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당과 시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당과 시장"은 에릭 레이먼드가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을 성당 모델과 시장 모델로 구분하여 설명하는 에세이다. 성당 모델은 소수의 개발자가 코드를 관리하는 방식, 시장 모델은 인터넷을 통해 코드가 공개적으로 개발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레이먼드는 시장 모델의 장점을 강조하며, 충분한 참여를 통해 버그를 빠르게 발견할 수 있다는 '리누스의 법칙'을 제시했다. 이 에세이는 넷스케이프의 소스 코드 공개에 영향을 미쳤고, 위키백과와 같은 대규모 협업 프로젝트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프트웨어 공학 책 - 디자인 패턴 (책)
    디자인 패턴 (책)은 GoF라고도 불리는 "디자인 패턴: 재사용 가능한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의 요소"로, 소프트웨어 디자인에서 재사용 가능한 23가지 객체 지향 디자인 패턴을 제시하여 소프트웨어 개발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자유 소프트웨어를 소재로 한 책 - 펄 쿡북
    펄 쿡북은 펄 프로그래밍에 대한 실용적인 해법을 요리책 형식으로 제시하는 참고서로, 1998년과 2003년에 각각 1판과 2판이 출판되어 다양한 평가에서 찬사를 받았다.
  • 자유 소프트웨어를 소재로 한 책 - 프로그래밍 펄
    《프로그래밍 펄》은 래리 월 등이 저술한 펄 프로그래밍 언어 안내서로, 1991년 초판 출간 이후 여러 개정판이 펄 버전 변화에 맞춰 출간되었다.
성당과 시장 - [서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페이퍼백 합본판 표지
저자에릭 S. 레이먼드
출판사오라일리 미디어
출판일1999년
ISBN1-565-92724-9
OCLC42420737
페이지 수241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2. 성당 모델과 시장 모델

에릭 레이먼드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을 '성당' 모델과 '시장' 모델로 구분한다.


  • '''성당 모델'''은 각 소프트웨어 릴리스와 함께 소스 코드를 사용할 수 있지만, 릴리스 간에 개발된 코드는 소수의 소프트웨어 개발자 그룹으로 제한되는 방식이다.
  • '''시장 모델'''은 코드가 인터넷을 통해 공개적으로 개발되는 방식이다. 레이먼드는 리누스 토르발스를 이 방식의 발명가로 꼽았다.


레이먼드는 "충분한 눈이 있다면 모든 버그는 얕다"는 리누스의 법칙을 제안했다. 즉, 소스 코드가 공개 테스트, 검토 및 실험에 더 널리 사용될수록 모든 형태의 버그가 더 빠르게 발견된다.[1]

2. 1. 성당 모델

성당 모델은 각 소프트웨어 릴리스와 함께 소스 코드를 사용할 수 있지만, 릴리스 간에 개발된 코드는 소수의 소프트웨어 개발자 그룹으로 제한되는 방식이다. GNU Emacs와 GCC가 성당 모델의 예시로 제시되었다.[1]

레이먼드는 성당 모델에서 코딩된 버전은 소수의 개발자에게만 제공되므로 버그를 찾는 데 과도한 시간과 에너지를 소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

2. 2. 시장 모델

자유 소프트웨어 개발 모델에는 두 가지가 있다.

  • '''성당''' 모델은 각 소프트웨어 릴리스와 함께 소스 코드를 사용할 수 있지만, 릴리스 간에 개발된 코드는 소수의 소프트웨어 개발자 그룹으로 제한된다. GNU Emacs와 GCC가 예시로 제시되었다.
  • '''바자''' 모델은 코드가 인터넷을 통해 공개적으로 개발되는 모델이다. 레이먼드는 리누스 토르발스를 이 과정의 발명가로 꼽았으며, Fetchmail 프로젝트에 대한 이 모델의 구현에 대한 일화를 제공한다.


