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련의 국가원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소련의 국가원수는 소비에트 러시아 초기부터 소련 해체 시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존재했다. 초기에는 전러시아 중앙집행위원회 의장이 국가원수 역할을 수행했으며, 1922년 소련 건국 이후에는 소련 중앙집행위원회 의장이 여러 공화국 대표들의 공동 수행 형태로 국가원수직을 맡았다. 1936년 스탈린 헌법 제정 이후에는 소련 최고 소비에트 상임간부회 의장이 실질적인 국가원수 역할을 했으며, 1989년 헌법 개정으로 최고 소비에트 의장으로, 1990년에는 대통령으로 국가원수 직함이 변경되었다.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소련 최고 소비에트 의장과 대통령을 모두 역임했으며, 1991년 소련 붕괴로 대통령직이 폐지되면서 소련의 국가원수 직함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2. 소련 국가원수직의 변천

러시아 혁명 직후, 소비에트 러시아의 초기 국가원수 역할을 수행했다. 레프 카메네프가 1917년 11월 9일부터 1917년 11월 21일까지 재임하였고, 야코프 스베르들로프가 1917년 11월 21일부터 1919년 3월 16일까지 재임하였다. 야코프 스베르들로프 사망 이후에는 미하일 블라디미르스키가 1919년 3월 16일부터 1919년 3월 30일까지 권한대행을 맡았으며, 이후 미하일 칼리닌이 1919년 3월 30일부터 1922년 12월 30일까지 재임하였다.

1922년 소련 건국 이후 소비에트 연방 중앙집행위원회 의장직은 여러 공화국 대표들이 공동으로 수행했다.[32] 이 직책을 맡은 인물로는 러시아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 대표 미하일 칼리닌,[15] 우크라이나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 대표 그리고리 페트로프스키, 벨라루스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 대표 알렉산드르 체르뱌코프 등이 있다.[32]

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에서는 나리만 나리마노프가 1922년 12월 30일부터 1925년 3월 19일 사망할 때까지[32], 가잔파르 무사베코프가 1925년 5월 21일부터 1937년 6월까지 재임했다. 투르크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대표 네디르바이 아이타코프는 1925년 5월 21일부터 1937년 7월 21일까지,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대표 파이줄라 호자예프는 1925년 5월 21일부터 1937년 6월 17일까지 재임했다. 타지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대표로는 누스라툴로 막숨이 1931년 3월 18일부터 1934년 1월 4일까지, 압둘로 라힘바예프가 1934년 1월 4일부터 1937년 9월까지 재임했다.[32]

공화국이름초상임기비고
러시아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미하일 칼리닌1922년 12월 30일 - 1938년 1월 12일
우크라이나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그리고리 페트로프스키1922년 12월 30일 - 1938년 1월 12일
벨라루스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알렉산드르 체르뱌코프1922년 12월 30일 - 1937년 6월 16일재임 중 자살[32]
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나리만 나리마노프1922년 12월 30일 - 1925년 3월 19일재임 중 사망[32]
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가잔파르 무사베코프
100px
1925년 5월 21일 - 1937년 6월
투르크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네디르바이 아이타코프1925년 5월 21일 - 1937년 7월 21일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파이줄라 호자예프1925년 5월 21일 - 1937년 6월 17일
타지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누스라툴로 막숨1931년 3월 18일 - 1934년 1월 4일
타지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압둘로 라힘바예프1934년 1월 4일 - 1937년 9월



1936년 스탈린 헌법 제정 이후, 소련 최고 소비에트가 상설 입법기관이 되면서, 그 상임간부회 의장이 실질적인 국가원수 역할을 수행했다. 이 직책은 서방 세계에서 '대통령'으로 번역되기도 했으나, 실제 권력은 소련 공산당 서기장에게 집중되어 있었다.

