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왕 (발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왕은 793년 발해의 제7대 국왕으로, 대원의가 폐위된 후 즉위했다. 그는 중흥이라는 연호를 사용하고 수도를 동경용원부에서 상경용천부로 옮겼으나, 재위 기간이 짧아 몇 달 만에 병으로 사망했다. 성왕은 문왕의 손자이며, 대숭린이 대리청정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794년 사망 - 김교각
    김교각은 신라 왕족 출신으로 당나라 구화산에서 수행하며 지장보살의 화신으로 숭배받는 인물이지만, 실존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는 설화적 인물로 여겨지기도 한다.
  • 794년 사망 - 후지와라노 다라시코
    후지와라노 다라시코는 헤이제이 천황의 비이자 후지와라노 모모카와의 딸로, 794년 사망 후 헤이제이 천황 즉위 후 황후로 추증되었다.
  • 발해 국왕 - 대현석
    대현석은 대야발의 7대손이자 발해의 왕으로, 일본과 교역하고 당나라에 사신을 파견하는 등 적극적인 대외 정책을 펼치며 국제적 위상을 높였다.
  • 발해 국왕 - 대이진
    대이진은 발해의 제11대 왕으로 당나라와의 외교 관계를 유지하며 문물 교류에 힘썼고, 중앙 집권적인 행정 제도를 확립하고 군사 기구를 발전시켜 국가 체제를 강화하려 했다.
  • 8세기 한국의 군주 - 성덕왕
    신문왕의 아들인 성덕왕은 36년간 신라를 다스리며 당과의 외교, 구휼 사업, 관료 기구 정비, 국방 강화 등 국내외 정세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였다.
  • 8세기 한국의 군주 - 효소왕
    효소왕은 신라의 제30대 왕으로, 신문왕의 아들이자 신목왕후의 아들이며, 당나라로부터 신라왕으로 책봉받고 국내 통치를 시작하여 서시전과 남시전을 설치하고 일본 사신을 접견했으며 이찬 경영의 모반을 진압하다가 1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성왕 (발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대화여(大華璵)
왕조발해
대수제5대
호칭
재위 기간793년 ~ 794년
연호중흥 : 794년
묘호성왕
시호성왕
생년미상
몰년794년
부왕대굉림
모후미상
왕후미상
능묘미상
도성동경 용원부 → 상경 용천부
이름
한국어성왕
한자成王
로마자 표기Seong wang
한국어 (MR 표기)Sŏng wang
출생명 (한글)대화여
출생명 (한자)大華璵
출생명 (로마자 표기)Dae Hwayeo
출생명 (MR 표기)Tae Hwayŏ

2. 생애

아버지 굉림이 조부 문왕보다 일찍 죽어 그의 족제 대원의가 즉위했다. 굉림의 시호는 기록이 없어 알 수 없다.

793년에 즉위한 대원의가 포악한 행동을 해 국인(國人)들에 의해 왕위에서 쫓겨나자 그 뒤를 이었다. 연호를 '''중흥'''(中興)으로 고치고 수도를 동경용원부에서 이전의 도읍지였던 상경용천부로 천도하였다. 상경용천부는 발해 멸망까지의 수도가 되었다. 그러나 그는 793년 왕위를 계승한 지 몇 달 만에 병을 얻어 얼마 후 붕어하기 직전까지 숙부 대숭린(大嵩璘)이 대리청정하였다.

그의 뒤는 숙부 숭린이 이었는데, 성왕에게 자녀가 있었는지 유무 여부, 숭린의 정변 여부는 기록이 없어 알 수 없다.

대흥 57년(794년)에 포악한 짓을 한 대원의를 살해하는 정변이 일어나, 문왕대흠무의 적손인 대화여에게 왕위가 계승되었다.

즉위한 성왕은 중흥으로 개원하고, 또한 동경 용원부에서 상경 용천부로 천도를 실시하여 발해 멸망까지의 수도가 되었다. 그러나 천도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성왕은 병사하였고, 그 치세는 반 년도 채 되지 않았다.

2. 1. 즉위 과정

성왕의 아버지 대굉림은 문왕보다 먼저 사망하였다. 이 때문에 문왕의 족제인 대원의가 왕위를 이었다. 그러나 793년 대원위는 포악한 행동으로 국인(國人)들의 반발을 사 왕위에서 쫓겨났다. 794년, 대원의를 살해하는 정변이 일어나 문왕의 손자인 대화여가 왕위를 계승하여 성왕이 되었다.

2. 2. 중흥 연호와 천도

793년 대원의가 국인(國人)들에 의해 왕위에서 쫓겨난 뒤, 성왕이 즉위하였다. 성왕은 연호를 '''중흥'''(中興)으로 고치고, 수도를 동경 용원부에서 상경으로 천도하였다. 상경 용천부는 발해 멸망 때까지 수도가 되었다. 연호 중흥은 혼란스러웠던 정국을 수습하고 왕조를 부흥시키려는 의지를 담은 것으로 해석되며, 천도는 정치적 안정을 도모하고 새로운 통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그러나 성왕은 793년 왕위를 계승한 지 몇 달 만에 병을 얻었고, 붕어하기 직전까지 숙부 대숭린이 대리청정하였다.

2. 3. 짧은 재위와 사망

성왕은 793년 대원의가 국인(國人)들에 의해 왕위에서 쫓겨난 뒤 왕위를 이었다. 연호를 '''중흥'''(中興)으로 고치고 수도를 동경용원부에서 상경용천부로 천도하였다. 상경은 발해 멸망까지의 수도가 되었다. 그러나 그는 793년 왕위를 계승한 지 몇 달 만에 병을 얻어 얼마 후 붕어하였다. 붕어하기 직전까지 숙부 대숭린이 대리청정하였다.

영어 위키백과에 따르면 성왕은 매우 허약한 사람이었다고 한다. 그가 죽은 후 그의 삼촌인 강왕이 왕이 되었다.

성왕에게 자녀가 있었는지, 숭린의 정변이 있었는지 여부는 기록이 없어 알 수 없다.

3. 가계

성왕은 문왕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대굉림이다. 폐왕 대원의는 성왕의 종숙(족숙)이다.

4. 평가 및 의의

참조

[1] 서적 Korean History in Map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12-15
[2] 서적 The Lives of Korean Women in History https://books.google[...] Iljisa Publishing House 2005-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