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효소황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효소황후 장씨는 명나라 홍희제의 황후로, 1379년에 태어나 1442년에 사망했다. 홍무제 치세에 연왕세자 주고치의 세자비가 되었고, 영락제 즉위 후 황태자비가 되었다. 홍희제 즉위 후 황후가 되었으며, 홍희제 사후 선덕제의 생모로서 황태후, 정통제 즉위 후에는 태황태후가 되었다. 어린 정통제를 대신하여 섭정하였으며, '여성들 중의 요순'으로 칭송받았다. 시호는 성효공숙명덕홍인순천계성소황후이며, 능은 헌릉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나라의 태황태후 - 효숙황후
효숙황후는 명나라 영종의 후궁이자 성화제의 생모로, 후궁 시녀 출신으로 빈이 되었고 아들 성화제 즉위 후 황태후, 손자 홍치제 즉위 후 태황태후로서 막강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명나라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력 남용 논란 등 긍정적·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 명나라의 태황태후 - 효정순황후
효정순황후는 명나라 성화제의 황후로, 성화제 즉위 후 황후로 책봉되었으나 실질적인 권한을 가지지 못했고 홍치제 즉위 후 황태후가 되었으며 정덕 13년에 사망했다. - 1379년 출생 - 제로님 프라슈스키
제로님 프라슈스키는 1379년 프라하에서 태어나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고 교회의 부패를 비판하며 개혁을 주장하다가 이단으로 판결받아 화형에 처해진 철학자이자 종교개혁가이다. - 1379년 출생 - 주편
명나라 초기의 인물인 주편은 건문제의 권력 강화 시도와 번왕 권한 삭감 정책으로 인해 정난의 변을 겪고 폐위되었으며, 복권 후에도 영락제의 미움을 받아 유배 생활 중 생을 마감한 비운의 왕자이다. - 1442년 사망 - 레 태종
레 태종은 후 레 왕조의 제2대 황제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방탕한 생활을 하다가 갑작스럽게 죽어 려지원 사건의 원인이 되었으며, 사후 레 성종에 의해 영웅적인 왕으로 평가받았다. - 1442년 사망 - 응우옌짜이
응우옌짜이는 베트남 레 왕조 초기의 정치가, 시인, 군사가, 외교관, 학자로서, 람선 봉기를 주도하여 레 왕조 건국에 공헌하고 승상으로서 국가 기틀을 다졌으나 억울하게 처형당한 후 복권되어 베트남의 위대한 사상가이자 국민적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성효소황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휘 | 장(張) |
씨족 | 장(張) |
작위 | |
재위 | 1396년 ~ 1404년 |
전임자 | 해당 없음 |
후임자 | 해당 없음 |
재위 | 1404년 ~ 1424년 |
전임자 | 효민양황후(孝愍讓皇后) |
후임자 | 공양장황후(恭讓章皇后) |
재위 | 1424년 ~ 1425년 |
전임자 | 인효문황후(仁孝文皇后) |
후임자 | 공양장황후(恭讓章皇后) |
재위 | 1425년 ~ 1435년 |
전임자 | 황태후 여씨(皇太后 呂氏) |
후임자 | 효공장황후(孝恭章皇后) |
재위 | 1435년 ~ 1442년 |
전임자 | 해당 없음 |
후임자 | 효숙황후(孝肅皇后) |
인물 정보 | |
출생일 | 1379년 |
출생지 | 귀덕부영성현 |
사망일 | 1442년 |
사망지 | 순천부자금성 |
배우자 | 홍희제(1395년 결혼, 1425년 사별) |
자녀 | 선덕제 주첨용, 월정왕 주첨선, 양헌왕 가흥공주 |
아버지 | 장기, 팽성후 |
어머니 | 팽성백부인 동씨 |
묻힌 곳 | 헌릉 |
시호 | 성효공숙명덕홍인순천계성소황후 (誠孝恭肅明德弘仁順天啓聖昭皇后) |
2. 생애
홍무 12년(1379년) 하남부 영성(지금의 영성시)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장기(張麒)이며, 형제는 팽성백(彭城伯) 장창(張昶)이다.
홍무 29년(1396년) 연왕세자 주고치(훗날의 홍희제)의 세자비로 책봉되었다. 영락 2년(1404년) 주고치가 황태자로 책봉되면서 장씨도 황태자비가 되었다. 영락제는 주고치 대신 한왕(漢王) 주고후를 태자로 세우려 했으나, 영락제 말년에는 주고치와 장씨가 총애를 받아 태자 자리를 지킬 수 있었다.
1424년 영락제가 몽골 원정 도중에 병사하면서 주고치가 황제로 즉위하자, 장씨도 황후가 되었다. 홍희 원년(1425년) 남편 홍희제가 재위 1년도 안 되어 붕어하고 아들 주첨기가 즉위하면서 선덕 원년(1426년) 황태후가 되었으며, 손자 정통제가 즉위 후 태황태후가 되었다.
정통 7년(1442년) 장씨는 질병으로 붕어하였다. 사후 '''성효공숙명덕홍인순천계성소황후'''(誠孝恭肅明德弘仁順天啓聖昭皇后)의 시호를 받았으며, 능호는 헌릉(獻陵)이다.
2. 1. 초기 생애
홍무 12년(1379년) 하남부 영성(지금의 영성시)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장기(張麒)이며, 형제는 팽성백(彭城伯) 장창(張昶)이다.홍무 29년(1396년) 주고치(훗날의 홍희제)의 세자비로 책봉되었다. 영락 2년(1404년) 주고치가 황태자로 책봉되면서 장씨도 황태자비가 되었다. 영락제는 주고치 대신 한왕(漢王) 주고후를 태자로 세우려 했으나, 주고치와 장씨가 총애를 받아 태자 자리를 지킬 수 있었다.
