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하일 칼리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하일 칼리닌은 러시아 혁명가이자 소련의 정치인으로, 1875년에 태어나 1946년에 사망했다. 그는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 가입하여 혁명 운동에 참여했으며, 1917년 페트로그라드 시 두마 시장을 역임했다. 이후 볼셰비키 혁명에 기여하여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위원, 정치국 후보 위원, 정치국 정식 위원을 거쳤다. 야코프 스베르들로프 사망 이후에는 소비에트 연방의 국가 원수인 전러시아 중앙집행위원회 위원장, 소련 중앙집행위원회 위원장, 최고 소비에트 주석단 위원장을 역임했다. 스탈린 시대에는 명목상의 국가 원수 역할을 수행했으며, 1946년 사망 후 국장으로 예우받아 크렘린 성벽 묘지에 안장되었다. 그의 이름을 딴 도시와 지명이 있었으나, 일부는 탈공산화 과정에서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 지도부 - 이오시프 스탈린
    이오시프 스탈린은 소비에트 연방의 독재자이자 소련 공산당 지도자로서, 소련의 산업화와 2차 세계 대전 승리를 이끌었지만 대숙청과 공포 정치로 수백만 명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그의 통치와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
  • 소련 지도부 - 블라디미르 레닌
    블라디미르 레닌은 러시아의 혁명가이자 정치가로서 10월 혁명을 주도하여 러시아 제국을 무너뜨리고 소비에트 연방 건설에 핵심 역할을 수행했으며, 마르크스주의를 러시아 혁명에 적용하여 볼셰비키 당을 이끌면서 그의 이론과 전략은 소련의 사회주의 건설과 국제 공산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지만, 그의 통치는 희생과 논란, 전체주의적 독재와 폭력 정치에 대한 비판을 야기했다.
  • 러시아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 - 니콜라이 바투틴
    니콜라이 바투틴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소련군의 지휘관으로, 주요 전투에서 기동전 능력과 전술적 감각을 보였으나, 공격적인 작전 스타일과 정치적 의혹으로 인해 사후 평가가 엇갈리는 인물이다.
  • 러시아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 -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클리멘트 보로실로프는 러시아 혁명과 소련 시대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러시아 내전에서 활약하고 스탈린 시대에 군사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으나, 전쟁 초기 부실한 지휘와 대숙청 관여로 비판받았으며, 스탈린 사후 국가원수를 역임했으나 흐루쇼프 집권기에 몰락했다.
  • 소련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 - 이오시프 스탈린
    이오시프 스탈린은 소비에트 연방의 독재자이자 소련 공산당 지도자로서, 소련의 산업화와 2차 세계 대전 승리를 이끌었지만 대숙청과 공포 정치로 수백만 명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그의 통치와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
  • 소련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 -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클리멘트 보로실로프는 러시아 혁명과 소련 시대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러시아 내전에서 활약하고 스탈린 시대에 군사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으나, 전쟁 초기 부실한 지휘와 대숙청 관여로 비판받았으며, 스탈린 사후 국가원수를 역임했으나 흐루쇼프 집권기에 몰락했다.
미하일 칼리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20년의 칼리닌
본명미하일 이바노비치 칼리닌
로마자 표기Mikhail Ivanovich Kalinin
출생일1875년 11월 19일
출생지트베리 현 카신스키 구 베르흐냐야 트로이차
사망일1946년 6월 3일
사망지모스크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묻힌 곳크렘린 벽 묘지, 모스크바
국적소련
배우자에카테리나 칼리니나
서명Signature of Mikhail Kalinin.jpg
정당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1898년–1903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볼셰비키) (1903년–1918년)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1918년–1946년)
소련 국가원수
직책소비에트 연방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의 의장
임기 시작1938년 1월 17일
임기 종료1946년 3월 19일
부의장니콜라이 시베르니크
전임(직책 신설)
후임니콜라이 시베르니크
소련 중앙 집행 위원회
직책중앙집행위원회 의장 (공동)
임기 시작1922년
임기 종료1938년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직책중앙집행위원회 의장
임기 시작1919년 3월 30일
임기 종료1938년 7월 15일
전임미하일 블라디미르스키(대행), 야코프 스베르들로프
후임직책 폐지, 알렉세이 바다예프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 의장)
소련 공산당 정치국
직책제15차, 16차, 17차, 18차 정치국 정회원
임기 시작1926년 1월 1일
임기 종료1946년 6월 3일
직책 (후보)제8차, 9차, 10차, 11차, 12차, 13차, 14차 정치국 후보위원
임기 시작 (후보)1919년 3월 25일
임기 종료 (후보)1926년 1월 1일
소련 공산당 조직국
직책조직국 위원
임기 시작1921년 3월 16일
임기 종료1924년 6월 2일
총리
총리블라디미르 레닌
알렉세이 리코프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총리 (1941년 이후)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이오시프 스탈린

