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396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396년은 명나라 홍무 29년, 일본 오에이 3년, 쩐 왕조 광태 9년에 해당한다. 주요 사건으로, 왜구의 침입으로 경상도 지역에서 전투가 벌어졌고, 서울 성곽이 완공되었으며, 니코폴리스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이 십자군을 격파했다. 또한, 아라곤의 마르틴 1세가 왕위에 올랐고, 잉글랜드와 프랑스 왕국 간의 결혼이 이루어졌다. 효령대군, 정인지 등이 탄생했고, 김입견, 이색, 신덕왕후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96년 - 니코폴리스 전투
    니코폴리스 전투는 1396년 9월 25일 불가리아 니코폴리스 인근에서 헝가리 왕 지기스문트가 이끄는 십자군과 오스만 제국의 술탄 바예지드 1세가 이끄는 오스만 제국군 간에 벌어진 전투로, 십자군의 패배로 오스만 제국의 발칸 지배력이 강화되었다.
1396년
연도 정보
기원1396년
14세기
십 년대1360년대
1370년대
1380년대
1390년대
주요 사건
정치조선 건국 4년차
문화이집트에서 마멜루크 왕조의 술탄인 바르쿠크의 재위 기간 동안 건축된 마드라사(종교 학교)인 술탄 바르쿠크 마드라사(Madrasa of Sultan Barquq) 완공
군사니코폴리스 전투 발발
과학프랑스의 연대기 작가인 장 프루아사르의 연대기 "Chronicles"의 마지막 부분이 작성됨
종교교황 보니파시오 9세 재임
아비뇽 교황청의 교황 베네딕토 13세 재임
탄생
날짜 미상후고 반 데르 구스, 플랑드르 화가
시릴 (모스크바 대주교), 모스크바 대주교
프란체스코 바르바로, 이탈리아 인문주의자
미셸 드 라리슈, 프랑스 군인
루이 1세 드 부르봉-방돔, 방돔 백작
존 홀랜드 (엑서터 공작), 잉글랜드 귀족
미르체아 1세, 왈라키아의 보이보드
사망
5월 19일존 오브 곤트, 랭커스터 공작
9월 25일제프리 르 스쿠프, 영국 귀족
날짜 미상알렉시오스 3세, 트라페준타 제국의 황제
아바스 이븐 알파라지, 이슬람 수학자
이시도어 글라반, 우크라이나 작가

2. 연호

3. 주요 사건

1396년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사건이 있었다.



이 외에도 오스만 제국불가리아를 점령하고, 프랑스제노바를 정복하는 등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사건이 일어났다. 한국에서는 왜구의 침입이 잦았으며, 서울 성곽이 완공되어 수도 방어 체계가 강화되었다.

3. 1. 한국


  • 음력 6월 18일 - 경상도 동래 만호(東萊萬戶) 윤형(尹衡)과 석포 천호(石浦千戶) 이의경(李義敬)이 왜구의 배 1척을 잡아서 군기와 갑옷을 바쳤다.[3]
  • 음력 8월 9일 - 왜적의 배 120척이 경상도에 침입하여 병선(兵船) 16척을 탈취하고, 수군 만호(水軍萬戶) 이춘수(李春壽)를 죽였으며, 동래(東萊)·기장(機張)·동평성(東平城)을 함락하였다.[4]
  • 9월 24일 - 서울 성곽이 완공되었다.
  • 음력 10월 27일 - 왜구가 동래성(東萊城)을 포위하였다가 이기지 못하고 물러가면서 병선 21척을 불살랐고, 수군 만호(水軍萬戶) 윤형(尹衡)과 임식(任軾)이 전사하였다.[5]

3. 2. 동아시아 (한국 외)


  • 9월 25일 - 니코폴리스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십자군을 격파하였다.[1]
  • 오스만 투르크가 불가리아의 비딘 요새를 함락하고 차르 이반 스라치미르를 사로잡아 제2차 불가리아 제국을 멸망시켰다. 불가리아 국가는 1878년 불가리아 공국으로 재건된다.
  • 프랑스가 제노바 공화국을 정복하였다.
  • 14년간의 공위 이후, 페드로 데 산 수페라노가 아카이아 공국의 통치자로 선포되었다.
  • 아부 아미르가 압둘 아지즈 2세의 뒤를 이어 오늘날의 모로코에 있는 마리니드 왕조의 통치자가 되었다.
  • 티무르가 자신의 아들 미란 샤를 오늘날의 아제르바이잔티무르 왕조 총독으로 임명하였다.
  • 미란 샤가 남은 통치자들을 연회에서 살해하면서 동쪽 페르시아의 카르트 왕조가 멸망하였다.
  • 필리베르 드 나이야크가 후안 페르난데스 데 에레디아의 뒤를 이어 성 요한 기사단의 대수장이 되었다.
  • 위츠릴리우이트리가 아카마피치틀리의 뒤를 이어 아즈텍의 통치자가 되었다.
  • 오스만 투르크가 부르사에 울루 자미 모스크를 건설하였다.
  • 중국 명나라 조정이 두 명의 사절, 치엔 구쉰과 리 시충을 아바 왕국의 미얀마와 몽 마오의 타이 정치체에 파견하여 두 국가 간의 분쟁을 해결하려 하였다. 중국 사절의 여정은 역사적 자료인 『백의전』에 기록되어 있다.
  • 티무르가 초원에 '꽃의 집'이라는 정원 건설을 명령하였다.
  • 중국 동부의 후난성후베이성 지역의 농민들이 8천 4백만 그루의 과일 나무를 심었다.

3. 3. 유럽 및 서아시아

4. 탄생

4. 1. 한국

4. 2. 한국 외

5. 사망

=== 한국 ===



=== 한국 외 ===

5. 1. 한국

5. 2. 한국 외

참조

[1] 서적 Nicopolis 1396: The Last Crusade Osprey Publishing
[2] 웹사이트 1396 November 23rd Transit of Venus http://astro.ukho.go[...] HM Nautical Almanac Office 2017-09-16
[3] 간행물 태조실록 (1413) 9권, 태조 5년 6월 18일 갑진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4] 간행물 태조실록 (1413) 10권, 태조 5년 8월 9일 갑오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5] 간행물 태조실록 (1413) 10권, 태조 5년 10월 27일 신해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