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르다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다냐는 피레네 산맥에 위치한 역사적 지역으로, 현재 스페인과 프랑스에 걸쳐 있다. 고대에는 케레테스 족이 거주했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는 'Cerretania'로 불렸다. 중세 시대에는 세르다냐 백작령이 존재했으며, 1117년 아라곤 왕국에 합병되었다. 1659년 피레네 조약으로 분할되어 북부는 프랑스, 남부는 스페인에 속하게 되었다. 현재 스페인 측은 카탈루냐의 '바이샤 세르다냐'로, 프랑스 측은 '알타 세르다냐'로 불리며,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세르다냐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이비아에 있는 세르다냐의 봄 풍경
이비아에 있는 세르다냐의 봄 풍경
상부 세르다냐 및 하부 세르다냐를 보여주는 지도
상부 세르다냐 및 하부 세르다냐를 보여주는 지도
기본 정보
이름세르다냐
다른 이름라 세르다냐
유형자연지역 및 지방
위치프랑스와 스페인의 지방
하위 구분옥시타니, 카탈루냐
지방피레네조리앙탈주, 지로나
코마르크세르다냐, 상부 세르다냐
면적1086.07 km²
평균 고도1,100 m
인구 (2001년 기준)26,500명
언어 정보
기타
세르다냐 깃발
세르다냐 깃발
아라곤의 국장
전통 국장

2. 역사

세르다냐는 피레네 산맥 동쪽에 있는 지역으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초기에는 바스크어와 관련된 언어를 사용하던 사람들이 살았고, 기원전 1천년 경에는 남쪽에서 이베리아인이 유입되어 토착민과 섞여 '케레테스'라는 종족을 형성했다.[8] 이들의 주요 거점은 '케레'라고 불렸으며, 오늘날 프랑스 영토 내 스페인 월경지리비아 지역에 있었다. 이후 로마의 지배를 받게 되면서 '줄리아 리비카'로 불렸고, 로마 제국 시기에는 '파구스 리비엔시스'라고 불리는 지역의 일부였다.[8] 세르다냐라는 이름은 '케레타니아'에서 유래되었으며, 주민의 옛 이름인 케레테스에서 비롯되었다.

케레테스 족은 8세기나 9세기까지 고유 언어를 유지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결국 카탈루냐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로마 제국 멸망 후 라세우두르젤이 주요 도시로 부상했고, 6세기에는 우르헬 교구가 설립되면서 세르다냐는 그 관할 구역에 포함되었다.

서고트족과 무슬림의 지배를 거쳐, 8세기에는 베르베르 사령관 우스만 이븐 나이사가 세르다냐에 작은 왕국을 건설하기도 했다. 그러나 곧 우마이야 왕조의 공격을 받아 멸망했고, 이후 압둘라흐만 1세의 군사 작전으로 코르도바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785년경에는 프랑크 왕국의 가신이 되었다.

샤를마뉴 시대에는 세르다냐 백작이 등장했고, 9세기에는 바르셀로나 백작과 연합하여 지로나, 나르본, 우르헬의 백작을 겸하기도 했다. Wilfred the Hairy 백작은 막내 아들 미론을 세르다냐 백작으로 세웠다.

현재 정치 지도에 나타난 고대 Rosselló와 Cerdanya 백작


세르다냐 백작령은 Urgell 백작, 바르셀로나 백작, 베살루 백작, 루시용 백작, 라제스 백작과 경계를 접했으며, 여러 지역을 상속받아 중요한 백작령이 되었다. 세르다냐 백작은 수도원의 후원자였으며, Saint-Michel de Cuxa와 Saint-Martin-du-Canigou 수도원이 대표적이다.

1117년 백작 가계가 단절되면서 백작령은 바르셀로나 백작에게 상속되었고, 이후 Aragon의 왕에게 넘어갔다.

1659년 피레네 조약으로 세르다냐는 스페인과 프랑스로 분할되었다. 북부는 프랑스령, 남부는 스페인령이 되었다. 루시용, 카피르, 콩플랑도 이때 프랑스령이 되었다.[2]

오늘날 스페인 측 세르다냐는 바이샤 세르다냐로, 프랑스 측은 Alta Cerdanya로 불린다. 스페인 측 수도는 푸이그세르다이며, 프랑스 측 주요 도시는 부르-마담과 퐁-로뮤이다.[2] 리비아는 프랑스 영토 내 스페인 포위 지역으로 남아있다.[2]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세르다냐는 밀수 무역의 중심지 역할을 하기도 했다.[2]

2. 1. 고대

세르다냐의 초기 거주민은 아마도 고대 바스크어와 아키타니아어와 관련된 언어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8] 많은 지명이 이를 뒷받침한다.

