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실 데이 루이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실 데이 루이스는 아일랜드 출신의 영국의 시인이자 소설가로, 니콜라스 블레이크라는 필명으로 탐정 소설을 썼다.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W. H. 오든과 교류하며 문학 활동을 시작했으며, 1930년대에는 공산주의 활동을 하기도 했다. 그는 다양한 시집과 소설을 발표했으며, 1968년에는 영국의 계관 시인으로 임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 공산당 당원 - 에릭 홉스봄
에릭 홉스봄은 영국 출신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로, 《혁명의 시대》, 《자본의 시대》, 《제국의 시대》, 《극단의 시대》 등 저술을 통해 근대와 20세기를 분석했으며, 공산주의에 대한 옹호적 시각과 소련의 범죄에 대한 침묵 등의 비판을 받기도 한다. - 영국 공산당 당원 - 틸다 스윈튼
틸다 스윈튼은 1960년 런던에서 태어난 스코틀랜드 배우로, 귀족 가문 출신에 케임브리지 대학교 졸업 후 데렉 저먼 감독의 영화로 데뷔하여 독창적인 연기력으로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을 수상하고 한국 영화에도 출연하며 스코틀랜드 독립을 지지하는 사회적 발언도 활발히 한다. - 아일랜드의 시인 - 제임스 조이스
제임스 조이스는 1882년 아일랜드에서 태어나 유럽 각지에서 작품 활동을 했으며, 《더블린 사람들》, 《율리시스》 등의 작품을 통해 20세기 초 사회상을 묘사하며 모더니즘 문학에 영향을 미쳤다. - 아일랜드의 시인 - 조너선 스위프트
조너선 스위프트는 아일랜드 출신의 작가이자 사제로, 풍자와 사회 비판으로 유명하며 '걸리버 여행기', '드레이피어 서한', '겸손한 제안' 등의 작품을 통해 인간 본성과 사회 부조리를 풍자적으로 비판했고 더블린 세인트 패트릭 대성당의 학장으로도 활동했다. - 옥스퍼드 대학교 워덤 칼리지 동문 - 카미세세 마라
카미세세 마라는 피지의 정치인으로, 초대 총리,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역사학을 전공하고 런던 정경대학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1966년 연합당을 창당하고 수석 장관을 거쳐 피지 독립 후 초대 총리가 되었다. - 옥스퍼드 대학교 워덤 칼리지 동문 - 크리스토퍼 렌
크리스토퍼 렌은 17세기 영국의 저명한 과학자이자 건축가로, 왕립 학회에서 활동하며 다양한 과학 분야를 연구했고 런던 대화재 이후 세인트 폴 대성당을 포함한 많은 건축물을 설계하여 영국 건축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세실 데이 루이스 | |
---|---|
기본 정보 | |
이름 | 세실 데이 루이스 |
출생일 | 1904년 4월 27일 |
출생지 | 라오이스주, 발린터버트, 아일랜드 |
사망일 | 1972년 5월 22일 |
사망지 | 잉글랜드, 그레이터 런던, 몽켄 해들리 |
안장 장소 | 잉글랜드, 도싯, 스틴스포드, 성 미카엘 교회 |
국적 | 영국, 아일랜드 |
직업 | 시인, 소설가 |
학력 | 옥스퍼드 대학교, 워드햄 칼리지 |
배우자 | 콘스턴스 메리 킹(1928년–1951년, 이혼) 질 발콘(1951년) |
