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별격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별 격리는 남성과 여성의 생물학적 구분에 따른 분리를 의미하며, 법률, 사회적 압력, 역사적 관행 등에 의해 발생한다. 이는 의무적, 행정적, 허용적, 자발적 형태로 나타나며, 공공 및 사적 환경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분류된다. 성별 격리는 안전, 사생활 보호, 종교적 또는 문화적 관념, 교육적 효과 등을 위해 시행될 수 있으며, 페미니즘 이론에서는 평등 대우, 차이 페미니즘, 반종속, 비판적 인종 페미니즘, 반본질주의 등 다양한 관점에서 성별 격리의 원인과 결과를 분석한다. 성별 격리는 인간 발달과 경제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며, 고등 교육, 직업 선택, 직업 만족도, 성별 분업, 가족 역할, 자산 소유 등에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성세계 - 아마조네스
    아마조네스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여성 전사 부족으로, 트로이아 전쟁 시기 흑해 연안에 여인 왕국을 건설한 것으로 전해지며, 다양한 어원 설과 함께 예술 작품 및 현대 매체에서 재해석되고 있다.
  • 단성세계 - 에이리언 3
    에이리언 3는 엘렌 리플리가 살인범 수감 행성 피오리나 161에 불시착하여 에이리언과 싸우며 웨이랜드-유타니사의 음모에 맞서 희생하는 이야기를 그린 1992년 미국 SF 공포 영화이자 에이리언 시리즈의 세 번째 작품이다.
  • 성별격리 - 탈의실
    탈의실은 사생활을 보호하는 칸막이 형태, 개방된 라커룸, 피팅룸 등 다양한 유형으로 존재하며, 공동 탈의실은 사물함이 제공되기도 하고, 피팅룸은 옷을 입어볼 수 있는 1인용 공간이며, 보안 및 사생활 보호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지만 한국 사회에서는 사회적 관계 형성에 기여하는 공간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 성별격리 - 사이드 쿠틉
    사이드 쿠틉은 이집트의 이슬람주의 사상가이자 작가로, 서구 문명 비판과 이슬람 사회 재건을 주장하며 급진적인 반세속주의 및 반서방 감정을 드러내 20세기 후반 이슬람 운동과 현대 이슬람 과격 단체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젠더와 사회 - 부권제
    부권제는 가부장제라고도 불리며 남성이 권력을 쥐고 사회 전반을 지배하는 제도로, 여성주의 이론에서는 여성을 억압하는 불평등한 사회 구조로 규정하며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되고 비판적으로 고찰된다.
  • 젠더와 사회 - 성별에 따른 자살률 차이
    성별에 따른 자살률 차이는 전 세계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경향을 보이며, 이는 자살 시도 방법의 차이, 생물학적·심리적·사회문화적·경제적 요인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하고, 자살 예방을 위해 사회적 낙인 해소와 정신 건강 서비스 강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성별격리
정의
성별 격리생물학적 성별에 따른 사람들의 물리적, 법적, 문화적 분리
형태
공중 화장실공중 화장실
스포츠스포츠
종교종교
직장직장
교육교육
교통교통
기타
관련 주제성차별
성 역할
젠더
분리 (사회학)
분리 (인종 차별)

2. 정의

"성별 격리"에서 "성"이라는 용어는 "젠더"와 대조적으로 사용되는 남성과 여성의 생물학적 구분을 나타낸다.[3] "격리"라는 용어는 성별의 분리를 의미하며, 이는 규칙, 법률 및 정책에 의해 시행될 수 있거나, 사람들이 성별에 따라 분리되는 ''사실상''의 결과일 수 있다. ''사실상''의 결과라 하더라도, 성별 격리는 사회적 압력, 역사적 관행, 사회화된 선호도 및 "근본적인 생물학적 차이"에 의해 전체적으로 야기될 수 있다.[4] 성별 격리는 성별에 따른 문자 그대로의 물리적, 공간적 분리를 의미할 수 있다. 이 용어는 또한 한쪽 성별이 직업, 기관 또는 그룹에 참여하는 것을 배제하는 데 사용된다. 성별 격리는 완전하거나 부분적일 수 있으며, 이는 한쪽 성별이 그룹이나 조직 내에서 우세하지만 독점적으로 구성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3]

미국에서는 일부 학자들이 "성별 격리"가 아닌 "성별 분리"라는 용어를 사용한다.[5][6][7][8]

성별 아파르트헤이트(또는 성적 아파르트헤이트)라는 용어는 성별에 따른 사람들의 격리에 적용되기도 하며,[9] 이는 성차별을 의미한다.[10] 만약 성별 격리가 성차별의 한 형태라면, 그 영향은 성 평등과 형평성에 중요한 결과를 초래한다.[3]

2021년 이란의 남녀 고객을 분리하기 위해 두 개의 창문이 있는 빵집. 이 빵집에서 오른쪽 창문은 남성용이고 왼쪽 창문은 여성용이다. 이란에서는 빵집 외에도 모스크, 학교, 도서관, 음악 공연, 대중교통 및 기타 여러 장소에서 성별이 분리되어 있다.


인도의 여성 전용 기차 칸에서 성별 격리를 명령하는 표지판

3. 유형

성별 격리는 공공 및 사적 환경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여러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법학 및 젠더 연구 학자 데이비드 S. 코헨은 성별 격리를 의무적, 행정적, 허용적, 자발적인 것으로 분류하는 분류법을 제시한다.[3]

3. 1. 의무적 격리

법적으로 강제되는 성별 격리는 성별에 따라 분리를 시행한다.[3] 예시로는 교도소, 법 집행 기관, 군 복무, 공중 화장실, 주거 시설에서의 남녀 분리가 있다. 이러한 의무 규정은 군 복무에서와 같이 미묘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징병 관련 법률, 주거, 그리고 최전선 보병과 같이 특정 역할에 어떤 성별이 참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규정에서 성별이 종종 분리된다.[3] 강제적인 성별 격리는 또한 남성과 여성이 신체 수색을 위해 동성의 보조원을 갖도록 요구되는 것과 같이 덜 명확한 분리 사례도 포함한다.[3] 따라서 강제적인 성별 격리는 의료 및 돌봄 노동 환경을 포함하여 성별 분리된 공간에서의 고용 조건을 규정할 수 있으며, 직업 분리의 한 형태가 될 수 있다.[3] 예를 들어, 정부는 진료소가 여성 환자를 돌보기 위해 여성 간호사를 고용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3. 2. 허용적 격리

