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권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권제는 "아버지의 지배"를 의미하는 용어로, 가족 내 남성의 권위와 사회 전반의 남성 중심적 구조를 지칭한다. 고대 기록에서부터 나타나는 부권제는 사유 재산 발생과 기후 변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했다는 주장이 있으며, 고대 그리스에서는 여성의 역할을 남성에 대한 순종으로 규정하는 등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페미니즘 이론에서는 부권제를 여성 억압의 주요 원인으로 보고, 사회적 구성물로 분석하여 극복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성 불평등, 성폭력, 정신 건강 문제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부권제의 영향이 나타나며, 페미니즘은 가부장적 사회 구조를 변화시키기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성주의와 사회 - 성 주류화
    성 주류화는 정책 결정 시 여성과 남성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성 평등을 목표로 하는 전략이며, 제도적, 담론적 관점의 접근 방식이 존재하고, 조직 변화의 과정으로 볼 수 있지만,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 여성주의와 사회 - 여성주의와 미디어
    여성주의와 미디어는 여성의 권리 및 사회적 지위 향상을 추구하는 여성주의 운동이 미디어를 활용하여 여성주의적 관점을 확산하고 사회 변화를 이끌어 온 관계를 포괄하는 주제이다.
  • 부권제 - 총대주교
    총대주교는 기독교 고위 성직자의 칭호로, 초대 교회의 5대 총대주교에서 시작되었으며, 동방 정교회, 가톨릭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등 다양한 교파에서 각기 다른 의미와 역할을 가진다.
  • 부권제 - 부계제
    부계제는 아버지에서 아들로 이어지는 혈통을 중심으로 사회적 관계, 권리, 의무가 결정되는 사회 체계이며, 역사적으로 왕위 계승, 성씨, 재산 상속 등 다양한 영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 아버지 - 시부모
    시부모는 배우자의 부모를 칭하는 의친의 일종으로, 민법상 친족이자 인척에 해당하며, 전통적인 고부 갈등은 현대 사회에서도 결혼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 아버지 - 부칭
    부칭은 아버지의 이름에서 파생되어 개인을 식별하는 이름으로, 세계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일부 문화권에서는 성씨의 기원이 되거나 미들네임처럼 사용되기도 한다.
부권제
개념
정의남성 지배 및 여성 종속의 사회 체계
핵심 개념남성 권위
남성 우월주의
남성 중심 사회
특징남성이 정치적, 경제적, 종교적 권력을 가짐
남성이 여성과 아동을 통제
성별에 따른 사회적 역할 규정
남성이 사회 전체를 지배
어원
어원그리스어 '파테르'(πατήρ, 아버지)와 '아르케'(ἄρχω, 지배하다)의 합성어인 '파트리아르케스'(πατριάρχης)에서 유래
파테르아버지
파트리아가족
아르케지배하다
역사
역사적 배경고대 사회부터 존재, 서구 사회에서 184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두드러짐
사회적 영향
여성의 지위여성의 종속적 지위 및 차별
젠더 역할고정된 성 역할 및 성별 불평등
폭력여성에 대한 폭력의 원인이 될 수 있음
제도화정치, 경제, 종교 등 사회 제도를 통해 강화
관련 개념
마초이즘남성 중심적 사고 방식 및 행동
성 계약남성이 여성을 지배하는 사회적 계약
비판
비판페미니즘 이론에서 주요 비판 대상
대안성 평등 사회 추구

2. 용어

'가부장제'는 문자 그대로 "아버지의 지배"를 뜻하며,[5][6] 그리스어 πατριάρχης|파트리아르케스grc[7][8] "종족의 아버지 또는 우두머리"[9]에서 유래했다. 이는 πατριά|파트리아grc "혈통, 혈족, 가족, 조국"[10] (πατήρ|파테르grc "아버지"에서 유래)[11] 와 ἀρχή|아르케grc "지배, 권위, 주권"[12]의 합성어이다.

역사적으로 '가부장제'라는 용어는 가족 가장인 남성의 독재적 지배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지만, 20세기 후반 이후로는 주로 성인 남성이 권력을 쥐고 있는 사회 제도를 가리키는 데에도 사용되었다.[13][14][15] 이 용어는 특히 제2차 여성주의 운동과 관련된 케이트 밀렛 같은 작가들이 사용했는데, 이들은 가부장적 사회 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여성을 남성 지배로부터 해방시키고자 하였다.[16][17] 이러한 가부장제 개념은 남성의 지배를 생물학적 현상이 아닌 사회적 현상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전되었다.

'가부장제'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남성의 지배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지만, 다른 해석에서는 문자 그대로 '아버지의 통치'로 보기도 한다.[101] 따라서 일부 사람들은 가부장제가 단순히 여성에 대한 남성의 권력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나이와 성별에 따라, 예를 들어 나이 든 남성이 여성, 어린이 및 젊은 남성에 대해 행사하는 권력의 표현이라고 생각한다.

인류학적 전문 용어로는 아버지나 장남, 또는 남성 집단에 의해 지배되는 가족이나 씨족을 가리키며, 페미니즘 이론에서는 남성이 여성과 아이들을 지배하는 광범위한 사회 구조를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3. 역사

부권제는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그 기원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여러 고대 문헌과 기록을 통해 부권제가 오래전부터 존재해 왔음을 추정할 수 있다.


  • 고대 사회
  • 길가메시 서사시, 구약성서, 마하바르타 등 동서양 고대 문헌에 부권제가 당연하게 나타난다.
  •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사유 재산 발생을 부권제 기원으로 보았으나, 명확한 고증은 없다.
  • 인류학적 증거에 따르면 선사 시대 수렵채집 사회는 비교적 평등했으며, 농업과 가축화 이후에도 부권제 구조는 즉시 발달하지 않았다.
  • 로버트 M. 스트로저는 부권제의 정확한 "기폭 사건"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고 말한다.
  • 일부 학자들은 기원전 4000년경 아버지 개념의 등장이 부권제 확산의 시작이라고 주장한다.
  • 제임스 드메오는 기원전 4000년경 기후변화로 인한 대기근이 부권적 구조 발생의 원인이라고 주장한다.
  • 기원전 3200년경 고대 근동에서 남성의 여성 지배, 여성의 생식 능력 제한, 역사에서 여성 소외가 나타난다.
  • 히브리인의 출현과 함께 여성은 인간-신의 약속에서 소외되었다.
  • 테살리아의 메논 3세는 플라톤의 대화편 《메논》에서 그리스 고전기 시대 남녀의 덕목에 대한 우월적 정서를 보여준다.
  • 아리스토텔레스는 여성을 남성보다 열등한 존재로 보고, 남성의 여성 지배를 자연스럽게 여겼다.
  • 고대 이집트에서는 여성들이 아테네 여성들과 달리 경제 활동 및 법적 권리를 가졌다.
  • 알렉산드로스 3세의 원정으로 그리스적 가치관이 확산되었다.

  • 중세 및 근대 사회
  • 중세 유럽에서는 여성 황제나 여자 가장 등 특수한 지위의 여성은 특권과 지배력을 누렸다.
  • 마르틴 루터 이후 개신교출애굽기의 계명을 통해 아버지, 연장자, 지배자에 대한 복종을 정당화했다.
  • 16세기와 17세기 학자들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여성관에 동의했으나, 로버트 필머 경 이전에는 부권적 가족제도를 정치적 의무의 기초로 삼지 않았다.
  • 필머는 《부권론》에서 군주의 권리가 신에 의해 보장되며 아담으로부터 계승된다고 주장했다.[201]
  • 19세기, 사라 무어 그림케, 엘리자베스 캐디 스탠턴 등은 성경의 부권적 해석에 의문을 제기하고 여성주의적 해석을 제시했다.
  • 18세기 후반, 디드로의 "백과전서"는 부계 권력 상속을 부정하며 어머니의 권리를 강조했다.[48]
  • 프랑스 민법전 초기에는 남편을 가장으로 하는 근대적 부권제가 나타났으며, 나폴레옹은 아내의 복종을 강조했다.