2. 초기 생애 및 혁명 활동

미하일 칼리닌은 어린 시절부터 노동 현장에 뛰어들었고, 이는 자연스럽게 혁명 운동으로 이어졌다. 1891년, 16세의 나이에 키로프 공장에서 혁명 운동에 참여하기 시작했다.[5] 1898년에는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 가입하여 본격적인 혁명가의 길을 걷게 된다.[5]

1899년 칼리닌은 체포되어 10개월 동안 투옥된 후 코카서스로 유배되었고,[5] 티플리스의 철도 차량 기지에서 기능공으로 일하며 세르게이 알릴루예프를 만났다.[6] 그는 알릴루예프 가족을 통해 스탈린을 알게 되었다.[6] 파업 참여로 해고된 후 에스토니아 레발로 이주했으나, 1903년 다시 체포되어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구금되었다가 크레스티 감옥에서 추가로 수감되었다. 석방 후 레발로 돌아왔지만 1904년 다시 체포되어 시베리아로 유배되었다.[5]

1905년 석방된 칼리닌은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돌아와 여러 직업을 전전했다. 1906년 제4차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대회 대표로 참석했다.[6] 제1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16년 11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한 공장에서 다시 일하던 중 체포되어 시베리아로 추방될 예정이었지만 1917년 2월 혁명 중에 석방되었다.[8]

2. 1. 출생 및 성장 배경

미하일 이바노비치 칼리닌은 1875년 11월 19일 러시아 트베리 주 카신스키 군 베르흐냐야 트로이차 마을에서 농민의 아들로 태어났다.[4] 13세까지 아버지와 함께 농사일을 했으며, 군인 출신에게 읽고 쓰는 법을 배웠다. 11세에 현지 지주 가문이 운영하는 초등학교에 입학했다.[5]

소년 시절 지주의 집에서 일하면서 초등학교와 지주의 서재에서 공부했다. 학교를 졸업한 후 가족의 도움으로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주하여 하인으로 일했다. 16세에 탄약 공장 견습공으로, 18세에는 키로프 공장에서 선반공으로 일하며 혁명 운동에 참여했다.[5]

2. 2. 초기 정치 경력

칼리닌은 1898년 푸틸로프 공장에서 일하는 동안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 가입했다.[5] 1903년 당이 분열된 후에는 블라디미르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에 가담했다.[5] 이후 여러 차례 당국의 체포, 추방, 탈출을 경험했다. 1906년에는 에스토니아인 예카테리나 로르베르크(Екатерина Ивановна Лорберг|예카테리나 이바노브나 로르베르크ru)와 결혼했다.[7] 그녀는 결혼 후 성을 '칼리니나'로 바꿨다.

1912년 프라하에서 열린 볼셰비키 당 회의에서 중앙위원회 후보 위원으로 선출되었다.[6] 그는 오흐라나 요원으로 의심받았기 때문에 정식 위원이 되지 못했다 (실제 요원은 정식 위원이었던 로만 말리노프스키였다).[6]

3. 러시아 혁명 시기

칼리닌은 1898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 입당했고, 1903년 당이 분열된 후에는 블라디미르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에 가담했다. 이후 여러 차례 당국의 체포, 추방, 탈출을 경험했다.[6]

1917년 페트로그라드 볼셰비키 위원회에 합류하여 당의 일간 신문인 ''프라우다''(Pravda) 창간을 지원했고, 같은 해 가을 페트로그라드 시 두마 선거에서 시장으로 선출되어 볼셰비키 혁명 전후로 시를 통치했다.[8]

1919년 야코프 스베르들로프가 사망하자 칼리닌은 그를 대신하여 전러시아 중앙집행위원회 위원장이 되었으며, 이 직책은 이후 소련 중앙집행위원회 위원장, 최고 소비에트 주석단 위원장으로 변경되었다.[8]

3. 1. 2월 혁명과 임시정부

칼리닌은 페트로그라드 볼셰비키 위원회에 합류하여 당의 일간 신문인 프라우다 창간을 지원했다.[6]

1917년 4월, 칼리닌은 러시아 임시정부에 대한 조건부 지지를 주장했는데, 이는 멘셰비키와의 협력을 의미하며 블라디미르 레닌의 입장과는 상반되었다.[8] 그는 알렉산드르 케렌스키 정부를 전복하기 위한 무장봉기에는 계속 반대했다.[8]