번호초상이름취임퇴임재임 기간최고 소비에트 소집
1미하일 칼리닌
미하일 칼리닌/Кали́нин Михаи́л Ива́новичru
1938년 1월 17일1946년 3월 19일8년, 62일제1차 소집
2
80px
니콜라이 슈베르니크
니콜라이 시베르니크/Шве́рник Никола́й Миха́йловичru
1946년 3월 19일1953년 3월 15일6년, 361일제2차–제3차 소집
3
80px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클리멘트 보로실로프/Вороши́лов Климе́нт Ефре́мовичru
1953년 3월 15일1960년 5월 7일7년, 53일제3차–제5차 소집
4
80px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레오니트 브레주네프/Бре́жнев Леони́д Ильи́чru
1960년 5월 7일1964년 7월 15일4년, 69일제5차–제6차 소집
5
80px
아나스타스 미코얀
아나스타스 미코얀/Микоя́н Анаста́с Ива́новичru
1964년 7월 15일1965년 12월 9일1년, 147일제6차 소집
6
80px
니콜라이 포드고르니
니콜라이 포드고르니/Подго́рный Никола́й Ви́кторовичru
1965년 12월 9일1977년 6월 16일11년, 189일제6차–제9차 소집
(4)레오니트 브레즈네프
레오니트 브레주네프/Бре́жнев Леони́д Ильи́чru
1977년 6월 16일1982년 11월 10일5년, 147일제9차–제10차 소집
80px
바실리 쿠즈네초프
바실리 쿠즈네초프/Кузнецо́в Васи́лий Васи́льевичru (대행)
1982년 11월 10일1983년 6월 16일218일제10차 소집
7
80px
유리 안드로포프
유리 안드로포프/Андро́пов Ю́рий Влади́мировичru
1983년 6월 16일1984년 2월 9일238일제10차 소집
바실리 쿠즈네초프
바실리 쿠즈네초프/Кузнецо́в Васи́лий Васи́льевичru (대행)
1984년 2월 9일1984년 4월 11일62일제11차 소집
8
80px
콘스탄틴 체르넨코
콘스탄틴 체르넨코/Черне́нко Константи́н Усти́новичru
1984년 4월 11일1985년 3월 10일333일제11차 소집
바실리 쿠즈네초프
바실리 쿠즈네초프/Кузнецо́в Васи́лий Васи́льевичru (대행)
1985년 3월 10일1985년 7월 27일139일제11차 소집
9
80px
안드레이 그로미코
안드레이 그로미코/Громы́ко Андре́й Андре́евичru
1985년 7월 27일1988년 10월 1일3년, 66일제11차 소집
10
80px
미하일 고르바초프
미하일 고르바초프/Горбачёв Михаи́л Серге́евичru
1988년 10월 1일1989년 5월 25일236일제11차–제12차 소집



레오니트 브레즈네프는 1977년 소련 헌법 개정을 통해 최초로 당 서기장과 국가원수직을 겸임하여 권력을 강화했다. 대한민국은 1970년대 후반 브레즈네프 집권 시기부터 소련과 비공식 접촉을 시작했다.

미하일 고르바초프페레스트로이카 개혁 과정에서 1989년 헌법 개정으로 인민대표대회가 신설되고 최고 소비에트가 상설 의회로 전환되면서, 최고 소비에트 의장이 국가원수직을 맡게 되었다.[32][주 1] 1990년 대통령제 도입으로 국가 원수의 지위는 대통령에게 이관되었다.[24]

미하일 고르바초프소련 공산당 서기장 겸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 의장직을 역임하면서, 1989년 5월 25일부터 1990년 3월 15일까지 소련 최고 소비에트 의장직을 수행했다.[25]

의장소속 정당재임 기간비고
1미하일 고르바초프
미하일 고르바초프}}
100px소련 공산당
(KПSS)
1989년 5월 25일
- 1990년 3월 15일



{{각주/Михаи́л Горбачёвru

1990년 헌법 개정으로 대통령제가 도입되면서, 대통령이 국가원수가 되었다.[25]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25] 1991년 소련 붕괴로 인해 이 직책은 폐지되었다.[26] 대한민국은 고르바초프 집권 시기인 1990년 소련과 정식 수교를 맺었다.

1989년 헌법 개정으로 소비에트 연방 인민대표대회가 최고 국가 권력 기관으로 창설되면서, 최고 소비에트는 인민대표대회의 상설 기관이 되었다.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 의장 직은 폐지되었다. 대신 '''최고회의 의장''' 직이 신설되어, 인민대표대회의 의장도 겸임하는 국가 원수가 되었다.

1990년의 대통령제 도입으로, 국가 원수의 지위는 대통령에게 이관되었다. 신설된 초대 최고회의 의장과 초대 대통령은 모두 미하일 고르바초프 본인이 역임했다. 1990년 헌법 개정으로 초대 대통령에 취임했다. 대통령제 도입을 담은 헌법 개정법에서는 대통령을 국민의 직접 선거로 정했지만, 초대 대통령에 한해 예외적으로 인민대표대회에서 선출하도록 했다. 그러나 이듬해 1991년 12월 소련 해체로 인해 결과적으로 고르바초프가 최초이자 마지막 소련 대통령이 되었다.

2. 1. 전러시아 중앙집행위원회 의장 (1917년-1922년)

러시아 혁명 직후, 소비에트 러시아의 초기 국가원수 역할을 수행했다. 레프 카메네프가 1917년 11월 9일부터 1917년 11월 21일까지 재임하였고, 야코프 스베르들로프가 1917년 11월 21일부터 1919년 3월 16일까지 재임하였다. 야코프 스베르들로프 사망 이후에는 미하일 블라디미르스키가 1919년 3월 16일부터 1919년 3월 30일까지 권한대행을 맡았으며, 이후 미하일 칼리닌이 1919년 3월 30일부터 1922년 12월 30일까지 재임하였다.

