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별 기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별 기호는 생물학, 의학, 계보학, 언어학, 공공 화장실, 성적 지향 및 성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호이다. 생물학 및 의학에서는 수컷(♂), 암컷(♀), 자웅동체(⚥)를 나타내며, 1751년 칼 린네가 식물의 성별을 표시하기 위해 처음 사용했다. 계보학에서는 남성을 삼각형, 여성을 원으로 표시하며, 언어학에서는 문법적 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공공 화장실에서는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는 그림 문자로 사용되며, 성적 지향 및 성 정치에서는 게이, 레즈비언, 양성애자, 트랜스젠더 등을 나타내는 변형된 기호가 사용된다. 유니코드에는 다양한 성별 기호가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호 - 평화 기호
    평화 기호는 고대부터 사용된 올리브 가지, 비둘기 외에도 1958년 핵무기 폐기 운동에서 처음 사용된 기호, 즉 핵무기 폐기를 뜻하는 수기 신호 'N'과 'D'의 조합 등을 포함하며, 전쟁 반대 및 평화 운동의 상징으로 널리 사용된다.
  • 기호 - 카르투슈
    카르투슈는 고대 이집트에서 파라오의 이름을 새기는 데 사용된 타원형 장식틀로, 대중문화에서 고대 이집트 배경 작품의 소품으로 등장하며 스토리 전개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젠더와 사회 - 부권제
    부권제는 가부장제라고도 불리며 남성이 권력을 쥐고 사회 전반을 지배하는 제도로, 여성주의 이론에서는 여성을 억압하는 불평등한 사회 구조로 규정하며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되고 비판적으로 고찰된다.
  • 젠더와 사회 - 성별격리
    성별격리는 남녀의 생물학적 차이에 근거하여 법률, 사회적 압력, 역사적 관행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분리 현상으로, 물리적 공간 분리, 특정 직업 배제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안전, 종교, 교육 등 여러 이유로 정당화되지만 성차별, 불평등, 사회화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논쟁의 대상이 된다.
성별 기호
기호 정보
여성 및 남성 기호
여성 및 남성 기호
유니코드여성 기호
남성 기호
관련 항목행성 기호
성별

젠더
성 역할
성소수자
생물학적 성 결정
사회적 성 역할
다른 기호와 구별섹스 심벌
역사 및 기원
어원여성 기호 (♀): 베누스의 손거울
남성 기호 (♂): 마르스의 방패와 창
관련 서적Mantissa Plantarum
Mantissa Plantarum Altera
논문제목: The Origin of the Male and Female Symbols of Biology (생물학적 남성 및 여성 기호의 기원)
저자: William T. Stearn
학술지: Taxon
발행일: 1962년 5월
권: 11
호: 4
페이지: 109–113
DOI: 10.2307/1217734
기타 성별 및 성적 지향 기호
기타 기호(양성)
(남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여성)
(남성)
화장실 표지판
화장실 표지판폴란드: 남성 (삼각형), 여성 (원)
리투아니아: 남성 (역 피라미드), 여성 (피라미드)
영국 철도 (1960년대 중반): 직관적인 글로벌 표지판
미국 교통부 (1974년): 미국 그래픽 아트 협회 의뢰, 대중 교통 네트워크 전반에 사용되는 픽토그램 세트 제작
참고 자료http://www.bbc.com/future/story/20140911-the-genius-of-toilet-signs
기타
일본어성별 기호: 性別記号 (Seibetsu kigō)
발견!: 세계에 보급된 화장실 마크(그림 문자・픽토그램)는 일본발이라고 알고 있었습니까?
http://w-concept.jp/tatebayashijou/cityhall/tanaka_ikko.html

2. 생물학 및 의학

생물학 및 의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표준 성별 기호는 수컷을 나타내는 ♂, 암컷을 나타내는 ♀, 자웅동체를 나타내는 ⚥ 세 가지이다.[1] 이 기호들은 1751년 칼 린네가 식물의 성별을 표시하기 위해 처음 사용했는데, 수술만 있는 수컷은 ♂, 암술만 있는 암컷은 ♀, 암술과 수술을 모두 가진 양성화는 ⚥로 나타냈다.[1]

이 기호들은 현재 생물학과 의학에서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성별을 나타내는 데 널리 사용되며,[4] 예를 들어 환자의 성별을 표시할 때 사용된다.