3. 2. 볼셰비키 혁명과 내전

칼리닌은 페트로그라드 볼셰비키 위원회에 합류하여 당의 일간 신문인 ''프라우다'' 창간을 지원했다.[6]

1917년 4월, 칼리닌은 러시아 임시정부에 대한 조건부 지지를 주장했는데, 이는 멘셰비키와의 협력을 의미하며 블라디미르 레닌의 입장과는 상반되었다.[8] 그는 그해 여름 내내 알렉산드르 케렌스키 정부를 전복하기 위한 무장봉기에는 계속 반대했다.[8]

1917년 가을 페트로그라드 시 두마 선거에서 시장으로 선출되었고, 볼셰비키 혁명 중과 그 이후로 시를 통치했다.[8]

1919년, 러시아 공산당(볼셰비키)의 지배 기구인 중앙위원회 위원이자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의 후보 위원으로 선출되었다.[8] 야코프 스베르들로프가 1919년 3월 독감으로 사망하자,[9][10][11] 칼리닌은 그를 대신하여 전러시아 중앙집행위원회 위원장, 즉 소비에트 연방 국가 원수가 되었다. 이 직책은 1922년에 소련 중앙집행위원회 위원장으로, 1938년에 최고 소비에트 주석단 위원장으로 변경되었으며, 칼리닌은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이 직책을 유지했다.[8]

1920년, 칼리닌은 러시아 대표단의 일원으로 모스크바에서 열린 코민테른 제2차 세계 대회에 참석하여 토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6]

4. 소련 시대

칼리닌은 1919년 야코프 스베르들로프의 사망 이후 전러시아 중앙집행위원회 의장이 되었고, 1922년 소련이 공식 출범하자 소련 중앙집행위원회 의장으로서 제1차 전연방 소비에트 대회를 주관했다. 1938년 최고 소비에트 상임위원회(최고회의 상임위원회) 의장으로 선출되어 1946년 사망할 때까지 재임하였다. 1924년 제5차 세계대회에서 블라디미르 레닌과 코민테른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6]

칼리닌은 레닌 사후 권력 투쟁에서 스탈린의 파벌에 가담했다.[8] 그는 농민 출신으로, 낮은 사회적 기원은 공식 언론에서 널리 알려졌으며, "전연방 장로"(Всесоюзный староста)라고 불렸다.[12] 그러나 1930년대에 이르러 칼리닌의 역할은 명목상에 불과했다.[13] 흐루쇼프는 "스탈린 시대에는 모든 법령의 명목상 서명자였지만, 실제로는 정부 업무에 거의 참여하지 않았다"고 회상했다.[14]

부브노프, 보로실로프, 트로츠키, 칼리닌, 프룬제, 1924년 10월 혁명 군사 퍼레이드


1940년 3월, 칼리닌은 카틴 숲 학살 명령에 서명한 정치국 6명 중 한 명이었다.[15][16] 로이 메드베데프에 따르면, 칼리닌은 스탈린에게 완전히 복종하여 독재자의 범죄를 은폐했다.[17] 트로츠키는 칼리닌이 점차 리코프, 부하린, 톰스키에게 반대했다고 썼다.[18]

칼리닌은 스탈린의 정책을 비판했던 아내 예카테리나 칼리니나를 보호할 수 없었다. 그녀는 1938년 10월 "트로츠키주의자"라는 혐의로 체포되어 레포르토보 감옥에서 고문을 받았고, 1939년 4월 15년 강제노동수용소 형을 선고받았다.[19] 그녀는 남편이 사망하기 직전인 1946년에 석방되었다.[20]

몬테네그로 공산주의자 밀로반 질라스는 칼리닌이 죽기 직전,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이끄는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대표단의 일원으로 크렘린에서 스탈린과 다른 소련 지도자들과 함께 만찬을 가졌다고 회상했다. 질라스는 늙은 칼리닌이 잔, 접시, 빵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스탈린은 칼리닌의 노쇠함을 알고 그를 심하게 놀렸다고 기록했다.[21]

4. 1. 소비에트 연방 건설

1919년 야코프 스베르들로프의 사망 이후 전러시아 중앙집행위원회 의장이 되었다.[8] 1922년 소련이 공식 출범하자 소련 중앙집행위원회 의장으로서 제1차 전연방 소비에트 대회를 주관했다. 1938년 최고 소비에트 상임위원회(최고회의 상임위원회) 의장으로 선출되어 1946년 사망할 때까지 재임하였다.