2. 2. 소비에트 연방 중앙집행위원회 의장 (1922년-1938년)

1922년 소련 건국 이후 소비에트 연방 중앙집행위원회 의장직은 여러 공화국 대표들이 공동으로 수행했다.[32] 이 직책을 맡은 인물로는 러시아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 대표 미하일 칼리닌,[15] 우크라이나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 대표 그리고리 페트로프스키, 벨라루스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 대표 알렉산드르 체르뱌코프 등이 있다.[32]

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에서는 나리만 나리마노프가 1922년 12월 30일부터 1925년 3월 19일 사망할 때까지[32], 가잔파르 무사베코프가 1925년 5월 21일부터 1937년 6월까지 재임했다. 투르크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대표 네디르바이 아이타코프는 1925년 5월 21일부터 1937년 7월 21일까지,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대표 파이줄라 호자예프는 1925년 5월 21일부터 1937년 6월 17일까지 재임했다. 타지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대표로는 누스라툴로 막숨이 1931년 3월 18일부터 1934년 1월 4일까지, 압둘로 라힘바예프가 1934년 1월 4일부터 1937년 9월까지 재임했다.[32]

공화국이름초상임기비고
러시아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미하일 칼리닌1922년 12월 30일 - 1938년 1월 12일
우크라이나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그리고리 페트로프스키1922년 12월 30일 - 1938년 1월 12일
벨라루스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알렉산드르 체르뱌코프1922년 12월 30일 - 1937년 6월 16일재임 중 자살[32]
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나리만 나리마노프1922년 12월 30일 - 1925년 3월 19일재임 중 사망[32]
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가잔파르 무사베코프1925년 5월 21일 - 1937년 6월
투르크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네디르바이 아이타코프1925년 5월 21일 - 1937년 7월 21일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파이줄라 호자예프1925년 5월 21일 - 1937년 6월 17일
타지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누스라툴로 막숨1931년 3월 18일 - 1934년 1월 4일
타지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압둘로 라힘바예프1934년 1월 4일 - 1937년 9월


2. 3. 소련 최고 소비에트 상임간부회 의장 (1938년-1989년)

1936년 스탈린 헌법 제정 이후, 소련 최고 소비에트가 상설 입법기관이 되면서, 그 상임간부회 의장이 실질적인 국가원수 역할을 수행했다. 이 직책은 서방 세계에서 '대통령'으로 번역되기도 했으나, 실제 권력은 소련 공산당 서기장에게 집중되어 있었다.

번호초상이름취임퇴임재임 기간최고 소비에트 소집
1미하일 칼리닌
미하일 칼리닌/Кали́нин Михаи́л Ива́новичru
1938년 1월 17일1946년 3월 19일8년, 62일제1차 소집
2니콜라이 슈베르니크
니콜라이 시베르니크/Шве́рник Никола́й Миха́йловичru
1946년 3월 19일1953년 3월 15일6년, 361일제2차–제3차 소집
3클리멘트 보로실로프
클리멘트 보로실로프/Вороши́лов Климе́нт Ефре́мовичru
1953년 3월 15일1960년 5월 7일7년, 53일제3차–제5차 소집
4레오니트 브레즈네프
레오니트 브레주네프/Бре́жнев Леони́д Ильи́чru
1960년 5월 7일1964년 7월 15일4년, 69일제5차–제6차 소집
5아나스타스 미코얀
아나스타스 미코얀/Микоя́н Анаста́с Ива́новичru
1964년 7월 15일1965년 12월 9일1년, 147일제6차 소집
6니콜라이 포드고르니
니콜라이 포드고르니/Подго́рный Никола́й Ви́кторовичru
1965년 12월 9일1977년 6월 16일11년, 189일제6차–제9차 소집
(4)레오니트 브레즈네프
레오니트 브레주네프/Бре́жнев Леони́д Ильи́чru
1977년 6월 16일1982년 11월 10일5년, 147일제9차–제10차 소집
바실리 쿠즈네초프
바실리 쿠즈네초프/Кузнецо́в Васи́лий Васи́льевичru (대행)
1982년 11월 10일1983년 6월 16일218일제10차 소집
7유리 안드로포프
유리 안드로포프/Андро́пов Ю́рий Влади́мировичru
1983년 6월 16일1984년 2월 9일238일제10차 소집
바실리 쿠즈네초프
바실리 쿠즈네초프/Кузнецо́в Васи́лий Васи́льевичru (대행)
1984년 2월 9일1984년 4월 11일62일제11차 소집
8콘스탄틴 체르넨코
콘스탄틴 체르넨코/Черне́нко Константи́н Усти́новичru
1984년 4월 11일1985년 3월 10일333일제11차 소집
바실리 쿠즈네초프
바실리 쿠즈네초프/Кузнецо́в Васи́лий Васи́льевичru (대행)
1985년 3월 10일1985년 7월 27일139일제11차 소집
9안드레이 그로미코
안드레이 그로미코/Громы́ко Андре́й Андре́евичru
1985년 7월 27일1988년 10월 1일3년, 66일제11차 소집
10미하일 고르바초프
미하일 고르바초프/Горбачёв Михаи́л Серге́евичru
1988년 10월 1일1989년 5월 25일236일제11차–제12차 소집



레오니트 브레즈네프는 1977년 소련 헌법 개정을 통해 최초로 당 서기장과 국가원수직을 겸임하여 권력을 강화했다. 대한민국은 1970년대 후반 브레즈네프 집권 시기부터 소련과 비공식 접촉을 시작했다.