기원전 1천년기에 남쪽에서 이베리아인이 유입되었다. 이들은 세르다냐에서 토착민과 섞여 케레테스(Kerretes)라는 종족을 형성했는데, 이는 '바위'를 의미하는 토착어 'ker' 또는 'kar'에서 유래한 것으로, 고대 바스크어 'karri'(현대 바스크어 'harri', '돌')와 관련이 있다.

케레테스는 아마도 바스크 및 아키텐과 관련된 종족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원주민과 섞인 이베리아 씨족은 소수에 불과했을 수 있기 때문이다.[8] 케레테스는 고대 바스크어와 아키텐어와 관련된 언어를 유지했지만, 일부 이베리아어 단어가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베리아인이 케레테 사회의 최상층에 위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케레테스의 주요 거점 도시는 'Kere'라고 불렸으며, 오늘날의 리비아(프랑스 영토 내 스페인 월경지) 마을 위에 있는 언덕에 건설되었다. 이후 케레테스는 로마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로마인들은 이 도시를 '줄리아 리비카(Julia Lybica)'로 개명했으며,[8] 상당수의 로마 시민이 이곳에 정착했다. 로마 제국 시기 세르다냐 지역은 '파구스 리비엔시스(pagus Liviensis)'(수도인 줄리아 리비카에서 유래)라고 불렸으며, 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 속주의 일부였다. '파구스 리비엔시스'는 줄리아 리비카를 중심으로 한 동부 지역인 '케레타니아 율리아(Cerretania Julia)'와 서부 지역인 '케레타니아 아우구스타(Cerretania Augusta)'로 나뉘었다. 세르다냐라는 이름은 '케레타니아(Cerretania)'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주민의 옛 이름인 케레테스(Kerretes)에서 비롯되었다. 줄리아 리비카는 이후 '줄리아 리비아(Julia Livia)'를 거쳐 '리비아(Llívia)'로 명칭이 변경되었다.[8]

케레테스는 8세기나 9세기까지 고유 언어를 유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지역의 로마화는 매우 더디게 진행되었지만, 결국 모국어는 사라지고 세르다냐 사람들은 카탈루냐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로마 제국이 멸망하면서 줄리아 리비카는 쇠퇴하였고, 그 중요성을 크게 잃었다. 이 무렵 라세우두르젤(카탈루냐에 있지만 세르다냐 외부)이 줄리아 리비카를 대신하여 북부 카탈루냐 지역의 주요 인구 중심지로 부상하기 시작했으며, 6세기에 우르헬 교구가 설립되면서 세르다냐는 그 관할 구역 내에 포함되었다.

2. 2. 중세

서고트족의 툴루즈 왕국과 톨레도 왕국의 일부였던 세르다냐는 무슬림에게 정복당했다. 721년 툴루즈 전투에서 오도 대왕이 무슬림의 확장을 저지한 후, 베르베르 사령관 우스만 이븐 나이사는 세르다냐에 작은 왕국을 건설하고 오도와 동맹을 맺었다. 그러나 우스만 이븐 나이사는 우마이야의 공격을 받아 패배했고, 압둘 라흐만 알 가피키가 아키텐으로 진출하는 길이 열렸다. 압둘라흐만 1세의 군사 작전(781년) 동안 코르도바 사령관은 세르다냐에서 이븐 벨라스쿠트 또는 갈린도 벨라스코테네스의 항복을 받아냈다. 이후 카롤링거 왕조의 압력으로 세르다냐는 785년경 프랑크의 가신이 되었다.

; 세르다냐 백작

세르다냐 백작은 샤를마뉴가 세운 스페인 마르케스에서 유래했다. 9세기에 세르다냐는 바르셀로나 백작과 연합한 영주권 중 하나였으며, 이들은 지로나, 나르본, 우르헬의 백작이기도 했다. Wilfred the Hairy(870–897년 백작)는 세 아들을 두었고, 막내인 Miron(927년 사망)을 주권 국가인 세르다냐 백작으로 세웠다.

세르다냐 주권 백작은 Urgell 백작, 바르셀로나 백작, 베살루 백작, 루시용 백작, 라제스 백작과 경계를 접하고 있었다. 세르다냐 백작령은 세르다냐 본토와 Capcir, Conflent와 같이 시간이 지나면서 상속을 통해 획득한 다른 지역이 추가된 것으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세르다냐 백작은 실제로 매우 중요한 백작이었다. 세르다냐 백작은 수도원의 위대한 후원자였으며, 가장 유명한 것은 10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Conflent에 위치한 Saint-Michel de Cuxa(카탈로니아어: ''Sant Miquel de Cuixà'')와 1009년 세르다냐 백작 기프레드가 봉헌한 Saint-Martin-du-Canigou(카탈로니아어: ''Sant Martí del Canigó'')이다.