2. 2. 황태자비 시절
홍무 29년(1396년) 주고치(훗날의 홍희제)의 세자비로 책봉되었다. 영락 2년(1404년) 주고치가 황태자로 책봉되면서 장씨도 황태자비가 되었다. 영락제는 아들 주고치보다 주고후를 더 총애하여 태자로 삼으려 했으나, 장씨는 시부모를 극진히 섬겼고 영락제 말년에는 장씨와 주고치가 함께 총애를 받아 무사히 태자 자리를 지킬 수 있었다.2. 3. 황후 시절
1424년 영락제가 몽골 원정 도중에 병사하면서 황태자 주고치가 황제로 즉위하자, 장씨도 황후가 되었다. 홍희 원년(1425년) 남편 홍희제가 재위 1년도 안 되어 붕어하고 아들 황태자 주첨기가 즉위한다.그녀는 현명하고, 선량하며, 유능하며, 궁궐 안팎의 모든 일에 대해 해박한 지식을 갖춘 것으로 묘사되었으며, 황제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국가 대사에 참여하도록 허락받았다.
홍희제가 즉위하자 황후로 책봉되었다. 장씨의 아버지 장기에게는 팽성백(彭城伯)이 추증되었다.
2. 4. 황태후와 태황태후 시절
홍희제가 즉위하자 황후로 책봉되었다. 홍희 원년(1425년) 남편 홍희제가 재위 1년도 안 되어 붕어하고 아들 황태자 주첨기(선덕제)가 즉위하면서 선덕 원년(1426년) 황태후가 되었다. 손자 정통제가 즉위한 후에는 태황태후가 되었다.정통 7년(1442년) 태황태후 장씨는 질병으로 붕어하였다. 사후 '''성효공숙명덕홍인순천계성소황후'''(誠孝恭肅明德弘仁順天啓聖昭皇后)의 시호를 받았으며, 능호는 헌릉(獻陵)이다.
2. 5. 섭정
1435년, 장씨의 아들이 사망하고 그녀의 여덟 살 된 손자인 영종이 황위에 올랐고, 그녀는 태황태후(太皇太后)의 존호를 받았다. 명나라에서 어린 황제가 즉위한 사례에 대한 선례는 없었다. 황제는 신하들에게 아들을 보좌하고 장씨에게 조언을 구하도록 지시했다. 황위 계승 분쟁을 막기 위해 장씨는 신하들 앞에 나타나 손자를 새 황제로 소개했다.섭정은 영국공 장부, 그리고 대학사 양사기, 양롱, 양보로 구성되었으며, 장황후가 섭정 회의의 수장이자 섭정으로 임명되었다. 그녀는 어린 정부의 다섯 재상들을 임명했다. 공식적으로 섭정이라는 칭호를 받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요청받았을 때 왕조에는 그러한 전례가 없다고 대답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칭호를 거부했음에도 불구하고 섭정으로 활동하며 신하들과 회의를 하고, 그들의 의견을 경청하며 최종 결정권을 가졌다.
그녀는 어린 황제의 측근이자 환관인 왕진과의 갈등으로 유명했는데, 왕진이 지나치게 영향력이 커지고 과거 악명 높은 실세 환관들 중 하나가 될 위험이 있다고 여겼다. 신하들과 여성 관료들을 소환하여 무장시키고 왕진을 불러 즉석에서 사형을 선고했으며, 신하들과 여성 관료들에게 즉시 그를 처형하라고 명령했다. 황제와 신하들이 왕진을 용서해 달라고 간청하자, 그녀는 그렇게 했지만 왕진에게 다시는 잘못을 저지르지 말라고 경고했다.
1442년 사망할 때까지 중국의 섭정 자리를 유지했다. 그녀는 "여성들 중의 요순"이라고 불렸다.
2. 6. 사망
정통 7년(1442년) 태황태후 장씨는 질병에 걸렸으나 버티지 못하고 붕어하였다. 사후 '''성효공숙명덕홍인순천계성소황후'''(誠孝恭肅明德弘仁順天啓聖昭皇后)의 시호를 받았다. 능호는 헌릉(獻陵)이다.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아버지 | 장기(張麒) | ? | ? | |
남매 | 장창(張昶) | ? | ? | 팽성백(彭城伯) |
남편 | 주고치(朱高熾) | 1378년 8월 16일 | 1425년 5월 29일 | 명나라 제4대 황제 |
장남 | 주첨기(朱瞻基) | 1399년 3월 16일 | 1435년 1월 31일 | 명나라 제5대 황제 |
3남 | 주첨옹(朱瞻墉) | 1405년 2월 9일 | 1439년 8월 5일 | |
5남 | 주첨선(朱瞻墡) | 1406년 4월 4일 | 1478년 2월 18일 | |
장녀 | 가흥공주 | 1409년 | 1439년 3월 9일 |
4. 평가
성효황후에 대한 평가는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다만, 그녀의 동모형(同母兄)인 장승의 묘지명인 『혜안백 영성 장승 묘지명』과 『명인종실록』, 『명선종실록』 등의 사료에서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5.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장황후는 2019년 드라마 대명풍화에서 우웨가 연기했다.
2022년 중국 텔레비전 드라마 상식에서 류민이 연기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