2. 4. 소련 최고 소비에트 의장 (1989년-1990년)

미하일 고르바초프페레스트로이카 개혁 과정에서 1989년 헌법 개정으로 인민대표대회가 신설되고 최고 소비에트가 상설 의회로 전환되면서, 최고 소비에트 의장이 국가원수직을 맡게 되었다.[32][주 1] 1990년 대통령제 도입으로 국가 원수의 지위는 대통령에게 이관되었다.[24]

미하일 고르바초프소련 공산당 서기장 겸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 의장직을 역임하면서, 1989년 5월 25일부터 1990년 3월 15일까지 소련 최고 소비에트 의장직을 수행했다.[25]

의장소속 정당재임 기간비고
1미하일 고르바초프
미하일 고르바초프}}
100px소련 공산당
(KПSS)
1989년 5월 25일
- 1990년 3월 15일



{{각주/Михаи́л Горбачёвru

2. 5. 소련 대통령 (1990년-1991년)

1990년 헌법 개정으로 대통령제가 도입되면서, 대통령이 국가원수가 되었다.[25]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25] 1991년 소련 붕괴로 인해 이 직책은 폐지되었다.[26] 대한민국은 고르바초프 집권 시기인 1990년 소련과 정식 수교를 맺었다.

1989년 헌법 개정으로 소비에트 연방 인민대표대회가 최고 국가 권력 기관으로 창설되면서, 최고 소비에트는 인민대표대회의 상설 기관이 되었다.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 의장 직은 폐지되었다. 대신 '''최고회의 의장''' 직이 신설되어, 인민대표대회의 의장도 겸임하는 국가 원수가 되었다.

1990년의 대통령제 도입으로, 국가 원수의 지위는 대통령에게 이관되었다. 신설된 초대 최고회의 의장과 초대 대통령은 모두 미하일 고르바초프 본인이 역임했다. 1990년 헌법 개정으로 초대 대통령에 취임했다. 대통령제 도입을 담은 헌법 개정법에서는 대통령을 국민의 직접 선거로 정했지만, 초대 대통령에 한해 예외적으로 인민대표대회에서 선출하도록 했다. 그러나 이듬해 1991년 12월 소련 해체로 인해 결과적으로 고르바초프가 최초이자 마지막 소련 대통령이 되었다.

3. 역대 소련 국가원수

성명
(생몰연도)
증명사진재임기간집회
1
소비에트 회의 중앙집행위원회 의장 (1922년–1938년)
미하일 칼리닌
(1875년–1946년)[33]
|100px]]
1922년 12월 30일 – 1938년 1월 12일제1차–제8차
최고 소비에트 상임간부회 의장 (1938년–1989년)
미하일 칼리닌
(1875년–1946년)[33]
1938년 1월 17일 – 1946년 3월 19일제1차
2니콜라이 슈베르니크
(1888년–1970년)[34]
|100px|alt=A picture taken by the Soviet Government of Nikolai Shvernik in grey]]1946년 3월 19일 – 1953년 3월 6일제2차–제3차
3클리멘트 보로실로프
(1881년–1969년)[35]
|100px|alt=A photo taken in 1937 of Kliment Voroshilov]]1953년 3월 15일 – 1960년 5월 7일제3차–제5차
4레오니트 브레즈네프
(1906년–1982년)[36]
1960년 5월 7일 – 1964년 7월 15일제5차–제6차
5아나스타스 미코얀
(1895년–1978년)[37]
|100px]]1964년 7월 15일 – 1965년 12월 9일제6차
6니콜라이 포드고르니
(1903년–1983년)[38]
|100px|alt=Nikolai Podgorny as depicted during his visit to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in 1963]]
1965년 12월 9일 – 1977년 6월 16일제6차–제9차
7레오니트 브레즈네프
(1906년–1982년)[36]
1977년 6월 16일 – 1982년 11월 10일제9차–제10차
(권한대행)
바실리 쿠즈네초프
(1901년–1990년)[39]
|100px]]
1982년 11월 10일 – 1983년 6월 16일제10차
8유리 안드로포프
(1914년–1984년)[40]
|100px|alt=Yuri Andropov as seen in 1963 in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1983년 6월 16일 – 1984년 2월 9일
(권한대행)
바실리 쿠즈네초프
(1901년–1990년)[39]
|100px]]1984년 2월 9일 – 1984년 4월 11일제11차
8콘스탄틴 체르넨코
(1911년–1985년)[40]
1984년 4월 11일 – 1985년 3월 10일
(권한대행)
바실리 쿠즈네초프
(1901년–1990년)[39]
|100px]]1985년 3월 10일 – 1985년 7월 27일
9안드레이 그로미코
(1909년–1989년)[41]
|100px|alt=Gromyko at the Conference on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1985년 7월 27일 – 1988년 10월 1일
10미하일 고르바초프
(1931년–2022년)[42]
|100px|alt=Mikhail Gorbachev as depicted during his state visit to the United States in 1987]]
1988년 10월 1일 – 1989년 5월 25일제11차–제12차
소련 최고 소비에트 의장 (1989년–1990년)
미하일 고르바초프
(1931년–2022년)[42]
1989년 5월 25일 – 1990년 3월 15일제12차
1소비에트 연방 대통령 (1990년–1991년)
미하일 고르바초프
(1931년–2022년)[42]
1990년 3월 15일 – 1991년 12월 25일제12차