자녀 | 4명 (타마신 데이 루이스, 대니얼 데이루이스 포함) |
작위 | |
경력 | |
영국 왕실 시인 | term_start: 1968년 1월 2일 term_end: 1972년 5월 22일 predecessor: 존 메이스필드 successor: 존 베체먼 |
서지 정보 | |
ISBN | 1848547048 |
2. 생애 및 작품 활동
세실 데이 루이스는 1904년 아일랜드 퀸스 카운티(현재는 라이스 카운티) 발린터버트에서 아일랜드 교회 교구 사제였던 아버지 프랭크 데이 루이스와 어머니 캐슬린 블레이크 사이에서 태어났다.[2][3] 그의 가문은 잉글랜드 하트퍼드셔 주 버크햄스테드 출신으로, 1860년대 후반 아일랜드에 정착했다.[4] 아버지 프랭크는 친부와 양부의 성을 합쳐 '데이 루이스'라는 성을 사용했다.[4]
1906년 어머니가 사망한 후, 세실은 런던에서 아버지와 이모의 손에 자랐으며, 여름 방학은 웨스포드 카운티의 친척 집에서 보냈다. 그는 셔본 스쿨과 옥스퍼드 대학교 워덤 칼리지에서 교육받았다.[7] 옥스퍼드에서 그는 W. H. 오든 주변의 그룹에 합류하여 ''옥스퍼드 시 1927'' 편집을 도왔고, 1925년에는 첫 시집 ''너도밤나무 기도''를 출판했다.[7]
1928년, 데이 루이스는 셔본 스쿨 교사의 딸인 콘스탄스 메리 킹과 결혼했다. 그는 스코틀랜드 헬렌즈버그의 라치필드 스쿨(현재는 로몬드 스쿨)을 포함한 세 학교에서 교사로 일했다.[7][8]
데이 루이스는 1972년 5월 22일 68세의 나이로 췌장암으로 사망했다. 그는 토마스 하디를 존경하여 도싯 스틴스퍼드의 성 마이클 교회에 있는 그의 무덤 근처에 묻혔다.[7]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세실 데이 루이스는 1904년 아일랜드 퀸스 카운티(현재는 라이스 카운티) 발린터버트에서 아일랜드 교회 교구 사제였던 아버지 프랭크 데이 루이스와 어머니 캐슬린 블레이크 사이에서 태어났다.[2][3] 그의 가문은 잉글랜드 하트퍼드셔 주 버크햄스테드 출신으로, 1860년대 후반 아일랜드에 정착했다.[4] 아버지 프랭크는 친부와 양부의 성을 합쳐 '데이 루이스'라는 성을 사용했다.[4]1906년 어머니가 사망한 후, 세실은 런던에서 아버지와 이모의 손에 자랐으며, 여름 방학은 웨스포드 카운티의 친척 집에서 보냈다. 그는 셔본 스쿨과 옥스퍼드 대학교 워덤 칼리지에서 교육받았다.[7] 옥스퍼드에서 그는 W. H. 오든 주변의 그룹에 합류하여 ''옥스퍼드 시 1927'' 편집을 도왔고, 1925년에는 첫 시집 ''너도밤나무 기도''를 출판했다.[7]
1928년, 데이 루이스는 셔본 스쿨 교사의 딸인 콘스탄스 메리 킹과 결혼했다. 그는 스코틀랜드 헬렌즈버그의 라치필드 스쿨(현재는 로몬드 스쿨)을 포함한 세 학교에서 교사로 일했다.[7][8]
데이 루이스는 1972년 5월 22일 68세의 나이로 췌장암으로 사망했다. 그는 토마스 하디를 존경하여 도싯 스틴스퍼드의 성 마이클 교회에 있는 그의 무덤 근처에 묻혔다.[7]
2. 2. 문학적 성장과 오든 그룹
