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96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396년은 명나라 홍무 29년, 일본 오에이 3년, 쩐 왕조 광태 9년에 해당한다. 주요 사건으로, 왜구의 침입으로 경상도 지역에서 전투가 벌어졌고, 서울 성곽이 완공되었으며, 니코폴리스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이 십자군을 격파했다. 또한, 아라곤의 마르틴 1세가 왕위에 올랐고, 잉글랜드와 프랑스 왕국 간의 결혼이 이루어졌다. 효령대군, 정인지 등이 탄생했고, 김입견, 이색, 신덕왕후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96년 - 니코폴리스 전투
니코폴리스 전투는 1396년 9월 25일 불가리아 니코폴리스 인근에서 헝가리 왕 지기스문트가 이끄는 십자군과 오스만 제국의 술탄 바예지드 1세가 이끄는 오스만 제국군 간에 벌어진 전투로, 십자군의 패배로 오스만 제국의 발칸 지배력이 강화되었다.
1396년 | |
---|---|
연도 정보 | |
기원 | 1396년 |
14세기 | |
십 년대 | 1360년대 1370년대 1380년대 1390년대 |
주요 사건 | |
정치 | 조선 건국 4년차 |
문화 | 이집트에서 마멜루크 왕조의 술탄인 바르쿠크의 재위 기간 동안 건축된 마드라사(종교 학교)인 술탄 바르쿠크 마드라사(Madrasa of Sultan Barquq) 완공 |
군사 | 니코폴리스 전투 발발 |
과학 | 프랑스의 연대기 작가인 장 프루아사르의 연대기 "Chronicles"의 마지막 부분이 작성됨 |
종교 | 교황 보니파시오 9세 재임 아비뇽 교황청의 교황 베네딕토 13세 재임 |
탄생 | |
날짜 미상 | 후고 반 데르 구스, 플랑드르 화가 시릴 (모스크바 대주교), 모스크바 대주교 프란체스코 바르바로, 이탈리아 인문주의자 미셸 드 라리슈, 프랑스 군인 루이 1세 드 부르봉-방돔, 방돔 백작 존 홀랜드 (엑서터 공작), 잉글랜드 귀족 미르체아 1세, 왈라키아의 보이보드 |
사망 | |
5월 19일 | 존 오브 곤트, 랭커스터 공작 |
9월 25일 | 제프리 르 스쿠프, 영국 귀족 |
날짜 미상 | 알렉시오스 3세, 트라페준타 제국의 황제 아바스 이븐 알파라지, 이슬람 수학자 이시도어 글라반, 우크라이나 작가 |
2. 연호
3. 주요 사건
1396년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사건이 있었다.
- 9월 24일 - 서울 성곽이 완공되었다.
- 9월 25일 - 니코폴리스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이 십자군을 격파하였다.[1]
- 11월 23일 - 지구에서 금성의 태양면 통과가 발생하였다.[2]
이 외에도 오스만 제국이 불가리아를 점령하고, 프랑스가 제노바를 정복하는 등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사건이 일어났다. 한국에서는 왜구의 침입이 잦았으며, 서울 성곽이 완공되어 수도 방어 체계가 강화되었다.
3. 1. 한국
- 음력 6월 18일 - 경상도 동래 만호(東萊萬戶) 윤형(尹衡)과 석포 천호(石浦千戶) 이의경(李義敬)이 왜구의 배 1척을 잡아서 군기와 갑옷을 바쳤다.[3]
- 음력 8월 9일 - 왜적의 배 120척이 경상도에 침입하여 병선(兵船) 16척을 탈취하고, 수군 만호(水軍萬戶) 이춘수(李春壽)를 죽였으며, 동래(東萊)·기장(機張)·동평성(東平城)을 함락하였다.[4]
- 9월 24일 - 서울 성곽이 완공되었다.
- 음력 10월 27일 - 왜구가 동래성(東萊城)을 포위하였다가 이기지 못하고 물러가면서 병선 21척을 불살랐고, 수군 만호(水軍萬戶) 윤형(尹衡)과 임식(任軾)이 전사하였다.[5]
3. 2. 동아시아 (한국 외)
- 9월 25일 - 니코폴리스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이 십자군을 격파하였다.[1]
- 오스만 투르크가 불가리아의 비딘 요새를 함락하고 차르 이반 스라치미르를 사로잡아 제2차 불가리아 제국을 멸망시켰다. 불가리아 국가는 1878년 불가리아 공국으로 재건된다.
