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혜왕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혜왕후는 고려 고종의 왕비로, 희종과 성평왕후의 딸이다. 고종과는 6촌 간으로 근친혼을 하였으며, 왕비 책봉 후 유씨 성을 받았다. 1211년 승복궁주에 봉해졌고, 1218년 왕비가 되었으며, 1232년에 사망하여 안혜라는 시호를 받았다. 원종 즉위 후 왕태후로 추존되었으며, 2남 1녀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32년 사망 - 살리타이
살리타이는 13세기 몽골 제국의 장군으로, 금나라 잔당 토벌에 참여하고 1231년부터 1232년까지 고려 침공을 주도했으나 처인성 전투에서 전사했으며, '권황제' 칭호를 사용하고 거란족 출신 장교들을 다수 기용했다. - 1232년 사망 - 툴루이 칸
툴루이 칸은 칭기즈 칸의 넷째 아들로, 몽골 제국 건국에 참여하여 군사적 재능을 보였으나, 섭정으로 제국을 통치하고 금나라 정벌에 활약하다가 여러 설 속에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들이 몽골 제국 발전에 기여했다. - 고려의 왕태후 - 순경태후
순경태후는 김약선의 딸이자 최우의 외손녀로 고려 원종의 왕비이며 충렬왕의 어머니로, 사후 왕후와 태후로 추존되었고 원나라로부터 '고려 왕비' 칭호를 받았으며 능은 강화 가릉이다. - 고려의 왕태후 - 공예왕후
공예왕후는 고려 인종의 왕후이자 장흥 임씨 임원후의 딸로, 이자겸의 난 이후 왕비로 간택되어 인종과 혼인하여 5남 5녀를 낳았으며, 인종 사후 대비가 되어 정치에 관여했으나 무신정변 이후 불운한 말년을 보냈다. - 고려의 왕녀 - 정녕원비
정녕원비는 고려 충렬왕과 정신부주의 딸로, 1274년 정녕궁주에 책봉되었고 종실 제안공 왕숙과 혼인한 인물이다. - 고려의 왕녀 - 명순원비
명순원비는 충렬왕과 정신부주의 딸로, 한양공 왕현과 혼인하여 계양후 왕광을 낳았으며, 1320년에 사망한 고려의 왕족이다.
안혜왕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작위 | 고려 희종의 공주 |
재위 | |
왕비 기간 | 1218년 4월 14일 ~ 1232년 6월 1일 (음력) |
즉위 | 1218년 |
퇴위 | 1232년 |
이름 | |
휘 | 유씨 (漢字: 柳氏) |
시호 | 장혜(莊惠) → 안혜(安惠) |
봉호 | 승복궁주(承福宮主) |
가족 관계 | |
배우자 | 고종 |
자녀 | 2남 1녀 |
아들 | 원종, 안경공 |
딸 | 수흥궁주 |
아버지 | 희종 |
어머니 | 성평왕후 임씨 |
생애 | |
출생 | 1195년경 |
사망 | 1232년 6월 1일 (음력, 36-37세) |
능묘 | 미상 |
기타 정보 | |
전임 왕후 | 원덕왕후 유씨 |
후임 왕후 | 경창궁주 유씨 |
추존 | 안혜왕태후 (漢字: 安惠王太后) |
2. 생애
희종과 성평왕후의 딸로 태어났다. 남편인 고종과는 6촌 간으로, 고려 후기에는 드물게 보이는 근친혼이었다. 고종의 왕비로 책봉되면서 성을 유(柳)씨로 바꿨으나, 무엇에 근거하여 바꿨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안혜왕후의 시어머니이자 5촌 당숙모가 되는 원덕왕후(강종의 왕비)도 원래 성씨인 왕(王)씨를 유(柳)씨로 바꾼 적이 있다.[2]
1211년에 승복궁주(承福宮主)에 봉해졌다가 고종과 결혼하여 1218년에 왕비에 책봉되었다.[2] 1232년(고종 19년)에 사망하여 백관이 3일 동안 상복을 입고 장사를 지냈으며, 시호를 안혜(安惠)라 하였다. 아들인 원종이 즉위한 후 1260년(원종 원년) 음력 7월 왕태후에 추봉되었다.[2] 그녀가 죽고 난 후 고종은 따로 왕비를 두지 않았다. 고종과의 사이에서 2남 1녀를 얻었으나, 능은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자세히 알 수 없다.