3. 1. 전러시아 중앙집행위원회 의장

(1917–1922)1
80px
레프 카메네프
(1883–1936)1917년 11월 9일 ~ 1917년 11월 21일12일제2차 대회2
80px
야코프 스베르들로프
(1885–1919)1917년 11월 21일 ~ 1919년 3월 16일 †1년 115일제3차–제6차 대회—
80px
미하일 블라디미르스키
(1874–1951)
권한대행1919년 3월 16일 ~ 1919년 3월 30일14일—3미하일 칼리닌
(1875–1946)1919년 3월 30일 ~ 1922년 12월 30일3년 275일제7차–제10차 대회


3. 1. 1. 레프 카메네프



'''레프 카메네프'''(1883년–1936년)는 1917년 11월 9일부터 1917년 11월 21일까지 재임하였다. 볼셰비키 혁명 직후, 러시아 소비에트 공화국의 초대 국가원수를 역임하였다. 온건파로서, 혁명 이후 다른 사회주의 정당들과의 연립정부를 주장했으나, 레닌과의 권력 투쟁에서 패배하였다. 1936년, 스탈린에 의해 숙청되었다. (모스크바 재판)

3. 1. 2. 야코프 스베르들로프



'''야코프 스베르들로프'''

(1885–1919)

1917년 11월 21일부터 1919년 3월 16일까지 재임하였다. 볼셰비키당의 조직 전문가였다. 1919년, 스페인 독감으로 사망하였다.

제3차–제6차 대회까지 재임했다.

3. 1. 3. 미하일 블라디미르스키



'''미하일 블라디미르스키'''

미하일 표도로비치 블라디미르스키/Михаи́л Фёдорович Влади́мирскийru

(1874년–1951년)

''권한대행''

1919년 3월 16일부터 1919년 3월 30일까지 야코프 스베르들로프가 사망한 이후 잠시 전러시아 소비에트 대회 중앙 집행 위원회 의장 권한대행을 맡았다.

3. 1. 4. 미하일 칼리닌



'''미하일 칼리닌'''(1875–1946)은 1919년 3월 30일부터 1922년 12월 30일까지 재임하였다. 소련 건국 이후, 칼리닌은 중앙집행위원회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3. 2. 소비에트 연방 중앙집행위원회 공동 의장

(출생–사망)임기최고 소비에트
소집취임퇴임재임 기간소비에트 연방 중앙집행위원회 공동 의장
(1922–1938)1미하일 칼리닌
(1875–1946)1922년 12월 30일1938년 1월 12일15년 13일제1차–제8차 소집그리고리 페트롭스키
(1878–1958)1922년 12월 30일1938년 1월 12일15년 13일제1차–제8차 소집알렉산드르 체르뱌코프
(1892–1937)1922년 12월 30일1937년 6월 16일14년 168일제1차–제8차 소집가잔파르 무사베코프
(1888–1938)1925년 5월 21일1937년 6월12년 10일제3차–제8차 소집네디르바이 아이타코프
(1894–1938)1925년 5월 21일1937년 7월 21일12년 61일제3차–제8차 소집파이줄라 호자예프
(1896–1938)1925년 5월 21일1937년 6월 17일11년 361일제3차–제8차 소집


3. 2. 1. 미하일 칼리닌 (러시아 대표)

1922년 12월 30일, 미하일 칼리닌은 소련 중앙집행위원회 의장으로 선출되어 소련의 국가원수가 되었다. 칼리닌은 1938년 1월 12일까지 이 직책을 맡았으며, 이후 최고 소비에트 상임간부회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3. 2. 2. 그리고리 페트롭스키 (우크라이나 대표)

1922년 12월 30일부터 1938년 1월 12일까지 재임했다. 1930년대 스탈린의 우크라이나 대기근 (홀로도모르) 당시, 우크라이나인들의 고통을 외면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3. 2. 3. 알렉산드르 체르뱌코프 (벨라루스 대표)

알렉산드르 체르뱌코프는 1922년 12월 30일부터 1937년 6월 16일까지 소련의 국가원수(벨라루스 대표)를 역임하였다. 그는 스탈린대숙청 기간 중, 압박을 견디지 못하고 자살로 생을 마감하였다.