2023년 이란의 여성 전용 스포츠 클럽


허용적 성별 분리는 법적으로 명시적으로 허용되는, 즉 적극적으로 승인되지만 반드시 법적으로 요구되거나 권장되지는 않는 분리이다.[3] 이는 반성차별 법률에서 특정 사항을 면제하며, 종교 학교 및 군사 학교, 전통적으로 성별에 따라 입학을 허용해 온 학부, 헬스 클럽, 운동 팀, 사교 클럽 및 여성 단체, 합창단, 걸스카우트, 보이스카우트와 같은 자원 봉사 청소년 단체, 아버지/아들 및 어머니/딸 활동, 성별 전용 미인 대회 및 장학금을 허용하는 경우가 많다.[3]

3. 3. 자발적 격리

자발적 성별 분리는 법적으로 의무화되거나 행정적으로 시행되지 않으며, 법적으로 명시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성별 분리를 의미한다. 자발적 성별 분리는 명시적인 법적 규정이 없음을 의미하며, 분리되는 사람이나 분리하는 사람 모두의 자유로운 선택을 반드시 나타내는 것은 아니고, 사회적 및 문화적 규범에 의해 부과될 수 있다.[1] 이러한 분리는 수많은 국가의 전문적이고 관심 기반의 회원 조직, 지역 및 대규모 클럽, 프로 스포츠 팀, 사설 레크리에이션 시설, 종교 기관, 공연 예술 등에서 이루어진다.[1]

4. 이론적 설명

페미니즘 이론 및 페미니즘 법학 이론에서는 성별 분리의 원인과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여러 이론적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 주요 이론에는 자유주의, 평등 대우, 차이 페미니즘, 반종속, 비판적 인종 페미니즘, 반본질주의 등이 있다.[3]

이 이론들은 각각 성별 분리에 대해 다른 관점을 제시하며, 때로는 상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자유지상주의 페미니즘은 개인의 선택과 자유를 강조하며 자발적 성별 분리를 옹호하는 반면, 반종속 페미니즘은 권력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성별 분리가 여성의 종속을 심화시키는지 분석한다.

4. 1. 자유지상주의

자유지상주의 페미니스트 이론은 법적, 정부적 제도가 선택을 규제해서는 안 되며, 사람들의 자유 의지가 그들의 삶의 궤적을 지배하도록 해야 한다는 자유지상주의 정치 이론과 유사한 이데올로기에서 비롯된다.[11] 자유지상주의는 여성에게 자연권이 있으며, 스스로 결정을 내리는 데 가장 정통하다는 입장을 취하며 자유 시장 방식을 성별 분리에 적용하지만, 특히 여성을 위한 특별 보호는 거부한다.[12] 자율성은 자유지상주의의 핵심이므로, 이론가들은 정부가 의사 결정에 간섭하거나, 남성과 여성이 문화적으로, 그리고 자연적으로 다르고 종종 상반되는 선택을 하기 때문에 그러한 결정의 이유에 대해 관심을 가져서는 안 된다고 믿는다. 정부가 시행하는 정책과 법률은 성별 간의 어떤 본질적인 차이점도 바꾸는 데 작용해서는 안 된다.[3][13]

자유지상주의는 정부가 사립 기관이나 단체의 성별 분리를 규제해서는 안 되며, 개인이 사적으로 그룹을 짓는 방식을 규제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유지하기 때문에 자발적인 성별 분리와 가장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3] 자유지상주의 페미니스트 데이비드 번스타인은 성별 분리가 해를 끼칠 수 있지만, 이러한 성별 분리를 막는 것보다 남성과 여성의 선택의 자유를 지키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그 이유는 예방 방법이 양성 모두에게 득보다 실이 더 클 수 있기 때문이다. 여성 헬스 클럽은 성별 분리가 여성에게 이로운 한 예시인데, 성별 통합은 남성의 방해와 '노골적인 시선' 없이 운동할 수 있는 여성의 능력을 방해하며, 남성에게 회원 자격을 허용하는 직접적인 이점도 없다.[14] 또한, 자유지상주의자들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 작용과 관계를 어떻게 조직할지 선택할 수 있도록 허용하므로 허용적인 성별 분리를 허용할 것이다.[3]

자유지상주의 페미니스트들은 성별 분리 법에 대한 법적 선례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만, 유사한 상황에 놓인 남성과 여성의 동등한 대우를 보장하기 위해 그러한 매개변수를 주장한다. 따라서 자유지상주의는 성별 간의 자연적 또는 생물학적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진 특정 형태의 성별 분리를 허용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15]

4. 2. 평등 대우

자유지상주의 페미니스트들은 정부가 유사한 상황에 놓인 남성과 여성을 동등하게 대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성별 간의 자연적, 생물학적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진 특정 형태의 성별 분리를 허용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15]

자유지상주의 페미니스트 데이비드 번스타인은 성별 분리가 해를 끼칠 수 있지만, 남성과 여성의 선택의 자유를 지키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그는 여성 헬스클럽을 성별 분리가 여성에게 이로운 예시로 드는데, 성별 통합은 남성의 방해와 '노골적인 시선' 없이 운동할 수 있는 여성의 능력을 방해하며, 남성에게 회원 자격을 허용하는 직접적인 이점도 없다고 본다.[14]

차이 페미니즘은 평등 대우 이론이 여성에게 체계적인 평등을 창출하는 데 실패했다는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평등 대우 이론은 성별의 차이 때문에 분리를 지지하지 않지만, 차이 페미니즘은 사회적이고 "구식"인 남성과 여성의 차이에서 비롯된 격리에 반대하며, 여성의 차이를 고려하고 평등을 증진하는 격리는 수용할 수 있다고 믿는다. 심지어 일부 형태의 성별 격리는 운동 경기, 교육 및 타이틀 IX와 같은 정책을 포함하여 평등을 보장하는 데 필요하다고 주장한다.[3]