- 프랑스가 제노바 공화국을 정복하였다.
- 14년간의 공위 이후, 페드로 데 산 수페라노가 아카이아 공국의 통치자로 선포되었다.
- 아부 아미르가 압둘 아지즈 2세의 뒤를 이어 오늘날의 모로코에 있는 마리니드 왕조의 통치자가 되었다.
- 티무르가 자신의 아들 미란 샤를 오늘날의 아제르바이잔의 티무르 왕조 총독으로 임명하였다.
- 미란 샤가 남은 통치자들을 연회에서 살해하면서 동쪽 페르시아의 카르트 왕조가 멸망하였다.
- 필리베르 드 나이야크가 후안 페르난데스 데 에레디아의 뒤를 이어 성 요한 기사단의 대수장이 되었다.
- 위츠릴리우이트리가 아카마피치틀리의 뒤를 이어 아즈텍의 통치자가 되었다.
- 오스만 투르크가 부르사에 울루 자미 모스크를 건설하였다.
- 중국 명나라 조정이 두 명의 사절, 치엔 구쉰과 리 시충을 아바 왕국의 미얀마와 몽 마오의 타이 정치체에 파견하여 두 국가 간의 분쟁을 해결하려 하였다. 중국 사절의 여정은 역사적 자료인 『백의전』에 기록되어 있다.
- 티무르가 초원에 '꽃의 집'이라는 정원 건설을 명령하였다.
- 중국 동부의 후난성과 후베이성 지역의 농민들이 8천 4백만 그루의 과일 나무를 심었다.
3. 3. 유럽 및 서아시아
- 9월 25일 - 니코폴리스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이 헝가리, 프랑스, 신성 로마 제국, 왈라키아의 연합 십자군을 헝가리의 지기스문트 왕 지휘 아래 격파하였다.[1] 이는 중세의 마지막 대규모 십자군 원정이었다.
- 오스만 투르크가 불가리아의 비딘(Vidin) 요새를 함락하고 차르 이반 스라치미르를 사로잡아 제2 불가리아 제국을 멸망시켰다. 불가리아 국가는 1878년 불가리아 공국으로 재건된다.
- 프랑스가 제노바 공화국을 정복하였다.
- 14년간의 공위 이후, 페드로 데 산 수페라노가 아카이아 공국(오늘날의 펠로폰네소스반도, 그리스 남부)의 통치자로 선포되었다.
- 필리베르 드 나이야크가 후안 페르난데스 데 에레디아의 뒤를 이어 성 요한 기사단의 대수장이 되었다.
4. 탄생
- 7월 31일 - 필리프 3세, 발루아-부르고뉴 가문의 제3대 부르고뉴 공작[1]
- 10월 16일 - 윌리엄 드 라 폴, 서퍽 공작[1]
- 알폰소 5세, 아라곤 왕, 나폴리 왕[1]
- 미켈로초 디 바르톨로메오, 피렌체 출신의 르네상스 시대 조각가, 건축가[1]
4. 1. 한국
- 음력 9월 - 조선의 왕족 효령대군이 태어났다.
- 음력 12월 14일 - 조선의 문신이자 학자인 정인지가 태어났다.
- 월일 미상 - 조선의 김연지, 변효문이 태어났다.
4. 2. 한국 외
- 7월 31일 - 필리프 3세, 발루아-부르고뉴 가문의 제3대 부르고뉴 공작 (1467년 사망)
- 8월 13일 - 존료, 무로마치 시대 정토진종의 승려, 본원사 제7세 (1457년 사망)
- 10월 16일 - 윌리엄 드 라 폴, 서퍽 공작 (1450년 사망)
- 알폰소 5세, 아라곤 왕, 나폴리 왕 (1458년 사망)
- 이마데가와 공후, 무로마치 시대의 공경 (1421년 사망)
- 우쓰노미야 모치쓰나,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시모쓰케국 우쓰노미야씨 제13대 당주 (1423년 사망)
- 칸슈지 쓰네오키, 무로마치 시대의 공경, 칸슈지가 제5대 당주 (1437년 사망)
- 요시카와 쓰네노부,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요시카와씨 당주 (1456년 사망)
- 미켈로초 디 바르톨로메오, 피렌체 출신의 르네상스 시대 조각가, 건축가 (1472년 사망)
- 마리아 데 아라곤, 카스티야 왕 후안 2세의 첫 번째 왕비 (1445년 사망)
5. 사망
=== 한국 ===
- 음력 1월 23일 - 김입견(金立堅): 조선의 참찬문하부사였다.[1]
- 음력 5월 7일 - 이색(李穡): 고려의 한산부원군이었다.[2]
- 음력 7월 12일 - 정희계(鄭熙啓): 조선의 판한성부사였다.[3]
- 음력 8월 13일 - 신덕왕후(神德王后): 조선 태조의 왕비였다.[4]
- 음력 9월 14일 - 조인옥(趙仁沃): 조선의 한산군이었다.[5]
- 음력 10월 17일 - 오중화(吳仲華): 조선의 검교참찬문하부사였다.
