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섬개야광나무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섬개야광나무속(Cotoneaster)은 줄기가 구조적인 가지 성장과 꽃을 맺는 이형성을 보이며, 잎은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고, 꽃은 흰색, 분홍색, 빨간색 등 다양한 색상을 띤다. 열매는 작은 사과 모양으로 익으면 분홍색, 빨간색, 주황색 또는 검은색이 된다. 정원 관목으로 인기가 높으며, 일부 종은 침입성 잡초로 간주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의 식물상 - 슈가애플
    슈가애플은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재배되는 3~8m 높이의 반낙엽성 소교목 과일로, 단맛과 독특한 식감을 가지며 생식 외에 다양한 형태로 섭취되고 전통 의학에서도 활용된다.
  • 아프리카의 식물상 - 아라비아고무나무
    아라비아고무나무는 가축 사료, 토양 비옥화, 전통 의약품, 밧줄, 도구, 연료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특히 아라비아 고무를 생산하여 경제적인 가치가 높은 나무이다.
  • 사과나무족 - 마가목
    마가목은 한국과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낙엽 활엽수로, 붉은 열매와 아름다운 단풍이 특징이며 관상용으로 많이 심고 줄기 껍질은 약재로, 열매는 과실주나 잼 등으로 활용된다.
  • 사과나무족 - 모과나무
    모과나무는 가을에 향기로운 열매를 맺는 높이 10~18m의 낙엽 활엽수로, 관상수, 과수, 분재용으로 재배되며 열매는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인다.
  • 아시아의 식물상 - 쇠뜨기
    쇠뜨기는 뿌리줄기로 번식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어린 순은 식용 가능하고 이뇨 작용 효능이 있으며, 영양줄기와 생식줄기로 나뉘고 꽃 대신 포자로 번식하며, 전 세계에 분포하지만 강한 번식력으로 농작물에 피해를 주기도 하고, 약용 및 산업적으로 활용되나 과다 섭취 시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아시아의 식물상 - 아이비
    아이비는 담쟁이덩굴속 상록수 덩굴 식물의 총칭으로, 특히 헤데라 헬릭스는 유럽과 서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며 관상용으로 재배되지만 침입종으로 분류되기도 하고 약용으로도 쓰인다.
섬개야광나무속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Cotoneaster frigidus의 잎과 열매
Cotoneaster frigidus의 잎과 열매
학명Cotoneaster
학명 명명자Medik.
분류
식물계 (Plantae)
피자식물문 (Magnoliophyta)
쌍떡잎식물강 (Magnoliopsida)
장미목 (Rosales)
장미과 (Rosaceae)
아과나리아과 (Maloideae) 또는 시모츠케아과 (Spiraeoideae)
피레아에 (Pyreae)
아족피리나에 (Pyrinae)
특징
높이0.5 ~ 5m
서식 고도3000 ~ 4000m
기타일부 종은 높이 15m, 너비 75cm까지 자람

2. 특징

섬개야광나무속은 줄기가 이형성을 띠고, 잎은 어긋나게 배열되며, 늦봄에서 초여름에 다양한 색상의 꽃이 피고, 작은 사과 모양의 열매가 열리는 것이 특징이다.[3][4]

2. 1. 형태

줄기는 이형성을 띠며, 긴 줄기(약 10cm~40cm)는 구조적인 가지 성장을, 짧은 줄기(약 0.5cm~5cm)는 꽃을 맺습니다. 이러한 패턴은 종종 '청어 뼈' 형태의 분기를 보입니다. 잎은 어긋나게 배열되며, 길이 0.5cm~15cm의 타원형에서 피침형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합니다. 상록수와 낙엽수 종이 모두 존재합니다.

꽃은 늦봄부터 초여름까지 피어나며, 단독으로 피거나 최대 100송이까지 산방화서를 이룹니다. 꽃은 완전히 열리거나 다섯 개의 꽃잎이 반쯤 열려 있으며, 지름은 5mm~10mm입니다. 색상은 흰색에서 크림색, 옅은 분홍색에서 진한 분홍색, 거의 빨간색까지 다양하며, 10~20개의 수술과 최대 5개의 암술대가 있습니다. 열매는 작은 사과이며 지름은 5mm~12mm입니다. 익으면 분홍색 또는 밝은 빨간색, 주황색 또는 심지어 짙은 빨간색이나 검은색이 되며, 1~3개(드물게 최대 5개)의 씨앗을 포함합니다.[3][4]

2. 2. 생태

회색 검은밤나방, 얼룩물결밤나방, 짧은 망토 나방, 겨울밤나방, 사과무늬굴나방을 포함한 일부 나비목 유충의 먹이 식물로 사용된다. 꽃은 꿀벌나비를 유인하며 열매는 새들이 먹는다.