  • 현대 사회
  • 19세기, 사라 무어 그림케, 엘리자베스 캐디 스탠턴 등은 성경의 부권적 해석에 의문을 제기하고 여성주의적 해석을 제시했다.[202][203]
  • 고대 일본에서는 신토의 여신 아마테라스 숭배 등 사회 권력이 비교적 고르게 분배되었으나, 이후 남성 중심의 변화가 일어났다.[53]
  • 고대 중국에서는 유교가 성 역할과 부권제를 형성했으며, 반조(班昭) 등은 여성의 복종을 강조했다.[54][55][56][57][58]
  • 명나라청나라에서는 유교적 가르침에 따라 여성의 정절과 복종이 강조되었고, 남성 중심적 법률이 시행되었다.[59][60][61]
  • 중화인민공화국에서도 도덕 관련 법률이 남성에게 유리하게 적용되는 경우가 있었다.[62]
  • J・J・바흐오펜 등은 여성의 생물학적 우위성과 남성의 부성 확보 본능이 남녀 불균형 사회를 이끌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151]
  • 게르만법과 로마법 비교를 통해 가장의 권한 강도와 개인주의/집단주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있다.[152]
  • 1970년대 이후 프랑스 가족에 대한 연구에서 일본과 유사한 사회 실태가 발견되었다.[155]
  • 부권제 또는 유사한 의식이 가정폭력(DV)의 원인이라는 주장이 있다.[162][163][164][165]
  • 패터널리즘의 예로 결혼과 출산 후 여성의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이 제시된다.[166]
  • 케이트 밀렛은 부권제를 남성이 모든 권력을 독점하고 여성을 지배하는 체제로 정의한다.[167]

3. 1. 고대 사회

길가메시 서사시, 구약성서, 마하바르타, 일리아드, 시경, 서경 등 동서양의 고대 기록에서 가부장제를 당연하게 여기는 것을 볼 때, 부권제의 기원이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가족, 사적소유 및 국가의 기원》에서 사유 재산의 발생이 가부장제의 기원이라고 주장했지만, 정확한 고증이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다.

인류학적 증거에 따르면, 대부분의 선사 수렵채집사회는 비교적 평등주의적이었으며, 플라이스토세가 끝난 뒤 농업과 가축화가 개발되는 등 오랜 시간이 지났음에도 부권제 구조는 발달하지 않았다.[185][186][187] 로버트 M. 스트로저는 역사학 연구에서 아직 부권제의 정확한 "기폭사건"을 밝혀내지 못했다고 언급했다.[188] 일부 학자들은 지금으로부터 약 6천 년 전(기원전 4000년경)에 아버지라는 개념이 생겨났고, 이것이 부권제 확산의 시작이 되었다고 주장한다.[189][190] 그러나 제임스 드메오는 특정할 수 있는 기폭사건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기원전 4000년경에 발생한 기후변화(5.9천년 사건)가 사하라, 아라비아 반도, 중앙아시아에 대기근을 초래하여 식량 확보를 위한 호전적이고 부권적인 구조를 발생시켰다고 설명한다.[191]

기원전 3200년경 고대 근동에서 남성이 여성을 지배하고, 여성의 생식능력을 제한하며, “역사를 대표하고 건설하는 과정”에서 여성을 소외시키는 현상이 명확히 발견된다.[188] 히브리인의 출현과 함께 “인간-신의 약속에서도 여성은 소외되었다.”[188][192]

그리스 고전기 시대 남성과 여성의 덕목에 대한 우월적 정서는 테살리아의 메논 3세가 플라톤의 대화편 《메논》에서 다음과 같이 집대성하여 보여준다.

> 남성의 미덕에 대해 먼저 이야기해 보자. 남자라면 무릇 국가를 다스리는 법을 알아야 하고, 그 다스림이란 자신의 편을 이롭게 하고 자신의 적을 해롭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는 자기 자신을 해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한편 여성의 미덕이란, 진정 그대가 알기를 원한다면, 매우 쉽게 설명할 수 있다. 여성의 의무는 집안을 정돈하고, 실내의 물건들을 지키며, 남편에게 순종하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여성을 남성보다 도덕적, 지적, 신체적으로 열등한 존재로 보았으며, 여성은 남성의 재산이고, 사회에서 여성의 역할은 자식을 낳고 가정에서 남성에게 복종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남성의 여성 지배를 자연스럽고 고결한 것이라고 보았다.[194][195][196] 게르다 러너의 《부권제의 탄생》에 따르면, 아리스토텔레스는 여성의 혈액이 남성보다 차갑기 때문에 여성이 남성으로 진화할 수 없다고 믿었다. 메리앤 클라인 호로워츠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창조의 형상과 방식에 영혼이 기여한다”고 믿었으며, 불완전한 것이 완전한 것을 만들 수 없으므로 세상의 조물주는 여성일 수 없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신의 이론에서 계급에 따른 지배구조를 옹호했으며, 게르다 러너는 이러한 부권적 신념체계로 인해 세대가 거듭되면서 사람들이 남성이 여성보다 우월하다고 믿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상징들은 아동들이 성장하면서 배우는 기준이 되었고, 부권제의 순환은 고대 그리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197]

고대 이집트에는 철학과 관련된 기록이 남아있지 않지만, 헤로도토스는 이집트 여성들과 아테네 여성들의 역할 차이에 충격을 받은 것을 기록했다. 그는 이집트 여성들이 시장에서 거래에 참여하는 것을 보았으며, 이집트의 중산층 여성들은 지역 재판소에 관여하여 부동산 매매거래에 참가하고 재산을 물려받거나 물려줄 수 있었다. 또한 여성이 채권자가 될 수 있었고, 법적 문서의 증인이 될 수도 있었다.[198] 그러나 알렉산드로스 3세의 원정으로 인해 아리스토텔레스의 가르침을 받은 그리스적 가치관이 확산되었다.[199]

3. 2. 중세 및 근대 사회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가족, 사적소유 및 국가의 기원》에서 사유 재산의 발생이 가부장제의 기원이라고 썼지만, 정확한 고증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185] 인류학적 증거에 따르면 대부분의 선사 수렵채집사회들은 비교적 평등주의적이었고, 플라이스토세가 끝난 뒤 농업과 가축화가 개발되는 등 많은 세월이 지나는 동안에도 부권제 구조는 발달하지 않았다.[186][187]

로버트 M. 스트로저에 따르면 역사학 연구는 아직까지 부권제의 정확한 "기폭사건"을 밝혀내지 못했다.[188] 일부 학자들은 지금으로부터 6천년 전(기원전 4000년경)쯤에 아버지라는 개념이 싹텄고 그것이 부권제 확산의 시작이 되었다고 말한다.[189][190] 하지만 제임스 드메오는 특정할 수 있는 기폭사건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지리학적 기록에 따르면 기원전 4000년을 전후해 발생한 기후변화(5.9천년 사건)가 사하라, 아라비아 반도, 중앙아시아에 대기근을 가져왔다. 이로 인해 식량 확보를 위하여 호전적이고 부권적인 구조가 발생하는 결과를 낳았다는 것이다.[191]

남성에 의한 여성의 지배가 명확히 발견되는 것은 기원전 3200년경의 고대 근동이다. 메소포타미아의 남성들은 여성의 생식능력을 제한하고 “역사를 대표하고 건설하는 과정”에서 소외시켰다.[188] 히브리인의 출현과 함께 “인간-신의 약속에서도 여성은 소외되었다.”[188][192]

그리스 고전기 시대의 남성과 여성의 각각의 덕목에 대한 우월적 정서는 플라톤 대화편 《메논》에서 찾아볼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여성을 남성에 비해 도덕적, 지적, 신체적으로 열등한 존재로 보았다. 그렇기 때문에 여성은 곧 남성의 재산이며, 사회에서 여성의 역할은 자식을 생산하고 가정에서 남성에게 복종하는 것이라 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남성의 여성 지배를 자연스럽고 고결한 것이라고 보았다.[194][195][196] 게르다 러너는 이러한 부권적 신념체계에 의하여 세대가 거듭되면서 사람들이 남성이 여성보다 우월하다고 믿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상징들은 아동들이 성장하면서 배우고 익히는 기준이 되었고, 부권제의 순환은 적어도 고대 그리스 시대까지 거슬러올라간다.[197]

고대 이집트에는 철학과 관련된 기록이 남아있는 것이 없지만, 헤로도토스가 이집트 여성들과 아테네 여성들의 역할 차이를 보고 충격을 받은 것을 자기 책에 기록해 놓았다. 헤로도토스는 이집트 여성들이 시장판에 나와서 거래에 참여하는 것을 보았다. 이집트의 중산층 여성들은 지역 재판소에 관여하여 부동산 매매거래에 참가하고 재산을 물려받거나 물려줄 수 있었다. 또한 여성이 채권자가 될 수도 있었고, 법적 문서의 증인이 될 수도 있었다.[198]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의 가르침을 받은 알렉산드로스 3세의 원정으로 인해 그리스적 가치관이 확산되었다.[199]

중세 유럽에서는 부권제가 절대적이지는 못했는데, 여성 황제나 여자 가장과 같은 특수한 지위에 있는 여성은 여성이라도 특권과 정치적 지배, 사회적 명예를 누릴 수 있었다.[200] 마르틴 루터 이후 개신교에서는 출애굽기 20장 12절의 계명을 가지고 "모든 우월한 것들"에 대한 의무를 정당화했다. “네 아버지를 공경하라”는 아버지뿐 아니라 연장자, 지배자에게도 적용되었다.

