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르브인의 황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브인의 황제는 1341년에서 1347년 사이 비잔티움 제국 내전을 틈타 세르비아 왕 스테판 두샨이 영토를 확장한 후 스스로를 칭한 황제 칭호이다. 스테판 두샨은 1346년 스코페에서 세르비아 총대주교, 불가리아 총대주교, 오흐리드 대주교의 승인 하에 황제로 즉위했다. 세르비아 헌장에서는 "세르비아인과 그리스인의 황제"라는 칭호를 사용했으며, 스테판 두샨과 그의 후계자들은 다양한 칭호를 사용했다. 스테판 두샨 사후 그의 아들 스테판 우로시 5세가 황위를 계승했으나, 1371년 후계자 없이 사망하면서 황제 칭호는 무의미해졌고, 세르비아 제국은 분열되었다. 이후 1527년 헝가리에서 요반 네나드가 스스로 황제를 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브인의 황제 -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은 네마니치 왕조 출신으로 세르비아 왕(1331-1355)이자 세르비아 제국 차르(1346-)로서 동로마 제국 영토를 정복하여 세르비아를 발칸 반도 최강국으로 만들고 두샨 법전을 반포하며 세르비아 정교회를 총대주교로 승격시키는 등 영향력을 행사했다.
  • 14세기 세르비아 - 트브르트코 1세
    트브르트코 1세는 14세기 보스니아의 반이자 왕으로 코트로마니치 왕조 출신이며, 보스니아를 발칸 반도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 중 하나로 성장시키고 세르비아 왕위 획득, 헝가리 및 오스만 제국과의 갈등 속에서 독립 유지, 달마티아 지역 공략을 통해 아드리아 해로 진출하는 데 기여했다.
  • 세르비아 제국 - 라슈카 (지역)
    라슈카는 세르비아 남서부의 역사적인 지역으로, 중세 시대에는 세르비아 대공국의 수도로서 세르비아 국가를 지칭하는 용어로도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걸쳐 있다.
  • 세르비아 제국 - 시메온 제국
    시메온 제국은 1355년 스테판 우로시 4세 사후 시메온 우로시가 세르비아 제위에 대항하여 에페이로스와 테살리아를 중심으로 세운 제국이며, 그리스 민족이 주로 거주하여 그리스 국가적 성격을 가졌다.
세르브인의 황제
기본 정보
황제 두샨의 디벨리온
디벨리온(황제의 개인 깃발)
"슬라브 서사시" (1926)에 묘사된 스테판 두샨 황제의 대관식
통치
칭호황제
통치 국가세르비아 제국
존칭폐하
임명 방식세습
시작1346년 4월 16일
종료1371년 12월 2일/4일
초대 황제스테판 두샨
마지막 황제스테판 우로시 5세

2. 제국의 성립과 칭호

1341년-1347년 비잔티움 제국 내전에서 세르비아 왕 스테판 두샨은 양측을 번갈아 지원하며 알바니아와 마케도니아 대부분을 정복, 남쪽으로 영토를 확장했다.[4] 1345년 11월 또는 12월, 세레스를 점령한 후 스테판 두샨은 스스로 황제(바실레우스|basileusgrc)를 선언했다.[4]

1346년 4월 16일, 스코페에서 세르비아 총대주교, 불가리아 총대주교, 오흐리드 대주교가 참석한 가운데 황제 즉위식을 거행했다.[4] 그의 제국 칭호는 불가리아 등 주변국에는 인정받았으나, 비잔티움 제국은 인정하지 않았다.[4] 아토스 산에서는 그를 "세르비아인의 황제"로 칭했다.[4] 세르비아 헌장에서는 "세르비아인과 그리스인의 황제"(차르 스르바 이 그르카|цар Срба и Гркаsr)라는 칭호를 사용했다.[4]

그리스어 칭호는 "세르비아와 로마니아의 바실레우스 및 아우토크라토르"(바실레우스 카이 아우토크라토르 세르비아스 카이 로마니아스|βασιλεὺς καὶ αὐτοκράτωρ Σερβίας καὶ Ῥωμανίαςgrc)였다.[4] 여기서 '로마니아'는 '로마인의 땅', 즉 비잔티움 제국을 의미한다.[4]