3. 2. 4. 가잔파르 무사베코프 (자캅카스 대표)

가잔파르 무사베코프는 1925년 5월 21일부터 1937년 6월까지 소련 중앙집행위원회 주석직을 역임했다. 그는 이오시프 스탈린에 의해 처형되었다.

3. 2. 5. 네디르바이 아이타코프 (투르크메니스탄 대표)

1925년 5월 21일부터 1937년 7월 21일까지 재임하였다. 네디르바이 아이타코프는 이오시프 스탈린에 의해 처형되었다.

3. 2. 6. 파이줄라 호자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표)

1925년 5월 21일부터 1937년 6월 17일까지 재임하였다. 파이줄라 호자예프는 우즈베키스탄을 대표하여 소련의 국가원수직을 수행하였으나, 스탈린에 의해 처형되었다.

3. 3. 소련 최고 소비에트 상임간부회 의장

(출생–사망)임기최고 소비에트
소집취임퇴임재임 기간소비에트 중앙 집행 위원회 의장
(1922–1938)1미하일 칼리닌
(1875–1946)[15]1922년 12월 30일1938년 1월 12일15년 13일제1차–제8차 소집최고 소비에트 간부회 의장
(1938–1989)1미하일 칼리닌
(1875–1946)[15]1938년 1월 17일1946년 3월 19일8년 62일제1차 소집2|80px]]니콜라이 슈베르니크
(1888–1970)[16]1946년 3월 19일1953년 3월 15일6년 361일제2차–제3차 소집3|80px]]클리멘트 보로실로프
(1881–1969)[17]1953년 3월 15일1960년 5월 7일7년 53일제3차–제5차 소집4|80px]]레오니트 브레즈네프
(1906–1982)[18]1960년 5월 7일1964년 7월 15일4년 69일제5차–제6차 소집5|80px]]아나스타스 미코얀
(1895–1978)[19]1964년 7월 15일1965년 12월 9일1년 147일제6차 소집6|80px]]니콜라이 포드고르니
(1903–1983)[20]1965년 12월 9일1977년 6월 16일11년 189일제6차–제9차 소집(4)|80px]]레오니트 브레즈네프
(1906–1982)[18]1977년 6월 16일1982년 11월 10일5년 147일제9차–제10차 소집—바실리 쿠즈네초프
(1901–1990)
대행[21]1982년 11월 10일1983년 6월 16일218일제10차 소집7|80px]]유리 안드로포프
(1914–1984)[22]1983년 6월 16일1984년 2월 9일238일—바실리 쿠즈네초프
(1901–1990)
대행[21]1984년 2월 9일1984년 4월 11일62일제11차 소집8|80px]]콘스탄틴 체르넨코
(1911–1985)[22]1984년 4월 11일1985년 3월 10일333일—바실리 쿠즈네초프
(1901–1990)
대행[21]1985년 3월 10일1985년 7월 27일139일9|80px]]안드레이 그로미코
(1909–1989)[23]1985년 7월 27일1988년 10월 1일3년 66일10|80px]]미하일 고르바초프
(1931–2022)[25]1988년 10월 1일1989년 5월 25일236일제11차–제12차 소집


3. 3. 1. 미하일 칼리닌

1938년 1월 17일 - 1946년 3월 19일 재임. '전연방의 이장'으로 불릴 정도로, 대중적인 인기를 누렸으나, 실권은 없었다. 이오시프 스탈린대숙청에 적극적으로 가담하지는 않았지만, 숙청을 막기 위한 노력도 거의 하지 않았다.

3. 3. 2. 니콜라이 슈베르니크

니콜라이 슈베르니크는 1946년 3월 19일부터 1953년 3월 15일까지 소련의 국가원수를 역임했다. 이오시프 스탈린이 사망한 이후, 클리멘트 보로실로프가 이 직책을 이어받았다.

3. 3. 3.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1953년 3월 15일부터 1960년 5월 7일까지 재임하였다. 이오시프 스탈린의 최측근 중 한 명이었다. 니키타 흐루쇼프에 의해 실각되었다.

3. 3. 4.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는 1960년 5월 7일부터 1964년 7월 15일까지 소련의 국가원수를 재임했다. 1964년, 니키타 흐루쇼프를 몰아내고 권력을 장악했다. 1977년부터 1982년까지는 소련 공산당 서기장과 국가원수직을 겸임하며 1인 지배 체제를 구축했다.

3. 3. 5. 아나스타스 미코얀

1964년 7월 15일부터 1965년 12월 9일까지 재임하였다. 미코얀레오니트 브레즈네프에 의해 강제로 사임 압력을 받았고, 후임으로 포드고르니가 선출되었다.