4. 3. 차이 페미니즘

자유지상주의 페미니즘은 자유지상주의 정치 이론과 유사하게 법적, 정부적 제도가 선택을 규제해서는 안 되며, 사람들의 자유 의지가 삶의 궤적을 지배해야 한다는 이념에서 비롯된다.[11] 자유지상주의는 여성에게 자연권이 있으며, 스스로 결정을 내리는 데 가장 정통하다는 입장을 취하며 자유 시장 방식을 성별 분리에 적용하지만, 특히 여성을 위한 특별 보호는 거부한다.[12] 자율성은 자유지상주의의 핵심이므로, 이론가들은 정부가 의사 결정에 간섭하거나, 남성과 여성이 문화적으로, 그리고 자연적으로 다르고 종종 상반되는 선택을 하기 때문에 그러한 결정의 이유에 대해 관심을 가져서는 안 된다고 믿는다. 정부가 시행하는 정책과 법률은 성별 간의 어떤 본질적인 차이점도 바꾸는 데 작용해서는 안 된다.[3][13]

자유지상주의는 정부가 사립 기관이나 단체의 성별 분리를 규제해서는 안 되며, 개인이 사적으로 그룹을 짓는 방식을 규제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유지하기 때문에 자발적인 성별 분리와 가장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3] 자유지상주의 페미니스트 데이비드 번스타인은 성별 분리가 해를 끼칠 수 있지만, 이러한 성별 분리를 막는 것보다 남성과 여성의 선택의 자유를 지키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예방 방법이 양성 모두에게 득보다 실이 더 클 수 있기 때문이다. 여성 헬스 클럽은 성별 분리가 여성에게 이로운 한 예시인데, 성별 통합은 남성의 방해와 '노골적인 시선' 없이 운동할 수 있는 여성의 능력을 방해하며, 남성에게 회원 자격을 허용하는 직접적인 이점도 없다.[14] 또한, 자유지상주의자들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 작용과 관계를 어떻게 조직할지 선택할 수 있도록 허용하므로 허용적인 성별 분리를 허용할 것이다.[3]

자유지상주의 페미니스트들은 성별 분리 법에 대한 법적 선례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만, 유사한 상황에 놓인 남성과 여성의 동등한 대우를 보장하기 위해 그러한 매개변수를 주장한다. 따라서 자유지상주의는 성별 간의 자연적 또는 생물학적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진 특정 형태의 성별 분리를 허용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15]

반종속 페미니즘 이론은 법이나 상황에서 여성의 대우가 남성에 비해 종속적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권력의 성별 격리를 조사한다.[3] 이 이론은 남성 지배와 여성 종속에 초점을 맞추고 법적, 사회적 제도에서 성 기반의 위계를 파괴하고 미래의 위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장려한다.[21] 반종속은 결과적으로 남성의 지위를 낮추더라도 여성의 지위를 향상시키는 법률을 지지한다.[22] 여성의 종속을 영속화하거나 남성의 종속을 만들 수 있는 반종속의 논쟁적인 적용에는 교육 및 군대에서의 성별 격리가 포함된다.[23]

4. 4. 반종속

자유지상주의 페미니스트 이론은 법적, 정부적 제도가 선택을 규제해서는 안 되며, 사람들의 자유 의지가 삶의 궤적을 지배해야 한다는 자유지상주의 정치 이론과 유사한 이데올로기에서 비롯된다.[11] 자유지상주의는 여성에게 자연권이 있으며, 스스로 결정을 내리는 데 가장 정통하다는 입장을 취하며 자유 시장 방식을 성별 분리에 적용하지만, 특히 여성을 위한 특별 보호는 거부한다.[12] 자율성은 자유지상주의의 핵심이므로, 이론가들은 정부가 의사 결정에 간섭하거나, 남성과 여성이 문화적으로, 그리고 자연적으로 다르고 종종 상반되는 선택을 하기 때문에 그러한 결정의 이유에 대해 관심을 가져서는 안 된다고 믿는다. 정부가 시행하는 정책과 법률은 성별 간의 어떤 본질적인 차이점도 바꾸는 데 작용해서는 안 된다.[3][13]

자유지상주의는 정부가 사립 기관이나 단체의 성별 분리를 규제해서는 안 되며, 개인이 사적으로 그룹을 짓는 방식을 규제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유지하기 때문에 자발적인 성별 분리와 가장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3] 자유지상주의 페미니스트 데이비드 번스타인은 성별 분리가 해를 끼칠 수 있지만, 이러한 성별 분리를 막는 것보다 남성과 여성의 선택의 자유를 지키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예방 방법이 양성 모두에게 득보다 실이 더 클 수 있기 때문이다. 여성 헬스 클럽은 성별 분리가 여성에게 이로운 한 예시인데, 성별 통합은 남성의 방해와 '노골적인 시선' 없이 운동할 수 있는 여성의 능력을 방해하며, 남성에게 회원 자격을 허용하는 직접적인 이점도 없다.[14] 또한, 자유지상주의자들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 작용과 관계를 어떻게 조직할지 선택할 수 있도록 허용하므로 허용적인 성별 분리를 허용할 것이다.[3]

자유지상주의 페미니스트들은 성별 분리 법에 대한 법적 선례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만, 유사한 상황에 놓인 남성과 여성의 동등한 대우를 보장하기 위해 그러한 매개변수를 주장한다. 따라서 자유지상주의는 성별 간의 자연적 또는 생물학적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진 특정 형태의 성별 분리를 허용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15]

4. 5. 비판적 인종 페미니즘

비판적 인종 페미니즘은 페미니스트 이론이 인종 문제를 충분히 다루지 못하고, 인종 이론은 젠더 문제를 충분히 포함하지 못한다는 비판에서 발전했다.[24] 이 이론은 젠더와 인종의 교차성을 고려하여, 성별 분리가 유색인종 여성에게 미치는 서로 다른 영향에 집중한다.[25]

비판적 인종 페미니즘은 다른 이론들이 인종, 계급, 성적 지향 등 다양한 요인이 분리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지 못한다고 비판한다.[27] 특히 유색인종 여성에 대한 인종적 고정관념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의무적이고 행정적인 성별 분리를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허용적이고 자발적인 성별 분리가 인종과 성별을 분리하는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방식인지, 아니면 불평등을 영속화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3] 비판적 인종 페미니즘은 반본질주의의 한 형태이다.[24]

