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흥 (발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흥은 발해 문왕의 두 번째 연호로, 737년부터 793년까지 57년간 사용되었다. 이 기간 동안 당나라, 일본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연대 대조표가 제공된다. 또한, 762년 대흠무가 당나라로부터 발해 국왕으로 책봉된 사건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해 문왕 - 정혜공주묘
정혜공주묘는 중국 지린성 둔화시 육정산 고분군에 위치한 발해 문왕의 둘째 딸 정혜공주의 무덤으로, 고구려 건축 양식을 계승한 돌방봉토무덤이며 묘비명을 통해 정혜공주가 정효공주의 언니임이 밝혀졌으나, 중국 정부의 소홀한 관리로 훼손되어 역사 왜곡에 대한 우려가 있다. - 발해 문왕 - 정효공주묘
정효공주묘는 중국 지린성 훈춘시에 있는 발해 시대의 무덤으로, 발해 문왕의 딸인 정효공주의 묘이며, 벽돌과 석재를 사용한 당나라와 고구려 양식 혼합 구조에 묘지명이 발해 역사 연구에 중요한 사료로 활용된다. - 발해의 연호 - 인안
인안은 719년부터 737년까지 사용된 연호로, 이 시기에는 고인위의 일본 파견, 히키타노 무시마로의 답방, 신라와의 관계, 발해의 주변국들과의 활발한 교류가 있었다. - 발해의 연호 - 건흥 (발해)
건흥은 발해의 연호로, 819년부터 830년까지 12년간 사용되었으며, 신라 헌덕왕 11년부터 흥덕왕 5년에 해당하는 기간이다. - 한국의 연호 - 주체연호
주체연호는 북한에서 김일성 출생년도인 1912년을 원년으로 사용하는 연호였으나, 2024년 10월 노동신문에서 그레고리력만 사용하며 사실상 폐지되었다. - 한국의 연호 - 건양
건양은 을미개혁의 일환으로 도입된 조선의 연호로, 서양식 역법 도입과 근대 국가 체제로의 이행을 상징하며 대한제국 수립과 함께 폐지되었지만, 조선 근대화 과정의 중요한 전환점을 의미한다.
대흥 (발해) | |
---|---|
지도 | |
연호 정보 | |
연호 | 대흥(大興) |
사용 기간 | 737년 ~ 793년 |
국가 | 발해(渤海) |
군주 | 발해 문왕 |
설명 | 발해 문왕 시기에 위치한 대흥 |
2. 연대 대조표
대흥(大興) | 51년 | 52년 | 53년 | 54년 | 55년 | 56년 | 57년 | 58년 |
---|---|---|---|---|---|---|---|---|
서력(西暦) | 787년 | 788년 | 789년 | 790년 | 791년 | 792년 | 793년 | 794년 |
간지(干支) | 정묘(丁卯) | 무진(戊辰) | 기사(己巳) | 경오(庚午) | 신미(辛未) | 임신(壬申) | 계유(癸酉) | 갑술(甲戌) |
당 | 정원(貞元) 3년 | 정원(貞元) 4년 | 정원(貞元) 5년 | 정원(貞元) 6년 | 정원(貞元) 7년 | 정원(貞元) 8년 | 정원(貞元) 9년 | 정원(貞元) 10년 |
일본 | 엔랴쿠(延暦) 3년 | 엔랴쿠(延暦) 4년 | 엔랴쿠(延暦) 5년 | 엔랴쿠(延暦) 6년 | 엔랴쿠(延暦) 7년 | 엔랴쿠(延暦) 8년 | 엔랴쿠(延暦) 9년 | 엔랴쿠(延暦) 13년 |
2. 1. 대흥 연간
지덕 원년감보 원년
승보 원년
보자 원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