기호유니코드명칭
U+263F수성 기호 (유전자 분석 등에서 미성숙 암컷을 나타내거나, 식물학에서 자웅동체를 나타낼 때 사용)


2. 1. 생물학적 성별 기호

칼 린네는 1751년에 식물의 성별을 나타내기 위해 처음으로 성별 기호를 사용했다.[1] 수컷 기호(♂)는 화성과 창을 형상화한 것이고, 암컷 기호(♀)는 금성과 손거울을 형상화한 것이다.[26] 자웅동체 기호(⚥)는 수성 기호와 암컷 기호를 결합한 형태이다.

생물학과 의학에서는 이 기호들을 사용하여 환자와 같은 개체의 성별을 나타낸다.[4] 과학 논문에 게재된 계통도에서는 수컷은 정방형, 암컷은 원으로 표시한다.[28]

기호유니코드명칭
U+2642수컷 기호[30]
U+2640암컷 기호[30]
U+26A5남성과 여성 기호[30]


2. 2. 계통도에서의 성별 기호

과학 논문에 게재되는 계통도에서는 수컷을 나타내기 위해 사각형(□)을, 암컷을 나타내기 위해 원(○)을 사용한다.[7][28]

기호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명칭 · 비고
96331-2-2정방형. 계통도에서 수컷을 나타낸다.[28] 삼각형도 사용된다.
96751-1-91원. 계통도에서 암컷을 나타낸다.[28]


3. 계보학

친족 관계 차트에서는 남성을 삼각형(△)으로, 여성을 원(○)으로 표시한다.[6] 과학 논문에 게재되는 족보 차트에서는 남성을 사각형(□)으로, 여성을 원(○)으로 표시하는 이전의 인류학적 관례를 따른다.[7]

4. 언어학

언어학에서 '문법적 성' 체계는 명사류 체계의 특정 형태로서, 명사가 해당 명사가 지칭하는 실체의 실제 세계적 특성과 종종 관련이 없는 성 범주에 할당된다. 문법적 성이 있는 언어에서 대부분 또는 모든 명사는 본질적으로 '남성', '여성', '중성'과 같은 ''성''이라고 하는 문법 범주의 한 값을 갖는다. ♀ (U+2640) 및 ♂ (U+2642) 외에도 유니코드는 중성 기호 ⚲ (U+26B2)를 포함한다.

5. 공공 화장실



기호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명칭
🚹︎U+01F6B9-남성 기호 (MENS SYMBOL)
🚺︎U+01F6BA-여성 기호 (WOMENS SYMBOL)
🚻︎U+01F6BB-화장실 (RESTROOM)



성별 기호의 픽토그램은 공중 화장실을 나타내는 기호로 자주 사용된다.

5. 1. 다양한 화장실 기호

화장실에 사용되는 현대적인 성별 기호는 1960년대 중반 영국 철도 시스템을 위해 만들어졌다.[10] 그 전에는 지역별로 다양한 기호가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19세기 미국 변소의 학교 건물에는 남학생과 여학생이 사용하도록 별 모양 또는 초승달 모양으로 된 환기 구멍이 문에 있었다.[11] 영국 철도 그림 문자는 종종 파란색과 빨간색으로 색상이 지정되어 있으며, 여성 기호는 삼각 치마 또는 드레스, 남성 기호는 턱시도처럼 양식화되어 있어 세계 대부분의 공공 화장실을 표시하는 표준이 되었다.[3]

이러한 기호는 국가마다 다르게 표현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이동식 화장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원과 삼각형 변형(
24x24px
(남성) 및 -- (여성))이 있으며, 리투아니아에서는 여성의 경우 삼각형(치마 또는 드레스) 및 남성의 경우 뒤집힌 삼각형(넓은 어깨의 턱시도)으로 더욱 추상화되기도 한다.[3]

초등학교에서는 그림 문자가 성인이 아닌 아이일 수 있으며, 여아는 머리카락으로 구별된다. 술집 및 관광 명소와 같은 테마 장소에서는 남녀 또는 남학생과 여학생의 테마 이미지 또는 조각상을 사용할 수 있다.

