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은 14세기 세르비아의 통치자로, 어린 시절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보낸 후 아버지의 폐위로 왕위에 올랐다. 그는 군사적 능력을 발휘하여 영토를 확장하고, 1346년에는 '세르비아인과 그리스인의 황제'를 자칭하며 제국을 건설했다. 두샨은 '두샨 법전'을 공포하여 법적 체계를 정비하고 세르비아 정교회의 독립을 이끌었으며, 교회와 수도원 건립에도 힘썼다. 그는 헝가리와의 관계 개선을 시도했으나, 십자군 원정을 준비하던 중 사망했고, 그의 사후 제국은 쇠퇴했다. 두샨은 세르비아의 민족 영웅으로 추앙받으며, 그의 업적은 세르비아 역사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밀레츠 왕조 - 이반 2세 (불가리아)
    이반 2세는 스밀레츠의 아들로 1298년 불가리아 황제가 되었으나, 몽골 침략과 세르비아 경쟁으로 불안정한 통치 기간을 겪으며 수도를 빼앗기고 비잔티움 제국에서 여생을 보내다 사망했다.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레스노보 수도원의 프레스코, 1350년
레스노보 수도원의 프레스코, 1350년
칭호모든 세르비아인과 해안 지역의 왕
세르비아와 그리스인의 황제
이름스테판 두샨
로마자 표기Stefan Dušan
별칭스테판 두샨 실니 (강력한 스테판 두샨)
통치
왕 재위 기간1331년 9월 8일 – 1346년 4월 16일
황제 재위 기간1346년 4월 16일 – 1355년 12월 20일
선임 왕스테판 우로시 3세
후임 왕스테판 우로시 5세
선임 황제(신설)
후임 황제스테판 우로시 5세
대관식1346년 4월 16일, 스코페
출생과 사망
출생1308년경
사망1355년 12월 20일
사망 장소프리 즈렌, 세르비아 제국
매장지대천사 수도원; 1927년 이후: 성 마르코 교회
가족 관계
배우자헬레나 불가르스카
자녀스테판 우로시 5세
테오도라 우로시
이리나 우로시 (논쟁 중)
가문네마니치 왕조
아버지스테판 우로시 3세
어머니테오도라 스밀레츠
종교
종교세르비아 정교회

2. 어린 시절과 초기의 통치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은 아버지 스테판 우로시 3세 데찬스키가 스테판 우로시 2세 밀루틴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가 패배하면서, 가족과 함께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망명하여 어린 시절을 보냈다.[8] 그는 그곳에서 비잔티움의 문화와 관습, 그리스어를 배웠다. 1321년 밀루틴이 죽기 직전, 데찬스키는 밀루틴과 화해하고 세르비아로 돌아와 왕이 되었고, 두샨은 왕세자가 되어 아드리아 해안가를 통치했다.[8]

두샨은 젊은 시절부터 뛰어난 군사적 재능을 보였다. 1329년 훔 전쟁에서 보스니아 군대를 격파했고, 1330년 벨부즈드 전투에서는 불가리아 제2제국을 격파하고 차르 미하일 시슈만을 살해했다.[8]

이탈리아 바리의 산 니콜라 성당에 있는 성 니콜라의 아이콘에 있는 스테판 데찬스키와 그의 아들 스테판 두샨(왼쪽 하단)


데찬스키가 벨부즈드 전투의 승리 이후에도 비잔티움 제국을 공격하지 않고 남쪽으로 영토를 확장하려 하지 않자, 많은 귀족들이 이에 반감을 가졌다.[8] 1331년 두샨은 귀족들의 압력으로 아버지와 대립하게 되었다. 두샨은 네로디믈례에서 아버지의 성을 포위했고, 데찬스키는 도망쳤으나 결국 붙잡혀 감옥에 갇혔다. 두샨은 1331년 9월, ''모든 세르비아와 해양 영토의 왕''으로 즉위했다.[8]

스테판 우로시 3세와 스테판 두샨의 프레스코화, 비스키 데차니 수도원, 14세기 (유네스코)

3. 정복과 업적

1330년 벨버즈드 전투에서 불가리아 대군을 격파하고 1331년 아버지 스테판 우로시 3세를 폐위하고 왕위에 오른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은 동로마 제국의 내분을 틈타 알바니아와 마케도니아 지방을 정복했다. 1346년에는 '세르비아인과 그리스인의 황제'를 자칭하며 세르비아 왕국의 최대 영토를 이룩했다.