세실 데이 루이스는 옥스퍼드 대학교 워덤 칼리지에서 수학하며 W. H. 오든을 중심으로 한 문학 그룹의 일원이 되었다.[7] 1925년 첫 시집 ''너도밤나무 기도(Beechen Vigil)''를 출판하며 문단에 데뷔했다.[7] 옥스퍼드 시 1927(Oxford Poetry 1927)''의 편집을 돕기도 하였다.[7]1928년, 데이 루이스는 콘스탄스 메리 킹과 결혼한 후, 라치필드 스쿨을 포함한 여러 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하며 창작 활동을 이어갔다.[7][8] 1940년대에는 로자몬드 레만과 연애를 하기도 했다.[9]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정보부에서 출판 편집자로 근무했으며, 이 시기 그의 작품은 오든의 영향에서 벗어나 보다 서정적인 스타일로 변화했다.[12] 일부 비평가들은 이 시기의 대표작으로 ''모든 것을 넘어선 말(Word Over All)'' (1943)을 꼽기도 한다.[12]
2. 3. 공산주의 활동과 전향
젊은 시절 대공황의 혼란과 고통 속에서 데이 루이스는 공산주의 사상을 받아들여 1935년부터 1938년까지 영국 공산당 당원이었다. 그의 초기 시는 교훈적 성격과 사회적 주제에 대한 집착으로 특징지어진다.[22] 1937년 그는 ''사슬에 묶인 정신: 사회주의와 문화혁명''(The Mind in Chains: Socialism and the Cultural Revolution)을 편집했다. 서문에서 그는 "문화에 더 이상 쓸모가 없는" 자본주의에 맞서는 인민전선을 지지했다. 그는 제목이 프로메테우스가 사슬에 묶인 것을 가리키며, 셸리의 ''프로메테우스 해방'' 서문을 인용하고, 기고자들은 "인류 전체의 이익을 위해 주어져야 할 계몽의 프로메테우스의 불이 현재 사적 이윤의 용광로를 가동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고 믿는다고 말한다. 기고자는 렉스 워너, 에드워드 업워드, 아서 캘더-마셜, 바바라 닉슨, 앤서니 블런트, 앨런 부시, 찰스 매지, 앨리스터 브라운, J.D. 버널, T.A. 잭슨, 에지얼 릭워드였다.1930년대 후반, 소련에서 요셉 스탈린 치하의 광범위한 숙청, 탄압, 처형으로 특징지어지는 시기를 거친 후, 데이 루이스는 점차 공산주의에 대한 환멸을 느끼게 되었다.[7] 그의 자서전 ''묻힌 날''(The Buried Day, 1960)에서 그는 이전의 공산주의적 견해를 부인한다.[23] 그의 탐정 소설 ''슬픈 다양성''(The Sad Variety, 1964)에는 독단적인 공산주의자들, 소련의 1956년 헝가리 혁명 진압, 그리고 소련 정보기관 요원들의 무자비한 전술에 대한 통렬한 묘사가 담겨 있다.
2. 4. 니콜라스 블레이크로서의 활동
데이 루이스는 1935년 시 수입을 늘리기 위해 '니콜라스 블레이크'라는 필명으로 탐정 소설 《증거의 문제》를 집필했다.[21] 그는 이 작품에서 아마추어 수사관이자 신사 탐정인 나이젤 스트레인지웨이스를 창조했는데, 그는 스코틀랜드 야드 차장의 조카로서 공식적인 범죄 수사에 접근할 수 있었다.[21] 첫 소설에서 스트레인지웨이스는 W. H. 오든을 모델로 했지만, 이후 소설에서는 덜 과장되고 더 진지한 인물로 발전시켰다.[7] 1930년대 중반부터 데이 루이스는 글쓰기만으로 생계를 유지할 수 있었다.[7]블레이크라는 필명으로 총 20편의 범죄 소설을 출판했으며,[21][7] 이 중 《얽힌 거미줄》, 《내 심장에 박힌 나이프》, 《치명적인 조커》, 《개인적인 상처》에는 스트레인지웨이스가 등장하지 않는다. 《살인의 순간》은 데이 루이스가 정보부에서 근무했던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다. 《여행자의 머리》에는 가장 좋은 시절이 지나가고 작가로서의 막힘을 겪는 유명한 시인이 주요 인물로 등장하는데, 독자와 비평가들은 이 인물이 작가 자신이나 동료를 묘사한 것인지, 아니면 완전히 허구의 인물인지에 대해 추측했다.
