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르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르본은 프랑스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기원전 118년 로마 공화국에 의해 건설되었다. 갈리아 나르보넨시스의 수도였으며, 도미티아 가도와 아퀴타니아 가도의 교차로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중세 시대에는 유대교 학문의 중심지였으나, 14세기부터 오드 강의 변화와 흑태자 에드워드의 습격 등으로 쇠퇴하기 시작했다. 16세기에는 로비느 운하 건설을 통해 무역로를 확보하려 했으며, 현재는 럭비 유니온 팀 RC 나르본의 연고지이자, 파리, 바르셀로나 등과 연결되는 교통의 요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드주의 코뮌 - 카르카손
    카르카손은 프랑스 남부에 위치한 기원전 3500년부터 사람이 거주한 유서 깊은 도시로, 여러 민족과 왕국의 지배를 거쳐 알비 십자군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중세 도시 시타델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관광업이 발달했다.
  • 오드주의 코뮌 - 빌팽트 (오드주)
    빌팽트는 1962년부터 2008년까지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여 1990년에 정점을 찍고 소폭 감소 후 다시 증가하는 인구 변화를 겪었다.
  • 옥시타니의 도시 - 몽펠리에
    몽펠리에는 프랑스 에로주에 위치한 중세 시대에 성립된 도시로,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길의 숙박 도시로 번영했으며, 1220년 설립된 의학부가 몽펠리에 대학교의 기원이 되었고, 아라곤 왕국과 프랑스 합병, 격변기를 거쳐 현재는 프랑스에서 큰 도시 중 하나이며 대학 문화와 관광 명소를 지닌 도시이다.
  • 옥시타니의 도시 - 카르카손
    카르카손은 프랑스 남부에 위치한 기원전 3500년부터 사람이 거주한 유서 깊은 도시로, 여러 민족과 왕국의 지배를 거쳐 알비 십자군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중세 도시 시타델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관광업이 발달했다.
나르본
개요
나르본 사진 몽타주
위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아래에서 위로: 파르크 데 스포르 에 드 라미티에 경기장; 역사적인 백화점 "오 담 드 프랑스"; 대주교 궁전; 생-쥐스트-에-생-파스퇴르 대성당; "메디아테크" 도서관 및 멀티미디어 센터; 경기장 부지 조각품; 법원; 볼테르 다리; "나르본 극장"; 시청 광장; 대주교 궁전 전망의 상인 다리; 대성당과 로빈 운하; "레 할" 덮개 시장; "팔레 데 스포츠, 데 자르 에 뒤 트라바이" 스포츠, 예술 및 노동 단지; "에스파스 드 리베르테" 다용도 센터; 도미티아 가도; 나르본 기차역; 나르본에서 태어난 샤를 트레네; 도시 중심부의 항공 사진; 이전 교회 "노트르-담 드 라무르기에", 현재 라피다리 박물관
공식 명칭Narbonne
오크어 명칭Narbona
라틴어 명칭Narbo
별칭준현 및 코뮌
별칭 (영어)Narbonnese (En)
별칭 (프랑스어)Narbonnaise (Fr)
일반 정보
위치옥시타니 레지옹, 오드 데파르트망
아롱디스망나르본 아롱디스망
캉통나르본-1 캉통, 나르본-2 캉통, 나르본-3 캉통
INSEE 코드11262
우편 번호11100
면적172.96 km² (849 평방마일)
고도최소 0m, 최대 285m
정치
시장베르트랑 말키에
임기2023–2026
인터코뮌그랑 나르본
인구 통계
인구56,395명 (2021년 기준)
인구 밀도326명/km²
인구 별칭 (영어)Narbonnese
인구 별칭 (프랑스어)narbonnaise
기타 정보
웹사이트나르본 공식 웹사이트

2. 어원

나르보라는 지명의 기원은 고대에 사라졌으며, 현재 정착지 또는 그 주민들과 가까운 곳에 있던 고대 산성을 가리켰을 가능성이 있다.[5] 이 지역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기원전 5세기 그리스의 밀레토스의 헤카타이오스의 저서에서 나오는데, 그는 당시 이곳을 켈트족의 항구이자 시장으로 묘사하고 주민들을 ''Ναρβαῖοι''라고 불렀다. 고대 비문에서는 이 이름이 라틴어로 표기되기도 하고 이베리아어로 ''Nedhena''로 번역되기도 한다.