1349년 두샨 법전을 반포하여 세르비아 역사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이 법전은 세르비아의 관습법과 성 사바의 교회법을 보완하고, 비잔티움 제국의 법률을 참고하여 만들어졌다. 법전은 세속과 교회 문제를 모두 다루며, 세르비아의 법적 통일성을 강화했다.

1346년 두샨은 세르비아 정교회총대주교좌로 격상시키고,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으로부터 독립시켰다. 이는 세르비아의 종교적 자율성을 강화하고, 두샨의 권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두샨의 정복과 업적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연도사건내용
1330년벨버즈드 전투 승리불가리아 대군 격파
1331년왕위 등극아버지 스테판 우로시 3세 폐위
1333년라구사 공화국과의 협상스톤과 그 주변 지역을 판매, 스톤의 조공 획득
1334년비잔티움 제국과의 평화오흐리드, 프릴레프, 스트루미차 등 영토 확장 인정
1341년비잔티움 제국 내전 발발요안니스 6세 칸타쿠지노스 지원, 이후 적대 관계
1342년본격적인 공세 시작발칸 반도 서부 비잔티움 영토 대부분 정복
1343년칭호 변경"세르비아, 알바니아 및 해안의 왕"에 "로마인(그리스인)" 추가
1345년차르 칭호 사용"세르비아인과 로마인의 차르" 선포
1346년세르비아 정교회 독립페치 세르비아 총대주교좌 설립,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에서 독립
1348년테살리아와 에피루스 정복제국 영토 확장
1349년두샨 법전 반포세르비아 법률 체계 정비
1350년보스니아 공격훔 영토 회복 시도
1355년사망테살로니키에서 급사



파야 요바노비치의 "두샨 황제의 결혼"


스테판 두샨 치하의 세르비아 영토 확장


알폰스 무하의 ''슬라브 서사시'' 중 "차르 스테판 두샨의 스코페 대관식" (1926년)


두샨이 대관식에서 황제의 칭호를 채택한 스코페 요새


황제 스테판 두샨의 동전


차르 두샨의 죽음 당시의 세르비아 제국과 주변국, 1355


코르예니치-네오리치 문장집에 실린 스테판 두샨의 것으로 추정되는 문장


황제 두샨의 디벨리온


레소보 수도원 프레스코화에 묘사된 세르비아 군복


스테판 두샨 치하 세르비아 국가의 확장 지도

3. 1. 비잔티움 제국과의 전쟁

1341년 안드로니코스 3세 팔레올로고스가 사망하자 비잔티움 제국에는 내전이 일어났다.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은 비잔티움 제국의 장군 요안니스 칸타쿠지노스를 지원했으나, 곧 그와 적대 관계가 되었다. 결국 두샨은 알바니아와 마케도니아 지방을 정복하기 시작했고, 1346년 정식으로 대관식을 거행한 뒤 '세르비아인과 그리스인의 황제'라고 자칭하였다.[12] 그러나 요안니스 6세가 황제가 된 후, 두샨은 그에게 큰 위협이 되었지만 1348년 테살리아와 에피루스까지 진출하였다. 두샨의 제국 영토는 도나우강, 사바강에서 코린트만까지, 그리고 그리스 중부에서 마케도니아, 아드리아해에서 이오니아해, 에게해까지 이르렀다.

두샨의 시대에 비잔티움 제국이 내란으로 매우 약해진 것은 그에게 큰 도움이 되었다. 그는 광대한 영토를 직접 통치하며 대관식 직전 세르비아 대주교총대주교로 격상시켰고, 비잔티움 제국의 제도를 따랐으며, 내정 개혁을 통해 행정 조직을 통합하고 중앙 집권화를 추진했다.[12]

두샨은 어린 황제 요한 5세 팔레올로고스의 섭정인 사보이의 안나와 요한 5세의 아버지의 장군 요한 칸타쿠제노스 사이의 비잔티움 제국 내전을 이용했다. 두샨과 이반 알렉산더는 내전에서 서로 반대편을 지원했지만, 평화를 유지하며 각자의 이익을 확보했다.