2. 1. 스테판 두샨의 칭호

스테판 두샨은 1345년 말 스스로를 황제(바실레우스grc)로 선언하고,[4] 1346년 4월 16일 스코페에서 세르비아 총대주교, 불가리아 총대주교, 오흐리드 대주교의 축복을 받으며 황제로 즉위했다.[4] 그의 칭호는 불가리아를 비롯한 주변국들에게는 인정받았으나, 비잔틴 제국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4]

스테판 두샨의 칭호는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칭호원문비고
세르비아인과 그리스인의 황제여러 차례 등장[4]
세르비아인, 그리스인 및 서부 지역의 황제1349년[4]
세르비아인, 그리스인 및 불가리아인의 황제[5]
세르비아인, 그리스인, 불가리아인 및 알바니아인의 황제[6]
세르비아인의 황제아토스 산 공동체에서 사용[4]
세르비아와 로마니아의 황제이자 전제군주βασιλεὺς καὶ αὐτοκράτωρ Σερβίας καὶ Ῥωμανίαςgrc이베론 수도원 금인칙서[7]
모든 세르비아와 그리스 땅, 해안 지역, 아르바니아 및 서부 지역의 황제
그리스의 황제이자 모든 세르비아 땅과 해안 지역의 왕1347년에서 1356년 사이[4]
세르비아와 해안 지역의 황제1347년에서 1356년 사이[4]
라슈카로마니아의 황제, 아르타의 데스포트 및 발라키아의 백작imperator Raxie et Romanie, dispotus Lartae et Blachie comesla1348년, 에피루스와 테살리아 정복 이후[4]



스테판 두샨의 아들 스테판 우로시 5세 역시 "세르비아인과 그리스인의 황제" () 칭호를 사용했다.[4]

2. 2. 스테판 우로시 5세의 칭호

스테판 우로시 5세는 "세르비아인과 그리스인의 황제"(царь Срьблемь и Гркωмьcu[1])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이 칭호는 1357년[1], 1358년[1], 1360년[1], 1362년[1], 1365년[1] 등 여러 차례 문서에서 확인된다.

3. 군주

스테판 두샨은 1346년 세르비아 총대주교, 불가리아 총대주교, 오흐리드 대주교가 참석한 가운데 황제로 즉위하여 세르비아 제국을 세웠다. 두샨 사후 아들 스테판 우로시 V세가 황제위를 계승했으나, 1371년 우로시 5세가 후사 없이 사망하면서 제국은 분열되고 황제 칭호는 유명무실해졌다. 두샨의 삼촌 시메온 우로시와 그의 아들 요반 우로시는 테살리아를 중심으로 황제를 칭하며 대립했다. 1527년에는 요반 네나드가 스스로 황제를 칭하기도 했다.

군주재위 기간비고

스테판 두샨
1346년 4월 16일 – 1355년 12월 20일

스테판 우로시 V세
1355년 12월 20일 – 1371년 12월 2/4일

시메온 우로시
1359년 – 1370년에피루스, 이후에는 테살리아의 대립 황제.

요반 우로시
1370년 – 1373년테살리아의 대립 황제.


3. 1. 스테판 두샨 (1346년-1355년)

1341년-1347년 비잔틴 내전을 이용하여 세르비아 왕 스테판 두샨은 남쪽으로 영토를 확장했다. 1345년까지 알바니아와 마케도니아 대부분을 정복하여 발칸반도에서 세르비아를 사실상 지배적인 국가로 만들었다.[4] 이러한 세력 확장은 두샨의 제국주의적 야망에 불을 지폈다. 1343년 초, 세르비아 통치자는 자신의 칭호를 "모든 세르비아와 해안 지역의 차르(Tsar)이자, 그리스[비잔틴] 지역의 '체스트니크'(čestnik)"로 격상시켰다.

1345년 11월 또는 12월, 세레스를 정복한 후, 스테판 두샨은 자신을 황제라고 선언했다. 1346년 4월 16일, 스코페에서 세르비아 총대주교, 불가리아 총대주교, 오흐리드 대주교가 참석한 가운데 황제로 즉위했다. 그의 제국 칭호는 불가리아 제2제국 등 여러 국가에서 인정받았지만, 비잔틴 제국에서는 인정받지 않았다. 아토스 산은 그를 황제로 칭했지만, "세르비아인과 그리스인의 황제"가 아닌 "세르비아인의 황제"로 칭했다. 세르비아 헌장에서는 "세르비아인과 그리스인의 황제"( |link=no}} / ).[4]로 칭하였다.