3. 3. 6. 니콜라이 포드고르니

1965년 12월 9일 ~ 1977년 6월 16일까지 재임하였다.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와의 권력 투쟁에서 패배하여 실각하였다.

3. 3. 7. 바실리 쿠즈네초프

바실리 쿠즈네초프는 1982년 11월 10일부터 1983년 6월 16일까지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사망 후 권한대행을 맡았다. 이후 1984년 2월 9일부터 1984년 4월 11일까지 유리 안드로포프 사망 후 권한대행, 1985년 3월 10일부터 1985년 7월 27일까지 콘스탄틴 체르넨코 사망 후 권한대행을 역임했다.

3. 3. 8. 유리 안드로포프

1983년 6월 16일 ~ 1984년 2월 9일 재임.

KGB 의장 출신으로, 개혁을 시도했으나, 재임 중 사망.

대한민국에서는 1983년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의 책임자로 인식되고 있다.

3. 3. 9. 콘스탄틴 체르넨코

콘스탄틴 체르넨코는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의 최측근으로, 1984년 4월 11일부터 1985년 3월 10일까지 소련의 국가원수를 역임했다. 그러나 심각한 건강 문제로 인해 재임 기간 내내 제대로 직무를 수행하기 어려웠으며, 결국 재임 중 사망하였다.

3. 3. 10. 안드레이 그로미코

안드레이 그로미코는 1985년 7월 27일부터 1988년 10월 1일까지 소련의 국가원수를 역임하였다. 그는 '미스터 녜트(No)'라는 별명으로 불릴 정도로, 냉전 시기 강경 외교 노선을 주도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미하일 고르바초프에 의해 해임되었다.

3. 4. 소련 최고 소비에트 의장

임기최고 소비에트
소집취임퇴임재임 기간소비에트 중앙 집행 위원회 의장
미하일 칼리닌
1922년 12월 30일1938년 1월 12일15년 13일제1차–제8차 소집최고 소비에트 간부회 의장
미하일 칼리닌
1938년 1월 17일1946년 3월 19일8년 62일제1차 소집2|80px]]니콜라이 슈베르니크
1946년 3월 19일1953년 3월 15일6년 361일제2차–제3차 소집3|80px]]클리멘트 보로실로프
1953년 3월 15일1960년 5월 7일7년 53일제3차–제5차 소집4|80px]]레오니트 브레즈네프
1960년 5월 7일1964년 7월 15일4년 69일제5차–제6차 소집5|80px]]아나스타스 미코얀
1964년 7월 15일1965년 12월 9일1년 147일제6차 소집6|80px]]니콜라이 포드고르니
1965년 12월 9일1977년 6월 16일11년 189일제6차–제9차 소집레오니트 브레즈네프
1977년 6월 16일1982년 11월 10일5년 147일제9차–제10차 소집—style="background:#e6e6aa;"|바실리 쿠즈네초프
1982년 11월 10일1983년 6월 16일218일제10차 소집7|103x103px]]유리 안드로포프
1983년 6월 16일1984년 2월 9일238일—style="background:#e6e6aa;"|바실리 쿠즈네초프
1984년 2월 9일1984년 4월 11일62일제11차 소집8|80px]]콘스탄틴 체르넨코
1984년 4월 11일1985년 3월 10일333일—style="background:#e6e6aa;"|바실리 쿠즈네초프
1985년 3월 10일1985년 7월 27일139일9|80px]]안드레이 그로미코
1985년 7월 27일1988년 10월 1일3년 66일10|80px]]미하일 고르바초프
1988년 10월 1일1989년 5월 25일236일제11차–제12차 소집최고 소비에트 의장
미하일 고르바초프
1989년 5월 25일1990년 3월 15일294일제12차 소집


3. 4. 1. 미하일 고르바초프

1988년 10월 1일부터 1990년 3월 15일까지 재임하였다. 미하일 고르바초프페레스트로이카글라스노스트 정책을 추진하여 소련 사회의 개혁과 개방을 시도하였다.

3. 5. 소련 대통령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1990년 3월 15일부터 1991년 12월 25일까지 소련의 대통령을 역임했다.[25][26] 소련 공산당 서기장이자 최고회의 상임간부회 의장이었던 고르바초프는 소련의 붕괴와 냉전 해체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91년 8월, 보수파 쿠데타로 인해 큰 위기를 겪었으나, 보리스 옐친을 비롯한 시민들의 강력한 저항으로 복귀하였다. 그러나 1991년 12월, 소련 붕괴와 함께 대통령직에서 사임하였다.

고르바초프대한민국과의 관계 개선에 크게 기여하여, 1990년 한소 수교를 이끌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3. 5. 1. 미하일 고르바초프

1990년 3월 15일 ~ 1991년 12월 25일 재임.

미하일 고르바초프소련 공산당 서기장 겸 최고회의 상임간부회 의장을 역임하였으며, 소련의 붕괴와 냉전 해체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1991년 8월, 보수파 쿠데타로 인해 큰 위기를 겪었으나, 보리스 옐친을 비롯한 시민들의 강력한 저항으로 복귀하였다.