두샨의 본격적인 공세는 1342년에 시작되어, 결국 카발라를 제외한 발칸 반도 서부의 모든 비잔티움 제국 영토를 정복했다. 펠로폰네소스와 테살로니키는 두샨의 소규모 함대로는 포위할 수 없어 제외되었다. 일각에서는 두샨의 궁극적인 목표가 쇠퇴하는 비잔티움 제국을 정복하고, 자신의 통제 하에 통합된 정교회 그리스-세르비아 제국으로 대체하는 것이었다는 추측도 제기되었다.[13][14] 1344년 5월, 두샨의 사령관 프렐류브는 스테파니아 전투에서 3,100명의 튀르크 군대에게 저지당했다.[15] 튀르크 군대는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세르비아의 마케도니아 정복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16][17] 두샨의 침략에 직면한 비잔티움 제국은 오스만 튀르크와 동맹을 맺었고, 이는 오스만 튀르크가 처음으로 유럽에 진출하는 계기가 되었다.[18]

1343년, 두샨은 스스로를 "세르비아, 알바니아 및 해안의 왕"이라 칭하며 자신의 칭호에 "로마인(그리스인)"을 추가했다. 크루예 요새 도시에 발행된 헌장에서는 두샨이 자신을 "불가리아의 왕"이라고 칭하기도 했다.[19] 1345년 두샨은 황제에 해당하는 "차르"라는 칭호를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1345년 11월과 1346년 1월에 작성된 두 개의 아토스 수도원 헌장과 1345년 12월경 세레스(1345년 9월 25일 정복)에서 열린 회의에서 "세르비아인과 로마인의 차르"라고 선포한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세르비아 문서에서 "로마인"은 "그리스인"과 동일하다.)

3. 2. 두샨 법전 반포

1349년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은 두샨 법전을 공포하여 세르비아 역사에 큰 영향을 끼쳤다.[33] 이 법전은 스코페에서 선포되었으며 처음에는 155개 조항을 포함했고, 1353년 또는 1354년 세레스에서 66개 조항이 추가되었다.[33] 법전의 저자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법에 정통한 궁정 구성원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두샨 법전 이전 세르비아는 관습법에 따라 운영되었으며, 성 사바가 교회법을 추가하여 민법 및 가족법의 여러 문제를 다루었다. 두샨은 보다 일반적인 법전을 도입하기로 결정하고, 풍부한 헌장을 발표하고 외국 법률 작품을 세르비아어로 번역했다. 법전의 세 번째 부분은 비잔틴의 영향을 받았지만 세르비아의 오랜 법적 전통을 반영하여 새롭고 독특했다.

두샨은 법전의 목적이 영적이며 백성이 내세에서 구원받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법전은 세속적 및 교회적 주제를 모두 다루었으며, 특히 세르비아가 독립적인 정교회로서 완전한 교회적 자율성을 획득했기 때문에 처음 38개 조항은 교회가 직면한 문제를, 다음 25개 조항은 귀족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었다.[33] 민법은 성 사바의 노모카몬과 로마법 대전에서 이미 다루어졌기 때문에 주로 제외되었다. 법전은 형법도 다루었으며, 법률성을 강조했는데 이는 대부분 비잔틴 법에서 가져온 것이다.

두샨 법전의 원본은 남아있지 않지만, 그의 아들 스테판 우로시 5세 통치 하에서 사실상의 헌법으로 남았고, 1371년 세르비아 제국 멸망 이후에도 모든 계승 영토에서 사용되었다. 세르비아 데스포테이트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었으며,[34] 1459년 오스만 제국에 병합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터키 통치하의 세르비아 공동체와 베네치아 공화국 하의 세르비아 자치 지역에서도 참고 자료로 사용되었다.[34][35]

두샨은 세르비아인들을 제국 내 최고 군사 및 민간 지위에 임명했는데, 이는 충성스러운 신하들을 통해 질서를 유지하고 세르비아 귀족들을 달래기 위한 것이었다. 교회에도 적용되어 세르비아인들이 최고 주교직에 임명되어 그리스인들을 대체했다.