4. 6. 반본질주의

반본질주의자들은 성과 젠더 범주가 제한적이며 인간 정체성의 무한한 다양성을 포괄하지 못하고, 단순히 차이를 언급하기보다는 정체성을 강요한다고 주장한다.[28][29] 이들은 남성성과 여성성의 의미에 차이가 있으며, 성별 분리를 통해 차이를 강조함으로써 사람들이 범주에 갇혀 자유가 제한된다고 믿는다.[3] 반본질주의자들은 사회가 성 이분법 내에서 특정한 정체성을 어떻게 강요하는지, 그리고 그 결과 성과 젠더 위계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영속되며 정상화되는지를 검토한다.[3] 이 이론은 성과 젠더 사이에 특정 구분이 필요하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30][31] 반본질주의자들은 남성성이나 여성성을 구성하는 것에 대한 관념이 있어서는 안 되며, 성과 젠더에 기반한 고정관념을 없애기 위해 개인의 특성이 유동적이어야 한다고 믿는다.[32] 이들은 의무적이고 행정적인 성별 분리가 성과 젠더 간의 권력 투쟁을 강화하는 반면, 허용적이거나 자발적인 형태의 성별 분리는 제도와 사회가 개인을 권력에 대한 차등적인 접근성을 가진 범주로 분류하도록 허용하고, 정부가 특정 제도와 규범의 유지를 위한 그러한 허가를 없애는 것을 지지하기 때문에, 어떤 특정 유형의 성별 분리를 공개적으로 홍보하거나 지지하지 않는다.[33]

5. 현대 정책 사례

성별 격리는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세계적인 현상이다.[34] 한 국가에서 무해하거나 정상으로 간주되는 성별 격리 및 통합은 다른 국가에서는 급진적이거나 불법으로 간주될 수 있다.[35] 동시에, 격리 또는 탈격리를 장려하는 많은 법률 및 정책이 여러 국가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성별 격리에 대한 공공 정책을 형성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안전 및 사생활 보호
  • 전통적 가치 및 문화적 규범
  • 성별 격리가 긍정적인 교육적 및 전반적인 사회적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믿음


몇몇 국가에서는 성희롱과 성추행을 근절하기 위해 여성 전용 공간을 지정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멕시코, 일본, 필리핀, UAE 등에서는 성별 분리된 버스, 여성 전용 객차 및 열차 칸을 도입했다.[37][38][39][40] 독일, 대한민국, 중국의 일부 지역에는 여성 전용 주차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41][42][43]

유대교와 이슬람은 종교적인 이유로 성별 격리를 시행한다. 불교, 기독교, 힌두교에서도 수도원, 기도 공간, 지도자 역할을 성별에 따라 분리하기도 한다.[45] 신정 국가와 국교가 있는 국가들은 종교적 전통에 따라 성별 격리 법률을 제정하기도 한다.

무슬림 세계와 중동은 이슬람의 도덕적, 종교적 법전인 샤리아로 인해 성별 격리가 나타나는 지역이다. 사우디 아라비아는 보수적인 수니파 이슬람 관행과 군주제의 법적 제약으로 인해 성별 격리의 중심지로 여겨져 왔다.[47]

성별 격리는 더 나은 교육적 결과를 낳는다고 생각되어 정책적으로 추진되기도 한다. 특히 유럽과 같이 여자아이와 남자아이 모두에게 교육이 제공되는 세계 일부 지역에서는 교육 기관이 단성 학교인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단성 학교는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미국을 포함하여 많은 국가에서 여전히 찾아볼 수 있다.[49][50]

성 차별을 예방하거나 직업 격리를 완화하기 위해 성별 격리 정책을 해소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정책은 여성과 남성이 반대 성별이 지배하는 환경에 참여하도록 장려한다. 예로는 정부 여성 할당제, 성별 맞춤 장학금, 남녀 혼성 레크리에이션 리그, 사회적 규범을 바꾸도록 설계된 프로그램 등이 있다.[69]

중국에서는 전국인민대표대회 대표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위원이 대중에게 중국 내 만연한 직업 격리에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제안했다. 고용주들은 종종 여성 지원자를 거부하거나 지원하기 위해 성별 요건을 만들기도 한다.[69]

5. 1. 안전 및 사생활 보호

성별 격리는 안전과 사생활 보호를 위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 전 세계적으로 공중 화장실, 탈의실, 샤워실 등과 같은 공간에서 성별 격리를 의무화하는 법률이 자주 시행되는데, 이는 사생활 보호에 대한 공통적인 필요에 기반한다.[3] 이러한 유형의 격리 정책은 성희롱과 성추행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36]

혼잡한 공공장소에서 여성에 대한 성추행, 거리 성희롱, 이브 티징을 근절하기 위해 일부 국가에서는 여성 전용 공간을 지정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멕시코, 일본, 필리핀, UAE 등에서는 성희롱을 줄이기 위해 성별 분리된 버스, 여성 전용 객차 및 열차 칸을 도입했다.[37][38][39][40] 독일, 대한민국, 중국의 일부 지역에는 관련된 안전 문제로 인해 여성 전용 주차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41][42][43] 캐나다, 미국, 이탈리아, 일본, 영국을 포함한 더 많은 국가에서도 안전 또는 접근성 문제를 위해 임산부에게 주차 특권을 부여한다.

테헤란 지하철의 여성 전용 안내


일본 오사카의 한 역 플랫폼에 있는 여성 전용칸 탑승 지점 표시


안전을 고려한 성별 격리는 물리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심리적, 정서적 측면으로도 확장될 수 있다. 가정 폭력 피해 여성의 피난처는 남성, 심지어 가정 폭력의 피해자인 남성이라도 입장을 거부할 수 있다. 이는 여성을 폭행하거나 위협할 수 있는 사람을 배제하고, 남성에게 학대를 받은 여성은 어떤 남성의 존재에도 위협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44] 아프리카북아메리카의 여성 건강 클리닉 및 여성 자원 센터는 성별 격리가 사적이고 매우 개인적인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또 다른 예이다. 여성 전용 은행 또한 여성의 의사 결정을 자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5. 2. 종교 및 문화적 관념

유대교와 이슬람은 종교적인 이유로 성별 격리를 시행한다. 불교, 기독교, 힌두교에서도 수도원, 기도 공간, 지도자 역할을 성별에 따라 분리하기도 한다.[45]

신정 국가와 국교가 있는 국가들은 종교적 전통에 따라 성별 격리 법률을 제정하기도 한다. 이러한 전통은 법으로 강제되지 않더라도 사회 제도를 통해 강화되어 성별 격리를 초래할 수 있다. 남아시아의 푸르다 제도는 성별 격리에 영향을 미치는 제도 중 하나이다.[46]

예루살렘의 종교적 장소인 통곡의 벽으로 들어가는 성별 분리된 입구


태평천국의 난 (1851–64) 동안, 태평천국이 통제하는 지역에서는 엄격한 성별 분리가 시행되었다. 심지어 기혼 부부조차 1858년까지 함께 살 수 없었다.