3. 역사

기원전 120년 프로콘술(전 집정관)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는 이 지역을 정복하여 속주화하고 도미티아 가도를 건설하였다. 기원전 118년, 로마 공화정의 루키우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 등이 이곳에 식민 도시 '''나르보 마르티우스'''(Narbo Martiusla)를 건설했다.[22] 로마 식민지의 기반으로 프로방스에서 히스파니아(현재의 이베리아 반도 일대)에 이르는 로마 가도였다. 나르본은 이탈리아 반도와 히스파니아를 잇는 도미티아 가도와 아퀴타니아 가도(Via Aquitania)가 연결된 곳에 위치했기 때문에 지리적으로 매우 중요한 교차점에 있었다.

가이우스 유리우스 카이사르파와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등의 원로원파와의 내전 당시, 마르세유(현: 마르세유)가 원로원파에 가담하여 카이사르파에 전투를 일으킨 동안, 카이사르는 나르본에 베테랑 군인들을 정착시키고 그 항구를 개발하려고 했다. 정치적으로 나르본은 마르세유에 대한 교두보로서 중요성을 얻었다.

후에, 지중해 연안의 갈리아 남부 지역은 “갈리아 나르보넨시스”라는 이름을 얻었고, 나르본은 그 수도가 되어 로마의 강력한 통치 아래 도시는 경제적으로 발전해 갔다.

12세기에는 나르본의 궁정이 궁정적 연애의 정신이 깃든 문화적 중심지 중 하나를 담당했다. 11, 12세기에는 나르본은 중요한 유대인 성서 해석학의 근거지가 되었고, 그것은 탈무드미슈나의 보급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4세기에 들어서면서 나르본은 여러 가지 이유로 쇠퇴해 간다. 그 원인 중 하나는 오드 강(오드주는 이 강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의 변화로 인해 오드 강이 범람하고 강바닥의 진흙으로 인해 선박 항해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드 강의 흐름은 퇴적물의 영향으로 변동했고, 지중해 해수면이 약간 상승함으로써, 침전물로 인해 강의 흐름이 끊겨 나르본이 항구로서의 역할을 하기 어렵게 되었다.

16세기에 들어서면서 나르본 주민들은 무역로를 확보하기 위해 건설이라는 대규모 공사에 착수했다.(로비느 운하는 1787년 미디 운하(당시에는 “로와얄 운하”로 알려짐)에 연결되었다).

19세기에는 프랑스 남부의 운하 체계가 확장되는 철도망과의 경쟁에 들어갔지만, 번영하는 와인 거래를 위해 약간의 중요성을 유지했다. 그 때문에 로마 시대 이후의 쇠퇴에도 불구하고 나르본은 어떻게든 거래 루트로서 더 제한된 중요성을 간신히 유지할 수 있었다.

3. 1. 고대 로마 시대

나르본은 기원전 118년 로마 공화국에 의해 갈리아에 설립되었으며, 공식 명칭은 '''콜로니아 나르보 마르티우스'''(Colonia Narbo Martius), 통칭 '''나르보'''(Narbo)였다.[6] 갈리아 최초의 로마 도로인 도미티아 가도 건설로 이탈리아스페인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차로 역할을 수행했다.[6] 도미티아 가도는 아키타니아 가도와 만나 툴루즈보르도를 거쳐 대서양으로 이어졌으며, 오드 강이 도시를 가로질렀다.[6]

기원전 120년 프로콘술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는 이 지역을 정복하여 속주화하고 도미티아 가도를 건설하였다. 기원전 118년, 로마 공화정의 루키우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 등이 이곳에 식민 도시 '''나르보 마르티우스'''(Narbo Martiusla)를 건설했다. [22]