16세기와 17세기 학자들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여성관에 대개 동의하였으나, 부권적 가족제도를 기초로 하여 정치적 의무를 입증하려고 시도한 사람은 1680년경 이전에는 없었다. 부권제 정치이론과 가장 깊게 관련된 자로 로버트 필머 경이 있다. 필머는 1653년 이전에 《부권론》(''Patriarcha'')이라는 책을 완성했으나 죽기 전까지 출판되지는 않았다. 이 책에서 필머는 군주의 권리는 신에 의해 보장되며(왕권신수설), 그 명의는 인간 최초의 사내 아담에게서부터 계승된다고 주장했다.[201]

19세기, 많은 여성들이 기독교 경전의 부권적 해석에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했다. 사라 무어 그림케는 남성의 능력이 성역할과 관련된 구절을 선입견 없이 번역할 수 있느냐는 회의주의의 목소리를 냈다. 그녀는 여성과 관련된 구절들을 새로 번역하고 해석했으며, 여러 장절들에 대하여 이것들은 특수한 역사적 상황에서 적용된 계율이지 보편적 명령으로 볼 수 없다는 역사적 문화적 비판을 가했다.[202] 엘리자베스 캐디 스탠턴은 성경에 대한 그림케의 비판을 여성주의적 사고의 기초로 삼았다. 그녀는 신약 및 구약의 여성주의적 독해를 제안한 《여성의 성경》을 출판했다. 이러한 경향은 부권적 유대-기독교 전통을 가치절하하는 여성주의 이론에 의해 확대되었다.[203]

18세기 후반에는 가부장제에 대한 성직자들의 감정이 지식인들의 도전을 받았다. 디드로의 "백과전서"는 부계 권력의 상속을 부정하며, 이성은 어머니에게 아버지와 동등한 권리와 권위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48]

프랑스에서는 프랑스 민법전의 초기 규정에 남편을 가장으로 하여 권리를 집중시키는 근대적 가부장제의 전형적인 모습이 보였다.[125] 나폴레옹은 아내의 복종을 강조했다.

3. 3. 현대 사회

19세기, 많은 여성들이 기독교 경전의 부권적 해석에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했다. 사라 무어 그림케는 남성이 성역할과 관련된 구절을 선입견 없이 번역할 수 있는지에 대해 회의적인 목소리를 냈다. 그녀는 여성과 관련된 구절들을 새로 번역하고 해석했으며, 여러 장절들에 대하여 이것들은 특수한 역사적 상황에서 적용된 계율이지 보편적 명령으로 볼 수 없다는 역사적, 문화적 비판을 가했다.[202] 엘리자베스 캐디 스탠턴은 성경에 대한 그림케의 비판을 여성주의적 사고의 기초로 삼았다. 그녀는 신약 및 구약의 여성주의적 독해를 제안한 《여성의 성경》을 출판했다. 이러한 경향은 부권적 유대-기독교 전통을 가치절하하는 여성주의 이론에 의해 확대되었다.[203]

고대 일본에서는 특히 종교 영역에서 사회 권력이 더 고르게 분배되었는데, 신토는 여신 아마테라스를 숭배했고 고대 문서에는 위대한 여사제와 마법사에 대한 언급이 가득했다. 그러나 서양의 콘스탄티누스와 동시대에 일본 천황은 일본의 예배 방식을 바꾸어 남성 신에게 최고의 지위를 부여하고 여성의 영적 힘에 대한 믿음을 억압했는데, 이는 종교 연구 분야의 페미니스트 학자들이 "가부장적 혁명"이라고 부르는 것이다.[53]

고대 중국에서 성 역할과 가부장제는 유교에 의해 형성되었다. 한나라에서 공식 종교로 채택된 유교는 여성의 행동에 관한 강력한 규정을 가지고 있으며, 사회에서 여성의 위치를 선포하고, 덕 있는 행동을 개괄적으로 설명한다.[54] 유교 경전인 ''삼종지도(三從之道)와 사덕(四德)''은 여성의 가치를 충성과 순종에 두고 있다. 순종적인 여성은 결혼 전에는 아버지에게, 결혼 후에는 남편에게, 과부가 된 경우에는 첫째 아들에게 순종해야 하며, 덕 있는 여성은 성적인 예의, 적절한 말투, 겸손한 외모, 그리고 성실한 노동을 실천해야 함을 설명한다.[55] 유교 제자인 반조(班昭)는 그녀의 책 ''여성을 위한 계율''에서 여성의 주된 관심사는 남편이나 아버지와 같은 가부장적 인물 앞에 복종하는 것이며, 지능이나 재능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썼다.[56] 반조는 일부 역사가들에 의해 중국 여성 교육의 초기 지지자로 여겨지지만, 여성의 평범함과 비굴한 행동의 가치에 대한 그녀의 광범위한 글은 다른 사람들에게 이러한 서술이 그녀를 현대 페미니스트 관점에서 보려는 잘못된 욕망의 결과라는 느낌을 준다.[57] ''삼종지도와 사덕''과 마찬가지로 ''여성을 위한 계율''은 적절한 여성 행동에 대한 도덕적 지침으로 의도되었으며, 수세기 동안 널리 받아들여졌다.[58]

중국의 명나라에서는 과부는 재혼해서는 안 되고, 미혼 여성은 평생 동안 정절을 지켜야 했다.[59] 유교적 이상에 따라 살았던 여성들의 전기를 담은 책인 ''열녀전(列女傳)''은 명나라 시대에 유사한 글쓰기 장르 전체를 유행시켰다. 이러한 주자학적 이상에 따라 살았던 여성들은 공식 문서에서 칭송되었고, 일부는 그들의 명예를 기리는 건축물이 세워지기도 했다.[60]

중국의 청나라에서는 도덕, 성, 성별 관계에 관한 법률이 계속해서 유교 가르침에 근거했다. 남성과 여성 모두 성적 행동에 관한 엄격한 법의 적용을 받았지만, 여성에 비해 남성은 드물게 처벌을 받았다. 또한 여성에 대한 처벌은 종종 강한 사회적 낙인을 수반하여 "여성을 결혼할 수 없게 만들었는데", 이러한 낙인은 남성에게는 적용되지 않았다.[61] 마찬가지로 중화인민공화국에서 평등주의적으로 작성된 도덕 관련 법률은 남성에게 유리하게 선택적으로 시행되었고, 여러 지역에서 여아 살해에 대한 집행이 부족한 반면, 법적으로는 어떤 형태의 살해도 금지되었다.[62]

J・J・바흐오펜(J・J・Bachofen)을 시작으로 하는 일련의 문화인류학적 논의에서는, 스스로 낳은 아이는 반드시 친자라는 여성의 생물학적 우위성과, 그것에 대항하여 남성이 자신의 부성(父性)을 확보하려는 고등 포유류의 본능이 고금을 막론하고 남녀 불균형 사회를 이끌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원시 혼인제도에서는 갓 태어난 아기의 생사 여부를 결정할 권리는 어머니에게만 귀속되고, 육아에는 외가 친척들이 참여하지만, 사회 형태가 변화하고 아버지의 육아 참여가 필요하게 되면 누가 아이의 아버지인지가 중요해지므로, 아버지의 혈통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한 사회 시스템이 필연적으로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모계 사회에서 부계 사회 또는 가부장제, 일부다처제를 거쳐 최종적으로는 전 인류가 남녀 평등의 일부일처제에 이른다는 진화론적 주장은, 인간 이외의 포유류에서조차 혼란스러운 혼인 상태가 자주 취해지지 않는다는 점과 모순되고, 다양한 인류 사회의 가족 형태를 설명할 수 없다는 점에서 보편적인 지지를 얻지 못하고 있다.[151]