1991년 12월, 소련 붕괴와 함께 대통령직에서 사임하였다.

고르바초프대한민국과의 관계 개선에 크게 기여하여, 1990년 한소 수교를 이끌어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4. 소련 부통령 및 국가원수 대행

소련에는 부통령직이 존재했으나, 그 권한은 제한적이었다.[13] 니콜라이 슈베르니크가 1944년부터 1946년까지 초대 부통령을 역임했고, 이 직책은 폐지되었다가 1977년에 다시 부활했다.[13] 바실리 쿠즈네초프는 1977년부터 1986년까지 8년 이상 재임하여 가장 오랜 기간 부통령직을 수행했다.[21] 표트르 데미체프[27]와 아나톨리 루키야노프[28]도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 제1부의장을 역임했다. 1990년에는 부통령직이 신설되어 겐나디 야나예프가 임명되었으나,[29] 그는 1991년 8월 쿠데타 동안 대통령 권한 대행을 맡았다가 쿠데타 실패 후 투옥되었고,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대통령직으로 복귀했다.[30] 1991년 8월 쿠데타 실패 이후 소련 국가 평의회는 대통령의 일시적 부재 시 부통령을 선출할 권한을 부여받았다.[31]

참조

[1] 서적 Ideology, Politics, and Government in the Soviet Union: An Introduction– Google Knih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16-11-26
[2] 서적 Remaking Russia https://books.google[...] M.E. Sharpe
[3] 간행물
[4] 간행물
[5] 간행물
[6] 간행물
[7] 간행물 1977-10-07
[8] 서적 Stalin: A Biograph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Soviet Colossus: History and Aftermath https://books.google[...] M.E. Sharpe
[10] 간행물
[11] 서적 Executive Power and Soviet Politics: The Rise and Decline of the Soviet State https://books.google[...] M.E. Sharpe
[12] 서적 Presidential Power in Russia https://books.google[...] M.E. Sharpe
[13] 문서
[14] 문서
[15] 서적 The Kremlin's Scholar: A Memoir of Soviet Politics under Stalin and Khrushchev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6] 서적 The Kremlin's Scholar: A Memoir of Soviet Politics under Stalin and Khrushchev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7] 서적 The Kremlin's Scholar: A Memoir of Soviet Politics under Stalin and Khrushchev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8] 서적 Daily Life in the Soviet Union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 서적 The Kremlin's Scholar: A Memoir of Soviet Politics under Stalin and Khrushchev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 서적 The Roots of Perestroika: the Soviet Breakdown in Historical Context https://books.google[...] McFarland & Company
[21] 웹사이트 http://www.hrono.inf[...] World History on the Internet 2010-12-07
[22] 서적 The Roots of Perestroika: the Soviet Breakdown in Historical Context https://books.google[...] McFarland & Company
[23] 서적 The Roots of Perestroika: the Soviet Breakdown in Historical Context https://books.google[...] McFarland & Company
[24] 서적 Religion, state, and politics in the Soviet Union and successor state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서적 Daily Life in the Soviet Union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26] 문서
[27] 웹사이트 http://news.peoples.[...] Peoples.ru (Lenta.Ru) 2010-12-08
[28] 뉴스 A History of Russia: Peoples, Legends, Events, Forces since 1800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29] 뉴스 Gennadi I. Yanayev, 73, Soviet Coup Plotter, Dies https://www.nytimes.[...] 2010-12-08
[30] 웹사이트 Soviet Coup Leader Gennady Yanayev Dies https://www.bbc.co.u[...] BBC Online 2010-12-08
[31] 웹사이트 http://www.sssr.su/z[...] Soviet Union 2011-02-13
[32] 웹사이트 Высшие органы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власти СССР http://www.knowbysig[...] Справочник по истории Коммунистической партии и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1898 - 1991 2018-04-20
[33] 서적 The Kremlin's Scholar: A Memoir of Soviet Politics under Stalin and Khrushchev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34] 서적 The Kremlin's Scholar: A Memoir of Soviet Politics under Stalin and Khrushchev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35] 서적 The Kremlin's Scholar: A Memoir of Soviet Politics under Stalin and Khrushchev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36] 서적 Daily Life in the Soviet Union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37] 서적 The Kremlin's Scholar: A Memoir of Soviet Politics under Stalin and Khrushchev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38] 서적 The Roots of Perestroika: the Soviet Breakdown in Historical Context https://books.google[...] McFarland & Company
[39] 웹인용 http://www.hrono.inf[...] World History on the Internet 2010-12-07
[40] 서적 The Roots of Perestroika: the Soviet Breakdown in Historical Context https://books.google[...] McFarland & Company
[41] 서적 The Roots of Perestroika: the Soviet Breakdown in Historical Context https://books.google[...] McFarland & Company
[42] 서적 Daily Life in the Soviet Union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