출판 목록
- 1935년 - 『증거의 문제』 ''A Question Of Proof'' 오구라 타카시 역 하야카와 쇼보 1962
- 1936년 - 『죽음의 껍질』 ''Thou Shell of Death'' 오야마 세이이치로 역 소겐 추리 문고 2001
- 1937년 - 『맥주 공장 살인 사건』 ''There's Trouble Brewing'' (「별책 보석」에 게재)
- 1938년 - 『야수는 죽어야 한다』 ''The Beast Must Die'' 쿠로누마 켄 역 하야카와 쇼보 1954, 나가이 쥰 역 세계 미스터리 전집 8 하야카와 쇼보 1973, 하야카와 미스터리 문고 개정판 2015
- 1939년 - 『단도를 숨기고 미소짓는 자』''The Smiler with the Knife'' 이이 쥰히코 역 론소샤(론소 해외 미스터리) 2013
- 1940년 - 『원더랜드의 악의』 ''Malice in Wonderland'' 시라스 키요미 역 (론소 해외 미스터리) 2011
- 1941년 - 『눈사람의 살인』 ''The Case of Abominable Snowman'' 사이토 카즈에 역 하야카와 쇼보 1961
- 1947년 - 『살인으로 이르는 메모』''Minute For Murder'' 모리 히데토시 역 하라 쇼보 1998
- 1949년 - 『여행자의 머리』''Head Of A Traveller'' 오구라 타카시 역 하야카와 쇼보 1960
- 1953년 - 『저주받은 구멍』 ''The Dreadful Hollow'' 하야카와 세츠오 역 하야카와 쇼보 1955
- 1954년 - 『어둠의 속삭임』 ''The Whisper In The Gloom'' 무라사키 토시로 역 하야카와 쇼보 1960
- 1956년 - 『거미줄』 ''A Tangled Web'' 카나 슈오 역 하야카와 쇼보 1958
- 1957년 - 『장의 끝』 ''End of Chapter'' 오가사와라 토요키 역 하야카와 쇼보 1958, 후에 문고
- 1958년 - 『피묻은 보수』 ''A Penknife'' 오구라 타카시 역 하야카와 쇼보 1960, 후에 문고
- 1959년 - 『메리 위도우의 항해』''The Widow's Cruise'' 나카무라 요조 역 하야카와 쇼보 1960, 후에 문고
- 1961년 - 『죽음의 벌』''The Worm of Death'' 카시마 쇼조 역 하야카와 쇼보 1963
- 1958년 - 『죽음의 조커』 ''The Deadly Joker'' 오구라 타카시 역 하야카와 쇼보 1964
- 1957년 - 『악의 단면』''The Sad Variety'' 오구라 타카시 역 하야카와 쇼보 1965, 후에 문고
- 1966년 - 『죽음의 다음날 아침』''The Morning After Death'' 쿠마키 신타로 역 (론소 해외 미스터리) 2014
- 1968년 - 『감춰진 상처』 ''The Private Wound'' 오구라 타카시 역 하야카와 쇼보 1971
- 1935년 - 「암살자 클럽」(The Assasins' Club)
- 1938년 - 「포도에서 주운 오렌지」(Mr. Prendergast and the Orange)
- 1944년 - 「행운의 일격」(Long Shot)
- 1949년 - 「백색의 연구」(A Study in White)
2. 5. 후기 생애와 계관 시인
세실 데이 루이스는 1968년 존 메이즈필드(John Masefield)의 뒤를 이어 영국 계관 시인(Poet Laureate)으로 임명되었다.[14] 그의 임명은 옥스퍼드 대학교(University of Oxford)의 머튼 영문학 교수(Merton Professor of English)였던 데임 헬렌 가드너(Dame Helen Gardner)와 시협회(Poetry Society) 회장인 제프리 핸들리-테일러(Geoffrey Handley-Taylor)와의 상의 후 이루어졌다. 가드너는 데이 루이스가 "평범한 시를 썼지만 특별히 뛰어난 것은 없었다"고 평했고, 핸들리-테일러는 그를 "훌륭한 행정적 시인"이자 "안전한 선택"이라고 말했다.[15]데이 루이스는 영국 예술위원회(Arts Council of Great Britain) 문학 패널 위원장, 영국 왕립 문학회(Royal Society of Literature) 부회장, 미국 예술 문학 아카데미(American Academy of Arts and Letters) 명예 회원, 아일랜드 문학 아카데미(Irish Academy of Letters) 회원, 그리고 런던 그레샴 칼리지(Gresham College)의 그레샴 수사학 교수(Gresham Professor of Rhetoric)를 역임했다.