영국아일랜드에는 단 하나의 종만이 자생하지만, ''섬개야광나무속'' 식물 종은 관련 인 ''피라칸타속''과 함께 꿀의 원천이 된다. 붉은 열매는 검은지빠귀 및 다른 참새들에게 매우 매력적이다.

많은 종들이 재배지에서 벗어나 기후 조건이 적합한 곳에 귀화하여 침입성 잡초가 되었다. 예를 들어 북서부 유럽에는 많은 중국 종들이 귀화하였다.[20] ''섬개야광나무''는 호주[16]와 캘리포니아[17]에서 침입성 잡초가 되었다. ''C. simonsii''는 침입성 때문에 뉴질랜드 국가 해충 식물 협약에 등재되어 판매 및 유통이 금지되어 있다. 영국 도싯주 포틀랜드에서는 침입종이 되어 쥐라기 해안에 피해를 주는 것을 막기 위해 정기적으로 제거되고 있다.

2. 3. 생태적 가치

회색 검은밤나방, 얼룩물결밤나방, 짧은 망토 나방, 겨울밤나방, 사과무늬굴나방을 포함한 일부 나비목 유충의 먹이 식물로 사용된다. 꽃은 꿀벌과 나비를 유인하며 열매는 새들이 먹는다.

영국아일랜드에는 단 하나의 종만이 자생하지만, ''섬개야광나무속'' 식물 종은 관련 인 ''피라칸타속''과 함께 꿀의 원천이 된다. 붉은 열매는 검은지빠귀 및 다른 참새들에게 매우 매력적이다.

3. 분류

속명 ''Cotoneaster''는 모과의 라틴어 이름인 ''cotoneum''과 '닮은'을 의미하는 접미사 ''-aster''에서 유래되었다. 이 이름은 정확히 남성형이지만, 일부 오래된 문헌에서는 여성형으로 잘못 취급되어 많은 종의 이름 끝이 다르게 나타났다(예: ''Cotoneaster integerrima'' 대신 ''Cotoneaster integerrimus'').[3]

잡종으로 인해 상황이 복잡해지기도 하지만, 종은 대개 둘 이상의 절로 구분한다.[26][25][27][28][29][30][31]

3. 1. 하위 분류

섬개야광나무속은 종종 둘 이상의 절로 나뉘지만, 잡종에 의해 상황이 복잡해진다.[26][25][27][28][29][30][31][3]

  • '''섬개야광나무절'''(''Cotoneaster'' 절, ''Orthopetalum'' 절): 꽃은 단독으로 피거나 최대 6개까지 함께 피며, 꽃잎은 앞쪽을 향하고 종종 분홍색을 띤다. 대부분 작은 관목이다.
  • '''캐노페탈룸절'''(''Chaenopetalum'' 절): 꽃은 20개 이상이 산방꽃차례로 모여 피며, 꽃잎은 평평하게 퍼지고 크림색을 띤다. 대부분 큰 관목이다.