가부장제(또는 가족 제도)에서 가장의 권한이 약하다 = 개인주의, 가장의 권한이 강하다 = 집단주의라는 것은 속설이라는 지적이 있다. 게르만법의 가족장은 가족 구성원에 대해 무거운 책임을 지며, 가산은 가족 구성원 모두의 공유가 기본이며, 농업 공동 생활에 적합하다. 한편, 가장의 권한이 강력한 로마법에서는 가족장은 가족 집단의 구속에서 자유롭고, 대대로 내려온 가산은 집단이 아닌 가족장 개인의 소유이다. 즉, 가족장의 권한이 강한 로마법이 오히려 개인주의이고, 가족장조차 집단 법리에 구속되는 게르만법이 집단주의가 된다는 것이다(사비니(Savigny)).[152] 게르만법 연구자인 나카다 카오루(中田薫)의 주장에 따르면, 에도 시대의 일본은 게르만식이며, 법률을 초월한 윤리·도덕에 유래하는 가족장의 무한한 의무를 호주권·가독상속이라는 법적 권리 의무 관계로 축소한 독자적인 법 제도를 채택한 메이지 민법이 봉건적 가족 제도를 그대로 유지했다는 것은 오류라는 것이다.[153](민법전 논쟁#나카다설) 일본 전후의 교육자 중에는 메이지 민법의 특이성을 강조하는 나카다의 영향을 받아, 에도 시대의 무사 계급에 의한 봉건적 가부장제를 더욱 강화하여 전 국민에게 부과한 것이 메이지 민법이라고 주장하는 사람이 적지 않지만(가나가와 사부로(家永三郎) 등), 메이지 민법 호주권의 약소를 주장하는 나카다설을 곡해한 것이며, 실제 법 제도와 연혁을 무시한 속설이라고 비판받고 있다.[154]

1970년대 이후, 프랑스의 가족에 대한 사회사·역사 인류학 연구가 니노미야 히로유키(二宮宏之)에 의해 소개되면서, 남프랑스 산악 지대에서는 가산의 일괄 상속을 기본으로 하는 일본의 가족 제도와 유사(같지는 않음)한 사회 실태가 민법전 시행 후에도 존속했던 것이 명확해졌다.[155] 법 제도에서도, 다이쇼 2년 당시, 공화주의의 프랑스나 미국의 법이 가족의 보전에 배려한 제도를 갖는 것과 비교해도, 일본의 민법전은 오히려 극단적인 개인주의에 치닫고 있다고 비판받은 적도 있다(에기 센지(江木千之)).[156][157] 프랑스 민법전이 남성 중심의 가부장 제도를 기반으로 했다는 것은 많은 학자들에 의해 지적[158]되고 있지만, 프랑스 혁명 후에 만들어진 것이므로 남녀 평등의 법전이었다는 이해[159]도 강하게 주장되고 있다. 그 외에도 서양에서의 아내의 권리 제한은 여성 보호의 이념에 따른 것이므로 일본의 남성 중심주의와는 취지가 다르다는 주장[160]이나, 「가부장제」는 페미니즘의 지식을 반영하여 재정의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불민법전 안에서 가부장권을 에가마리 이츠오(江守五夫)가 확인하면서 가부장적인 자본주의 체제하에서의 「여성의 공적 노동 복귀」로 가부장제가 흔들렸다고 하는 것을 비판하여, 그렇다면 여성의 억압을 낳는 일이 있어도 가부장제를 흔드는 것이 되지는 않는다[161]는 등의 주장도 있다.

가부장제, 부권제 또는 그에 준하는 의식이 가정폭력(DV)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주장이 있다.[162][163][164][165]

경영학자 히라노 미츠토시(平野光俊)는, 패터널리즘의 일례로서 결혼·출산 후의 가사·육아에 전념하는 것이 여성의 행복이라는 고정관념과, 출산 후 복직한 여성은 힘들기 때문에 책임 있는 일은 시키지 않는다는 남성 측의 「친절의 오해」를 들고 있다.[166]

페미니스트 케이트 밀렛(Kate Millet)은 부권제(patriarchy)에 대해, 모든 권력을 남성이 독점하고 있기 때문에, 나이 많은 남자가 어린 남자를 지배할 뿐만 아니라, 인구의 절반을 차지하는 여자가 나머지 절반의 남자에게 지배받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167]

4. 현대 사회의 성 불평등

현대 사회에서도 발전된 사회에서도 가족, 대중 매체, 기타 기관이 전달하는 성에 대한 메시지는 남성이 지배적인 지위를 갖는 것을 지지한다.[64] 페미니스트들은 사람들이 성차별적 편견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편견은 그것으로부터 이익을 얻는 사람들에 의해 세대를 거쳐 영속되고 강화된다고 믿는다.[97]

사회학자 실비아 월비(Sylvia Walby)는 가부장제를 정의하는 여섯 가지 중첩 구조를 제시했다.[19]

구조설명
가정여성은 집안일과 자녀 양육을 통해 남편에게 노동력을 착취당할 가능성이 더 높다.
유료 노동여성은 임금이 적고 유료 노동에서 배제될 가능성이 높다.
국가여성은 공식적인 권력과 대표성을 갖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폭력여성은 학대를 받을 가능성이 더 높다.
여성의 성은 부정적으로 취급될 가능성이 더 높다.
문화서로 다른 문화적 맥락에서 여성의 표현



그러나 가부장제가 자연스럽다는 생각은 많은 사회학자들의 공격을 받았는데, 그들은 가부장제가 생물학적 조건이 아니라 역사적 조건으로 인해 진화했다고 설명한다. 기술 발전은 일상생활에서 체력의 중요성을 감소시켰고, 가전제품의 도입은 가정에서 필요한 육체 노동량을 줄였다.[68][69] 피임은 여성에게 자신의 생식 주기를 통제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70]

유엔에 따르면, 2030년까지 3억 4천만 명의 여성이 극빈에 빠질 것이라는 예측이 있으며, 여성과 소녀의 빈곤을 없애기 위한 긴급한 조치가 필요하다.[114] 유엔 여성기구(UN Women)는 공정한 재분배와 누진세를 촉진하는 포용적인 재정 정책을 옹호하며, 공공 서비스 개선과 성별 고려 사회 보호 시스템 구축을 강조한다.[113]

5. 가부장제와 페미니즘

가부장제와 싸우다 – 토리노의 그라피토


여성주의 이론에서는 부권제 사회를 여성을 억압하는 부당한 사회구조로 정의한다. 여성주의 이론에서 말하는 부권제의 개념은 유동적이며 정의 자체가 엄밀하지 않다.[204] 어떤 때는 남성의 여성에 대한 지배를 재생산하고 행사하는 모든 사회적 기작을 부권제라고 퉁치기도 한다. 여성주의 이론에서는 보통 부권제를 사회적 구성물로 특징지으며, 그 발생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폭로함으로써 부권제를 극복할 수 있다고 본다.[205]

"부권제"라는 용어가 널리 퍼지기 이전의 여성주의자들은 같은 현상을 "남성 쇼비니즘" 또는 "성차별주의"라고 칭했다.[206] 벨 훅스는 남성 또는 여성에 의해 재생산되는, 남성이 선천적으로 여성을 지배하거나 여성보다 우월한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이념적 체계를 가리키는 새로운 용어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그녀에 따르면 기존의 "부권제"라는 용어는 여성에 대한 억압자가 오직 남성뿐이라는 인상을 시사하기 때문이다.[206]

사회학자들은 주로 생물학적인 설명으로는 가부장제를 거부하는 경향이 있으며,[63] 사회화 과정이 성 역할을 확립하는 데 주로 책임이 있다고 주장한다.[64] 표준적인 사회학 이론에 따르면, 가부장제는 세대를 거쳐 전해지는 사회적 구성의 결과이다.[65]

가부장제는 과학적 분위기 내에 존재하지만, "임신 후기나 육아 초기 단계에 있는 여성이 사냥에 참여하는 데 있어 생리적으로 불리했을 기간은 짧았을 것이다".[97] 유목민 시대에도 가부장제는 권력과 함께 성장했다. 페미니스트들은 사람들이 성차별적 편견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편견은 그것으로부터 이익을 얻는 사람들에 의해 세대를 거쳐 영속되고 강화된다고 믿는다.[97]

실비아 월비(Sylvia Walby)는 가부장제를 정의하는 여섯 가지 중첩 구조를 구성했는데, 이 구조는 서로 다른 문화와 시대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취한다.[19]

구조설명
가정여성은 집안일과 자녀 양육을 통해 남편에게 노동력을 착취당할 가능성이 더 높다.
유료 노동여성은 임금이 적고 유료 노동에서 배제될 가능성이 높다.
국가여성은 공식적인 권력과 대표성을 갖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폭력여성은 학대를 받을 가능성이 더 높다.
여성의 성은 부정적으로 취급될 가능성이 더 높다.
문화서로 다른 문화적 맥락에서 여성의 표현



그러나 가부장제가 자연스럽다는 생각은 많은 사회학자들의 공격을 받았는데, 그들은 가부장제가 생물학적 조건이 아니라 역사적 조건으로 인해 진화했다고 설명한다.