무슬림 세계와 중동은 이슬람의 도덕적, 종교적 법전인 샤리아로 인해 성별 격리가 나타나는 지역이다. 사우디 아라비아는 보수적인 수니파 이슬람 관행과 군주제의 법적 제약으로 인해 성별 격리의 중심지로 여겨져 왔다.[47] 사우디 아라비아의 성별 격리는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정부, 사흐와 운동, 보수적인 종교 행동 강제자들에 의해 장려되었다.[47] 이스라엘은 양성 모두의 군대 징집과 성별 분리된 메헤드린 버스 노선으로 주목받았다.[48]

5. 3. 교육 및 사회화

성별 격리는 더 나은 교육적 결과를 낳는다고 생각되어 정책적으로 추진되기도 한다. 특히 유럽과 같이 여자아이와 남자아이 모두에게 교육이 제공되는 세계 일부 지역에서는 교육 기관이 단성 학교인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단성 학교는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미국을 포함하여 많은 국가에서 여전히 찾아볼 수 있다.[49][50]

연구에 따르면 단성 학교와 공학 학교 중 어느 학교가 더 나은 교육적 결과를 낳는지 분석해 왔다. 교사와 학교 환경은 여학생의 학습 습관에 더 도움이 되는 경향이 있으며, 단성 학교에서 참여율이 향상된다.[51][52][53][54] 개발도상국에서 단성 교육은 여성과 소녀들에게 여성 교육과 미래의 노동력 참여를 늘릴 기회를 제공한다.[55] 단성 학교의 여학생들은 공학 학교의 여학생들보다 수학에서 더 뛰어난 성과를 보이며, 여학생의 평균 수업 점수가 더 높고, 단성 수학 및 과학 수업의 여학생들은 고등 교육에서 수학 및 과학 수업을 계속 수강할 가능성이 더 높으며, 사례 연구에서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단성 수업과 단성 교사가 양성 모두에게 더 나은 학습 환경을 조성한다고 보고했다.[56][57][58][59][60]

5. 4. 스포츠

여성 스포츠는 교육 환경 밖에서도 남성 스포츠와 성별로 분리되어 있다.[68]

5. 5. 탈격리

성 차별을 예방하거나 직업 격리를 완화하기 위해 성별 격리 정책을 해소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정책은 여성과 남성이 반대 성별이 지배하는 환경에 참여하도록 장려한다. 예로는 정부 여성 할당제, 성별 맞춤 장학금, 남녀 혼성 레크리에이션 리그, 사회적 규범을 바꾸도록 설계된 프로그램 등이 있다.[69]

중국에서는 전국인민대표대회 대표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위원이 대중에게 중국 내 만연한 직업 격리에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제안했다. 고용주들은 종종 여성 지원자를 거부하거나 지원하기 위해 성별 요건을 만들기도 한다. 중화인민공화국 노동계약법과 중화인민공화국 여성 권익 보호법은 고용주가 성별에 따라 여성을 고용하는 것을 거부하거나 여성에게만 지원 기준을 높일 수 없다고 명시하고 있지만, 성별에 따라 차별하는 사람에 대한 명확한 제재는 현재 없다.[69] 중국은 또한 농촌 마을의 여성들이 위원회에서 관리직을 맡도록 장려하기 시작했다. 특히, 중국의 촌 위원회 조직법은 여성의 비율이 촌 위원회의 구성원의 3분의 1 이상이 되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중국 간쑤성 둔황시의 둔황시 여성 연합은 정치적 지식을 쌓기 위해 마을 여성들을 위한 교육을 제공했다.[70]

2013년 3월 유럽 연합에서는 여성의 훈련 및 전문성 개발에 투자하고, 여성 운영 사업을 장려하며, 여성의 회사 이사회 참여를 촉진하는 결의안이 통과되었다.[71]

이스라엘에서는 야콥 마르기 샤스 종교부 장관이 최근 여성과 남성을 애도 및 장례식에서 격리하고 여성의 의식 참여를 금지하는 묘지 표지판 제거를 지지했다. 장관은 랍비와 장례 관계자가 시행한 격리 정책에 대해 질문한 학자이자 정치인인 예쉬 아티드 MK 알리자 라비에게 동의하며, 성 격리에 대한 정부 반대는 유대교 또는 이스라엘 법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이러한 관행에 맞서 싸우는 데 필요하다고 말했다.[72]

다른 경우에는 한 분야의 성별 격리가 다른 분야의 성별 통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기 수학 및 과학 교육을 위해 남자아이와 여자아이를 분리하는 것은 공학 분야 여성 또는 과학 분야 여성의 대표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부일 수 있다.

때때로 국가들은 다른 국가의 격리가 인권을 침해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유엔과 서방 국가들은 사우디 아라비아 여성의 권리를 확보하기 위해 사우디 아라비아 왕들에게 학교, 정부 기관, 병원 및 기타 공공 장소와 같은 기관의 엄격한 격리를 중단하도록 장려했다.[73] 특정 종교 및 정부 수장의 제거로 인해 성 통합을 촉진하는 자유주의적 의제가 추진되었지만, 대중은 여전히 격리된 사회라는 생각을 크게 지지하고 있으며, 기관과 정부 자체는 기술적으로 와하비즘의 통제하에 남아 있다. 성 격리와 관련된 정책 변경을 뒷받침할 헌법이 없기 때문에 개혁은 작은 규모이다. 사우디 국민들은 이 격리를 ''Khilwa''라고 부르며, 이 분리를 위반하는 경우 법에 따라 처벌을 받는다. 이러한 분리는 2011년에 통과된 법률에 의해 가능해진 성과이며, 여성 실업률을 낮추기 위해 사우디 여성들이 란제리 상점에서 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곳에서, 최근에 세워진 벽에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대중은 1.6m 높이의 벽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으며, 이는 상점에서 외국인 여성을 방문하는 남성들의 괴롭힘을 줄일 것이라고 말한다.[74] 사우디 아라비아의 루탄 호텔은 이 나라 최초의 여성 전용 호텔로, 의무적인 격리 기관이라기보다는 여성들을 위한 휴가지 역할을 하고 있다. 호텔에 들어서면 여성들은 머리 스카프와 아바야를 벗을 수 있으며, 호텔은 여성만 고용하고, 벨보이를 세계 최초의 벨걸이라고 부르며, 루탄 밖에서는 매우 드문 IT 및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사우디 여성들에게 기회를 제공한다.[75]