폴란드에서는 뒤집힌 삼각형이 남성을 위해 사용되는 반면 원은 여성을 위해 사용된다.[3]

중국 본토에서는 머리 옆모습의 실루엣이 성별 그림 문자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남성 (男)과 여성 (女)을 나타내는 중국어 문자와 함께 사용된다.[12]

공공 장소의 화장실 표시에 대한 일부 현대 디자인은 보다 포괄적인 방식으로 성별을 이분법으로 나타내는 기호에서 벗어나고 있다.[13][14]

접근 가능한 성 중립 기호 아이콘

6. 성적 지향 및 성 정치

1970년대부터 성적 지향과 성 정치를 표현하기 위해 성별 기호의 변형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두 개의 맞물린 남성 기호(⚣)는 게이 남성을, 두 개의 맞물린 여성 기호(⚢)는 레즈비언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15] 맞물린 여성 기호와 남성 기호(⚤)는 이성애를 나타낸다.[20]

레즈비언 및 게이 남성의 성별 기호


결합된 남성-여성 기호(⚥)는 양성애를 나타내며, 여성(♀) 및 남성(♂) 기호와 함께 결합된 ⚧ 기호는 성 포괄성을 나타낸다. 하지만 ⚧ 기호는 트랜스젠더 기호로도 사용된다.[16][17] 줄이 그어진 남성 기호(⚦)는 트랜스젠더 사람들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2000년대 이후로 LGBT 문화와 정치의 맥락에서 수많은 변형된 성별 기호가 도입되었다.[20] 이러한 기호 중 일부는 2005년 버전 4.1부터 유니코드에 채택되었다(기타 기호 블록에서).

유니코드 명칭기호16진값10진값
Doubled male sign[30]U+26A3⚣
Doubled female sign[30]U+26A2⚢
Interlocked male and female sign[30]U+26A4⚤
Male with stroke and male and female sign[30]U+26A7⚧
Male with stroke sign[30]U+26A6⚦
Male and female sign[30]U+26A5⚥


7. 유니코드

유니코드 명칭기호16진값10진값
여성 기호[30]U+2640♀
남성 기호[30]U+2642♂
수성[31]U+263F☿
겹쳐진 남성 기호[30]U+26A3⚣
겹쳐진 여성 기호[30]U+26A2⚢
맞물린 남성 및 여성 기호[30]U+26A4⚤
획이 있는 남성 기호와 남성 및 여성 기호[30]U+26A7⚧
획이 있는 남성 기호[30]U+26A6⚦
남성 및 여성 기호[30]U+26A5⚥
중간 흰색 원[32]⚪︎U+26AA⚪
남성 화장실 기호[33]🚹︎U+01F6B9🚹
여성 화장실 기호[34]🚺︎U+01F6BA🚺
화장실 기호[35]🚻︎U+01F6BB🚺



유니코드에는 기본적인 성별 기호(♂, ♀) 외에도 남성/여성 기호(⚥), 획이 있는 남성 기호(⚦), 획이 있는 남성 기호와 남성 및 여성 기호(⚧) 등이 포함되어 있다.[30] 화장실 기호(🚹, 🚺, 🚻)도 유니코드에 포함되어 있다.[33][34][35]

