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긴은 카시오페이아자리에 있는 별로, 바이어 명명법에 따라 ε 카시오페이아이로 표기된다. 전통적으로는 목동자리의 감마별인 세기누스(Seginus)에서 유래된 세긴(Segin)으로 불리며, 2017년 국제천문연맹(IAU)에서 공식 명칭으로 승인했다. 물리적으로는 B3 III 분광형의 거성으로, 청백색 빛을 띠며 태양의 약 6배 크기이다. 세긴은 카시오페이아-황소자리 이동성단의 구성원일 가능성이 높으며,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변광성으로 밝혀졌다. 한국 천문학에서는 과거 "각도"의 "북제3성"으로 불렸으며, 현대에는 ε Cassiopeiae 또는 세긴으로 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Be형 항성 - 아케르나르
아케르나르는 에리다누스자리에서 가장 밝고 지구에서 아홉 번째로 밝게 보이는 청색 항성으로, 빠른 자전으로 편구체 모양을 하고 있으며 적도면에 가스 원반을 가지고 있고 동반성을 거느리고 있다. - Be형 항성 -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는 겉보기 등급이 불규칙하게 변하는 분출 변광성이자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 변광성의 대표 별로, 빠른 회전 속도와 적도 팽창, 뜨거운 가스 원반을 특징으로 하며 X선 방출 메커니즘에 대한 논쟁이 있고, 분광 쌍성을 포함하는 다중성계이며 'Navi'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 B형 거성 - 마이아 (항성)
마이아는 황소자리에 위치하며 플레이아데스 자매의 이름을 딴 별로, 특정 원소 과잉과 흑점 활동에 의한 밝기 변화를 보이며 반사 성운에 둘러싸여 맨눈으로도 관측 가능한 항성이다. - B형 거성 - 스피카
스피카는 지구에서 약 250광년 떨어진 처녀자리 α별로, "처녀의 밀 이삭"을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했으며, 분광쌍성이자 회전 타원체 변광성으로 두 개의 청색거성으로 이루어져 빠른 자전과 강한 상호 중력으로 인해 특이한 물리적 특성을 보이는 밝은 쌍성계이다. - 카시오페이아자리 - 쉐다르
쉐다르는 카시오페이아자리의 별로, 아랍어로는 "가슴", 중국에서는 '왕량사'로 불리며, 북반구에서 쉽게 관측할 수 있는 적색 초거성이다. - 카시오페이아자리 -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는 겉보기 등급이 불규칙하게 변하는 분출 변광성이자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 변광성의 대표 별로, 빠른 회전 속도와 적도 팽창, 뜨거운 가스 원반을 특징으로 하며 X선 방출 메커니즘에 대한 논쟁이 있고, 분광 쌍성을 포함하는 다중성계이며 'Navi'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 세긴 | |
|---|---|
| 기본 정보 | |
![]() | |
| 별자리 | 카시오페이아자리 |
| 명칭 | 세긴 |
| 기타 명칭 | 카시오페이아자리 엡실론 (Epsilon Cas, ε Cas) 카시오페이아자리 45 (45 Cassiopeiae) BD+62 320 FK5 63 HD 11415 HIP 8886 HR 542 SAO 12031 |
| 로마자 표기 | Segin |
| 관측 정보 | |
| 시대 | J2000 |
| 겉보기 등급 | 3.37 |
| 변광성 여부 | 주기적 |
| 특징 | |
| 분광형 | B3 V |
| B-V 색지수 | -0.15 |
| U-B 색지수 | -0.62 |
| 고유 운동 | |
| 시선 속도 | -8.1 |
| 적경 방향 고유 운동 | +29.587 |
| 적위 방향 고유 운동 | -18.387 |
| 연주시차 | 7.0037 |
| 연주시차 오차 | 0.1599 |
| 절대 등급 | -2.19 |
| 물리적 특성 | |
| 질량 | 9.2 ± 0.2 태양질량 |
| 반지름 | 6.10 ± 0.06 태양반지름 |
| 광도 | 3,059 태양광도 |
| 표면 온도 | 15,174 켈빈 |
| 표면 중력 | 3.5 |
| 금속 함량 (철) | -0.28 |
| 자전 속도 | 30 km/s |
| 나이 | 1,540만 ± 300만 년 |
| 데이터베이스 | |
| SIMBAD | HR542 |
2. 명칭
ε 카시오페이아이는 바이어 명명법에 따른 표기이다. 전통적인 이름인 '세긴(Segin)'은 감마 보오티스의 이름인 '세기누스(Seginus)'의 오기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2017년 국제천문연맹(IAU)은 '세긴'을 공식 명칭으로 승인했다.
세긴의 분광형은 B3 III으로 거성에 속하며, 중심핵에 있는 수소를 모두 태우고 생애 후반부에 들어섰다고 할 수 있다. 2003년 코테(Cote)의 연구에 따르면, 이 별은 분광형상 비이형 별은 아니지만 비이형 별과 유사한 스펙트럼 값을 보여준다. 스펙트럼상 방출선이 나타나는데, 이는 별 주위에 자신이 토해낸 가스가 둘려 있음을 의미한다.
