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이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이진은 발해 선왕의 손자이자 대신덕의 아들로, 830년 선왕 사후 발해의 왕위를 계승했다. 그는 즉위 후 당나라에 조공을 바치고, 당나라로부터 발해국왕으로 책봉받았다. 대이진은 당나라와 활발한 외교 관계를 맺어 사신을 파견하고 유학생을 보내는 등 문화 교류를 추진했으며, 장건장을 발해로 초청하여 교류를 확대했다. 또한, 거란의 기록에는 황제를 참칭하고 궁궐을 지었다는 기록이 있다. 대이진은 내치에도 힘써 부주를 확정하고 중앙 집권적인 행정 제도를 확립했으며, 군사 기구를 발전시키고 당나라 제도를 수용하여 발해의 국력을 강화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58년 사망 - 몬토쿠 천황
    몬토쿠 천황은 850년부터 858년까지 재위했으며, 후지와라노 요시후사의 영향력 아래에서 넷째 아들을 황태자로 정했으나 권력 다툼을 겪다가 뇌졸중으로 급사했다.
  • 858년 사망 - 키나드 1세 막 알핀
    키나드 1세 막 알핀은 9세기 중반 픽트족 왕국을 정복하고 알바 왕국을 건국한 스코틀랜드의 왕으로, 843년부터 통치하며 픽트인과 게일인의 융합을 통해 스코틀랜드 왕국의 기틀을 다졌고 858년 사망하여 그의 후손들이 알핀 왕조를 이루었다.
  • 발해 국왕 - 대현석
    대현석은 대야발의 7대손이자 발해의 왕으로, 일본과 교역하고 당나라에 사신을 파견하는 등 적극적인 대외 정책을 펼치며 국제적 위상을 높였다.
  • 발해 국왕 - 대인선
    대인선은 발해의 마지막 왕으로, 급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야율아보기의 거란에게 침공을 받아 발해가 멸망하는 비운을 맞이했으며, 멸망 후 거란에 유폐된 것으로 추정된다.
  • 9세기 한국의 군주 - 진성여왕
    진성여왕은 신라 경문왕의 딸로, 정강왕 사후 887년에 즉위하여 음란한 행실과 국정 문란, 민란 발생으로 혼란을 겪다가 897년 효공왕에게 양위하고 사망했다.
  • 9세기 한국의 군주 - 견훤
    견훤은 신라 장군 출신으로 후백제를 건국하고 왕건과 대립하다가 아들 신검의 반란으로 고려에 투항하여 상부의 칭호를 받았으며, 후백제 멸망 후 사망했다.
대이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대이진
다른 이름왕이진(王彝震)
칭호가독부
재위 기간830년 ~ 858년 2월
사망858년 2월
부왕대신덕(大新德)
자녀대명훈(大明訓)
대명준(大明俊)
대광성(大光晟)
대창휘(大昌輝)
대연광(大延廣)
대입악(大立萼)
연호함화(咸和)
생애
즉위발해 선왕의 뒤를 이어 즉위함
통치당나라와 우호 관계 유지
일본에 사신 파견
시호알 수 없음
묘호알 수 없음
가족 관계
부왕대신덕
모후미상
배우자미상
기타
왕조발해
목록제11대 발해 국왕

2. 생애

선왕 대인수의 손자이자 그의 아들 대신덕의 아들인 대이진은 선왕 사후 왕위를 계승하였다.[1][2] 그는 당나라와 활발하게 교류하며, 발해의 내치를 다지는 데 힘썼다.

2. 1. 즉위 과정

선왕 대인수의 손자이자 그의 아들 대신덕의 아들이다. 《신당서》에는 인수의 손자라 하며, 신덕의 장남인지 아닌지 여부는 알 수 없다. 《구당서》에는 인수가 죽고 권지국무 이진을 발해국왕으로 봉했다고만 나타난다.[1]

830년 선왕 사후 그가 계승했다. 《구당서》에는 즉위 첫해 당나라로 사신을 보내 조공을 바쳤다고 기록되어 있다.[1] 《구당서》에 의하면 그는 권지국무(權知國務)라 칭했다. 당나라는 그를 은청광록대부 검교비서감 도독(銀青光祿大夫 檢校秘書監 都督)직을 내리고 발해국왕(渤海國王)으로 책봉했다.[1] 《구당서》 17권 하권에는 831년 5월 기축일에 권지발해국국무(權知渤海國國務) 검교비서감 흘한주도독 발해국왕에 책봉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

선왕(대인수) 사후, 적자인 대신덕이 일찍 죽었기 때문에, 적손인 대이진이 즉위했다.[2]

2. 2. 당나라와의 관계

830년 선왕 사후 그가 계승했다. 구당서 199권에 의하면 즉위 첫해 당나라로 사신을 보내 조공을 바쳤다. 그는 권지국무(權知國務)라 칭했고, 당나라에서는 그를 은청광록대부 검교비서감 도독(銀青光祿大夫 檢校秘書監 都督)직을 내리고 발해(渤海國王)으로 책봉했다. 구당서 17권 하권에 의하면 831년 5월 기축일에 권지발해국국무(權知渤海國國務) 검교비서감 흘한주도독 발해국왕에 책봉했다 한다.