두샨 법전, 현존하는 세르비아 원시 헌법 중 두 번째로 오래된 것


Paja Jovanović의 "두샨 법전 선포"

3. 3. 세르비아 정교회의 독립

1346년 4월 16일(부활절),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은 스코페에서 요아니키예 2세, 오흐리드 대주교 니콜라 1세, 불가리아 총대주교 시메온, 아토스 산의 여러 종교 지도자들이 참석한 회의를 소집했다.[20] 이 회의에서 세르비아 정교회는 페치 세르비아 총대주교 지위로 격상되었다.[20] 초대 세르비아 총대주교가 된 요아니키예 2세는 두샨에게 "바실레우스와 자주통치자 세르비아인과 로마인(그리스어: Bασιλεὺς καὶ αὐτoκράτωρ Σερβίας καὶ Pωμανίαςgrc)" 칭호를 부여했다.

세르비아 총대주교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 관할이던 아토스 산과 그리스 교구 주권을 인수했고, 오흐리드 대주교는 자율성을 유지했다.[26] 주교구는 대교구로 승격되었으며, 스코페 대교구가 대표적이다.[26] 이로 인해 두샨은 1350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에게 파문당했다.[26]

두샨은 교회와 수도원 개축 및 건립에 적극적이었다. 반스카 수도원과 비스키 데차니 수도원을 보살폈고, 프리즈렌 근처 성 대천사 수도원을 건립해 많은 재산을 기증했다.

두샨은 라틴 교회와 통합을 고려하기도 했다.[27] 1354년 교황 인노첸시오 6세에게 가톨릭과 세르비아 정교회 통합을 제안했으나, 1355년 두샨의 사망으로 실현되지 못했다.[27]

4. 죽음과 유산

1355년 두샨이 열병으로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세르비아 제국은 불과 15년 만에 몰락했다. 두샨은 세르비아 민족주의가 폭발했던 19세기에 많은 세르비아인의 우상이 되었는데, 이 두샨의 제국을 되찾는 것이 근대 세르비아 정치의 이상적 목표였다.[25]

스테판 두샨의 석관, 베오그라드의 성 마르코 교회에 보관


두샨은 헝가리 왕국의 공격을 성공적으로 막아내고 북쪽 국경을 안정시켰다. 이후 교황과 서신을 교환하며 교황의 수위권을 인정할 의향을 밝혔는데, 이는 헝가리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외교적 행동으로 보인다.[45] 헝가리의 루이 1세와는 1355년 5월에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 두샨은 콘스탄티노폴을 점령하고 이슬람 세력을 유럽에서 몰아내려는 원대한 계획을 가지고 십자군을 조직하던 중, 1355년 12월 20일에 갑자기 사망했다.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발칸 반도에 큰 권력 공백을 초래했고, 결국 오스만 제국의 침략과 20세기 초까지의 발칸 반도 지배를 야기했다. 그는 자신의 기반인 프리즈렌 인근 성 아치엔젤 수도원에 묻혔다.

그의 제국은 그의 아들 스테판 우로시 5세 대에 이르러 서서히 무너졌다. 여러 봉건 가문들이 우로시 5세를 명목상 황제로 인정했지만, 그들의 권력이 막강해지면서 제국의 통합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없었다. 두샨의 이복 형제인 시메온 우로시는 두샨 사후 스스로 황제를 자칭하며 두샨으로부터 받은 테살리아와 에피루스의 넓은 지역을 통치했다.

오늘날 두샨의 유해는 베오그라드의 성 마르코 교회에 있다.[25] 두샨은 성인으로 시성되지 않은 네마니치 왕조의 유일한 군주이다.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은 중세 시대 세르비아에서 가장 강력한 통치자였으며, 세르비아인들에게는 여전히 민족 영웅으로 남아있다.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3세와 동시대 인물인 두샨은 불가리아인들이 차르 시메온 1세에게, 폴란드인들이 지그문트 1세에게, 체코인들이 신성 로마 황제 카를 4세에게 느끼는 존경과 같은 존경을 받는다.[45] 그의 국가는 비잔틴 제국과 헝가리의 지역 강국과 경쟁했으며, 그의 제국의 가장 큰 약점이 될 광대한 영토를 포함했다. 본래 군인이자 정복자인 두샨은 매우 유능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려운 통치자임이 드러났다. 그러나 그의 제국은 그의 아들 손에서 서서히 무너졌고, 지역 귀족들은 중앙 통치에서 멀어졌다.