가부장제는 일반적으로 "전통적 가부장제"와 "구조적 가부장제"의 두 가지 범주로 나뉜다.[71] 전통적 가부장제는 아버지가 가족의 가장이며 가족의 사회적 계층 구조의 정점에 있다는 개념을 말한다. 구조적 가부장제는 가정과 가족 역학뿐 아니라 이 사회적 계층 구조의 범위를 확장한다. 여성은 직장 환경에서 종종 직장의 관리자로 간주되는 반면 남성은 노동을 한다.

오랫동안 지속된 가부장적 구조는 수 세기에 걸쳐 페미니즘적 이상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73] 남성은 가족과 가정 전체를 부양하기 위해 수입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에 생활비 증가의 부담은 그 이상을 비현실적으로 만든다.

페미니즘은 가부장제에 대한 직접적인 반대가 아니라 가부장제에 대한 반응으로서의 이론이다.

인류학적 전문 용어로는 아버지나 장남, 또는 남성 집단에 의해 지배되는 가족이나 씨족을 가리키며, 페미니즘 이론에서는 남성이 여성과 아이들을 지배하는 광범위한 사회 구조를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이론에 따르면, 도덕적 권위와 재산의 지배 등 남성이 타인에 대해 사회적 특권을 가지고 착취와 억압을 일으키는 다양한 현상으로 확대되는 경우가 많다.[121][122][123]

가부장제 사회에는 부계제모계제가 있으며, 이는 재산과 칭호가 각각 남계 또는 여계에 의해 계승됨을 의미한다.[124]

5. 1. 페미니즘 이론에서의 가부장제

여성주의 이론에서는 부권제 사회를 여성을 억압하는 부당한 사회구조로 정의한다. 여성주의 이론에서 말하는 부권제의 개념은 유동적이며 정의 자체가 엄밀하지 않다.[204] 어떤 때는 남성의 여성에 대한 지배를 재생산하고 행사하는 모든 사회적 기작을 부권제라고 퉁치기도 한다. 여성주의 이론에서는 보통 부권제를 사회적 구성물로 특징지으며, 그 발생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폭로함으로써 부권제를 극복할 수 있다고 본다.[205]

"부권제"라는 용어가 널리 퍼지기 이전의 여성주의자들은 같은 현상을 "남성 쇼비니즘" 또는 "성차별주의"라고 칭했다.[206] 벨 훅스는 남성 또는 여성에 의해 재생산되는, 남성이 선천적으로 여성을 지배하거나 여성보다 우월한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이념적 체계를 가리키는 새로운 용어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그녀에 따르면 기존의 "부권제"라는 용어는 여성에 대한 억압자가 오직 남성뿐이라는 인상을 시사하기 때문이다.[206]

페미니스트 이론가들은 여성 억압의 주요 원인으로서, 또는 상호 작용하는 시스템의 일부로서 가부장제에 대해 광범위하게 서술해왔다. 급진적 자유지상주의 페미니스트인 슐라미스 파이어스톤은 가부장제를 여성 억압의 시스템으로 정의한다. 파이어스톤은 가부장제가 여성과 남성 사이의 생물학적 불평등, 예를 들어 여성은 아이를 낳지만 남성은 그렇지 않다는 점에서 비롯된다고 믿는다. 파이어스톤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가 여성 억압을 지지하며, 출산의 기쁨을 가부장적 신화로 규정하는 것을 예로 든다. 파이어스톤에게 있어 여성은 억압으로부터 자유로워지기 위해 생식을 통제해야 한다.[33] 페미니스트 역사가인 거다 러너는 남성이 여성의 성적 활동과 생식 기능을 통제하는 것이 가부장제의 근본적인 원인이자 결과라고 믿는다.[76]

상호 작용 시스템 이론가인 아이리스 마리온 영과 하이디 하트만은 가부장제와 자본주의가 상호 작용하여 여성을 억압한다고 믿는다. 영, 하트만, 그리고 다른 사회주의 및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스트들은 여성 억압의 생성과 재생산에서 자본주의와 가부장제의 상호 작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가부장적 자본주의" 또는 "자본주의적 가부장제"라는 용어를 사용한다.[77] 하트만에 따르면, "가부장제"라는 용어는 억압의 초점을 노동 분업에서 남성에게 직접적인 책임이 있는 도덕적, 정치적 책임으로 전환시킨다. 따라서 체계적이고 보편적인 가부장제 개념은 마르크스의 계급과 계급 투쟁 개념을 적용한 것이다.[78]

린제이 저먼은 이러한 측면에서 이례적인 인물이다. 저먼은 가부장제의 기원과 근원을 재정의할 필요성을 주장하며, 주류 이론들은 "여성 억압과 가족의 본질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화해왔는지에 대한 이해를 거의 제공하지 않는다. 계급에 따라 그 억압이 얼마나 다양한지에 대한 개념도 거의 없다"라고 설명한다.[79] 대신, 가부장제는 남성의 여성 억압이나 성차별 자체의 결과가 아니며, 남성조차도 그러한 시스템의 주요 수혜자로 식별되지 않고, 자본 그 자체이다. 따라서 여성 해방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여성의 물질적 지위에 대한 평가"로 시작해야 한다.[79] 이러한 점에서 저먼은 가부장제가 여성 억압의 근본 원인이라는 개념("영원한 진리")을 거부함으로써 영이나 하트만과 다르다.[79]

아프리카계 미국인 페미니스트 작가이자 이론가인 오드레 로드는 인종차별주의와 가부장제가 상호 연관된 억압 시스템이라고 믿었다.[77] 모성 윤리의 맥락에서 "착한 어머니"에 대해 저술한 철학자 사라 루딕은 가부장적 시스템 내에서 자녀를 훈련시켜야 하는 현대 어머니들이 직면하는 딜레마를 설명한다. 그녀는 "착한 어머니"가 아들이 경쟁적이고 개인주의적이며 가부장제의 계층 구조에 편안함을 느끼도록 훈련시키는지, 즉 경제적으로 성공할 가능성이 높지만 못된 사람이 될 수 있는지, 아니면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거부하고 아들이 협력적이고 공동체적이지만 경제적으로는 성공하지 못하도록 사회화시키는지 질문한다.[33]

러너는 1986년 저서 『가부장제의 창조(The Creation of Patriarchy)』에서 여성 억압 시스템으로서 가부장제의 기원과 재생산에 대한 일련의 주장을 제기하고, 가부장제는 사회적으로 구성되고 자연스럽고 보이지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는 결론을 내린다.[76]

일부 페미니스트 이론가들은 가부장제가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해로운 불의한 사회 시스템이라고 믿는다.[80] 여기에는 종종 여성에 대한 남성의 지배를 불러일으키는 모든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메커니즘이 포함된다. 가부장제는 사회적 구성이기 때문에 그 징후를 드러내고 비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극복할 수 있다.[81]

자거, 영, 하트만은 여성 억압의 필수적인 구성 요소로 보는 이성애 가부장적 가족을 비롯한 가부장제 시스템을 완전히 뒤엎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페미니스트 이론가들 중 하나이다. 가족은 자신의 구성원에게 변화와 복종을 강요함으로써 더 큰 문명을 대표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가족의 가장을 통해 주민을 통치하는 가부장적 국가의 통치 구성 요소로서 기능한다.[82]