1972년 5월 22일, 데이 루이스는 68세의 나이로 췌장암(pancreatic cancer)으로 사망했다. 그는 평소 토마스 하디(Thomas Hardy)를 매우 존경하여, 도싯(Dorset) 스틴스퍼드(Stinsford)의 성 마이클 교회(St Michael's Church)에 있는 그의 무덤 근처에 묻히기를 원했다.[7] 그는 허트퍼드셔에 있는 킹즐리 에이미스(Kingsley Amis)와 엘리자베스 제인 하워드(Elizabeth Jane Howard)의 집인 레몬스(Lemmons)에서 가족과 함께 머물던 중 사망했다.
데이 루이스는 네 명의 자녀를 두었다.[16] 콘스탄스 메리 킹과의 사이에 낳은 첫 두 자녀는 TV 비평가이자 작가였던 션 데이 루이스(Sean Day-Lewis)와 엔지니어가 된 니콜라스 데이 루이스(Nicholas Day-Lewis)였다. 질 발콘(Jill Balcon)과의 사이에는 텔레비전 요리사이자 음식 평론가인 타마신 데이 루이스(Tamasin Day-Lewis)와 수상 경력에 빛나는 배우 다니엘 데이 루이스(Daniel Day-Lewis)가 있었다.[17] 션 데이 루이스는 그의 아버지에 대한 전기를 쓴 ''C. 데이 루이스: 영국 문학의 삶(C. Day-Lewis: An English Literary Life)''(1980)을 출판했다.[18]
다니엘 데이 루이스는 그의 아버지의 시 자료를 보들리안 도서관(Bodleian Library)에 기증했다.[19][20]
3. 사생활
4. 주요 작품
'''시집'''
- ''전환기의 시(Transitional Poem)'' (1929)
- ''깃털에서 철로(From Feathers to Iron)'' (1931)
- ''1929-1933년 시집(Collected Poems 1929–1933)'' (1935)
- ''춤출 시간 그리고 다른 시들(A Time to Dance and Other Poems)'' (1935)
- ''죽음의 서곡(Overtures to Death)'' (1938)
- ''모든 것을 넘어서는 말(Word Over All)'' (1943)
- ''시간은 짧다(Short Is the Time)'' (1945)
- ''선집(Selected Poems)'' (1951)
- ''시집(Collected Poems)'' (1954)
- ''페가수스 그리고 다른 시들(Pegasus and Other Poems)'' (1957)
- ''문 그리고 다른 시들(The Gate, and Other Poems)'' (1962)
- ''속삭이는 뿌리 그리고 다른 시들(The Whispering Roots and Other Poems)'' (1970)[22]
- ''세실 데이 루이스(C. Day-Lewis)의 시 전집(The Complete Poems of C. Day-Lewis)'' (1992)[12]
- 편집자 (L. A. G. 스트롱(L. A. G. Strong)과 함께): ''1920-1940년 현대시 신선집(A New Anthology of Modern Verse 1920–1940)'' (1941)
- 편집자 (존 레만(John Lehmann)과 함께): ''1915-1955년 채토 현대시집(The Chatto Book of Modern Poetry 1915–1955)'' (1956)
- ''시에 대한 희망'' (1934)[22]
- ''당신을 위한 시'' (1944)
- ''시적 이미지'' (1947)
- 베르길리우스의 《농경시》(1940)[24]
- 폴 발레리의 《바다의 묘지》(1946)
-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1952)
- 베르길리우스의 《전원시》(1963)[12][22]
- 1925년 Beechen Vigil
- 『詩をよむ若き人々のために』일본어 심세기관(深瀬基寛) 역, 筑摩書房 1955, 筑摩叢書 1978, ちくま文庫 1994
- 1960년 The Buried Day
- 『自伝 埋もれた時代 若き詩人の自画像』일본어 토야 철(土屋哲) 역, 남운당(南雲堂) 1962 신판 1972
'''소설 (니콜라스 블레이크 명의)'''
세실 데이 루이스는 니콜라스 블레이크라는 필명으로 여러 편의 소설을 발표했다. 1935년 발표한 첫 소설은 증거의 문제이다. 1936년에는 죽음의 껍질을 발표했는데, 미국에서는 '''죽음의 껍질(Shell of Death)'''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1938년에 발표한 짐승은 죽어야 한다는 로만 비뇰리 바레토 감독의 1952년 아르헨티나 영화와 클로드 샤브롤 감독의 1969년 프랑스 영화, 그리고 2021년 영국 TV 드라마 짐승은 죽어야 한다로 각색되었다.
