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서동 (대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서동은 대구광역시 달서구에 위치한 지역으로, 대구 달성의 서쪽에 위치해 성서(城西)라는 명칭이 유래되었다. 1895년 대구부 대구군 성서면과 감물천면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행정구역 개편을 거쳤으며, 1988년 달서구 신설과 함께 편입되었다. 현재는 장기동, 감삼동, 이곡동 등 여러 행정동과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구성서경찰서, 대구지방조달청, 대구지방법원 서부지원 등 주요 기관과 성서지구, 용산지구, 장기지구 등의 주거 지구가 있다.

2. 명칭 유래

성서(城西)라는 명칭은 대구 달성의 서쪽에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3. 역사

성서동은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23부제 실시로 대구부 대구군 성서면, 감물천면이었다가,[1] 1896년 8월 4일 13도제 실시로 경상북도 대구군의 관할이 되었다.[2] 1910년 10월 1일 대구군이 대구부로 승격하여 경상북도 대구부의 관할이 되었다.[3] 1914년 4월 1일 대구부대구부, 달성군으로 분리하고, 성서면과 감물천면을 합쳐 경상북도 달성군 성서면이 되었다.[4] 이후 행정 구역 변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3. 1. 행정 구역 변천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달성군)
대구부 성서면(城西面) 파호동(巴湖洞)성서면 파호동
대구부 성서면(城西面) 파산동(巴山洞), 회금동(琴回洞)성서면 파산동
대구부 성서면(城西面) 호림동(狐林洞)성서면 호림동
대구부 성서면(城西面) 신당동(新塘洞)성서면 신당동
대구부 성서면(城西面) 이곡동(梨谷洞), 율제동(栗堤洞)성서면 이곡동
대구부 성서면(城西面) 용상동(龍上洞), 용하동(龍下洞)성서면 용산동
대구부 성서면(城西面) 죽전동(竹田洞)성서면 죽전동
대구부 감물천면(甘勿川面) 갈산동(葛山洞)성서면 갈산동
대구부 감물천면(甘勿川面) 장동(壯洞), 망정동(望亭洞)성서면 장동
대구부 감물천면(甘勿川面) 장기동(長基洞)성서면 장기동
대구부 감물천면(甘勿川面) 본리동(本里洞), 감천동(甘泉洞), 작촌동(鵲村洞)성서면 본리동
대구부 감물천면(甘勿川面) 송현동(松峴洞)성서면 송현동

3. 2. 주요 변천사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23부제 실시로 대구부 대구군 성서면, 감물천면이 되었다.[1]
  • 1896년 8월 4일 13도제 실시로 경상북도 대구군의 관할이 되었다.[2]
  • 1910년 10월 1일 대구군이 대구부로 승격하여 경상북도 대구부의 관할이 되었다.[3]
  • 1914년 4월 1일 대구부대구부, 달성군으로 분리하고, 성서면, 감물천면을 합면하여 경상북도 달성군 성서면이 되었다.[4]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달성군)
대구부 성서면(城西面) 파호동(巴湖洞)성서면 파호동
대구부 성서면 파산동(巴山洞), 회금동(琴回洞)성서면 파산동
대구부 성서면 호림동(狐林洞)성서면 호림동
대구부 성서면 신당동(新塘洞)성서면 신당동
대구부 성서면 이곡동(梨谷洞), 율제동(栗堤洞)성서면 이곡동
대구부 성서면 용상동(龍上洞), 용하동(龍下洞)성서면 용산동
대구부 성서면 죽전동(竹田洞)성서면 죽전동
대구부 감물천면(甘勿川面)[5] 갈산동(葛山洞)성서면 갈산동
대구부 감물천면 장동(壯洞), 망정동(望亭洞)성서면 장동
대구부 감물천면 장기동(長基洞)성서면 장기동
대구부 감물천면 본리동(本里洞), 감천동(甘泉洞), 작촌동(鵲村洞)성서면 본리동
대구부 감물천면 송현동(松峴洞)성서면 송현동


  • 1958년 1월 1일 성서면을 대구시에 편입하여 성서출장소를 설치하였다.[6]
  • 성서출장소 송현동을 월배출장소로 이관하였다.
  • 1963년 1월 1일 성서출장소를 달성군 성서면으로 환원하였다.[7]
  • 1980년 12월 1일 성서면을 성서읍으로 승격하였다.[8]
  • 1981년 7월 1일 성서읍을 대구직할시 서구에 편입하여[9] 성서출장소를 설치하였다.
  • 1982년 9월 1일 성서1동, 성서2동, 본리동을 설치하였다.
  • 1983년 3월 15일 성서3동을 설치하고 성서출장소를 폐지하였다.
  • 1988년 1월 1일 舊 성서출장소 일대를 신설되는 달서구에 편입하였다.[10]
  • 1989년 6월 1일 성서2동을 성서2동, 성서4동으로 분동하였다.
  • 1995년 1월 1일 대구직할시가 대구광역시로 개편하여[11] 대구광역시 달서구의 관할이 되었다.
  • 1996년 1월 1일 성서3동에서 신당동이 분리되었다. 동시에, 행정동의 명칭을 법정동의 명칭에 맞추기 위해 성서1동을 장기동으로, 성서2동을 감삼동으로, 성서3동을 이곡동으로, 성서4동을 죽전동으로 개칭하였다.[12]
  • 2003년 3월 31일 장기동을 장기동, 용산1동, 용산2동으로, 이곡동을 이곡1동, 이곡2동으로 분동하였다.[13]
  • 2005년 4월 30일 법정동 파산동(巴山)의 명칭을 호산동(虎山)으로 변경하였다.[14]