그러나 백작의 가계는 1117년에 단절되었고 백작령은 나중에 Aragon의 왕이 된 바르셀로나 백작에게 상속되었다.

2. 3. 근세

1659년 피레네 조약으로 세르다냐는 스페인과 프랑스로 분할되었다. 세르다냐 북부는 프랑스령이 되었고, 남쪽은 스페인령으로 남았다. 루시용, 카피르, 콩플랑 카운티도 이때 프랑스령이 되었다.[2]

오늘날 세르다냐의 스페인 측은 카탈루냐의 ''코마르카''인 바이샤 세르다냐("하부 세르다냐")로 알려져 있으며, 수도는 푸이그세르다이다. 푸이그세르다는 1659년 분할 이전에 이미 세르다냐의 수도였으며, 1178년에 힉스를 대체하여 수도가 되었다. 세르다냐 백작이 거주했던 힉스는 현재 국경의 프랑스 측에 있는 코뮌인 부르-마담 내부의 마을이다. 힉스는 고대에 세르다냐의 수도였던 리비아를 대체했다. 피레네 조약에서 리비아는 스페인령으로 남기로 결정했는데, 조약에서 마을만 프랑스에 양도해야 한다고 규정했고, 리비아는 고대 세르다냐의 수도라는 지위 때문에 마을이 아닌 도시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따라서 리비아는 현재 프랑스 영토 내의 스페인 포위 지역이다.[2]

세르다냐의 프랑스 쪽은 피레네-오리엔탈의 ''데파르트망''의 일부이며 특별한 지위는 없다. 프랑스 사람들은 이곳을 ''Cerdagne française'' (즉, "프랑스의 세르다냐") 또는 그냥 ''Cerdagne''라고 부르는 반면, 스페인 사람들은 이곳을 ''Alta Cerdanya'' ("상부 세르다냐")라고 부른다. 주요 도시는 부르-마담과 스키 리조트인 퐁-로뮤이다.[2]

프랑스와 스페인이 분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경 양쪽의 가족 간에는 유대감이 남아 있으며, 한 나라에서 다른 나라로 자주 여행한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세르다냐는 말과 노새가 프랑스에서 스페인의 세르다냐로 이동한 후 프랑스 군대에 판매되어 르 페르튀를 통해 프랑스로 돌아오는 중요한 밀수 무역의 장소였다.[2]

3. 경제

세르다냐는 피레네 산맥의 이웃 지역과 마찬가지로 관광 산업이 경제를 크게 뒷받침하고 있다. 온천, 스키, 하이킹은 오랜 역사를 가진 명소이다. 노란색 기차 또한 주요 관광 명소이다.[3]

라 세르다냐는 바르셀로나 주민과 관광객 사이에서 스키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우루스와 알프 근처에 위치한 "마셀라" 스키 리조트는 1월 3일에 개장하며, 산이 북쪽을 향해 있어서 피레네에서 가장 긴 스키 시즌을 제공한다.[3] 현재 스키장에는 15개의 스키 리프트가 있는 62개의 슬로프가 있으며, 2013년부터 야간 스키를 제공하고 있다.[4] 마셀라와 물리적으로 인접해 있지만 다른 스키 패스가 필요한 "라 몰리나"는 68개의 스키 슬로프를 보유하고 있다.[5] 세르다냐는 안도라프랑스와 가깝기 때문에 주민들은 "Font Romeu", "Formigueres", "Les Angles" 및 "Grandvalira"에서 스키를 즐긴다.

4. 인물

호세 바젤가는 저명한 종양학자이다.[1]

참조

[1] 문서 Ceretani 또는 세리타니아
[2] 문서 66 PHPC
[3] 뉴스 Lugares de Nieve - Masella https://www.lugaresd[...] Lugares de Nieve
[4] 웹인용 Masella https://www.masella.[...]
[5] 웹인용 라 몰리나 https://www.lamolina[...]
[6] 웹인용 Lleida.com / Comarques / La Cerdanya http://cat.lleida.co[...] Lleida.com 2012-12-17
[7] 웹인용 Municipis de la Cerdanya http://www.cerdanya.[...] cerdanya.ws 2012-12-17
[8] 웹인용 De la santa iglesia de Gerona https://books.google[...] 18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