많은 페미니스트들(특히 학자와 활동가들)은 가부장제를 해체하기 위한 방법으로 문화 재배치를 요구해왔다. 문화 재배치는 문화 변화와 관련이 있다. 여기에는 사회의 문화적 개념을 재구성하는 것이 포함된다.[83] "가부장제"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되기 전에 초기 페미니스트들은 거의 같은 현상을 가리키는 데 "남성 쇼비니즘"과 "성차별주의"를 사용했다.[84] 작가 벨 훅스는 새로운 용어가 남성이 여성에 대한 지배와 우월성을 주장하는 이데올로기 시스템 자체를 식별하는 반면, 이전 용어는 남성만이 여성을 억압하는 자로 행동한다는 것을 암시한다고 주장한다.[84]

사회학자 조앤 에이커는 가부장제 개념과 페미니스트 사상 발전에서의 역할을 분석하면서, 가부장제를 "보편적이고 초역사적이며 초문화적인 현상"으로 보는 것은 "여성이 어디에서나 남성에 의해 거의 같은 방식으로 억압당했다 […]는 생물학적 본질주의로 기울었다"고 말한다.[85]

안나 폴러트는 가부장제라는 용어의 사용을 순환적이고 설명과 설명을 혼동하는 것으로 묘사했다. 그녀는 가부장제에 대한 담론이 "이론적 교착 상태... 설명해야 할 것에 구조적 레이블을 부과하는 것"을 만들고 따라서 성 불평등을 설명할 가능성을 빈곤하게 만든다고 지적한다.[86]

인류학적 전문 용어로는 아버지나 장남, 또는 남성 집단에 의해 지배되는 가족이나 씨족을 가리키며, 페미니즘 이론에서는 남성이 여성과 아이들을 지배하는 광범위한 사회 구조를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이론에 따르면, 도덕적 권위와 재산의 지배 등 남성이 타인에 대해 사회적 특권을 가지고 착취와 억압을 일으키는 다양한 현상으로 확대되는 경우가 많다.[121][122][123]

5. 2. 가부장제가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가부장적인 성규범 체계는 생물학적 성에 따라 개인에게 특정한 행동을 기대하게 한다. 어떤 사람들은 사회가 정한 엄격한 "허용 가능한 행동"이나 성별 경계를 따르기를 원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정신적 외상을 일으킬 수 있다.[114] 이러한 사람들은 사회에서 배제되고 소외되며, 성폭력에 더 취약해진다.[114] 예를 들어, LGBTQ+ 구성원들은 성적 학대와 괴롭힘의 피해자가 되는 경우가 많다. 결과적으로, 가부장적인 사회는 성적으로 순응하지 않는 여성과 엄격한 사회적 성별 및 성적 규범을 따르지 않는 사람들에게 안전하지 않고 해로운 환경을 만든다. 이러한 권력 불균형은 주로 남성에게 유리한 것으로 인식되지만, 남성의 심리적 안녕에도 숨겨진 위험을 초래한다.[114]

오늘날 소셜 미디어가 매우 널리 보급됨에 따라, 개인들은 가부장제가 정신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점점 더 취약해지고 있다. 인터넷은 성별에 따른 차별 확산을 쉽게 하고, 가부장적 규범을 강화하며, 여성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퍼뜨린다. 연구에 따르면 "소셜 미디어 사용은 자살 충동, 고독감, 공감 능력 저하와 같은 부정적인 정신 건강 영향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114]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는 종종 비현실적인 신체 기준이나 라이프스타일을 홍보하는 이미지가 표시되어 사용자들 사이에서 비교, 질투, 불안감을 유발한다.

6. 관련 주제


  • 성경 속의 가부장제
  • 중국 가부장제
  • 도모스트로이
  • 일본 황실
  • 신가부장제
  • 가족의 가장
  • 데메 및 게노스
  • 남성중심주의
  • 반종속 원칙
  • 자본주의적 가부장제와 사회주의적 페미니즘에 대한 주장
  • 고대 도시
  • 대응 원칙 (사회학)
  • 국가의 모델로서의 가족
  • 가족 경제학
  • 헤게모니적 남성성
  • 주부
  • 남성의 소모성
  • 본성 대 양육
  • 가부장 (동음이의)
  • 가부장제
  • 파트리키아 (고대 로마)
  • 부계 중심 거주
  • 남근 중심주의
  • 아들 선호
  • 아버지의 사회학
  • 개인적인 것은 정치적인 것이다
  • 가부장제의 나무
  • 자궁 선망
  • 남성 중심 사회
  • 지배 질서
  • 남성 특권

7. 같이 보기


  • 성경 속의 가부장제
  • 중국 가부장제
  • 도모스트로이
  • 일본 황실
  • 신가부장제
  • 남성중심주의
  • 반종속 원칙
  • 대응 원칙 (사회학)
  • 국가의 모델로서의 가족
  • 가족 경제학
  • 헤게모니적 남성성
  • 주부
  • 남성의 소모성
  • 본성 대 양육
  • 가부장 (동음이의)
  • 가부장제
  • 파트리키아 (고대 로마)
  • 부계 중심 거주
  • 남근 중심주의
  • 아들 선호
  • 아버지의 사회학
  • 개인적인 것은 정치적인 것이다
  • 가부장제의 나무
  • 자궁 선망
  • 남성 중심 사회
  • 지배 질서
  • 남성 특권
  • 공유 부부/공유 양육 결혼

