅크사단을 현지지도한 날을 기려 2000년대 초에 '''선군혁명 영도 기념일'''로 지정했다가 2005년 6월에 선군절로 정했다.[19]

김정일 통치 하에서는 주요 행사로 기념되지는 않았지만,[8] 공식적인 공휴일 제정 이전에도 연례 행사가 있었다.[7] 2012년에 공식 공휴일 계획이 수면 위로 떠올랐으며,[9] 조선중앙통신사(KCNA)는 이미 그 당시 "선군절" 기념 행사를 보도했다.[10] 김정은은 2012년 축제에서 "위대한 김일성과 김정일의 불멸의 빛나는 모습을 담은 깃발 아래 진군하는 우리에게는 오직 승리와 영광만이 있을 것이다"라는 제목의 연설을 했다.[11] [12]

2013년 8월 25일, 김정은은 ''로동신문''과 ''조선인민군''에 게재된 "김정일 동지의 선군혁명 위대한 사상과 업적을 영원히 빛내이자"라는 제목의 장문의 연설을 통해 이 공휴일을 공식적으로 발표했다.[13] [14] 다음 날인 8월 26일, 최고인민회의는 선군절을 연례 국가 공휴일로 제정하는 정령을 채택했다.[16]

3. 배경

김정일의 선군 지도력 역사는 2005년까지는 1995년 1월 1일 초소 방문으로 시작되었다고 제시되었으나, 2005년 이후 1960년으로 거슬러 올라갔다.[7] 선군절은 김일성과 함께 서울 류경수 근위 제105전차사단을 1960년 8월 25일 시찰한 것을 기념하며, 이 방문은 그의 선군 지도력의 시작으로 여겨진다. 표도르 터티스키에 따르면, 당시 18세로 김일성종합대학 학업을 시작하기 전이었던 김정일이[9] "정치적 입지를 다지기 시작한 날짜로 보인다."[6]

3. 1. 선군사상의 의미와 변화

'''선군'''(군사 우선)은 사회의 모든 문제를 군사적 문제에 우선순위를 둠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특유의 정치 이념이다. 그 뿌리는 1930년대 항일 무장 투쟁 시기 김일성의 활동에서 비롯되었지만,[4] 특히 김정일과 관련이 깊다. 최근에는 집권 조선로동당조선인민군의 이익을 조율하려는 김정은의 노력과 연관되어 왔다.[5] 표도르 터티스키에 따르면, 이 용어는 원래의 의미를 거의 잃고 이제 단순히 "좋은" 모든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선군절은 군대 자체보다는 김정일이라는 인물에 관한 것이다.[6]

3. 2. 헌법 개정과 선군사상 명문화

2009년 4월 9일 최고인민회의 제12기 제1차 회의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을 개정하여 전문에 있던 ‘공산주의’라는 단어를 삭제하고 대신 ‘선군사상’과 ‘주체사상’이라는 단어를 병기해 넣으면서 주체사상과 함께 선군사상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통치 이념에 추가해서 명문화했다.[1]

4. 기념

선군절에는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기와 공화국 국기를 게양하고, 군인들을 위한 축제, 전국적인 무도회,[7] 야외 콘서트,[17] 헌화, 역사 유적지 방문 등 여러 기념행사를 진행한다.[18][20]

4. 1. 국기 게양

선군절에는 기념행사가 진행되며, 인민군 부대와 구분대는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기를 게양하고, 국가기관, 기업소, 단체와 가정에서는 공화국 국기를 게양한다.[20]

4. 2. 기타 기념 행사

선군절에는 군인들을 위한 축제, 전국적인 무도회,[7] 야외 콘서트,[17] 헌화, 역사 유적지 방문 등 다양한 행사가 진행된다.[18]

참조

[1] 웹사이트 A Tale of Two and a Half Visits: Wu Dawei, and Rodman vs. The King http://sinonk.com/20[...] 2016-08-19
[2] 웹사이트 Adam Cathcart https://www.theguard[...] 2016-08-19
[3] 웹사이트 2014 Calendar Reveals Few Surprises http://www.dailynk.c[...] 2016-08-19
[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Scarecrow Press
[5] 서적 North Korea in Transition: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Rowman & Littlefield
[6] 웹사이트 The meaning of North Korea's "Songun Day" https://www.nknews.o[...] 2018-09-03
[7] 웹사이트 Defectors Say Day of Songun Is No Holiday http://www.dailynk.c[...] 2016-08-19
[8] 웹사이트 At anniversary event, official calls for N. Korean defense industry to modernize https://www.nknews.o[...] 2016-08-19
[9] 웹사이트 'Day of Songun' and the Ongoing Succession Process in North Korea https://adamcathcart[...] 2016-08-19
[10] 웹사이트 DPRK's Day of Songun Marked Worldwide http://www.kcna.co.j[...] 2016-08-19
[11] 간행물 2013 White Paper on Korean Unification http://eng.unikorea.[...] Ministry of Unification 2013
[12] 웹사이트 Only Victory and Glory Will Be in Store for Us Who are Advancing under the Unfurled Flag Bearing the Immortal Beaming Images of the Great Kim Il Sung and Kim Jong Il http://www.uk-songu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Songun Politics UK 2016-08-19
[13] 웹사이트 Kim Jong-un within Songun Legacy Politics http://sinonk.com/20[...] 2016-08-19
[14] 웹사이트 Kim Jong-un and the Songun Retrenchment: A Quintessential Equation http://sinonk.com/20[...] 2016-08-19
[15] 웹사이트 Kim Jong Un Publishes Talk on Day of Songun http://www.kcna.co.j[...] 2016-08-19
[16] 웹사이트 Day of Songun Instituted as National Holiday in DPRK http://www.kcna.co.j[...] 2016-08-21
[17] 웹사이트 NKorea missile test adds to 'Military First' celebration http://bigstory.ap.o[...] 2016-08-26
[18] 웹사이트 NK Media Watch – Aug 21 to 27 https://www.nknews.o[...] 2016-08-19
[19] 뉴스 북, 8월 25일 ‘선군절’로 제정 http://www.rfa.org/k[...] 자유아시아방송 2013-11-18
[20] 뉴스 北, 선군절을 국가적 명절, 휴식일로 제정 http://www.tongilnew[...] 통일뉴스 2013-1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