3. 2. 주요 종

학명우리말 이름(있는 경우)
C. acuminatus
C. acutifolius
C. acutiusculus
C. adpressus
C. aestivalis
C. affinis
C. afghanicus
C. aitchisoni
C. alashanensis
C. alatavicus
C. alaunicus
C. albokermesinus
C. allanderi
C. allochrous
C. altaicus
C. ambiguus
C. amoenus
C. amphigenus
C. annapurnae
C. angustifolius
C. angustus
C. antoninae
C. apiculatus
C. applanatus
C. arborescens
C. arbusculus
C. argenteus
C. armenus
C. arvernensis
C. ascendens
C. assadii
C. assamensis
C. astrophoros
C. ataensis
C. atlanticus
C. atropurpureus
C. atrovirens
C. atuntzensis
C. auranticus
C. bacillaris
C. baenitzii
C. bakeri
C. balticus
C. bilokonii
C. bisramianus
C. bitahaiensis
C. blinii
C. bodinieri
C. boisianus
C. borealichinensis
C. borealis
C. brachypodus
C. bradyi
C. brandisii
C. brevirameus
C. brickelli
C. browiczii
C. bullatus
C. bumthangensis
C. burmanicus
C. buxifolius
C. californicus
C. calocarpus
C. cambricus
C. camilli-schneideri
C. campanulatus
C. canescens
C. capsicinus
C. cardinalis
C. cashmiriensis
C. cavei
C. chaffanjonii
C. chailaricus
C. chengkangensis
C. chrysobotrys
C. chulingensis
C. chungtiensis
C. cinerascens
C. cinnabarinus
C. coadunatus
C. coccineus
C. cochleatus
C. commixtus
C. comptus
C. confusus
C. congestus
C. conspicuus
C. convexus
C. cooperi
C. cordatus
C. cordifolioides
C. cordifolius
C. coreanus
C. coriaceus
C. cornifolius
C. cossineus
C. crenulatus
C. creticus
C. crispii
C. cuilus
C. cuspidatus
C. daliensis
C. dammeri
C. daralagesicus
C. davidianus
C. decandrus
C. declinatus
C. degenensis
C. delavayanus
C. delphinensis
C. denticulatus
C. dielsianus
C. difficilis
C. discolor
C. dissimilis
C. distichus
C. divaricatus
C. dojamensis
C. dokeriensis
C. drogochius
C. duthieanus
C. elatus
C. elegans
C. ellipticus
C. emarginatus
C. emeiensis
C. encavei
C. eriocarpus
C. erratus
C. erzincanicus
C. esfandiarii
C. esquirolii
C. estonicus
C. falconeri
C. fangianus
C. farreri
C. fastigiatus
C. favargeri
C. fletcheri
C. flinckii
C. floccosus
C. floridus
C. fontanesii
C. formosanus
C. forrestii
C. fortunei
C. foveolatus
C. franchetii
C. frigidus
C. froebelii
C. fruticosus
C. fulvidus
C. gamblei
C. ganghobaensis
C. garhwalensis
C. genitianus
C. gesneri
C. gilgitensis
C. girardii
C. glabratus
C. glacialis
C. glaucophyllus
C. globosus
C. glomerulatus
C. goloskokovii
C. gonggashanensis
C. gotlandicus
C. gracilis
C. grammontii
C. granatensis
C. griffithii
C. guanmenensis
C. handel-mazzettii
C. harrovianus
C. harrysmithii
C. hebephyllus
C. hedegaardii
C. henryanus
C. hersianus
C. heterophyllus
C. hicksii
C. himaleiensis
C. himalayensis
C. hissaricus
C. hjelmqvistii
C. hodjingensis
C. hookeri
C. hookerianus
C. horizontalis
C. hsingshangensis
C. hualiensis
C. humifusus
C. humilis
C. hummelii
C. hunanensis
C. hupehensis
C. hurusawaianus
C. hylanderi
C. hymalaicus
C. hylmoei
C. hypocarpus
C. ichangensis
C. ignavus
C. ignescens
C. ignotus
C. improvisus
C. incanus
C. induratus
C. inexspectus
C. insculptus
C. insignis
C. insignoides
C. insolitus
C. integerrimus
C. integrifolius
C. intermedius
C. japonicus
C. juranus
C. kaganensis
C. kamaoensis
C. kangtinensis
C. kansuensis
C. karatavicus
C. karelicus
C. kaschkarovii
C. kerstanii
C. khasiensis
C. kingdonii
C. kirgizicus
C. kitaibelii
C. klotzii
C. koizumii
C. kongboensis
C. konishii
C. kotschyi
C. krasnovii
C. kullensis
C. kweitschoviensis
C. lacei
C. lacteus
C. laetevirens
C. laevis
C. lambertii
C. lamprofolius
C. lanatus
C. lancasteri
C. langei
C. langtangensis
C. lanshanensis
C. latifolius
C. laxiflorus
C. lesliei
C. leveillei
C. lidjiangensis
C. lindleyi
C. linearifolius
C. logginovae
C. lomahunensis
C. lucidus
C. ludlowii
C. luristanicus
C. macrocarpus
C. magnificus
C. mairei
C. majusculus
C. marginatus
C. marquandii
C. marroninus
C. mathonnetii
C. matrensis
C. megalocarpus
C. meiophyllus
C. melanocarpus