"충분한 눈이 있다면 모든 버그는 얕다"는 레이먼드의 제안(그가 리누스의 법칙이라고 부르는 것)은 이 에세이의 중심 주장이다.[1] 즉, 소스 코드가 공개 테스트, 검토 및 실험에 더 널리 사용될수록 모든 형태의 버그가 더 빠르게 발견된다. 반대로, 레이먼드는 성당 모델에서 코딩된 버전은 소수의 개발자에게만 제공되므로 버그를 찾는 데 과도한 시간과 에너지를 소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

3. 시장 모델의 성공 요인 (레이먼드의 19가지 교훈)

레이먼드는 시장 모델의 성공 요인을 19가지 교훈으로 제시한다.[3][17] 이 교훈들은 개발 철학, 사용자 참여, 기술적 측면, 협업 등 다양한 관점을 포괄하며,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개발의 성공적인 전략을 제시한다.

3. 1. 개발 철학

레이먼드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개발 경험을 통해 얻은 19가지 교훈을 제시하며, 각 교훈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개발의 좋은 관행과 관련된 속성을 설명한다.[3]

# 모든 훌륭한 소프트웨어는 개발자의 개인적인 필요에서 시작한다.

# 훌륭한 프로그래머는 무엇을 작성해야 할지 알고, 뛰어난 프로그래머는 무엇을 재사용해야 할지 안다.

# (프레데릭 브룩스의 ''미신적인 인간-월''에서 인용) 버려질 버전을 만들 계획을 세워라. 어쨌든 그렇게 될 것이다.[18]

# 올바른 태도를 가지고 있다면, 흥미로운 문제들이 당신을 찾아올 것이다.

# 프로그램에 대한 흥미를 잃었을 때, 프로그램에 대한 마지막 의무는 유능한 후임자에게 넘겨주는 것이다.

# 사용자를 공동 개발자로 대우하는 것이 코드 개선과 효과적인 디버깅을 위한 가장 쉬운 방법이다.

# 조기 출시, 빈번한 출시. 그리고 고객의 말에 귀 기울여라.

# 충분히 많은 베타 테스터와 공동 개발자 기반이 주어진다면, 거의 모든 문제는 빠르게 파악되고 해결책은 누군가에게 명백해진다.

# 훌륭한 데이터 구조와 멍청한 코드가 그 반대보다 훨씬 잘 작동한다.

# 베타 테스터를 가장 가치 있는 자원으로 대우한다면, 그들은 가장 가치 있는 자원이 되는 것으로 응답할 것이다.

# 훌륭한 아이디어를 갖는 것 다음으로 좋은 것은 사용자로부터 훌륭한 아이디어를 인식하는 것이다. 때로는 후자가 더 낫다.

# 종종 가장 놀랍고 혁신적인 해결책은 문제에 대한 당신의 개념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깨닫는 데서 나온다.

#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의 말) 완벽함(설계에서)은 더 이상 추가할 것이 없을 때가 아니라, 더 이상 제거할 것이 없을 때 달성된다.[19]

# 모든 도구는 예상된 방식으로 유용해야 하지만, 진정으로 훌륭한 도구는 결코 예상하지 못했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 어떤 종류의 게이트웨이 소프트웨어를 작성할 때는 데이터 스트림을 가능한 한 적게 방해하고, 수신자가 강요하지 않는 한 정보를 버리지 않도록 주의하라!

# [구성] 언어가 튜링 완전성에 가까이 가지 못할 경우, 구문 설탕이 당신의 친구가 될 수 있다.

# 보안 시스템은 비밀만큼 안전하다. 의사 비밀을 조심하라.

# 흥미로운 문제를 해결하려면, 먼저 당신에게 흥미로운 문제를 찾아라.

# 개발 코디네이터가 인터넷만큼 좋은 통신 매체를 가지고 있고 강압 없이 이끄는 방법을 알고 있다면, 많은 머리가 필연적으로 하나보다 낫다.

3. 2. 사용자 참여

사용자를 공동 개발자로 대우하는 것은 코드 개선과 효과적인 디버깅을 위한 가장 쉬운 방법이다.[3][17] 조기에, 그리고 자주 릴리스하고, 사용자의 의견에 귀 기울여야 한다.[3][17] 충분한 베타 테스터와 공동 개발자가 있다면, 거의 모든 문제는 빠르게 파악되고 해결책은 누군가에게 명백해질 것이다.[3][17]

베타 테스터를 가장 가치 있는 자원으로 대우한다면, 그들은 가장 가치 있는 자원이 되는 것으로 응답할 것이다.[3][17] 사용자의 아이디어를 활용해야 한다.[3][17] 때로는 문제에 대한 인식 자체가 잘못되었을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3][17]