율리우스 카이사르제10군단 출신 병사들을 나르본에 정착시키고 항구 개발을 시도하여 마르세이유의 경쟁자로서 중요성을 키웠다.[7] 로마인들에게는 로즈마리 꽃 꿀이 특산물로 유명했다.[7]

이후 갈리아 트란살피나는 갈리아 나르보넨시스로 개명되었고, 나르본은 그 주도가 되었다.[6] 강력한 행정부의 중심지로서 경제적, 건축적으로 발전했으며, 당시 도시 인구는 3만~5만 명, 최대 10만 명으로 추정된다.[8]

3. 2. 서고트 왕국 시대

히다티우스에 따르면, 462년에 한 지역 군 지도자가 지원을 받는 대가로 이 도시를 서고트족에게 넘겨주었고, 그 결과 로마의 지배가 끝났다.[9] 그 후 이 도시는 서고트족의 셉티마니아 주의 수도가 되었는데, 셉티마니아는 부아예 전투(507년) 이후 프랑크족의 공격을 막아낸 갈리아 유일의 영토였다.[9] 531년 프랑크족의 왕 힐데베르트 1세가 셉티마니아를 침략하여 나르본 근처에서 서고트족 왕 아말라릭을 패퇴시키고 이 도시를 점령했다.[9] 그러나 힐데베르트 1세의 카탈루냐 침략이 실패한 후, 아말라릭의 뒤를 이은 테우디스는 나르본을 포함한 부유한 셉티마니아 주를 되찾을 수 있었다.[9] 711/712년 톨레도바르셀로나를 잃은 후, 서고트족의 마지막 두 왕인 아길라 2세와 아르도는 나르본으로 후퇴하여 716년까지 무슬림의 공격을 막아냈다.[9]

3. 3. 아랍 지배 시대

719년, 우마이야 총독 알-삼흐는 서고트 왕국으로부터 나르본을 점령했다. 이후 759년까지 40년 동안 나르본은 우마이야 칼리파국의 일부였다.

759년, 펩팽 짧은 왕에게 나르본을 떠나는 우마이야 군대. 1880년 그림

3. 4. 카롤링거 왕조 시대

카롤링거 왕조의 피핀 3세는 759년 나르본을 아랍인으로부터 정복한 후, 이 지역을 카롤링거 왕조의 나르본 자작령으로 편입했다.[10] 그는 바그다드의 칼리파에서 저명한 유대인들을 초청하여 나르본에 정착하고 서유럽을 위한 주요 유대교 학습 센터를 설립하도록 했다. 12세기에는 나르본의 에르맹가르드(재위 1134년~1192년)의 궁정이 궁정 연애 정신이 발전한 문화 중심지 중 하나를 주관했다.

역사가 아서 J. 주커먼은 1973년에 ''봉건 시대 프랑스의 유대인 공국''이라는 책을 저술하여, 서기 8세기부터 10세기까지 나르본을 중심으로 유대인의 속국 공국이 있었고, 프랑크족이 알-안달루스로부터 나르본을 정복하는 데 협력한 것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피핀 왕이 유대인들에게 선물로 주었다는 논제를 제시했다. 그러나 이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다른 역사가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11, 12세기에는 나르본은 중요한 유대인 성서 해석학의 근거지가 되었고, 그것은 탈무드미슈나의 보급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3. 5. 중세 시대

11세기와 12세기에 나르본에는 중요한 유대교 주석학 학파가 있었는데, 이는 자르파틱어와 슈아디트어의 성장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유대인들은 5세기경부터 나르본에 정착하기 시작했으며, 12세기에는 약 2,000명의 공동체를 이루었다.[11] 이 당시 나르본은 탈무드 관련 저술에서 학자들과 관련하여 자주 언급되었다. 12세기와 13세기에 이 공동체는 여러 번의 부침을 겪은 후 장기적인 쇠퇴기에 접어들었다.[11]

12세기에는 나르본의 궁정이 궁정적 연애의 정신이 깃든 문화적 중심지 중 하나를 담당했다.