1939년작 사건이 벌어지고 있다와 '칼을 든 미소 짓는 자'는 뉴스 크로니클에 연재되었다. 1940년에는 '''원더랜드의 악의'''를 발표했는데, 이 작품은 '''악의를 품은 살인''' 또는 '''여름 캠프의 미스터리'''라는 제목으로도 출판되었다. 1941년에는 '''가공할 눈사람의 사건'''(일명 '''눈사람 속의 시체''')을 발표했다. 그 외에도 살인을 위한 1분(1947), 여행자의 머리(1949), 무시무시한 골짜기(1953), 어둠 속의 속삭임(1954, '''잡고 죽이기'''로도 출판), 장의 끝(1957), 과부의 순항(1959), 죽음의 벌레(1961), 슬픈 다양성(1964), 죽음 후의 아침(1966) 등을 발표했다.
그의 작품 중 일부는 하야카와 포켓 미스터리에서 간행되었으며, 일부는 하야카와 미스터리 문고에서 재간행되었다. 특히, 쿠로누마 켄이 번역한 『야수는 죽어야 한다』는 1954년 하야카와 쇼보에서 출판되었고, 나가이 쥰 역으로 세계 미스터리 전집 8권에 포함되어 1973년 하야카와 쇼보에서 출판되었으며, 2015년에는 하야카와 미스터리 문고 개정판으로 출판되었다.
'''소설 (세실 데이 루이스 명의)'''
제목 | 출판 연도 |
---|---|
친절한 나무 (The Friendly Tree) | 1936년 |
시작점 (Starting Point) | 1937년 |
불운의 아이 (Child of Misfortune) | 1939년 |
'''아동 소설'''
세실 데이 루이스는 아동 소설도 집필했는데, 대표작으로는 1933년에 발표한 딕 윌로비(Dick Willoughby)와 1948년에 발표한 《오터베리 사건》(The Otterbury Incident)이 있다. 《오터베리 사건》은 아동 대상 모험 미스터리 소설이다. 1936년에는 The Friendly Tree를 발표했고, 일본에서는 쿠리하라 유키오가 《구릉 위의 떡갈나무》로 번역하여 쇼분샤에서 출판하였다. 1948년에 발표한 The Otterbury Incident는 세타 사다지가 《오타바리의 소년 탐정들》로 번역하여 이와나미 쇼텐에서 출판되었다. 와키 아키코 역으로 이와나미 소년 문고에서 2008년에 출판되기도 했다.