한자 문화권에서 세긴은 “閣道”(각도)의 여섯 별 중 “북제3성”으로 불렸다.[9] 중국에서는 閣道二 (Gédàoèr), 즉 '나는 복도의 두 번째 별'로 불린다.[10][11]
일부 보고서에서는 NASA가 우주비행사 버질 아이반 "거스" 그리섬을 기리기 위해 '나비(Navi)'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잘못 주장하지만, 실제 '나비'는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를 지칭한다.
3. 물리적 특징
카시오페이아자리 엡실론의 최외곽층 대기 온도는 15,174 K으로, 청백색 빛을 뿜는 B형 항성으로 분류된다. 간섭계로 측정한 이 별의 각지름은 0.43 밀리초각이다. 세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면 이 별의 반지름은 대략 태양의 6배이다.
히파르코스 계획 기간 이 별을 관측한 결과, 세긴은 미약하게 주기적으로 밝기가 변하는 상태일 것으로 추측되었다. 밝기 변화량은 0.0025등급이며 주기는 2.15시간이다. 이 관측자료로 나온 신호 대 잡음비는 4.978이다. 히파르코스가 잰 우주 속도 요소를 통해 카시오페이아-황소자리 이동성단의 일원일 가능성이 높음을 알아냈다(93% 확률). 이 이동성단은 운동학적으로 페르세우스자리 알파 성단과 묶여 있는데, 여기서 세긴을 포함한 카시오페이아-황소자리 이동성단은 알파 성단으로부터 조석력 때문에 분리되었음을 알 수 있다.
3. 1. 항성 진화
세긴은 분광형 B3 V의 주계열성으로, 중심핵에서 수소를 융합하고 있다. Be 별로 분류되지는 않지만, Be 별의 스펙트럼 특성을 보이며, 스펙트럼에서 방출선이 나타나는 것은 별 주변에 가스 껍질이 존재함을 나타낸다. 세긴은 태양 질량의 9배, 반지름은 6배이며, 유효 온도는 15,174 K, 광구에서 태양 광도의 3,000배를 방출하여 B형 별의 청백색을 띤다.
히파르코스 위성의 관측 결과, 세긴은 약한 주기적인 변광성 변동을 보이며, 변동 진폭은 0.0025 등급, 주파수는 하루에 11.17797회(2.15시간마다 한 주기)이다. 공간 속도 성분 측정 결과, 세긴은 Cas-Tau 동반성단의 구성원일 가능성이 93%이며, 이 그룹은 페르세우스자리 알파성단과 운동학적으로 연관되어 있어 조석 상호 작용으로 성단에서 분리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카시오페이아자리 엡실론별은 카시오페이아자리의 W자에서 가장 왼쪽에 있으며, 가장 어둡다. 고속 자전으로 회전타원체 형태를 이루고, 주위에 강착원반이 형성된 가스 외피별로 추정되며, 이 강착원반이 수소 휘선을 발생시킨다고 여겨진다. 표면 온도는 15,174K로 태양보다 약 1만K 더 뜨거워 가시광선에서 청백색으로 보인다.
3. 2. 우주 공간에서의 위치
세긴은 히파르코스 위성이 측정한 우주 속도 요소를 통해 카시오페이아-황소자리 이동성단의 구성원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93% 확률). 이 이동성단은 페르세우스자리 알파성단과 운동학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며, 조석력에 의해 분리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히파르코스 계획 기간 이 별을 관측한 결과 세긴은 미약하나마 주기적으로 밝기가 변하는 상태일 것으로 추측되었다. 밝기 변화량은 0.0025등급이며 주기는 2.15시간이다.
4. 한국 천문학에서의 세긴
한국 전통 천문학에서 세긴은 “각도(閣道)”의 여섯 별 중 하나로, “북제3성”으로 불렸다.[9] 중국에서는 閣道二(각도이)로 표기한다.[10][11]
세긴이라는 명칭은 목동자리 γ별의 고유 명칭 세기누스(Seginus)에서 잘못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명칭은 안토닌 베추바르의 성도에만 나타나며, 그 출처는 불분명하다. 2017년 9월 5일, 국제천문연맹 산하 항성 명명 워킹 그룹(WGSN)은 카시오페이아자리 ε별의 고유 명칭으로 세긴(Segin)을 공식 승인했다. 현대 한국 천문학에서는 주로 바이어 명명법인 ε Cassiopeiae로 표기하지만, 국제천문연맹의 표준 명칭인 세긴도 점차 사용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참조
[1]
논문
A catalogue of young runaway Hipparcos stars within 3 kpc from the Sun
[2]
논문
Rotational Velocities of B Stars
2002-07
[3]
논문
Oxygen and Neon Abundances of B-Type Stars in Comparison with the Sun
2010-10
[4]
웹사이트
Temperature of the Sun
http://www.universet[...]
Universe Today
2008-09-15
[5]
논문
The Colour of Stars
http://outreach.atnf[...]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2004-12-21
[6]
서적
Guidebook to the constellations
Springer
2012
[7]
논문
Bright Star Catalogue, 5th Revised Ed.
https://vizier.cds.u[...]
1995-11
[8]
웹사이트
IAU Catalog of Star Names
https://www.pas.roch[...]
국제천문학연합
2017-10-23
[9]
웹사이트
한국천문 우리하늘 우리별자리
http://www.cultureco[...]
2012-10-27
[10]
서적
中國星座神話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11]
웹사이트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http://www.lcsd.gov.[...]
Hong Kong Space Museum
2010-1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