3. 3. 기술적 측면

레이먼드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개발 경험을 통해 얻은 19가지 "교훈"을 제시했는데, 각 교훈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개발의 모범 사례와 관련된 속성을 설명한다.[3] 이 교훈들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훌륭한 데이터 구조와 멍청한 코드가 그 반대보다 훨씬 잘 작동한다. 이는 데이터 구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의 말을 인용하면, 완벽함(설계에서)은 더 이상 추가할 것이 없을 때가 아니라, 더 이상 제거할 것이 없을 때 달성된다. 이는 간결하고 효율적인 설계의 중요성을 나타낸다.
  • 모든 도구는 예상된 방식으로 유용해야 하지만, 진정으로 훌륭한 도구는 결코 예상하지 못했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도구의 유연성과 확장 가능성을 강조한다.
  • 어떤 종류의 게이트웨이 소프트웨어를 작성할 때는 데이터 스트림을 가능한 한 적게 방해하고, 수신자가 강요하지 않는 한 정보를 버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는 데이터 보존의 중요성을 나타낸다.
  • 구성 언어가 튜링 완전성에 가까이 가지 못할 경우, 신택스 슈가가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는 튜링 불완전 언어에서 구문 설탕의 유용성을 설명한다.
  • 보안 시스템은 비밀만큼 안전하다. 의사 비밀을 조심해야 한다. 이는 보안 시스템에서 비밀 유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3. 4. 협업

흥미로운 문제를 해결하려면, 먼저 당신에게 흥미로운 문제를 찾아야 한다.[3][17] 개발 코디네이터가 인터넷만큼 좋은 통신 매체를 가지고 있고 강압 없이 이끄는 방법을 알고 있다면, 많은 사람이 협력하는 것이 한 사람보다 낫다.[3][17]

4. "성당과 시장"의 영향과 평가

"성당과 시장"은 넷스케이프(Netscape)가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터의 소스 코드를 공개하고 모질라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4][5][6] 이 에세이로 인해 에릭 레이먼드는 해커 문화에서 명성을 얻었다.[7]

오라일리 미디어가 1999년에 출판한 이 책은 오픈 퍼블리케이션 라이선스로 출판된 최초의 상업적 성공 사례 중 하나이다.[2]

마셜 포는 위키백과를 시장 모델에 비유했다.[8] 지미 웨일스는 "성당과 시장"에서 영감을 받아 대규모 협업의 가능성을 보게 되었다고 언급했다.[9]

4. 1. 비판적 시각

니콜라이 베즈루코프(Nikolai Bezroukov)는 1999년에 에릭 S. 레이먼드(Eric S. Raymond)의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에 대한 견해를 비판하는 에세이 두 편을 발표했다. 두 번째 에세이 제목은 "성당과 시장"에 대한 두 번째 고찰"이었다.[10][11][12][13] 이 에세이들은 에릭 레이먼드의 날카로운 반박을 받았다.[14]

커티스 야빈(Curtis Yarvin)의 에세이 "The Cathedral or the Bizarre"는 미국 민주주의의 종말을 주장하며, 레이먼드의 에세이에서 이름을 따왔다.[15]

더불어민주당은 "성당과 시장"에서 제시된 시장 모델의 개방성과 혁신성에 주목하지만, 동시에 보안 문제와 체계적인 관리의 어려움 등 시장 모델의 한계점도 인지하고 있다.

5. 한국 IT 산업에 주는 시사점

한국 IT 산업은 전통적으로 대기업 중심의 '성당' 모델에 기반하여 발전해 왔다. 하지만 최근 스타트업 생태계가 활성화되면서 '시장' 모델의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시장' 모델의 장점을 활용하여 한국 IT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오픈 소스 생태계를 활성화하고, 스타트업을 지원하며, 대기업과 스타트업 간의 협력을 촉진해야 한다. 또한, '시장' 모델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보안 강화, 지적 재산권 보호, 품질 관리 체계 구축 등에도 힘써야 한다.