세르비아를 예전의 제국으로 재건하려는 목표는 오스만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살던 세르비아인들의 가장 위대한 이상 중 하나였다. 1526년, 요반 네나드는 두샨의 방식을 따라, 헝가리 왕관 아래 세르비아 지방의 단명한 국가를 통치하면서 스스로를 "황제"로 선포했다.

라구사 출신 역사가 마브로 오르빈 (l. ca. 1550–1614)이 쓴 『슬라브의 왕국』은 두샨 황제의 행동과 업적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 책은 당시 남슬라브족의 초기 역사에 대한 주요 자료로 사용되었으며, 대부분의 서양 역사가들은 이 책에서 슬라브족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 초기 세르비아 역사가들은 자료에 따라 글을 썼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살았던 시대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다. 그들은 브레베와 공문서에서 비롯된 전통과 계보 및 서사 문학에서 비롯된 또 다른 전통을 조화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초기 역사가 중 가장 많은 정보는 두샨의 생애에 대해 50페이지를 쓴 요반 라이치 (1726–1801)에게서 나왔다. 라이치의 저작은 당시 세르비아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수십 년 동안 세르비아 역사에 대한 주요 정보원이었다.

19세기에 세르비아가 재건된 후, 특히 두샨 황제 시대와 같은 세르비아 중세 시대와의 연속성이 강조되었다. 그의 제국 재건과 같은 정치적 의제는 세르비아 공국의 정치 프로그램, 특히 일리야 가라사닌의 ''나체르타니예''에서 그 자리를 찾았다.

1330년에는 침공해 온 불가리아의 대군을 소수의 군대로 훌륭하게 격파하여 이름을 떨쳤다. 1349년에는 『두샨 법전』을 반포하여 정치와 군사 모두 제국의 전성기를 구축했다. 그러나 우로시 4세의 황금 시대는 세르비아의 사서와 대세르비아주의자들 사이에서 매우 높이 평가되고 있다. 또한, 체코의 화가 알폰스 무하는 『슬라브 서사시』의 작품으로 "동로마 황제로 즉위하는 스테판 두샨"을 그렸다.

5. 평가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은 중세 세르비아의 가장 강력한 통치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45] 그는 세르비아를 발칸반도의 강대국으로 만들었으며, 두샨 법전을 반포하는 등 내정 개혁에도 힘썼다. 두샨의 치세는 세르비아 역사상 전성기로 여겨지며, 그는 세르비아인들에게 민족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두샨은 비잔티움 제국의 내분을 틈타 알바니아, 마케도니아, 테살리아, 에피루스 등을 정복하여 광대한 영토를 확보했다. 그의 제국은 도나우강에서 코린트만, 아드리아해에서 에게해까지 이르렀다.[45] 이러한 군사적 성공은 당시 비잔티움 제국이 내란으로 허약했던 상황에 힘입은 바가 크다.

두샨은 1346년 ''세르비아인과 그리스인의 황제''를 자칭하고, 세르비아 대주교총대주교로 격상시키는 등 비잔티움 제국의 제도를 모방하여 중앙 집권화를 추진했다. 1349년에는 두샨 법전을 공포하여 세르비아 역사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두샨은 1355년 열병으로 갑작스럽게 사망했고, 그의 사후 세르비아 제국은 급격히 쇠퇴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샨의 시대는 세르비아인들의 기억 속에 강력하게 남아, 19세기 세르비아 민족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근대 세르비아 정치인들은 두샨 제국의 부활을 이상적인 목표로 삼기도 했다.

두샨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공존한다. 그는 유능한 군인이자 정복자였지만, 동시에 광대한 영토를 효과적으로 통치하는 데는 한계를 보였다는 지적도 있다. 그의 사후 제국이 빠르게 분열된 것은 이러한 한계를 보여주는 사례로 여겨진다.

6. 가족 관계

두샨은 스테판 데찬스키 왕과 불가리아 황제 스밀레츠의 딸인 테오도라 스밀레츠 사이에서 태어난 장남이었다.

