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흥 (발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흥은 발해 문왕의 두 번째 연호로, 737년부터 793년까지 57년간 사용되었다. 이 기간 동안 당나라, 일본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연대 대조표가 제공된다. 또한, 762년 대흠무가 당나라로부터 발해 국왕으로 책봉된 사건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해 문왕 - 정혜공주묘
    정혜공주묘는 중국 지린성 둔화시 육정산 고분군에 위치한 발해 문왕의 둘째 딸 정혜공주의 무덤으로, 고구려 건축 양식을 계승한 돌방봉토무덤이며 묘비명을 통해 정혜공주가 정효공주의 언니임이 밝혀졌으나, 중국 정부의 소홀한 관리로 훼손되어 역사 왜곡에 대한 우려가 있다.
  • 발해 문왕 - 정효공주묘
    정효공주묘는 중국 지린성 훈춘시에 있는 발해 시대의 무덤으로, 발해 문왕의 딸인 정효공주의 묘이며, 벽돌과 석재를 사용한 당나라와 고구려 양식 혼합 구조에 묘지명이 발해 역사 연구에 중요한 사료로 활용된다.
  • 발해의 연호 - 인안
    인안은 719년부터 737년까지 사용된 연호로, 이 시기에는 고인위의 일본 파견, 히키타노 무시마로의 답방, 신라와의 관계, 발해의 주변국들과의 활발한 교류가 있었다.
  • 발해의 연호 - 건흥 (발해)
    건흥은 발해의 연호로, 819년부터 830년까지 12년간 사용되었으며, 신라 헌덕왕 11년부터 흥덕왕 5년에 해당하는 기간이다.
  • 한국의 연호 - 주체연호
    주체연호는 북한에서 김일성 출생년도인 1912년을 원년으로 사용하는 연호였으나, 2024년 10월 노동신문에서 그레고리력만 사용하며 사실상 폐지되었다.
  • 한국의 연호 - 건양
    건양은 을미개혁의 일환으로 도입된 조선의 연호로, 서양식 역법 도입과 근대 국가 체제로의 이행을 상징하며 대한제국 수립과 함께 폐지되었지만, 조선 근대화 과정의 중요한 전환점을 의미한다.
대흥 (발해)
지도
연호 정보
연호대흥(大興)
사용 기간737년 ~ 793년
국가발해(渤海)
군주발해 문왕
설명발해 문왕 시기에 위치한 대흥

2. 연대 대조표

대흥(大興)51년52년53년54년55년56년57년58년
서력(西暦)787년788년789년790년791년792년793년794년
간지(干支)정묘(丁卯)무진(戊辰)기사(己巳)경오(庚午)신미(辛未)임신(壬申)계유(癸酉)갑술(甲戌)
정원(貞元) 3년정원(貞元) 4년정원(貞元) 5년정원(貞元) 6년정원(貞元) 7년정원(貞元) 8년정원(貞元) 9년정원(貞元) 10년
일본엔랴쿠(延暦) 3년엔랴쿠(延暦) 4년엔랴쿠(延暦) 5년엔랴쿠(延暦) 6년엔랴쿠(延暦) 7년엔랴쿠(延暦) 8년엔랴쿠(延暦) 9년엔랴쿠(延暦) 13년


2. 1. 대흥 연간

지덕 원년지덕 2년일본덴표 20년덴표 21년
감보 원년
승보 원년승보 2년승보 3년승보 4년승보 5년승보 6년승보 7년승보 8년승보 9년
보자 원년



대흥21년22년23년24년25년26년27년28년29년30년
서력757년758년759년760년761년762년763년764년765년766년
육십간지정유(丁酉)무술(戊戌)기해(己亥)경자(庚子)신축(辛丑)임인(壬寅)계묘(癸卯)갑진(甲辰)을사(乙巳)병오(丙午)
지덕 3년
건원 원년
건원 2년건원 3년
상원 원년
상원 2년상원 3년
보응 원년
보응 2년
광덕 원년
광덕 2년영태 원년영태 2년
대력 원년
일본보자 2년보자 3년보자 4년보자 5년보자 6년보자 7년보자 8년보자 9년
신고 원년



대흥31년32년33년34년35년36년37년38년[2]39년40년
서력767년768년769년770년771년772년773년774년775년776년
육십간지정미(丁未)무신(戊申)기유(己酉)경술(庚戌)신해(辛亥)임자(壬子)계축(癸丑)갑인(甲寅)을묘(乙卯)병진(丙辰)
대력 2년대력 3년대력 4년대력 5년대력 6년대력 7년대력 8년대력 9년대력 10년대력 11년
일본신고 2년신고 3년
경운 원년
경운 2년경운 3년경운 4년
호키 원년
호키 2년호키 3년호키 4년호키 5년호키 6년



대흥41년42년43년44년45년46년47년48년49년50년
서력777년778년779년780년781년782년783년784년785년786년
육십간지정사(丁巳)무오(戊午)기미(己未)경신(庚申)신유(辛酉)임술(壬戌)계해(癸亥)갑자(甲子)을축(乙丑)병인(丙寅)
대력 12년대력 13년대력 14년건중 원년건중 2년건중 3년건중 4년흥원 원년정원 원년정원 2년
일본호키 7년호키 8년호키 9년호키 10년호키 11년호키 12년
천응 원년
천응 2년
엔랴쿠 원년
엔랴쿠 2년



대흥51년52년53년54년55년56년57년
서력787년788년789년790년791년792년793년
육십간지정묘(丁卯)무진(戊辰)기사(己巳)경오(庚午)신미(辛未)임신(壬申)계유(癸酉)
정원 3년정원 4년정원 5년정원 6년정원 7년정원 8년정원 9년
일본엔랴쿠 3년엔랴쿠 4년엔랴쿠 5년엔랴쿠 6년엔랴쿠 7년엔랴쿠 8년엔랴쿠 9년


3. 주요 사건

大欽茂중국어으로부터 발해 국왕으로 책봉되었다.

연도주요 사건
25년大欽茂중국어으로부터 발해 국왕으로 책봉되었다.


참조

[1] 논문 발해 정혜공주묘비의 고증에 대하여 서울대학교 1981
[2] 문서 이 때부터 최소 44년, 최대 55년까지는 보력 연간으로 보기도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