6. 교도소에서의 성별 격리



교도소 행정에서 성별 격리는 매우 흔하게 나타난다.[3]

급진 여성주의의 캐서린 매키넌은 이 정책이 여성 보호를 위한 것이 아니라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시행된다고 주장한다. 캐서린 매키넌은 그 예시로 여성 교도소가 강간이나 살인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여성과 매춘 또는 폭행범 살해로 유죄 판결을 받은 여성을 같은 구역에 수용하는 점을 든다.[76]

7. 중요성

성별 격리는 인간 발달과 경제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3]

대부분의 어린이에게 성별 분리는 집단 사회화 이론을 통해 사회화 과정 초기에 나타나며, 특정 성별에 따른 행동 방식과 성별 내집단 및 외집단을 형성하도록 기대받는다.[77] 유치원 교실에서 성별을 강조하면 성별 고정관념이 강화되고 성별 집단 간 편견이 심화될 수 있다. 이는 이성 간 놀이 시간 감소나 사회적 규범에 따른 초기 선택적 성별 분리 형태로 나타난다.[78]

초등 및 중등 교육에서 성별 분리는 교사와 또래의 대우를 통해 성 편견을 유발하고 지속시킬 수 있으며, 이는 전통적인 성 역할과 성 편견을 영속화한다. 상위 수준의 수학, 과학, 컴퓨터 수업에서 여학생의 수가 적고, 학습 및 문제 해결 기회가 줄어들며, 남학생에 비해 관심이 적은 현상, 그리고 읽기 및 수학 수업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의 성취 수준 차이로 이어진다. 일부 초등학교에서는 교사가 학생들에게 남학생, 여학생 순서로 앉도록 강요하기도 한다.[80]

직업 성 분리는 사회화를 더욱 진행시키고, 직업 성별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88] 대부분의 여성은 저임금, 저지위의 전통적인 여성 직업에 종사한다.[89] 직업 성 분리는 고용 조건, 작업 유형, 계약 및 가정 책임이 고용 유형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각 성별에 특정한 건강 및 안전 위험을 야기한다.[91]

심리적 수준에서 성 분리 선호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 연구에 따르면, 남성이 지배적인 직장 환경의 여성들이 직업에 가장 만족하는 반면, 남성이 15-30%인 환경의 여성들은 만족도가 낮았다.[90]

특히 경제 영역에서 성 분리는 시장 및 제도 실패를 초래한다. 예를 들어, 여성은 돌봄 노동과 직업적 책임을 모두 수행하기 위해 유연 근무 환경을 가진 직업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지만, 파트타임, 유연 근무 시간제는 보수가 적고 혜택 수준이 낮다. 이로 인해 저소득 직업에 종사하는 여성의 수가 많아지면, 남성과 동일한 시장에서 일하려는 유인이 줄어들어 직업적 성별 구분이 계속될 수 있다.[1]

국가의 경제 개발은 임금 노동 직업에 종사하는 여성 노동자와 양의 상관관계를, 무급 또는 파트타임 노동, 자영업 등에 종사하는 여성 노동자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다.[1]

7. 1. 인간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부분의 어린이에게 성별 분리는 집단 사회화 이론을 통해 사회화 과정 초기에 나타나며, 어린이들은 특정 성별에 따른 방식으로 행동하고 성별 내집단과 외집단을 형성하도록 기대받는다.[77] 예를 들어, 유치원 교실에서 어린이들에게 성별을 더 두드러지게 하면 성별 고정관념이 강화되고 성별 집단 간 편견이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뚜렷한 경향은 이성 간의 놀이 시간 감소, 또는 사회적 규범에 근거한 일종의 초기 선택적 성별 분리 형태로 나타났다.[78]

초등 및 중등 교육에서 성별 분리는 때때로 교사와 동료의 대우 형태로 성 편견을 야기하고 영속화하며, 이는 전통적인 성 역할과 성 편견을 영속화한다. 상위 수준의 수학, 과학 및 컴퓨터 수업에서 여학생의 과소 대표, 여학생의 학습 및 문제 해결 기회 감소, 여학생이 수업에서 남학생에 비해 적은 관심을 받는 것, 그리고 읽기 및 수학 수업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의 현저하게 다른 성취 수준으로 이어진다. 때로는 초등학교에서 교사가 학생들에게 남학생, 여학생, 남학생, 여학생 순으로 앉도록 강요하기도 한다.[80] 교육 환경에서의 성별 분리는 또한 남학생에게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데, 남녀공학 교실의 남학생이 단성 교실의 남학생보다 학업 성적이 더 높다. 반대로, 단성 교실의 여학생은 남녀공학 교실의 여학생보다 학업 성적이 더 높다. 남학생은 남녀공학 환경에서 학업적으로 이점을 얻는 반면, 여학생은 단성 환경에서 이점을 얻으므로, 두 유형의 교육에 대한 비판가와 지지자 모두 단성 교실이나 남녀공학 교실이 어느 성별에게든 비교 우위를 만든다고 주장한다.[81][82][83]

에든버러 공항 남자 공중 화장실에 여성 청소부가 일할 수 있다는 안내문


성별에 따른 공중 화장실의 분리는 전 세계적으로 매우 흔하다. 동시에, 성별 분리된 공중 화장실은 트랜스젠더를 배제하는 성 이분법을 조장할 수 있다.[86]

7. 2. 경제에 미치는 영향

직업 성 분리는 남성과 여성의 사회화를 더욱 진행시키고, 직업 성별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88] 대부분의 여성은 저임금, 저지위의 전통적인 여성 직업에서 계속 일하고 있다.[89] 직업 성 분리는 각 성별에 특정한 건강 및 안전 위험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고용 조건, 작업 유형, 계약 및 가정 책임이 고용 유형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91]

1964년 민권법 제7조는 고용에서의 성 차별을 금지하고 여성 노동자에게 변화를 약속했지만, 많은 여성들은 여전히 저임금, 저지위의 전통적인 여성 직업에 종사하고 있다.[89] 슐츠(1990)는 고용주들이 여성들이 남성이 지배하는 직업에 관심이 없다고 주장하며, 법원이 이를 받아들여 고용주에게 책임을 묻지 않았다고 지적한다. 슐츠는 법원이 여성의 직업적 포부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고용주의 역할을 인식하지 못했다고 주장한다.[89]