4. 1. 시집
- ''전환기의 시(Transitional Poem)'' (1929)
- ''깃털에서 철로(From Feathers to Iron)'' (1931)
- ''1929-1933년 시집(Collected Poems 1929–1933)'' (1935)
- ''춤출 시간 그리고 다른 시들(A Time to Dance and Other Poems)'' (1935)
- ''죽음의 서곡(Overtures to Death)'' (1938)
- ''모든 것을 넘어서는 말(Word Over All)'' (1943)
- ''시간은 짧다(Short Is the Time)'' (1945)
- ''선집(Selected Poems)'' (1951)
- ''시집(Collected Poems)'' (1954)
- ''페가수스 그리고 다른 시들(Pegasus and Other Poems)'' (1957)
- ''문 그리고 다른 시들(The Gate, and Other Poems)'' (1962)
- ''속삭이는 뿌리 그리고 다른 시들(The Whispering Roots and Other Poems)'' (1970)[22]
- ''세실 데이 루이스(C. Day-Lewis)의 시 전집(The Complete Poems of C. Day-Lewis)'' (1992)[12]
- 편집자 (L. A. G. 스트롱(L. A. G. Strong)과 함께): ''1920-1940년 현대시 신선집(A New Anthology of Modern Verse 1920–1940)'' (1941)
- 편집자 (존 레만(John Lehmann)과 함께): ''1915-1955년 채토 현대시집(The Chatto Book of Modern Poetry 1915–1955)'' (1956)
- ''시에 대한 희망'' (1934)[22]
- ''당신을 위한 시'' (1944)
- ''시적 이미지'' (1947)
- 베르길리우스의 《농경시》(1940)[24]
- 폴 발레리의 《바다의 묘지》(1946)
-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1952)
- 베르길리우스의 《전원시》(1963)[12][22]
- 1925년 Beechen Vigil
- 『詩をよむ若き人々のために』일본어 심세기관(深瀬基寛) 역, 筑摩書房 1955, 筑摩叢書 1978, ちくま文庫 1994
- 1960년 The Buried Day
- 『自伝 埋もれた時代 若き詩人の自画像』일본어 토야 철(土屋哲) 역, 남운당(南雲堂) 1962 신판 1972
4. 2. 소설 (니콜라스 블레이크 명의)
세실 데이 루이스는 니콜라스 블레이크라는 필명으로 여러 편의 소설을 발표했다. 1935년 발표한 첫 소설은 증거의 문제이다. 1936년에는 죽음의 껍질을 발표했는데, 미국에서는 '''죽음의 껍질(Shell of Death)'''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1938년에 발표한 짐승은 죽어야 한다는 로만 비뇰리 바레토 감독의 1952년 아르헨티나 영화와 클로드 샤브롤 감독의 1969년 프랑스 영화, 그리고 2021년 영국 TV 드라마 짐승은 죽어야 한다로 각색되었다.1939년작 사건이 벌어지고 있다와 '칼을 든 미소 짓는 자'는 뉴스 크로니클에 연재되었다. 1940년에는 '''원더랜드의 악의'''를 발표했는데, 이 작품은 '''악의를 품은 살인''' 또는 '''여름 캠프의 미스터리'''라는 제목으로도 출판되었다. 1941년에는 '''가공할 눈사람의 사건'''(일명 '''눈사람 속의 시체''')을 발표했다. 그 외에도 살인을 위한 1분(1947), 여행자의 머리(1949), 무시무시한 골짜기(1953), 어둠 속의 속삭임(1954, '''잡고 죽이기'''로도 출판), 장의 끝(1957), 과부의 순항(1959), 죽음의 벌레(1961), 슬픈 다양성(1964), 죽음 후의 아침(1966) 등을 발표했다.
그의 작품 중 일부는 하야카와 포켓 미스터리에서 간행되었으며, 일부는 하야카와 미스터리 문고에서 재간행되었다. 특히, 쿠로누마 켄이 번역한 『야수는 죽어야 한다』는 1954년 하야카와 쇼보에서 출판되었고, 나가이 쥰 역으로 세계 미스터리 전집 8권에 포함되어 1973년 하야카와 쇼보에서 출판되었으며, 2015년에는 하야카와 미스터리 문고 개정판으로 출판되었다.