1924년 제5차 세계대회에서 블라디미르 레닌과 코민테른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6]

4. 2. 스탈린과의 관계

칼리닌은 1924년 레닌 사후 권력 투쟁에서 스탈린의 파벌에 가담했다.[8] 그는 스탈린의 핵심 인물 중 농민 출신이라는 점에서 비교적 드문 경우였다. 그의 낮은 사회적 기원은 공식 언론에서 널리 알려졌으며, 국가 원수로서의 역할과 함께 "전연방 장로"(Всесоюзный староста)라고 흔히 불렸다.[12] 그러나 1930년대에 이르러 칼리닌의 소비에트 정부 의사 결정자로서의 역할은 명목상에 불과했다.[13]

그는 소비에트 연방의 사실상 행정부인 정치국 위원이었고 명목상으로는 소련에서 두 번째로 높은 국가 직책을 맡았지만, 실질적인 권력이나 영향력은 거의 없었다. 그의 역할은 대부분 해외에서 온 외교 서한을 받는 것으로 제한되었다. 흐루쇼프는 "레닌 시대에 칼리닌이 어떤 실질적인 일을 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스탈린 시대에는 모든 법령의 명목상 서명자였지만, 실제로는 정부 업무에 거의 참여하지 않았습니다."라고 회상했다.[14]

1940년 3월 5일, 칼리닌은 스탈린, 몰로토프, 카가노비치, 보로실로프, 미코얀과 함께 점령된 서부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의 수용소와 감옥에 수감된 2만 5700명의 폴란드 "민족주의자와 반혁명가"를 처형하는 명령에 서명했다.[15][16] 이는 카틴 숲 학살로 이어졌다.

높은 지위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칼리닌은 실질적인 권력이 거의 없었고, 주로 스탈린에게 쉽게 좌우되는 명목상의 인물이었다. 로이 메드베데프에 따르면, "칼리닌을 보호한다는 구실로 스탈린은 그를 오랫동안 사실상 가택 연금 상태에 두었고, NKVD 요원들이 그의 아파트에 상주했다. 칼리닌은 스탈린에게 완전히 복종하여 독재자의 범죄를 자신의 높은 명성으로 은폐했다.[17]

칼리닌은 스탈린의 정책을 비판했던 아내 예카테리나 칼리니나를 보호할 수 없었다. 그녀는 1938년 10월 25일 "트로츠키주의자"라는 혐의로 체포되었다.[19] 그녀는 레포르토보 감옥에서 고문을 받았고, 1939년 4월 22일 15년의 강제노동수용소 수감형을 선고받았다. 그녀는 1946년 남편이 사망하기 직전에 석방되었다.[20]

4. 3. 대숙청과 개인적 시련

칼리닌은 레닌 사후 권력 투쟁에서 스탈린의 파벌 동지였다.[8] 그는 농민 출신으로, 낮은 사회적 기원은 공식 언론에서 널리 알려졌으며, "전연방 장로"(Всесоюзный староста)라고 불렸다.[12] 그러나 1930년대에 이르러 칼리닌의 소비에트 정부 의사 결정자로서의 역할은 명목상이었다.[13] 흐루쇼프는 "스탈린 시대에는 모든 법령의 명목상 서명자였지만, 실제로는 정부 업무에 거의 참여하지 않았다"고 회상했다.[14]

1940년 3월, 칼리닌은 카틴 숲 학살 명령에 서명한 정치국 6명 중 한 명이었다.[15][16] 로이 메드베데프에 따르면, 칼리닌은 스탈린에게 완전히 복종하여 독재자의 범죄를 은폐했다.[17] 트로츠키는 칼리닌이 점차 리코프, 부하린, 톰스키에게 반대했다고 썼다.[18]

칼리닌은 스탈린의 정책을 비판했던 아내 예카테리나 칼리니나를 보호할 수 없었다. 그녀는 1938년 10월 "트로츠키주의자"라는 혐의로 체포되어 레포르토보 감옥에서 고문을 받았고, 1939년 4월 15년 강제노동수용소 형을 선고받았다.[19] 그녀는 남편이 사망하기 직전인 1946년에 석방되었다.[20]

5. 사망과 유산

칼리닌은 1946년 은퇴했고, 같은 해 6월 3일 모스크바에서 으로 사망했다.[22] 국장으로 예우받았으며, 크렘린 성벽 묘지에 있는 레닌 묘소와 크렘린 성벽 사이에 위치한 12개의 개별 묘소 중 하나에 안장되었다.[23][24]