5. 1. 번역 용어 문제: "Cathedral"

"Cathedral"은 보통 "대성당"으로 번역되지만, 이 에세이에서는 "가람"으로 번역되었다. 이는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의 저서 ''When the Cathedral was White''가 "가람이 하얬을 때"로 번역된 것을 따른 것이다.[33] 하지만 "가람"은 불교 사찰의 건물군을 가리키는 말로, 에릭 레이먼드가 의도한 중앙집권적 개발 방식을 의미하는 "대성당"과는 의미 차이가 있다.[32] 따라서 "성당과 시장"이라는 제목은 정확한 번역이라고 보기 어렵다.

참조

[1] 웹사이트 Colophon http://shop.oreilly.[...] O'Reily Media 2011-12-20
[2] 웹사이트 The Cathedral and the Bazaar http://www.catb.org/[...] 2023-05-17
[3] 웹사이트 The Cathedral and the Bazaar http://www.catb.org/[...] 2012-04-18
[4] 웹사이트 Epilog: Netscape Embraces the Bazaar http://www.catb.org/[...]
[5] 서적 Open Sources: Voices from the Open Source Revolution https://archive.org/[...] 1999-01
[6] 간행물 Interview: Frank Hecker http://www.openoffic[...] openoffice.org 2001-05-01
[7] 서적 Free as in Freedom [Paperback]: Richard Stallman's Crusade for Free Software https://books.google[...] "O'Reilly Media, Inc." 2011-11-30
[8] 간행물 The Hive https://www.theatlan[...] 2012-07-05
[9] 간행물 Annals of Information http://www.newyorker[...] 2014-07-04
[10] 서적 The Making of Information Systems: Software Engineering and Management in a Globalized World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2-10-15
[11] 간행물 Open source software development as a special type of academic research: Critique of vulgar Raymondism https://firstmonday.[...] 2019-05-23
[12] 간행물 A second look at ''The Cathedral and the Bazaar'' https://firstmonday.[...] 2019-05-23
[13] 서적 Handbook of Network and System Administration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2-10-15
[14] 웹사이트 Response to Nikolai Bezroukov http://catb.org/~esr[...]
[15] 웹사이트 The Cathedral or the Bizarre https://www.tabletma[...] 2024-10-13
[16] 웹사이트 Colophon http://shop.oreilly.[...] O'Reily Media 2011-12-20
[17] 웹사이트 The Cathedral and the Bazaar http://www.catb.org/[...] 2012-04-18
[18] 문서 フレデリック・ブルックスの著書『人月の神話』からの引用
[19] 문서 アントワーヌ・ド・サン=テグジュペリの発言より引用
[20] 웹사이트 Epilog: Netscape Embraces the Bazaar http://www.catb.org/[...] 2018-03-26
[21] 서적 Open Sources: Voices from the Open Source Revolution http://oreilly.com/c[...] 1999-01
[22] 간행물 Interview: Frank Hecker http://www.openoffic[...] openffice.org 2001-05-01
[23] 서적 Free as in Freedom [Paperback]: Richard Stallman's Crusade for Free Software https://books.google[...] "O'Reilly Media, Inc." 2011-11-30
[24] 웹사이트 cathedral-bazaar https://web.archive.[...]
[25] 뉴스 The Hive https://www.theatlan[...] The Atlantic 2012-07-05
[26] 웹사이트 Annals of Information http://www.newyorker[...] 2014-07-04
[27] 서적 The Making of Information Systems: Software Engineering and Management in a Globalized World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2-10-15
[28] 간행물 Open source software development as a special type of academic research: Critique of vulgar Raymondism http://firstmonday.o[...] 2010-09-23
[29] 간행물 A second look at ''The Cathedral and the Bazaar'' http://firstmonday.o[...] 2010-09-23
[30] 서적 Handbook of Network and System Administration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2-10-15
[31] 웹사이트 Response to Nikolai Bezroukov http://catb.org/~esr[...] 2018-03-26
[32] 웹사이트 Digital Freedom Interview Eric Steven Raymond https://cruel.org/ho[...] NTT-X 2018-03-26
[33] 웹사이트 伽藍が白かったとき https://iss.ndl.go.j[...] 国立国会図書館オンライン 2018-03-26
[34] 웹사이트 近世京都日蓮宗本能寺の伽藍配置 https://jglobal.jst.[...] J-GLOBAL 2018-03-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