4. 3. 소설 (세실 데이 루이스 명의)
wikitable제목 | 출판 연도 |
---|---|
친절한 나무 (The Friendly Tree) | 1936년 |
시작점 (Starting Point) | 1937년 |
불운의 아이 (Child of Misfortune) | 1939년 |
4. 4. 아동 소설
세실 데이 루이스는 아동 소설도 집필했는데, 대표작으로는 1933년에 발표한 딕 윌로비(Dick Willoughby)와 1948년에 발표한 《오터베리 사건》(The Otterbury Incident)이 있다. 《오터베리 사건》은 아동 대상 모험 미스터리 소설이다. 1936년에는 The Friendly Tree를 발표했고, 일본에서는 쿠리하라 유키오가 《구릉 위의 떡갈나무》로 번역하여 쇼분샤에서 출판하였다. 1948년에 발표한 The Otterbury Incident는 세타 사다지가 《오타바리의 소년 탐정들》로 번역하여 이와나미 쇼텐에서 출판되었다. 와키 아키코 역으로 이와나미 소년 문고에서 2008년에 출판되기도 했다.5. 평가 및 영향
레이먼드 찬들러는 1950년 12월 7일 제임스 샌도(뉴욕 헤럴드 트리뷴의 추리소설 평론가이자 콜로라도 대학교 인문학 및 서지학 조교수)에게 보낸 편지에서 세실 데이 루이스가 니콜라스 블레이크라는 필명으로 쓴 "야수는 죽어야 한다"(The Beast Must Die)에 대해 언급했다.[26] 그는 아마추어 탐정 나이젤 스트레인지웨이스와 그의 아내가 등장하는 것에 대해 실망감을 표하며, 아마추어 탐정은 용납할 수 없다고 적었다.[26]
6. 한국과의 관계
7. 각주
참조
[1]
서적
Operation Sealion: How Britain Crushed the German War Machine's Dreams of Invasion in 1940
John Murray Publishers
[2]
웹사이트
The Garden at Ballintubbert: Stradbally, County Laois
http://www.ballintub[...]
2012-01-23
[3]
서적
The Collected Letters of C.S. Lewis, Volume 3: Narnia, Cambridge, and Joy, 1950 – 1963
https://books.google[...]
HarperOne
[4]
서적
C Day-Lewis: A Life
https://books.google[...]
London and New York: Continuum
[5]
서적
The Buried Day
[6]
간행물
Modern English Poetry
[7]
웹사이트
Cecil Day-Lewis
http://wwp.greenwich[...]
[8]
뉴스
Helensburgh lays claim to title of UK's most talented town
https://www.theguard[...]
2008-08-30
[9]
웹사이트
Non-fiction {{!}} C Day-Lewis [Review of C DAY-LEWIS by PETER STANFORD]
https://michaelardit[...]
2023-12-21
[10]
뉴스
Jill Bacon Obituary
https://www.theguard[...]
2022-12-14
[11]
뉴스
A Star is Born
https://www.theguard[...]
2022-12-14
[12]
웹사이트
BBC
https://web.archive.[...]
[13]
London Gazette
1950-06-02
[14]
London Gazette
1968-01-02
[15]
뉴스
No 10 turned down Larkin, Auden and other poets for laureate job
https://www.bbc.co.u[...]
2023-07-19
[16]
뉴스
Cecil Day-Lewis, poet laureate, dies
https://news.google.[...]
1972-05-22
[17]
뉴스
My brother Daniel Day-Lewis won't talk to me any more
https://www.telegrap[...]
2013-03-01
[18]
뉴스
Seán Day-Lewis, journalist and author who spent three decades with the Telegraph and wrote a biography of his father Cecil – obituary
https://www.telegrap[...]
2022-06-17
[19]
뉴스
Daniel Day-Lewis donates poet father's archive
https://www.bbc.co.u[...]
2012-10-30
[20]
뉴스
Bodleian library celebrates acquisition of Cecil Day-Lewis archive
https://www.telegrap[...]
2012-10-30
[21]
웹사이트
Neglected British Crime Writers {{!}} Nicholas Blake
https://archive.toda[...]
[22]
웹사이트
Day Lewis, C
http://www.infopleas[...]
[23]
웹사이트
Arte Historia Personajes
https://web.archive.[...]
[24]
간행물
The Queen's Book of the Red Cross
[25]
서적
Heritage Press Sandglass Companion Book: 1960-1983
[26]
서적
レイモンド・チャンドラー語る
早川書房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