- 음력 12월 3일 - 민개(閔開): 조선의 한성윤이었다.
=== 한국 외 ===
- 1월 11일 - 이시도르 글라바스(Isidore Glabas): 테살로니키(Thessalonica)의 대주교. (1341년/1342년 출생)
- 5월 19일 - 후안 1세(Juan I): 아라곤 왕국의 왕. (* 1350년)
- 6월 21일 - 이마데가와 사나나오(今出川実直): 일본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의 공경. (* 1342년)
- 7월 31일 - 윌리엄 쿠르트네이(William Courtenay): 캔터베리 대주교.
- 11월 29일 - 로버트 페러스(Robert Ferrers, 3rd Baron Ferrers of Wemme): (1373년 출생)
- 날짜 미상
- * 존 보몽(John Beaumont, 4th Baron Beaumont): 도버 성의 성주. (1361년 출생)
- * 살루초 후작 프레데리코 2세(Frederick II, Marquess of Saluzzo)
- * 페름의 성 스테판(Saint Stephen of Perm): (1340년 출생)
- * 사향(She Xiang): 중국 조공장(tribute chieftain). (1361년 출생)
- * 이마데가와 키미나오(今出川公直): 일본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의 공경. (* 1335년)
- * 아뇰로 가디(Agnolo Gaddi): 이탈리아의 화가. (* 1350년?)
5. 1. 한국
- 음력 1월 23일 - 조선 참찬문하부사 김입견(金立堅)[1]
- 음력 5월 7일 - 고려 한산부원군 이색(李穡)[2]
- 음력 7월 12일 - 조선 판한성부사 정희계(鄭熙啓)[3]
- 음력 8월 13일 - 조선 태조의 왕비 신덕왕후(神德王后)[4]
- 음력 9월 14일 - 조선 한산군 조인옥(趙仁沃)[5]
- 음력 10월 17일 - 조선 검교참찬문하부사 오중화(吳仲華)
- 음력 12월 3일 - 조선 한성윤 민개(閔開)
5. 2. 한국 외
- 1월 11일 - 이시도르 글라바스(Isidore Glabas), 테살로니키(Thessalonica)의 대주교 (1341년/1342년 출생)
- 5월 19일 - 후안 1세(Juan I), 아라곤 왕국의 왕 (* 1350년)
- 6월 21일 - 이마데가와 사나나오(今出川実直), 일본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의 공경 (* 1342년)
- 7월 31일 - 윌리엄 쿠르트네이(William Courtenay), 캔터베리 대주교
- 11월 29일 - 로버트 페러스(Robert Ferrers, 3rd Baron Ferrers of Wemme) (1373년 출생)
- 날짜 미상
- * 존 보몽(John Beaumont, 4th Baron Beaumont), 도버 성의 성주 (1361년 출생)
- * 살루초 후작 프레데리코 2세(Frederick II, Marquess of Saluzzo)
- * 페름의 성 스테판(Saint Stephen of Perm) (1340년 출생)
- * 사향(She Xiang), 중국 조공장(tribute chieftain) (1361년 출생)
- * 이마데가와 키미나오(今出川公直), 일본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의 공경 (* 1335년)
- * 아뇰로 가디(Agnolo Gaddi), 이탈리아의 화가 (* 1350년?)
참조
[1]
서적
Nicopolis 1396: The Last Crusade
Osprey Publishing
[2]
웹사이트
1396 November 23rd Transit of Venus
http://astro.ukho.go[...]
HM Nautical Almanac Office
2017-09-16
[3]
간행물
태조실록 (1413) 9권, 태조 5년 6월 18일 갑진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4]
간행물
태조실록 (1413) 10권, 태조 5년 8월 9일 갑오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5]
간행물
태조실록 (1413) 10권, 태조 5년 10월 27일 신해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