그리스어로, 칭호는 "세르비아와 로마니아의 바실레우스 및 아우토크라토르"(βασιλεὺς καὶ αὐτοκράτωρ Σερβίας καὶ Ῥωμανίαςgrc)였다. "로마인"의 일반적인 비잔틴 공식이 아닌 "로마니아" (즉, 비잔틴 제국인 '로마인의 땅')을 사용한 것은 의도적인 선택이었을 것이다. 두샨은 콘스탄티누스 대제 시대부터 모든 비잔틴 황제에게 직접적으로 계승한다고 주장했지만, 콘스탄티노폴리스와 전 세계 총대주교를 소유하지 못했기 때문에 비잔틴 통치자에게 완전한 정당성을 부여하지 못했다.

황제로 선포하고 즉위하기 전, 두샨은 간략한 라틴어 칭호 Rex Rasciaela( "라슈카의 왕")을 계속 사용했고, I[m]p[erator] Roma[niae]la( "로마 땅의 황제")와 I[m]p[erator] Ro[ma]io[ru]mla( "로마인의 황제")라는 칭호를 추가했다. 그의 즉위 이후, 왕의 칭호는 폐지되었다.

스테판 두샨이 1355년에 사망하자 그의 아들 스테판 우로시 V세가 그의 뒤를 이었다.

군주재위 기간비고

스테판 두샨
1346년 4월 16일 – 1355년 12월 20일


3. 2. 스테판 우로시 5세 (1355년-1371년)

스테판 두샨이 1355년에 사망하자 그의 아들 스테판 우로시 5세가 뒤를 이었다. 우로시 5세의 삼촌인 시메온 우로시는 테살리아에서 황제 자리를 요구했으며, 그의 아들 요반 우로시가 이를 이어받았다.[1] 1371년, 스테판 우로시 5세가 후계자 없이 사망하면서 네마니치 왕조의 적통이 끊기자 황제 칭호는 무의미해졌다.[1] 세르비아 제국의 멸망으로 제국은 여러 칭호를 가진 유력자들이 통치하는 여러 지역으로 분열되었으며, 황제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다.[1]

군주재위 기간비고

스테판 우로시 5세
1355년 12월 20일–1371년 12월 2/4일

시메온 우로시
1359–1370에피루스, 이후에는 테살리아의 대립 황제.

요반 우로시
1370–1373테살리아의 대립 황제.


3. 3. 시메온 우로시 (1359년-1370년)

스테판 우로시 5세의 삼촌인 시메온 우로시는 테살리아에서 황제 자리를 요구하며 대립했고, 그의 아들 요반 우로시가 이를 이어받았다.[1]

군주재위 기간비고
시메온 우로시1359년–1370년에피루스, 이후에는 테살리아의 대립 황제.


3. 4. 요반 우로시 (1370년-1373년)

시메온 우로시의 아들로, 테살리아에서 황제를 칭하며 대립했다.[1]

군주재위 기간비고
1370년–1373년테살리아의 대립 황제.


4. 제국의 멸망과 유산

1371년, 스테판 우로시 5세가 후계자 없이 사망하면서 네마니치 왕조의 직계가 단절되었고, 황제 칭호는 유명무실해졌다.[1] 세르비아 제국은 여러 지방으로 분열되었고, 각 지역의 유력자들이 독자적인 칭호를 사용하며 할거했다.[1]

참조

[1] harvnb
[2] harvnb
[3] harvnb
[4] 서적 Vizantijski izvori za istoriju naroda Jugoslavije https://books.google[...] Naučna knjiga
[5] 서적 Car, Book 3 of Car Dušan: istorijski roman iz XIV oga veka u tri knjige, Car Dušan: istorijski roman iz XIV oga veka u tri knjige K. Stilos
[6] 서적 Car, Book 3 of Car Dušan: istorijski roman iz XIV oga veka u tri knjige, Car Dušan: istorijski roman iz XIV oga veka u tri knjige K. Stilos
[7] 서적 Honos alit artes. Studi per il settantesimo compleanno di Mario Ascheri. III. Il cammino delle idee dal medioevo all'antico regime: Diritto e cultura nell'esperienza europea https://books.google[...] Firenze University Press
[8] harvnb
[9] harvnb
[10] harvn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