C. melanotrichus
C. meuselii
C. meyeri
C. microcarpus
C. microphyllus
C. milkedandai
C. mingkwongensis
C. miniatus
C. minimus
C. minitomentellus
C. minutus
C. mirabilis
C. misturatus
C. mongolicus
C. monopyrenus
C. montanus
C. morrisonensis
C. morulus
C. moupinensis
C. mucronatus
C. muliensis
C. multiflorus
C. nagaensis
C. nakai
C. naninitens
C. nanshan
C. nantaouensis
C. nanus
C. narynensis
C. nebrodensis
C. nedoluzhkoi
C. nefedovii
C. neo-antoninae
C. neopopovii
C. nepalensis
C. nervosus
C. nevadensis
C. newryensis
C. niger
C. nitens
C. nitidifolius
C. nitidus
C. nivalis
C. nohelii
C. notabilis
C. nudiflorus
C. nummularioides
C. nummularius
C. obovatus
C. obscurus
C. obtusisepalus
C. obtusus
C. oliganthus
C. oligocarpus
C. omissus
C. orbicularis
C. orientalis
C. osmastonii
C. ottoschwarzii
C. ovatus
C. pangiensis
C. pannosus
C. paradoxus
C. parkeri
C. parkinsonii
C. parnassicus
C. parvifolius
C. peduncularis
C. pekinensis
C. permutatus
C. perpusillus
C. poluninii
C. procumbens
C. prostratus
C. przewalskii
C. pseudoambiguus
C. racemiflorus
C. radicans
C. rehderi
C. reticulatus
C. rhytidophyllus
C. roseus
C. rotundifolius
C. rubens
C. salicifolius
C. salwinensis
C. sanbaensis
C. sandakphuensis
C. sanguineus
C. sargentii
C. saxatilis
C. saxonicus
C. scandinavicus
C. schantungensis
C. schlechtendalii
C. schubertii
C. serotinus
C. shannanensis
C. shansiensis
C. sherriffii
C. sichuanensis
C. sikangensis
C. sikkimensis
C. silvestrei
C. simonsii
C. smithii
C. soczavianus
C. soongoricus
C. sordidus
C. soulieanus
C. spathulatus
C. splendens
C. spongbergii
C. staintonii
C. sternianus
C. stracheyi
C. strigosus
C. suavis
C. subacutus
C. subadpressus
C. subalpinus
C. submultiflorus
C. suboblongus
C. subuniflorus
C. suecicus
C. svenhedinii
C. taitoensis
C. taiwanensis
C. takpoensis
C. taksangensis
C. talgaricus
C. tanpaensis
C. taoensis
C. tardiflorus
C. tauricus
C. taylorii
C. tebbutus
C. teijiashanensis
C. tengyuehensis
C. tenuipes
C. thimphuensis
C. thymifolius
C. tibeticus
C. tjuliniae
C. tkatschenkoi
C. tomentellus
C. tomentosus[19]솜털개야광나무
C. transcaucasicus
C. transens
C. trinervis
C. tsarongensis
C. tumeticus
C. turbinatus
C. turcomanicus
C. tytthocarpus
C. undulatus
C. uniflorus
C. uralensis
C. uva-ursi
C. uva-ursinus
C. uzbezicus
C. vandelaarii
C. veitchii
C. vernae
C. verokotschyi
C. verruculosus
C. vestitus
C. victorianus
C. villosulus
C. vilmorinianus
C. virgatus
C. vulgaris
C. wallichianus
C. wanbooyensis
C. wardii
C. washanensis
C. wattii
섬개야광나무 (C. wilsonii)
C. yakuticus
C. yalungensis
C. yuii
C. yulingkongensis
C. yulongensis
C. zabelii
C. zaprjagaevae
C. zayulensis
C. zeilingskii
C. zeravschanicus
C. zimmermannii
섬개야광나무속 가새잎개야광나무
섬개야광나무속 좁은잎개야광나무베이징개야광나무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덩굴개야광나무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자주열매개야광나무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아름다운개야광나무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크랜베리개야광나무 또는 뾰족잎개야광나무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위로 자라는 개야광나무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별모양개야광나무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자주색꽃개야광나무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열매벌어진개야광나무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Bois's cotoneaster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Brady's cotoneaster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호랑가시나무열매개야광나무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회양목잎개야광나무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쓰촨개야광나무
섬개야광나무속야생개야광나무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카슈미르개야광나무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윈난개야광나무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빽빽한개야광나무
섬개야광나무속티베트개야광나무
섬개야광나무속
섬개야광나무속Cooper's cotoneaster
섬개야광나무속