4. 행정 구역

죽전동대구부 성서면 죽전동경상북도 달성군 상서면 죽전동경상북도 대구시 죽전동달성군 성서면 죽전동→성서읍 죽전동→대구직할시 서구 성서출장소 죽전동대구직할시 서구 성서출장소 죽전동→서구 성서2동→대구직할시 달서구 성서2동→달서구 성서4동대구광역시 달서구 죽전동대구광역시 달서구 죽전동장기동장기동 일부대구부 감물천면 장기동경상북도 달성군 성서면 장기동경상북도 대구시 장기동달성군 성서면 장기동→성서읍 장기동→ 대구직할시 서구 성서출장소 장기동대구직할시 서구 성서출장소 장기동→서구 성서1동→달서구 성서1동대구광역시 달서구 장기동대구광역시 달서구 장기동장동대구부 감물천면 장동, 망정동경상북도 달성군 성서면 장동경상북도 대구시 장동달성군 성서면 장동→성서읍 장동→ 대구직할시 서구 성서출장소 장동대구직할시 서구 성서출장소 장동→서구 성서1동→달서구 성서1동대구광역시 달서구 장기동대구광역시 달서구 장기동용산동
(용산1동)장기동 일부
용산동대구부 성서면 용상동, 용하동경상북도 달성군 성서면 용산동경상북도 대구시 용산동달성군 성서면 용산동→성서읍 용산동→대구직할시 서구 성서출장소 용산동대구직할시 서구 성서출장소 용산동→서구 성서1동→달서구 성서1동대구광역시 달서구 장기동→대구광역시 달서구 용산1동대구광역시 달서구 용산1동용산동
(용산2동)대구부 성서면 용상동, 용하동경상북도 달성군 성서면 용산동경상북도 대구시 용산동달성군 성서면 용산동→성서읍 용산동→대구직할시 서구 성서출장소 용산동대구직할시 서구 성서출장소 용산동→서구 성서1동→달서구 성서1동대구광역시 달서구 장기동→대구광역시 달서구 용산2동대구광역시 달서구 용산2동이곡동
(이곡1동, 이곡2동)이곡동
갈산동 일부대구부 성서면 이곡동, 율제동경상북도 달성군 성서면 이곡동경상북도 대구시 이곡동달성군 성서면 이곡동→성서읍 이곡동→대구직할시 서구 성서출장소 이곡동대구직할시 서구 성서출장소 이곡동→서구 성서3동→달서구 성서3동대구광역시 달서구 이곡동→대구광역시 달서구 이곡1동, 이곡2동대구광역시 달서구 이곡1동, 이곡2동신당동신당동대구부 성서면 신당동경상북도 달성군 성서면 신당동경상북도 대구시 신당동달성군 성서면 신당동→성서읍 신당동→대구직할시 서구 성서출장소 신당동대구직할시 서구 성서출장소 신당동→서구 성서3동→달서구 성서3동대구광역시 달서구 신당동대구광역시 달서구 신당동호산동대구부 성서면 파산동, 회금동경상북도 달성군 성서면 파산동경상북도 대구시 파산동달성군 성서면 파산동→성서읍 파산동→대구직할시 서구 성서출장소 파산동대구직할시 서구 성서출장소 파산동→서구 성서3동→달서구 성서3동대구광역시 달서구 신당동[15]대구광역시 달서구 신당동파호동대구부 성서면 파호동경상북도 달성군 성서면 파호동경상북도 대구시 파호동달성군 성서면 파호동→성서읍 파호동→대구직할시 서구 성서출장소 파호동대구직할시 서구 성서출장소 파호동→서구 성서3동→달서구 성서3동대구광역시 달서구 신당동대구광역시 달서구 신당동호림동대구부 성서면 호림동경상북도 달성군 성서면 호림동경상북도 대구시 호림동달성군 성서면 호림동→성서읍 호림동→대구직할시 서구 성서출장소 호림동대구직할시 서구 성서출장소 호림동→서구 성서3동→달서구 성서3동대구광역시 달서구 신당동대구광역시 달서구 신당동갈산동 일부대구부 성서면 갈산동경상북도 달성군 성서면 갈산동경상북도 대구시 갈산동달성군 성서면 갈산동→성서읍 갈산동→대구직할시 서구 성서출장소 갈산동대구직할시 서구 성서출장소 갈산동→서구 성서3동→달서구 성서3동대구광역시 달서구 신당동대구광역시 달서구 신당동



1982년부터는 행정동 기준으로 변천사를 서술한다.[18]

4. 1. 법정동 및 행정동

성서동은 법정동이 아니며, 행정동 변천 과정에 대한 정보는 제공되지 않는다.

5. 주요 기관

6. 주거 지구

성서지구, 용산지구, 장기지구, 본리동이 있다.

참조

[1] 칙령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2] 칙령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3] 조선총독부령 조선총독부령 제7호 1910-10-01
[4] 조선총독부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5] 문서 감물내(→가무내)를 한자로 음차(甘勿川)한 것이다.
[6] 법률 법률 제452호 시·군행정구역변경에관한법률
[7] 법률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8]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10050호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80-12-01
[9] 법률 법률 제3424호 대구직할시및인천직할시설치에관한법률 1981-04-13
[10]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12367호 서울특별시송파구등13개구설치와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7-12-31
[11] 법률 법률 제4789호 지방자치법 1994-12-22
[12] 조례 달서구 조례 제373호 행정운영동의설치및동장정수조례 1996-01-06
[13] 조례 달서구 조례 제583호 2003-01-30
[14] 조례 달서구 조례 제648호 동의명칭과구역에관한조례 2005-04-30
[15] 문서 법정동명 개칭, 파산동→호산동
[16] 문서 나머지 일부는 송현1동에서 관할
[17] 문서 법정동 본동 신설 후 남구 송현동에 이관
[18] 문서 호산동은 예외, 법정동명이 개정되었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