참조

[1] 논문 The Origin of the Male and Female Symbols of Biology 1962-05
[2] 논문 Botanical symbols: a new symbol set for new images https://academic.oup[...] 2010-02
[3] 웹사이트 The genius behind the stick figure toilet signs http://www.bbc.com/f[...] 2014-09-11
[4] 논문 A HIV-1 heterosexual transmission chain in Guangzhou, China: a molecular epidemiological study BioMed Central 2009-09-25
[5] 서적 Hermaphrodites and the Medical Invention of Sex 1998
[6] 웹사이트 8.1: Kinship Diagrams https://socialsci.li[...] 2024-12-08
[7] 논문 Sex symbols ancient and modern: their origins and iconography on the pedigree British Medical Journal 2005-12-24
[8] 서적 Systems of consanguinity and affinity of the human family http://archive.org/d[...] Washington, Smithsonian Institution 1870
[9] 웹사이트 Visual Kinship https://histanthro.o[...] 2018-07-24
[10] 웹사이트 The genius behind stick figure toilet signs https://www.bbc.com/[...] BBC 2014-09-11
[11] 서적 The Little Red Schoolhouse: A Sketchbook of Early American Education Dover Books 2007
[12] 웹사이트 Chinese Toilet {{!}} What to Expect (including Squat Toilets) https://www.travelch[...] 2023-06-02
[13] 논문 Inclusive Restroom Design 2018
[14] 논문 Tip of the Icon: Examining Socially Symbolic Indexical Signage 2017
[15] 웹사이트 Symbolism http://castle.eiu.ed[...] Eastern Illinois University 2015-12-31
[16] 웹사이트 Transgender Symbol https://www.genderta[...] 1994-07
[17] 웹사이트 History of Transgender Symbolism http://transgenderso[...] 2015
[18] 웹사이트 Mercury, hermaphrodite, intersex, gender, sex, gender identity, sexuality icon https://www.iconfind[...]
[19] 웹사이트 Unicode Asexuality Character https://www.sexualdi[...] 2022-11-06
[20] 서적 Signs & Symbols of the World: Over 1,001 Visual Signs Explained The Quarto Group 2020
[21] 웹사이트 Miscellaneous Symbols {{!}} Gender symbols https://www.unicode.[...] Unicode Consortium
[22] 웹사이트 Transport and Map Symbols{{snd}} Range: 1F680–1F6FF{{snd}} 1F6B9 https://www.unicode.[...]
[23] 웹사이트 世界中に広まる男女が並ぶトイレマークは、日本で生まれたって本当?【日本の不思議】 http://tabizine.jp/2[...]
[24] 웹사이트 【発見!】 世界に普及したトイレのマーク(絵文字・ピクトグラム)は日本発と知ってましたか? http://w-concept.jp/[...]
[25] 웹사이트 The genius behind the stick figure toilet signs http://www.bbc.com/f[...] 2014
[26] 논문 The Origin of the Male and Female Symbols of Biology 1962-05
[27] 논문 A HIV-1 heterosexual transmission chain in Guangzhou, China: a molecular epidemiological study http://virologyj.bio[...] BioMed Central 2009-09-25
[28] 논문 Sex symbols ancient and modern: their origins and iconography on the pedigree http://www.bmj.com/c[...] British Medical Journal 2005-12-24
[29] 웹사이트 Symbolism http://castle.eiu.ed[...] Eastern Illinois University
[30] 웹인용 Gender symbols https://www.unicode.[...]
[31] 웹인용 Unicode Utilities: Character Properties http://unicode.org/c[...]
[32] 웹인용 Miscellaneous Symbols{{snd}} Range: 2600–26FF{{snd}} 26AA https://www.unicode.[...]
[33] 웹인용 Transport and Map Symbols{{snd}} Range: 1F680–1F6FF{{snd}} 1F6B9 https://www.unicode.[...]
[34] 웹인용 Transport and Map Symbols{{snd}} Range: 1F680–1F6FF{{snd}} 1F6BA https://www.unicode.[...]
[35] 웹인용 Transport and Map Symbols{{snd}} Range: 1F680–1F6FF{{snd}} 1F6BB https://www.unicod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