심리적 수준에서도 성 분리에 대한 선호는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 연구에 따르면, 남성이 지배적인 직장 환경의 여성들은 직업에 대해 가장 심리적으로 만족하는 반면, 남성이 15-30%에 불과한 직업 환경의 여성들은 만족도가 낮았다.[90]

직업별 심한 분리는 성별 분업으로 이어져 노동에 필요한 투입과 산출에 대한 접근 및 통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가족 역할은 기혼 부부 간의 소득 차이를 예측하는 데 특히 영향력이 크다. 남성은 남편과 아버지와 같은 가족 역할로부터 재정적으로 이익을 얻는 반면, 여성은 아내와 어머니가 되면 소득이 감소한다.[92]

특히 경제 영역에서의 성 분리는 시장 및 제도 실패를 초래한다. 예를 들어, 여성은 돌봄 노동과 직업적 책임을 모두 수행하기 위해 유연한 근무 환경을 가진 직업을 종종 차지하지만, 파트타임, 유연 근무 시간제는 보수가 적고 혜택 수준이 낮다. 이로 인해 저소득 직업에 종사하는 여성의 수가 많아지면, 남성과 동일한 시장에서 일하려는 유인이 줄어들어 직업적 성별 구분이 계속될 수 있다.[1] 슐츠(1990)는 노동 계급 여성들이 자신과 가족을 부양할 수 있는 기회를 원하기 때문에 직업 분리를 끝내는 것을 우선순위로 삼았다고 지적한다.[89]

국가의 경제 개발은 임금 노동 직업에 종사하는 여성 노동자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무급 또는 파트타임 노동, 자영업 등에 종사하는 여성 노동자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다.[1]

8. 허구에서의 묘사

사회 과학 소설 및 SF 장르의 성 역할, 성 및 섹슈얼리티를 다루는 일부 문학 작품에서 성별 분리를 다루고 있는데, 여기에는 소설 ''스와스티카의 밤'' 또는 ''시녀 이야기''(후에 TV 드라마로 제작됨)가 있다.

