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평왕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평왕후는 고려 희종의 왕비이다. 1211년에 정식 왕비로 책봉되어 함평궁주로 봉해졌으며, 희종과의 사이에서 5명의 아들과 5명의 딸을 두었다. 아들로는 창원공 왕지 등이 있으며, 딸로는 고려 고종의 왕비인 안혜왕후가 있다.
1211년(희종 7년)에 정식 왕비로 책봉되어 '''함평궁주'''(咸平宮主)로 봉해졌다. 함평궁주로 봉해질 때의 책문은 다음과 같다.
성평왕후는 희종과의 사이에서 아들 다섯과 딸 다섯을 두었다. 아들로는 창원공 왕지, 시령후 왕위, 경원공 왕조, 대선사 경지, 충명국사 각응이 있다. 딸로는 고종의 왕비인 안혜태후(승복궁주)와 영창공주, 덕창궁주, 가순궁주, 정희궁주가 있다.
영인후 왕진과 연희궁주의 딸로 태어났다. 남편은 고려 희종이다. 창원공 지, 시령후 의, 경원공 조, 대선사 경지, 충명국사 각응을 낳았다. 딸로는 승복궁주, 영창공주, 덕창궁주, 가순궁주, 정희궁주가 있다.
2003년부터 2004년까지 KBS에서 방영된 드라마 무인시대에서 채민서가 성평왕후 역을 맡았다.
2. 책문
"내가 듣건대 주역에서 땅(坤元)의 덕을 칭찬한 것은 하늘의 굳센 도에 배합시켜 말한 것이요 왕후의 덕행을 칭송하여 쓴 것은 그것이 임금의 덕화의 기본으로 됨을 밝힌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도산씨의 딸이 왕후로 되자 하(夏)가 번영하였으며 태임(太妊)이 시집 오면서부터 주(周) 왕실이 융성하여졌으니 이와 같이 왕후의 아름다운 도움을 받음으로써 국가를 훌륭하게 통치한 사실은 옛글에 실려 있어서 후세에 모범을 보이고 있다.
나는 삼가 대명을 받들어 왕업을 계승하고 나라를 다스림에 앞서 가정부터 다스려 인륜의 근본을 소중히 하려 한다. 나의 아내도 하늘이 정하여 주었는데 어찌 적합한 배우자가 없었으랴?
아! 그대 원비 임씨는 종실의 귀한 딸로 탄생하여 일찍부터 경근 은화한 덕성이 나타났으며 편파한 마음이 없었다.
그대는 내가 잠저(潛邸)에 있을 때에 착한 아내로 되었고 내가 왕위에 오른 후부터는 더욱더 국정을 협찬하였다.
가정 단란의 경사가 트여 과연 원자를 낳았으니 그 후손이 더욱 번성하게 될 것이다. 이것이 어찌 다만 종실만의 경사이랴! 실로 국가의 광휘로 될 것이다.
그대는 부덕(婦德)이 이 같으니 특히 두터운 총애와 표창을 줄 만하다. 그래서 그대에게 작호를 주어 후궁을 차지하게 하려고 지금 모관 모를 파견하여 부절(節)을 가지고 가서 그대를 왕비 함평궁주(咸平宮主)로 봉한다.
아아! 근면과 검약을 실천하여 몸을 잘 보존할지며 법도를 잘 준수하여 제사를 받들지어다. 그리고 자기의 직무를 생각하며 혹시라도 소홀히 하지 말라"
3. 생애
3. 1. 정치적 영향력
4. 자녀
5. 평가
6. 가족 관계
7.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