14세기에 들어서면서 나르본은 오드 강의 변화등 여러 가지 이유로 쇠퇴해 간다. 오드 강의 범람은 강바닥의 진흙으로 인해 선박 항해를 어렵게 만들었다. 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드 강의 흐름은 퇴적물의 영향으로 변동했고, 지중해 해수면이 약간 상승함으로써, 침전물로 인해 강의 흐름이 끊겨 나르본이 항구로서의 역할을 하기 어렵게 되었다.

3. 6. 쇠퇴

나르본은 14세기에 여러 가지 이유로 쇠퇴하기 시작했다. 오드 강의 흐름 변화로 인해 항해 접근로에 퇴적물이 쌓였고,[12] 해안선을 구성하는 섬들 사이의 개구부 퇴적, 흑태자 에드워드의 습격으로 인한 피해, 다른 항구의 성장 등이 쇠퇴의 원인이었다.[12]

고대에 아탁스(Atax)로 알려진 오드 강은 항상 살렐(Salelles) 근처에서 두 개의 주요 지류로 갈라졌다. 하나는 나르본을 거쳐 남쪽으로 클라프 산맥(Clappe Massif) 근처 바다로, 다른 하나는 동쪽으로 뱅드르(Vendres)의 석호(étang)로 향했다. 로마인들은 살렐 근처에 댐을 건설하고 습지 삼각주를 통과하여 바다로 이어지는 강을 운하화하여(로빈(Robine)) 강의 항행 가능성을 개선했다. 그러나 1320년 대홍수로 댐이 무너졌다.[12] 오드 강은 잦은 범람으로, 항구와 도시 간의 소통이 불안정했다. 해안과의 거리는 약 5~10km였지만, 강이 범람할 때만 바다로의 접근이 가능했다.[12] 상품은 육로와 얕은 바지선을 통해 운반되었다.[12]

16세기에 나르본 주민들은 무역로 확보를 위해 로비느 운하(fr) 건설에 착수했다. 이 운하는 1787년 미디 운하 (당시에는 “로와얄 운하”)에 연결되었다.

19세기에는 프랑스 남부의 운하 체계가 확장되는 철도망과의 경쟁에 들어갔지만, 와인 거래를 통해 어느 정도 중요성을 유지했다.

3. 7. 근대

16세기부터 나르본 주민들은 중요한 무역로를 유지하고자 값비싼 공사를 시작했다. 이는 제한된 喫水(킷스이)의 선박이 항해할 수 있도록 하고, 왕립 운하와 연결될 수 있도록 오드 강(Aude (river))의 해안 접근로 잔해를 정리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대규모 사업의 결과, 로빈 운하(Canal de la Robine)가 건설되었고, 1776년 연결 운하(Canal de Jonction)를 통해 미디 운하(Canal du Midi)(당시 왕립 운하)와 연결되었다.

2003년 촬영된 로빈 운하(도시 중심부에서 북서쪽을 향하고 있는 "파세르엘 앙트르 드 뷔유" 보행자 다리에서 촬영).


19세기에는 프랑스 남부의 운하 시스템이 더 빠르게 상품을 운송할 수 있는 확장되는 철도망과 경쟁해야 했다. 그러나 운하는 번성하는 와인 무역을 지원하는 데 사용되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중요성을 유지했다.

로마 시대 이후 쇠퇴했음에도 불구하고, 나르본은 중요하지만 제한적인 무역로로서의 중요성을 유지했으며, 이는 최근 몇 세기 동안 계속되었다.