2. 1. 출생과 가계
희종과 성평왕후의 딸로 태어났다. 남편인 고종과는 6촌 간으로, 고려 후기에는 드물게 보이는 근친혼이었다. 고종의 왕비로 책봉되면서 성을 유(柳)씨로 바꿨으나, 무엇에 근거하여 바꿨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안혜왕후의 시어머니이자 5촌 당숙모가 되는 원덕왕후(강종의 왕비)도 원래 성씨인 왕(王)씨를 유(柳)씨로 바꾼 적이 있다. 원덕왕후도 종실의 딸이었다.[2]2. 2. 왕비 책봉과 혼인 생활
희종과 성평왕후의 딸로 태어났다. 남편인 고종과는 친 6촌간으로, 고려 후기에는 드물게 보여지는 근친혼이다. 고종의 왕비로 책봉되면서 성을 유(柳)씨로 바꿨으나, 무엇에 근거하여 바꿨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안혜왕후의 시어머니이자 5촌 당숙모가 되는 원덕왕후(강종의 왕비)도 원래 성씨인 왕(王)씨를 유(柳)씨로 바꾼 적이 있다.[2] 원덕왕후도 종실의 딸이었다.1211년에 승복궁주(承福宮主)에 봉해졌다가 고종과 결혼하여 1218년에 왕비에 책봉되었다.[2]
고종과의 사이에서 2남 1녀를 얻었다. 1213년과 1215년에 두 딸을, 1219년과 1223년에 두 아들을 낳았다.
2. 3. 사망과 추존
1232년(고종 19년) 안혜왕후가 사망하자 백관이 3일 동안 상복을 입고 장례를 치렀으며, 시호를 안혜(安惠)라 하였다. 아들인 원종이 즉위한 후 1260년(원종 원년) 음력 7월 왕태후로 추봉되었다[2]. 안혜왕후 사후 고종은 다른 왕비를 두지 않았다.3. 가족 관계
wikitext
아버지 | 어머니 | |
---|---|---|
조부 | 명종 | 강릉공 왕온 |
부 | 희종 | 성평왕후 |
구분 | 이름 | 생몰년 | 비고 |
---|---|---|---|
남편 | 고종 | 1192년 ~ 1259년 | 고려 제23대 왕 (재위: 1213년 ~ 1259년) |
아들 | 원종 | 1219년 ~ 1274년 | 고려 제24대 왕 (재위: 1259년 ~ 1274년) |
아들 | 안경공 창 | 미상 | |
딸 | 수흥궁주 | 미상 | 신양공 전에게 하가 |
3. 1. 직계 조상
아버지 | 어머니 | |
---|---|---|
조부 | 명종 | 강릉공 왕온 |
부 | 희종 | 성평왕후 |
3. 2. 배우자와 자녀
구분 | 이름 | 생몰년 | 비고 |
---|---|---|---|
남편 | 고종 | 1192년 ~ 1259년 | 고려 제23대 왕 (재위: 1213년 ~ 1259년) |
아들 | 원종 | 1219년 ~ 1274년 | 고려 제24대 왕 (재위: 1259년 ~ 1274년) |
아들 | 안경공 창 | 미상 | |
딸 | 수흥궁주 | 미상 | 신양공 전에게 하가 |
4.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참조
[1]
서적
고려사 권23 〈세가〉 권23 - 고종 19년 6월 경술(庚戌) 기사
[2]
지식사전
네이버 지식사전 - 동국통감 권34 고려기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