참조

[1] 논문 Varieties of Patriarchy and Violence Against Women: Resurrecting 'Patriarchy' as a Theoretical Tool 2009
[2] 서적 Encyclopedia of Sex and Gender Macmillan
[3] 서적 Societies, Networks, and Transitions: A Global History Cengage Learning
[4] 백과사전 John Wiley & Sons, Ltd
[5] 서적 Women's Studies Encyclopedia, Volume 2 Greenwood Publishing
[6] 서적 Encyclopedia of Motherhood, Volume 3 SAGE Publications
[7] 웹사이트 patriarchy https://en.oxforddic[...] 2019-01-04
[8] 사전
[9] 사전
[10] 사전
[11] 사전
[12] 사전
[13] 서적 The Social Science Encyclopedia Taylor & Francis 1996
[14] 서적 The Concise Encyclopedia of Sociology John Wiley & Sons
[15] 서적 Encyclopedia of Social Theory Routledge 2012
[16] 서적 Encyclopedia of Political Economy, Volume 2: L–Z Routledge 1999
[17]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Social Policy Routledge 2013
[18] 서적 Teaching for Diversity and Social Justice Routledge 2016
[19] 논문 Theorising Patriarchy 1989
[20] 웹사이트 Can the patriarchy be matrilineal? An anthropologist calls for clarity {{!}} Santa Fe Institute https://www.santafe.[...] 2024-06-04
[21] 논문 Lineal kinship organization in cross-specific perspective 2019-09-02
[22] 웹사이트 Patrilineal vs. Matrilineal Succession: How Does Inheritance Work? https://www.thoughtc[...] 2024-06-04
[23] 웹사이트 Why ancient men had to evolve from carousers to doting dads — or die https://www.inverse.[...] 2020-06-21
[24] 잡지 Paternal provisioning results from ecological change 2020-05-19
[25] 서적 Catching Fire: How Cooking Made Us Human Basic Books
[26] 웹사이트 Invention of cooking drove evolution of the human species, new book argues https://news.harvard[...] 2009-06-01
[27] 웹사이트 Review of 'Catching Fire: How Cooking Made Us Human' https://thekeep.eiu.[...] 2010
[28] 서적 The Human Advantage: A New Understanding of How Our Brain Became Remarkable The MIT Press 2016
[29] 서적 Agricultural and pastoral societies in ancient and classical history Temple University Press
[30] 논문 The Origins of Sex Differences in Human Behavior: Evolved Dispositions Versus Social Roles http://www.sscnet.uc[...] 1999-07
[31] 서적 Modelling the early human mind McDonald Institute for Archaeological Research, University of Cambridge 1996
[32] 서적 Foucault, Subjectivity, and Identity: Historical Constructions of Subject and Self https://books.google[...] 2002
[33] 서적 The Creation of Patriarch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34] 논문 The Origins of Fatherhood: An Ancient Family Process
[35] 간행물
[36] 서적 Routledg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Women: Global Women's Issues and Knowledge, Volume 2 2000
[37] 서적 The Creation of Patriarch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38] 서적 The Civilization of the Goddess: The World of Old Europe Harper Collins
[39] 서적 The Fall: The Insanity of the Ego in Human History O Books
[40] 서적 Plato in Twelve Volumes Harvard University Press 2015-02-09
[41] 서적 Peer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the origins of prejudice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2
[42] 서적 The police power: patriarchy and the foundations of American government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5
[43] 서적 Engendering origins: critical feminist readings in Plato and Aristotle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94
[44] 서적 The Creation of Patriarchy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45] 서적 Ancient Near Eastern Texts Relating to The Old Testamen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50
[46] 서적 What Paul Really Said About Women: an Apostle's liberating views on equality in marriage, leadership, and love HarperOne 1991
[47] 백과사전 Patriarchy and Paternalism Charles Scribner's Sons 2004
[48] 학술지 Encyclopedie, Paternal Authority http://quod.lib.umic[...] 2003-02-01
[49] 서적 The Power of Woman: The Life and writings of Sarah Moore Grimké https://books.google[...] Mercer University Press 2003
[50] 서적 American Feminism: a contemporary history https://archive.org/[...] NYU Press 1990
[51] 서적 Women in a Patriarchal World; Twenty five empowering stories from the Bible SPCK Publishing 2020
[52] 서적 Governing the hearth: law and the family in nineteenth-century America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85
[52] 학술지 Crossing boundaries: nineteenth-century domestic relations law and the merger of family and legal history http://www.repositor[...] 1985
[53] 학술지 Patriarchal Revolution in Ancient Japan: Episodes from the "Nihonshoki" Sūjin Chronicle http://www.jstor.org[...] 1986
[54] 학술지 Daughter/Wife/Mother or Sage/Immortal/Bodhisattva? Women in the Teaching of Chinese Religions https://www2.kenyon.[...] 2006
[55] 서적 Finding God Among Our Neighbors: An Interfaith Systematic Theology Augsburg Fortress 2017
[56] 학술지 Women Existing for Men: Confucianism and Social Injustice against Women in China
[57] 서적 After Confucius: Studies in Early Chinese Philosophy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5
[58] 서적 Technology and Gender: Fabrics of Power in Late Imperial Chin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7
[59] 서적 My Country and My People Oxford City Press
[60] 학술지 Widows and Remarriage in Ming and Early Qing China
[61] 학술지 Law, Sexual Morality, and Gender Equality in Qing and Communist China https://digitalcommo[...]
[62] 학술지 Female Infanticide in China: An Examination of Cultural and Legal Norms https://escholarship[...] 1991
[63] 서적 Sociology Prentice Hall 2012
[64] 서적 Essentials of Sociology Taylor & Francis 2001
[65] 서적 The Evolution of Human Sociality https://archive.org/[...] Rowman & Littlefield 2001
[66] 서적 Sociology: A Global Introduction Prentice Hall 2000
[67] 서적 The menopause industry: how the medical establishment exploits women https://archive.org/[...] Hunter House 1994
[68] 웹사이트 How the appliance boom moved more women into the workforce https://penntoday.up[...] 2019-01-30
[69] 학술지 Assessing the "Engines of Liberation": Home Appliances and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https://www.jstor.or[...] 2008
[70] 웹사이트 Taming the Cycle: How Does the Pill Work? http://sitn.hms.harv[...] Harvard Medical School 2021-02-17
[71] 논문 A History of Patriarchy? https://studentthese[...]
[72] 논문 Critical Overview of Patriarchy, Its Interferences With Psychological Development, and Risks for Mental Health 2023-06-10
[73] 웹사이트 Feminism Definition, History, Types, Waves, Examples, & Facts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10-25
[74] 웹사이트 Sylvia Walby: Six Structures of Patriarchy - ReviseSociology https://revisesociol[...] 2024-10-25
[75] 웹사이트 When Could Women Open A Bank Account? – Forbes Advisor https://www.forbes.c[...] 2024-10-25
[76] 서적 The Creation of Patriarch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77] 서적 Feminist Thought: A More Comprehensive Introduction 2017
[78] 논문 The Unhappy Marriage of Marxism and Feminism
[79] 웹사이트 Lindsey German: Theories of Patriarchy (Spring 1981) https://www.marxists[...] 2020-03-18
[80] 서적 Resisting Injustice and the Feminist Ethics of Care in the Age of Obama: "Suddenly ... All the Truth Was Coming Out" https://books.google[...] Routledge Research in American Politics and Governance 2014-02-05
[81] 서적 Routledge Encyclopedia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Entries P-Z Taylor & Francis 2001
[82] 웹사이트 Violence against Women and Media: Advancements and Challenges of a Research and Political Agenda http://www.unesco.or[...] UNESCO 2014-10-08
[83] 논문 Repositioning culture for development: women and development in a Nigerian rural community 2015
[84] 서적 The will to change: men, masculinity, and love Washington Square Press 2004
[85] 논문 The Problem with Patriarchy 1989
[86] 논문 Gender and Class Revisited, or the Poverty of 'Patriarchy' 1996
[87] 논문 Sexually coercive male chimpanzees sire more offspring. 2014-12
[88] 논문 Sexual Conflict: Nice Guys Finish Last
[89] 논문 The evolutionary origins of patriarchy
[90] 서적 Primates of Gashaka Springer
[91] 서적 The Psychology of Sex and Gender SAGE Publications 2018-02-27
[92] 뉴스 In the Bonobo World, Female Camaraderie Prevails https://www.nytimes.[...] 2022-05-07
[93] 백과사전 Matriarchy https://www.britanni[...] 2018-06-23
[94] 서적 Practicing anthropology in development processes: new perspectives for a radical anthropology https://books.google[...] Edizioni Nuova Cultura 2012