참조

[1] 서적 Gender Equality and Development: World Development Report 2012 The World Bank 2012
[2] 논문 Women's Education: A Global Challenge 2004
[3] 논문 The Stubborn Persistence of Sex Segregation 2011
[4] 논문 Sex and gender differences in health 2012-06-15
[5] 논문 Sexism in the 'Bathroom Debates': How Bathrooms Really Became Separated By Sex https://ylpr.yale.ed[...]
[6] 서적 Toilet NYU Press
[7] 논문 Sex-Separation in Public Restrooms: Law, Architecture, and Gender http://repository.la[...]
[8] 논문 The Constitutionality of Sex Separation in School Desegregation Plans https://chicagounbou[...]
[9] 뉴스 Women clergy accuse Church of sexual apartheid https://www.theguard[...] Guardian Unlimited 2001-10-25
[10] 논문 Holding Up half the Sky, But For Whose Benefit: A Critical Analysis of the Fourth World Conference on Women http://heinonlinebac[...]
[11] 문서 The Structure of Liberty: Justice and the Rule of Law 1998
[12] 문서 Conservative Feminism 1989
[13] 문서 Liberty, Patriarchy, and Feminism. 1999
[14] 문서 Sex Discrimination Laws Versus Civil Liberties 1999
[15] 문서 Women: Freedom and Feminism in the Twenty-First Century. 2003
[16] 문서 Sex Equality. 2007
[17] 문서 Split Decisions: How and Why to Take a Break From Feminism. 2007
[18] 문서 Introduction to Feminist Legal Theory. 2003
[19] 문서 Women in Combat: Is the Current Policy Obsolete? 2007
[20] 문서 Feminist Legal Theory: A Primer. 2006
[21] 문서 Feminism Unmodified: Discourses on Life and Law. 1987
[22] 문서 Anti-Subordination Above All: Sex, Race, and Equal Protection. 1986
[23] 문서 The Myths and Justifications of Sex Segregation in Higher Education: VMI and The Citadel. 1997
[24] 문서 Introduction to "Critical Race Feminism: A Reader" 2003
[25] 웹사이트 Perpetual Minors https://www.hrw.org/[...] 2008-04-19
[26] 문서 The Strange Career of Jane Crow: Sex Segrega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Anti-Discrimination Discourse 2006
[27] 문서 Race and Essentialism in Feminist Legal Theory. 1990
[28] 문서 Postmodern Legal Feminism. 1992
[29] 문서 Feminism for Men: Legal Ideology and the Construction of Maleness. 1996
[30] 문서 Queers, Sissies, Dykes, and Tomboys: Deconstructing the Conflation of "Sex," "Gender," and "Sexual Orientation" in Euro-American Law and Society. 1995
[31] 문서 Unpacking Package Deals: Separate Spheres Are Not the Answer. 1998
[32] 문서 Critical Race Coalitions: Key Moments that Performed the Theory. 2000
[33] 문서 No Boy Left Behind? Single-Sex Education and the Essentialist Myth of Masculinity 2009
[34] 문서 Is There a Worldwide Sex Segregation Regime? Westview Press 2001
[35] 웹사이트 Attitudes toward Cohabitation in 28 Countries: Does Marital Status Matter? http://paa2008.princ[...]
[36] 웹사이트 Six Steps to Stop Violence Against Schoolgirls http://www.amnestyus[...] Amnesty International USA
[37] 뉴스 On Single-Sex Buses, Relief From Unwanted Contact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08-02-11
[38] 뉴스 Belarus rail targets 'smelly men' http://news.bbc.co.u[...] 2005-04-13
[39] 뉴스 Visually-impaired want railways to clarify stance on riding in women-only carriages http://mdn.mainichi-[...] Mainichi Shimbun 2007-04-05
[40] 뉴스 Metro reserves compartments for females http://www.telegraph[...] 2008-09-07
[41] 웹사이트 Antidiskriminierungsstelle - Fragen und Antworten - Ist die Schaffung von Frauenparkplätzen diskriminierend? http://www.antidiskr[...] 2008-01-25
[42] 뉴스 Un parking pour femmes avec des places de stationnement... plus larges http://www.lemonde.f[...] 2010-01-05
[43] 뉴스 Will High-Heel-Friendly Streets Keep Seoul's Women Happy? https://web.archive.[...] Time 2009
[44] 뉴스 Women's refuges told they must admit men https://www.theguard[...] 2009-04-05
[45] 웹사이트 The Status of Women in World Religions {{!}} PROUT Globe http://www.proutglob[...]
[46] 간행물 Narrative Discourses on Purdah in the Subcontinent 2008-06
[47] 웹사이트 Reform in Saudi Arabia: The Gender-Segregation Debate {{!}} Middle East Policy Council http://www.mepc.org/[...] 2010-12-02
[48] 웹사이트 Equality, Religion and Gender in Israel - Jewish Women's Archive http://jwa.org/encyc[...]
[49] 웹사이트 Scotch College http://www.scotch.vi[...]
[50] 웹사이트 Ilford County High School http://www.ichs.org.[...]
[51] 논문 Differences among single-sex and coeducational high schools. 1988
[52] 논문 Effects of single-sex secondary schools on student achievement and attitudes. 1986
[53] 서적 Girls and boys in school: Together or separate? Teachers College Press 1990
[54] 학위논문 The production surface for academic achievement: An economic study of the Malaysian secondary education. 1972
[55] 간행물 Improving basic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women in developing countries. International Center for Research on Women 1986
[56] 논문 Would Harry and Hermione Have Done Better in Single-Sex Classes? A Review of Single-Sex Teaching in Coeducational Secondary Schools in the United Kingdom. 2006
[57] 논문 Slingshot or Popgun? And the Goose and Gander Problem: Short-Term and Long-Term Achievement Effects of Single-Sex Math Classes in a Coeducational Middle School. 2001
[58] 논문 Effects of a Girls-Only Curriculum during Adolescence: Performance, Persistence, and Engagement in Mathematics and Science. 2003
[59] 논문 Enhancing Girls' Learning Through Single-Sex Education: Evidence and a Policy Conundrum. 1989
[60] 뉴스 "Keep Boys and Girls Together, New Research Suggests" https://web.archive.[...] Aftau.org 2008-04-11
[61] 서적 Mixed or single-sex school? Volume III: Attainment, attitudes, and overview. Routledge and Kegan Paul 1974
[62] 논문 Effects of attending single-sex and co-educational high schools on achievement, attitudes, behaviors, and sex differences. 1989
[63] 논문 The high school environment: A comparison of coeducational and single-sex schools. 1982
[64] 간행물 The impact of co-educational schooling on student self-concept and achievement. 1996
[65] 간행물 A Hidden Australian Cultural Resource. Monash University, National Center for Australian Studies 1993
[66] 웹사이트 WDR 2012 - WDR 2012 Home Page http://econ.worldban[...]
[67] 웹사이트 WDR 2012 - WDR 2012 Home Page http://econ.worldban[...]
[68] 간행물 Sex and Gender Segregation in Competitive Sport: Internal and External Normative Perspectives https://heinonline.o[...] 2021-03-08
[69] 웹사이트 CWDF Distributes Postal Parcels to Female Sanitation Workers - All China Women's Federation http://www.womenofch[...]
[70] 웹사이트 China to Send Another Female Astronaut to Space - All China Women's Federation http://www.womenofch[...]
[71] 웹사이트 Poverty has a female face: economic crisis hits women hardest {{!}} News {{!}} European Parliament https://archive.toda[...] 2017-06-06
[72] 웹사이트 Shas Minister: Gender Segregation a Problem http://www.israelnat[...] 2017-06-06
[73] 간행물 "'Only for Women': Women, the State and Reform in Saudi Arabia" 2008
[74] 웹사이트 Saudi Arabia orders shops to build sex segregation walls http://www.digitaljo[...] 2017-06-06
[75] 뉴스 Middle East - Creating a woman's world in Arabia http://news.bbc.co.u[...] 2017-06-06
[76] 간행물 A Feminist Defense of Transgender Sex Equality Rights http://hdl.handle.ne[...] 2023
[77] 간행물 "A Review of Sex Differences in Peer Relationship Processes: Potential Trade-offs for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Development of Girls and Boys." 2006
[78] 간행물 "Differing Levels of Gender Salience in Preschool Classrooms: Effects on Children's Gender Attitudes and Intergroup Bias" 2010
[79] 간행물 "Exploring the Consequences of Gender Segregation on Social Relationships." 1994
[80] 웹사이트 Research shows girls benefit from single-sex environments https://www.agsa.org[...] 2021-04-20
[81] 서적 Separated by sex: A critical look at single-sex education for girls American Association of University Women Educational Foundation 1998
[82] 간행물 "A Comparison of Single-Sex and Coeducational Catholic Secondary Schooling: Evidence from the Nationa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1988." 1997
[83] 서적 Learning together: A history of coeducation in American public schools Yale University Press 1990
[84] 웹사이트 Should We End Sex Segregation in War and Sports? http://reason.com/ar[...] 2017-06-06
[85] 웹사이트 Should Men and Women be segregated in professional Sports? {{!}} Practical Ethics http://blog.practica[...] 2017-06-06
[86] 문서 The Ethics of Gender Segregated Bathrooms Brandeis University 2012-05
[87] 간행물 "Equal but Separate? A Cross-National Study of Sex Segregation in Higher Education" 2002
[88] 뉴스 BBC NEWS {{!}} UK {{!}} Scotland {{!}} Action call over sex segregation http://news.bbc.co.u[...] 2017-06-06
[89] 문서 Telling Stories about Women and Work: Judicial Interpretations of Sex Segregation in the Workplace in Title VII Cases Raising the Lack of Interest Argument Author(s) 1990-06
[90] 간행물 "Satisfaction? The Psychological Impact of Gender Segregation on Women at Work" 1991
[91] 웹사이트 Tools and publications - Safety and health at work - EU-OSHA https://osha.europa.[...] 2017-06-06
[92] 간행물 "The Effects of Gender Segregation,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Family Roles on the Earnings of Young Adult Workers." 1995
[93] 문서 “Are Single-Sex Schools Inherently Unequal? Same, Different, Equal: Rethinking Single-Sex Schooling.” “Michigan Law Review.”
[94] 서적 “Gender Equality and Development: World Development Report 2012.” The World Bank 2012
[95] 간행물 “Women’s Education: A Global Challenge.” “Signs: Journal of Women in Culture and Society”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