크렘린 성벽 묘지에 있는 칼리닌의 묘


사후, 소련의 트베르, 코롤료프, 칼리닌그라드 등의 도시들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하지만 트베르와 코롤료프는 이후 원래 이름을 되찾거나 다른 인물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5. 1. 사망 및 장례

칼리닌은 1946년에 은퇴했고, 같은 해 6월 3일 모스크바에서 으로 사망했다.[22] 그는 국장으로 예우받았으며, 크렘린 성벽 묘지에 있는 레닌 묘소와 크렘린 성벽 사이에 위치한 12개의 개별 묘소 중 하나에 안장되었다.[23][24]

5. 2. 칼리닌의 이름을 딴 도시와 지역

소련 시절 트베르Тверьru[25], 코롤료프Королёвru[26], 칼리닌그라드Калининградru[27] 세 도시가 미하일 칼리닌의 이름을 따서 개명되었다. 트베르는 1990년에 원래 이름을 되찾았고, 코롤료프는 1996년에 소련/러시아 로켓 과학자 세르게이 코롤료프를 기리기 위해 개명되었다.

칼리닌그라드 칼리닌 광장에 있는 미하일 칼리닌 기념비


현재 러시아에는 칼리닌의 이름을 딴 칼리닌그라드칼리닌그라드주가 남아있다. 벨라루스 민스크에는 칼리닌 광장과 칼리닌 거리가 있다. 에스토니아 탈린의 칼리닌 거리는 에스토니아 독립 이후 코플리 거리로 개명되었다. 우크라이나 드니프로의 칼리닌가는 2015년 1월 우크라이나의 탈공산화의 일환으로 세르게이 니고얀가로 개명되었다.[28]

참조

[1] 서적 Socialism: Theory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Novosti Press Agency 2018-11-19
[2] 서적 Calendar: Thirty Years of the Soviet State, 1917–1947 https://books.google[...]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2018-11-19
[3] 서적 Stalin and the Soviet Communist Party: A Study in the Technology of Power Frederick A. Praeger
[4] 웹사이트 Биография: Калинин Михаил Иванович - Praviteli.org https://web.archive.[...] 2022-08-02
[5] 서적 Makers of the Russian Revolution George Allen & Unwin 1974
[6]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the Comintern: New, Revised, and Expanded Edition Hoover Institution Press
[7] 서적 Anti-Judaism: a psychohistory https://books.google[...] Perspective Press 1975
[8] 서적 Dictionary of the Russian Revolution Greenwood Press
[9] 서적 Stalin: Volume I: Paradoxes of Power, 1878–1928 https://books.google[...] Penguin
[10] 서적 Memoirs of Nikita Khrushchev https://books.google[...] Penn State Press
[11] 웹사이트 From Hell to Heaven and forth https://web.archive.[...] 2011-01-21
[12] 서적 Vokrug Stalina: Istoriko-biograficheskii spravochnik ("Stalin's Circle: A Historico-Biographical Handbook") Philology Department of St. Petersburg State University
[13] 서적 Vokrug Stalina
[14] 서적 Memoirs of Nikita Khrushchev: Statesman: 1953–1964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5] 서적 The Rise and Fall of Communism https://archive.org/[...] Ecco/HarperCollins
[16] 웹사이트 Order for the Katyn Massacre https://soviethistor[...] 2015-08-31
[17] 서적 Let History Judge, The Origins and Consequences of Stalinism Spokesman 1976
[18] 서적 Stalin, Volume Two: The Revolutionary in Power Panther 1969
[19] 서적 Collective Leadership in Soviet Politics https://doi.org/10.1[...] Palgrave Macmillan
[20] 서적 The Perversion of Knowledge: The True Story of Soviet Science Westview Press
[21] 서적 Conversations with Stalin Penguin 1969
[22] 서적 Stalin's Last Crime John Murray (Publishers)
[23] 웹사이트 Funeral Of Russia's President Kalinin https://www.britishp[...] 2021-12-08
[24] 서적 Moscow: Governing the Socialist Metropoli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5
[25] 웹사이트 Довоенные годы https://www.tver.ru/[...] 2017-01-18
[26] 웹사이트 Korolyov city, Moscow oblast, Russ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1-12-08
[27] 웹사이트 Kaliningrad History, Map, & Points of Interest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1-12-08
[28] 웹사이트 Dnipro municipality for the second time decided to rename Kalinin avenue to Sergey Nigoyan https://www.radiosvo[...] 2018-02-23
[29] 뉴스 最高会議議長にカリーニン選出 大阪毎日新聞 1938-0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