두샨 황제는 아내 불가리아의 헬레나와의 사이에서 적어도 아들 스테판 우로시 5세를 두었는데, 그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황제가 되어 1355년부터 1371년까지 통치했다. 두샨과 헬레나는 또한 딸 테오도라를 두었다.[46]

일부 역사가들은 그 부부에게 또 다른 딸이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J. 파인은 그녀가 '카이사르' 프렐류브 (테살리아의 총독, 1355–1356년 사망)의 아내이자 토마스 프렐류보비치 (에피루스 통치자, 1367–1384년)의 어머니인 "이리나" 또는 "아이린"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한 가지 이론에 따르면, 그녀는 1360년 첫 번째 남편이 사망한 후 보덴베리아의 총독이자 카스토리아의 영주인 라도슬라프 흘라펜과 결혼했다. 이 가설은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는다.[48]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Positive Peace in Kosovo: A Dream Unfulfilled https://books.google[...]
[7] 웹사이트 Roman Empire, Later
[8] 서적
[9] 서적 The Serbians: the story of a people
[10] 서적 The Balkans: Roumania, Bulgaria, Servia, and Montenegro
[11] 서적 Researches on the Danube and the Adriatic, Vol 1
[12] 웹사이트 Hungarians and Serbs during the centuries http://www.hungarian[...] 2010-10-08
[13] 서적
[14] 서적 The Code of Serbian Emperor Stephan Dushan, Serbian Culture of the 14th Century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간행물 Zbornik radova Vizantološkog instituta Naučno delo
[19] 서적 Serbs & Albanians: Their Symbiosis in the Middle Ages Alerion
[20] 서적 Nationalism and territory: constructing group identity in Southeastern Europe Rowman & Littlefield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문서 Vjerske Prilike Kod Katolika u Hercegovini (Od Turskog Osvajanja Do Konca 17. Stoljeća, Zagreb, 2013. https://repozitorij.[...]
[25] 서적 Serbia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26] 서적 Interaction and Isolation in Late Byzantine Culture: Papers Read at a Colloquium Held at the Swedish Research Institute in Istanbul, 1–5 December 1999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04
[27] 서적 The Wars of the Balkan Peninsula: Their Medieval Origins Scarecrow Press
[28] 서적 Monasticism in Eastern Europe and the Former Soviet Republics Routledge
[29] 서적 The Cambridge Medieval History: The Byzantine Empire V. 2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서적 Serbia: a modern history https://www.hurstpub[...] Hurst & Company 2024
[31] 서적 The Kosova issue--a historic and current problem: symposium held in Tirana on April 15-16, 1993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history
[32] 서적 Albanian Stalinism: Ideo-Political Aspects https://books.google[...] Eastern European Monographs
[33] 웹사이트 http://againandagain[...]
[34] 서적
[35] 간행물 Dušanovo zakonodavstvo u Paštrovićima i Grblju Srpska akademija nauka
[36] 서적 Hungary and the Fall of Eastern Europe 1000–1568 (Men-at-Arms) Osprey Publishing 1988
[37] 서적 East Central Europe in the Middle Ages, 1000–1500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38] 서적 Serbia: a modern history https://www.hurstpub[...] Hurst & Company 2024
[39] 간행물 1995
[40] 간행물 1968
[41] 백과사전 Encyclopædia Britannica, Volume 11
[42] 서적 Eastern Europe and the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Group 1999
[43] 서적 King Vukasin and the Disastrous Battle of Marica https://books.google[...] GRIN Verlag 2009
[44] 서적 Religious Separation and Political Intolerance in Bosnia-Herzegovina https://archive.org/[...] Texas A&M University Press 2003
[45] 문서 Byzantine Civilization
[46] 서적 The structure of the Ottoman dynasty Greenwood Press 1982
[47] 문서 Byzantine sources on the history of the peoples of Yugoslavia Institute of Byzantine Studies 1986
[48] 서적 "Родословне таблице и грбови српских династија и властеле (према таблицама Алексе Ивића)" (друго знатно допуњено и проширено издање) Београд 1991
[49] 웹사이트 Velika otkrića u malim uslovima https://www.vreme.co[...] 2020-09-23
[50] 웹사이트 др Владан Ђорђевић - Трилогија Цар Душан https://www.talijaiz[...]
[51] 웹사이트 Stefan Dušan https://delfi.rs/knj[...]
[52] 문서 현재 알바니아의 지방자치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