4. 지리

나르보는 인근의 미디 운하와 오드에 로빈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운하는 도시 중심부를 통과한다. 몽펠리에페르피냥과, 국경을 넘어 스페인 바르셀로나와 연결하는 A9 고속도로와 매우 가깝다. 또한 스페인, 파리, 칼레로 가는 TGV를 운행하는 최근에 개조된 기차역이 있다. 칼레는 유로스타와 연결된다. 나르보는 나르본 플라주(해변)에서 불과 10km 떨어져 있지만, 라 노티크의 가장 가까운 호수까지는 2km밖에 되지 않는다. 다만 모래는 없고 자갈이 있다.

시 중심부는 지중해 연안의 바주-시장 호(バージュ=シジャン湖, Étang de Bages-Sigean) 북쪽에 있다. 인근의 에롤 호(エロール湖, Étang de l'Ayrolle) 등 5개의 석호(ラグーン)를 포함한 일대에는 염습지(塩性湿地), 염생식물(塩生植物) 군락(群落), 갈대밭(ヨシ原), 사구(砂丘) 등이 펼쳐져 있으며, 2006년 람사르 협약 등록지가 되었다.[21]

5. 기후

나르본의 기후는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평균치를 기준으로, 1월 평균 기온은 7.8°C, 7월 평균 기온은 24.0°C이다. 연간 평균 기온은 15.3°C이다. 가장 더웠던 달은 8월로 최고 기온이 42.1°C까지 기록되었으며, 가장 추웠던 달은 2월로 최저 기온이 -8.1°C였다.[13] 연간 강수량은 635.3mm이며, 10월에 92.5mm로 가장 많은 비가 내린다.[13]

평균 해수 온도는 1월과 2월, 3월에 13°C로 가장 낮고, 8월에 23°C로 가장 높다. 연평균 해수 온도는 16.8°C이다. 평균 풍속은 2월에 21.2km/h로 가장 강하고, 9월에 17.3km/h로 가장 약하다. 연평균 풍속은 19.4km/h이다.[14][15]

6. 인구

wikitable

연도인구
17939050
18009086
18069464
18219940
183110246
183610762
184111907
184611427
185113066
185614300
186116062
186617172
187217266
187619968
188128134
188629702
189129566
189627824
190128852
190627039
191128173
192128956
192629841
193131909
193630047
194629975
195432060
196233891
196838441
197539342
198241565
199045849
199946510
200751306
201251869
201754700

[16] 및 INSEE (1968–2017)[17]

7. 스포츠

나르본에는 1907년에 창단된 럭비 유니온 팀 RC 나르본이 있다. RC 나르본은 프랑스의 역사적인 팀으로, 두 차례 프랑스 1부 리그 우승을 차지했고 2001년 유럽 대회 결승에 진출했다. '파르크 데 스포르 에 드 람티에'(Parc des Sports Et de l'Amitié)에서 경기를 치르며, 수용 인원은 12,000명이다. 주황색과 검은색 유니폼을 입는다.

8. 교통

나르본 기차역(Gare de Narbonne)은 파리, 바르셀로나, 툴루즈, 마르세유 및 여러 지역 목적지와 직통 연결을 제공한다. Citibus.fr에서 운영하는 광범위한 지역 버스 시스템과 노선을 통해 나르본과 주변 지역 내에서 대중교통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비행기를 이용하여 이동하려는 여행객은 나르본에 공항이 없으므로 인근 베지에, 카르카손, 페르피냥, 툴루즈 또는 몽펠리에 공항을 이용한다.

9. 자매 도시



나르본은 다음과 같은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19][20]