4. 재배 및 이용

섬개야광나무속은 매력적인 수형과 장식적인 열매 덕분에 정원 관목으로 매우 인기가 높다. 몇몇 재배 품종은 부모 종이 알려져 있는데, 매우 인기 있는 ''물러 개야광나무'' Exell (워터 개야광나무; ''C. frigidus'' × ''C. salicifolius'')가 그 예이며, 다른 품종들은 혼합 또는 알려지지 않은 계통을 가지고 있다.[4]

4. 1. 원예

섬개야광나무속은 매력적인 수형과 장식적인 열매로 인해 정원 관목으로 매우 인기가 높다. 몇몇 재배 품종은 부모 종이 알려져 있는데, 매우 인기 있는 ''물러 개야광나무'' Exell (워터 개야광나무; ''C. frigidus'' × ''C. salicifolius'')가 그 예이며, 다른 품종들은 혼합 또는 알려지지 않은 계통을 가지고 있다.[4]

다음 종과 재배 품종은 왕립 원예 협회의 가든 메리트상을 받았다.

종/품종
Cotoneaster atropurpureus Variegatus [5]
Cotoneaster conspicuus Decorus[6]
개야광나무 Cornubia [7]
Cotoneaster lacteus [8]
Cotoneaster procumbens Queen of Carpets [9]
개야광나무 Rothschildianus[10]
Cotoneaster salicifolius Gnom [11]
버드나무잎 개야광나무 Pink Champagne [12]
Cotoneaster sternianus [13]
개야광나무 × suecicus Coral Beauty[14]
개야광나무 × suecicus Juliette [15]


5. 침입성

많은 섬개야광나무속 종들이 재배지를 벗어나 기후 조건이 적합한 곳에서 침입성 잡초가 되었다. 예를 들어, 북서부 유럽에는 많은 중국 종들이 귀화했다.[20] 섬개야광나무는 호주[16]와 캘리포니아[17]에서 침입성 잡초가 되었다. ''C. simonsii''는 뉴질랜드 국가 해충 식물 협약에 등재되어 판매 및 유통이 금지되어 있다. 영국 도싯주 포틀랜드에서는 침입종이 되어 쥐라기 해안에 피해를 주는 것을 막기 위해 정기적으로 제거되고 있다.

참조

[1] 서적 Sunset Western Garden Book 1995
[2] 웹사이트 Cotoneaster http://www.efloras.o[...]
[3] 서적 Trees and Shrubs Hardy in the British Isles John Murray 1976
[4] 서적 New RHS Dictionary of Gardening Macmillan 1992
[5] 웹사이트 Cotoneaster atropurpureus 'Variegatus' https://www.rhs.org.[...] RHS 2020-05-05
[6] 웹사이트 Cotoneaster conspicuus 'Decorus' https://www.rhs.org.[...] RHS 2020-05-05
[7] 웹사이트 Cotoneaster 'Cornubia' https://www.rhs.org.[...] RHS 2020-05-05
[8] 웹사이트 Cotoneaster lacteus https://www.rhs.org.[...] RHS 2020-05-05
[9] 웹사이트 Cotoneaster procumbens 'Queen of Carpets' https://www.rhs.org.[...] RHS 2020-05-05
[10] 웹사이트 Cotoneaster 'Rothschildianus' https://www.rhs.org.[...] RHS 2020-05-05
[11] 웹사이트 Cotoneaster salicifolius 'Gnom' https://www.rhs.org.[...] RHS 2020-05-05
[12] 웹사이트 Cotoneaster salicifolius 'Pink Champagne' https://www.rhs.org.[...] RHS 2020-05-05
[13] 웹사이트 Cotoneaster sternianus https://www.rhs.org.[...] RHS 2020-05-05
[14] 웹사이트 Cotoneaster × suecicus 'Coral Beauty' https://www.rhs.org.[...] RHS 2020-05-05
[15] 웹사이트 Cotoneaster × suecicus 'Juliette' https://www.rhs.org.[...] RHS 2020-05-05
[16] 웹사이트 Weeds Australia – Weed Identification – Cotoneaster http://www.weeds.org[...] 2007-09-28
[17] 웹사이트 Cal-IPC: Invasive Plants of California's Wildlands. http://www.cal-ipc.o[...]
[18] 웹사이트 Poisonous Berries https://www.chop.edu[...] 2014-05-05
[19] 논문 Report of the Nomenclature Committee for Vascular Plants: 64
[20] 웹사이트 Cotoneaster species list http://ip30.eti.uva.[...] 2009-06-11
[21] 웹사이트 Cotoneaster http://www.efloras.o[...]
[22] 웹사이트 Cotoneaster http://rbg-web2.rbge[...]
[23] 웹사이트 Cotoneaster http://linnaeus.nrm.[...]
[24] 서적 Sunset Western Garden Book 1995
[25] 웹사이트 Cotoneaster http://www.efloras.o[...]
[26] 서적 Trees and Shrubs Hardy in the British Isles John Murray 1976
[27] 서적 New RHS Dictionary of Gardening Macmillan 1992
[28] 웹사이트 Cotoneaster species list http://ip30.eti.uva.[...] 2009-06-11
[29] 웹사이트 Cotoneaster http://www.efloras.o[...]
[30] 웹사이트 Cotoneaster http://rbg-web2.rbge[...]
[31] 웹사이트 Cotoneaster http://linnaeus.nr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