831년 당나라에 사신을 보낼 때, 아들 대명준(大明俊) 등을 딸려 보냈다. 832년 1월 당나라에서 책명(冊命)을 내린 것에 대한 감사 사절단으로 발해국의 동중서문하평장사 고보영(高寶英) 등을 당나라로 보냈으며, 유학생 3인을 딸려보냈다. 당나라의 수보영(隨寶英) 등의 청으로 상도로 보내져 학문을 닦게 하고 먼저 보낸 유학생 3인은 발해로 귀국시켰다. 그해 2월 왕자 대선성(大先晟) 등 6인과 사신을 당나라로 보냈다. 구당서 199권에 의하면 이후 어떤 이유에서였는지 발해국에서는 당나라에 대한 조공을 끊었다 한다. 그러나 신당서 219권 발해전에는 대현석당 의종 연간에 사신을 세번 보냈다는 기록이 있어 서로 앞뒤가 안 맞는다.

어느 때인지 알 수 없으나 중국 베이징 덕승문(德勝門) 밖에서 출토된 장건장 묘지(張建章 墓誌)에 의하면 그는 사빈경(司賓卿) 하수겸(賀守謙) 등의 사절을 당나라 유주(幽州)에 파견, 유주부(幽州府)에서는 발해로 답방할 사람을 뽑아 안풍현위(安次縣尉)로 있던 장건장을 대표로 삼고 영주사마(瀛州司馬)란 임시 직책으로서 붉은 관복을 입고 사신으로 파견했다. 833년 가을 장건장은 두 척의 배를 타고 사절을 데리고 발해를 방문, 834년 9월에 발해 상경에 도착하니 대이진은 예우를 극진하게 하여 머물도록 하였고, 해가 바뀌자 귀국했다. 장건장 일행이 유주로 귀환할 때 이진왕은 크게 잔치를 열고, 많은 물품과 보기(寶器), 명마(名馬), 무늬가 있는 짐승 가죽 등을 주어 전송하였다. 이들은 835년 8월에 유주로 귀환했다 한다.

신당서 219권 발해전에 의하면 이진왕은 당 문종 연간에 12번의 사절단을 보냈다 한다.

또한 당나라와의 적극적인 문화 교류로 당나라 제도가 발해에 널리 전해졌고, 일부 유학생은 과거에 급제하는 등 그 학문도 상당한 수준에 달해 있었음을 엿볼 수 있다.

2. 3. 장건장 파견

833년 가을, 대이진은 사빈경(司賓卿) 하수겸(賀守謙) 등의 사절을 당나라 유주(幽州)에 파견하였다. 유주부(幽州府)에서는 발해로 답방할 사람을 뽑아 안풍현위(安次縣尉) 장건장을 대표로 삼고 영주사마(瀛州司馬)란 임시 직책을 부여하여 붉은 관복을 입고 사신으로 파견했다. 장건장은 두 척의 배를 타고 사절단을 이끌고 발해를 방문, 834년 9월에 발해 상경에 도착하였다. 대이진은 장건장 일행을 극진하게 예우하여 머물도록 하였고, 해가 바뀌자 귀국을 허락하였다. 장건장 일행이 유주로 귀환할 때 대이진은 크게 잔치를 열고, 많은 물품과 보기(寶器), 명마(名馬), 무늬가 있는 짐승 가죽 등을 주어 전송하였다. 이들은 835년 8월에 유주로 귀환했다 한다.

2. 4. 내치

대이진은 부주(府州)를 확정하고 중앙 집권적인 행정 제도를 확립하는 데 힘썼다. 또한 군사 기구를 발전시켜 모병제에 기반한 상비군을 편성하였다. 『구당서』에는 발해의 군제가 좌우 신책군(左右神策軍), 좌우 삼군(左右三軍), 백이십사(一百二十司)로 구성되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당나라와의 적극적인 문화 교류를 통해 당나라의 제도가 발해에 널리 전해졌으며, 일부 유학생들은 과거에 급제하는 등 학문 또한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음을 알 수 있다.

3. 가계



아들 대광성은 구당서에는 '대광성'으로 나오는데, 책부원귀에는 '대선성(大先晟)'으로 나타난다.[1]

참조

[1] 서적 New Book of Tang
[2] 서적 신당서 華文書局 193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