10. 주요 인물


  • 바로 아타키누스 (Varro Atacinus), 로마 시인
  • 아테야바 (Ateyaba), 프랑스 힙합 아티스트
  • 알렉상드르 바롱 (Alexandre Baron), 레이싱 드라이버
  • 조제프 바르살루 (Joseph Barsalou (physician)) (1600–1669), 약사이자 의사, 그의 가족은 나르본 출신
  • 칼로뉴무스 벤 토드로스 (Kalonymus ben Todros) (사망 약 1194년), 12세기 후반 나르본에서 활동한 프로방스 랍비
  • 랍비 가문 벤베니스트 (Benveniste)
  • 레옹 블룸 (Léon Blum)은 파리에서 태어났지만 1929년 나르본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었고, 1932년과 1936년에 재선되었다.
  • 봉필(Bonfilh), 도시 출신의 유대인 (Jewish) 트루바두르 (troubadour)
  • 카루스 (Carus), 282년부터 283년까지 로마 황제, 사산 제국과 게르만 부족에 대한 그의 후기 승리로 유명하다.
  • 기욤 바르테즈 드 마르모리에르 (Guillaume Barthez de Marmorières) (1707–1799), 토목 기사
  • 카밀 라쿠르 (Camille Lacourt), 세계 챔피언 수영 선수
  • 뱅자맹 라리슈 (Benjamin Lariche), 레이싱 드라이버
  • 나르본의 마키르 (Makhir of Narbonne), 중세 유대인 학자
  • 장-조제프 카사네아 드 몽동빌 (Jean-Joseph Cassanéa De Mondonville) (1711–1772),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작곡가
  • 모세 하-다르샨 (Moshe ha-Darshan) (11세기), 나르본 예시바의 책임자
  • 아나이스 나폴레옹 (Anaïs Napoleón), 프랑스-스페인 사진작가
  • 피에르 레베르디 (Pierre Reverdy), 초현실주의 시인
  • 성 세바스찬 (Saint Sébastien), 3세기 기독교 성인이자 순교자
  • 디미트리 사르제프스키 (Dimitri Szarzewski), 럭비 선수
  • 샤를 트레네 (Charles Trenet), 가수 겸 작곡가
  • 다비드 김히(David Kimhi) - 히브리어·성서학자 (1160-1235년)
  • 피에르 르베르디(Pierre Reverdy) - 시인 (1889-1960년)
  • 샤를 트레네(Charles Trenet) - 가수
  • 디미트리 잘제우스키(Dimitri Zauzevski) - 럭비 선수

참조

[1] 웹사이트 Répertoire national des élus: les maires https://www.data.gou[...] data.gouv.fr, Plateforme ouverte des données publiques françaises 2024-04-16
[2] 사전 Narbonn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2019-04-27
[3] 사전 Narbonne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4] 사전 Narbonne Merriam-Webster 2019-04-27
[5] 서적 Narbonne and its Territory in Late Antiquity: From the Visigoths to the Arab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6] 학술지 Marseille et la Gaule méditerranéenne avant la conquête romaine
[7] 서적 The History of Food 2009
[8] 서적 An Historical Geography of Fran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03-17
[9] 서적 A History of Spain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Death of Ferdinand the Catholic https://books.google[...] Longmans, Green and Company 2021-07-27
[10] 문서 Trigano – The Conventionalism of Social Bonds and the Strategies of Jewish Society in the Thirteenth Century; Byrd – The Jesus Gene: A Messianic Bloodline, the Jews and Freemasonry 2012-02-16
[11] 웹사이트 NARBONNE - JewishEncyclopedia.com https://www.jewishen[...] 2023-01-06
[12] 서적 Mediterranean Beaches and Bluffs: A Bicycle Your France E-guide 2015
[13] 웹사이트 Normales et records pour Narbonne (11) https://www.meteocie[...] Meteociel 2024-12-14
[14] 웹사이트 Average sea temperature for Narbonne https://www.holiday-[...] holiday-weather.com 2024-06-22
[15] 웹사이트 Average Wind Speed in Narbonne (in French) https://donneespubli[...] Meteo France 2024-06-27
[16] 데이터베이스 Narbonne
[17] 웹사이트 Population en historique depuis 1968 https://www.insee.fr[...] INSEE
[18] 웹사이트 http://www.amisclosl[...]
[19] 웹사이트 British towns twinned with French towns http://www.completef[...] 2013-07-11
[20] 웹사이트 Salford's twin towns https://web.archive.[...] Salford.gov.uk 2008-05-04
[21] 웹사이트 Les Etangs littoraux de la Narbonnaise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11
[22] 서적 ローマ世界の歴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