[95] 서적 Studying men and masculinities Routledge
[96] 서적 Male dominance and female autonomy: domestic authority in matrilineal societies HRAF Press 1972
[97] 서적 Not in our genes: biology, ideology, and human nature Pantheon Books 1984
[98] 논문 Evolutionary psychology and feminism 2011-05
[99] 서적 The inevitability of patriarchy W. Morrow 1974
[100] 논문 Reviewed Work: ''The Inevitability of Patriarchy'' by Steven Goldberg 1974-06
[101] 서적 Psychoanalysis and feminism Pantheon Books 1974
[102] 서적 Defining women: Social institutions and gender divisions https://archive.org/[...] Polity/Open University 1992
[103] 서적 Brothers: male dominance and technological change Pluto 1991
[104] 서적 Écrits: a selection Routledge 2001
[105] 서적 Visual and other pleasures Palgrave Macmillan 2009
[106] 서적 Antigone's claim: kinship between life and death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0
[107] 논문 Family and other relations: a thesis examining the extent to which family relationships shape the relations of art University of Plymouth 2008
[108] 서적 The gendering of art education: modernism, identity, and critical feminism Open University 2001
[109] 서적 Cultures and organizations: software of the mind https://books.google[...] McGraw-Hill 2005
[110] 서적 The gender-technology relation: contemporary theory and research Taylor & Francis 1995
[111] 서적 Masculinity and the British organization man since 1945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112] 서적 The dialectic of sex: the case for feminist revolution https://archive.org/[...] Quill 1970
[113] 웹사이트 'Patriarchy Is Regaining Ground', Secretary-General Warns, while Women's, Girls' Rights Face Unprecedented Threat, as Commission Opens 2024 Session https://press.un.org[...]
[114] 학술지 Critical Overview of Patriarchy, Its Interferences With Psychological Development, and Risks for Mental Health 2023
[115] 백과사전 Definition of PATRIARCHY https://www.merriam-[...] 2023-06-03
[116] 백과사전 patriarchy https://www.britanni[...] 2023-06-02
[117] 백과사전 Meaning of patriarchy in English
[118] 서적 Encyclopedia of Sex and Gender Macmillan
[119] 서적 Societies, Networks, and Transitions: A Global History Cengage Learning
[120] 백과사전 John Wiley & Sons, Ltd
[121] 학술지 Theorising Patriarchy https://www.jstor.or[...] 1989-05
[122] 서적 The creation of patriarch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123] 학술지 Varieties of Patriarchy and Violence Against Women: Resurrecting "Patriarchy" as a Theoretical Tool https://doi.org/10.1[...] 2009-05-01
[124] 서적 Contemporary Japanese thought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5
[125] 서적 民法のすすめ 岩波書店 1998
[126] 서적 新比較婚姻法III ヨーロッパ(2)・アメリカ大陸(2) 勁草書房 1962
[127] 웹사이트 エマニュエル・トッド「今のフェミニズムは男女の間に戦争を起こそうとする、現実離れしたイデオロギー」 {{!}} 英米流フェミニズムに見られる「激しい怨嗟」の理由 https://courrier.jp/[...] 2022-02-19
[128] 간행물 1928
[129] 서적 近代日本における家族法の展開 弘文堂 1975
[130] 서적 新比較婚姻法III 勁草書房 1962
[131] 서적 エミール(下) 岩波書店 1964
[132] 법률 1975年改正前仏民法第213条
[133] 서적 ナポレオン自伝 朝日新聞社 2004
[134] 서적 中世における後家相続 校倉書房 2006
[135] 서적 中世における後家相続 校倉書房 2006
[136] 서적 縮刷版 社会学事典 弘文堂
[137] 서적 家族制ノ将來ヲ論ス 有斐閣書房 1910
[138] 서적 明治民法起草委員の「家」と戸主権理解 富井と梅の「親族編」の議論から 九州大学法政学会 2007
[139] 서적 民法要義 巻之四親族法 和仏法律学校 1902
[140] 서적 日本資本主義の機構と法律 明善書房 1948
[141] 서적 民法要義 巻之四親族法 和佛法律学校
[141] 서적 家族制度全集史論篇 第一巻 婚姻 河出書房
[142] 서적 民法総則講義 中央大学出版部
[142] 서적 体系的・網羅的 一冊で学ぶ日本の歴史 ペレ出版
[142] 서적 詳説日本史図録 山川出版社
[142] 서적 明日への日本歴史4 近代社会と近現代国家 山川出版社
[143] 서적 ローマ法 有斐閣
[144] 서적 親族法 岩波書店
[145] 서적 リーガルベイシス民法入門 日本経済新聞出版社
[146] 서적 改訂増補 親族法相続法論 有斐閣書房
[147] 서적 民法研究VII-2 親族・相続
[148] 서적 リーガルベイシス民法入門 日本経済新聞出版社
[149] 서적 親族法及國際親族法の研究 https://iss.ndl.go.j[...] 巌松堂書店
[150] 서적
[151] 서적 家族 家族問題と家族法I 酒井書店
[152] 서적 法理學 第一巻 有斐閣
[153] 서적 日本の法学者 日本評論社
[153] 서적 徳川時代の文学に見えたる私法 岩波書店
[154] 서적 明治民法史の研究(下) 手塚豊著作集第八巻 慶應通信
[155] 서적 民法典相続法と農民の戦略 19世紀フランスを対象に 御茶の水書房
[156] 서적 講座 日本近代法発達史2 勁草書房
[157] 웹사이트 第30回帝国議会 貴族院 予算委員第三分科会(内務省、文部省) 第2号 大正2年3月22日 https://teikokugikai[...]
[158] 서적 ナポレオンを創った女たち 集英社
[158] 서적 フランス民法典の200年 有斐閣
[158] 서적
[158] 서적 仏蘭西民法I 人事法 有斐閣
[158] 서적 近代日本における家族法の展開 弘文堂
[158] 학술지 <翻訳>「フランス民法における女性」 (<小特集>女性の地位 続) http://id.nii.ac.jp/[...] 1984-11
[158] 서적 福島正夫著作集 第2巻 勁草書房
[158] 서적 民法編纂と明治維新 悠々社
[158] 학술지 自由主義者たちと民法典論争 https://hdl.handle.n[...] 早稲田大学大学院社会科学研究所
[158] 서적
[159] 서적 民法総則講義 中央大学出版部
[159] 서적 民法講義I 民法総則 成文堂
[160] 서적 婚姻 家族問題と家族法II 酒井書店
[161] 서적 近代家族の成立と終焉 岩波書店
[162] 서적 Violence and Social Change Routledge & Kegan Paul
[163] 서적 Feminist Perspectives on Wife Abuse Sage
[164] 서적 ドメスティック・バイオレンス(DV)の加害者に関する研究 https://data.e-gov.g[...] 法務総合研究所
[165] 학술지 親密な関係性における暴力性とジェンダー https://www.ritsumei[...] 2001-03
[166] 웹사이트 女性管理職を増やすには https://www.nikkeimm[...] 日経メディアマーケティング株式会社 2019-02-20
[167] 서적 性の政治学 ドメス出版
[168] 서적 Encyclopedia of Sex and Gender Macmillan
[169] 서적 Women's studies encyclopedia, Volume 2 http://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170] 서적 Encyclopedia of Motherhood, Volume 1 http://books.google.[...] SAGE
[171] 웹사이트 πατριάρχης http://www.perseus.t[...]
[172] 웹사이트 patriarchy http://oxforddiction[...] 2010-10-28
[173] 웹사이트 πατριά http://www.perseus.t[...]
[174] 웹사이트 ἄρχω http://www.perseus.t[...]
[175] 서적 The Concise Encyclopedia of Sociology http://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76] 서적 Sociology http://books.google.[...] Polity
[177] 서적 Transforming capitalism and patriarchy: gender and development in Africa http://books.google.[...] Lynne Reiner
[178] 서적 Encyclopedia of Women's Autobiography: K-Z http://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79] 웹인용 부권제[父權制, patriarchy] http://timeline.brit[...]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2015-02-06
[180] 서적 The Inevitability of Patriarchy William Morrow & Co. 2015-02-07
[181] 서적 The Myth of Matriarchal Prehistory: Why an Invented Past Won't Give Women a Future Beacon Press 2015-02-07
[182] 백과사전 Matriarchy Encyclopædia Britannica
[183] 서적 The Invisible Sex: Uncovering the True Roles of Women in Prehistory Smithsonian Books & Collins (HarperCollinsPublishers)
[184] 저널 Presidential Address: Myths of Asian Womanhood 2000-11
[185] 서적 Agricultural and pastoral societies in ancient and classical history http://books.google.[...] Temple University Press
[186] 저널 The Origins of Sex Differences in Human Behavior: Evolved Dispositions Versus Social Roles http://www.sscnet.uc[...] 1999-06
[187] 서적 Modelling the Early Human Mind Cambridge Macdonald Monograph Series
[188] 서적 Foucault, Subjectivity, and Identity: Historical Constructions of Subject and Self http://books.google.[...]
[189] 저널 The Origins of Fatherhood: An Ancient Family Process http://www.blackwell[...] 2015-02-06
[190] 웹사이트 http://cat.inist.fr/[...]
[191] 서적 Saharasia: The 4000 BCE Origins of Child Abuse, Sex-Repression, Warfare and Social Violence in the Deserts of the Old World http://books.google.[...]
[192] 서적 The Creation of Patriarchy http://books.google.[...]
[193] 웹사이트 http://www.perseus.t[...]
[194] 서적 Peer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the origins of prejudice http://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95] 서적 The police power: patriarchy and the foundations of American government http://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6] 서적 Engendering origins: critical feminist readings in Plato and Aristotle http://books.google.[...] SUNY Press
[197] 서적 The Creation of Patriarchy Oxford University Press
[198] 서적 Ancient Near Eastern Texts Relating to The Old Testamen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 서적 What Paul Really Said About Women: an Apostle's liberating views on equality in marriage, leadership, and love HarperCollins
[200] 저널 Helena and the True Cross Classical Association of Ireland
[201] 서적 Europe, 1450 to 1789: Encyclopedia of the Early Modern World Charles Scribners & Sons
[202] 서적 The Power of Woman: The Life and writings of Sarah Moore Grimké http://books.google.[...] Mercer University Press
[203] 서적 American Feminism: a contemporary history NYU Press
[204] 서적 From stress to distress: Conceptualizing the British family farming patriarchal way of life Queen's University Press, Belfast
[205] 서적 Routledge Encyclopedia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Entries P-Z http://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6] 서적 The Will to Change: Men, Masculinity, and Love https://archive.org/[...] Washington Square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