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르빈산 칼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르빈산 칼륨은 소르브산을 수산화 칼륨으로 중화하여 생산되는 화합물이다. 주로 치즈, 와인, 요구르트, 건조 육류 등 다양한 식품에서 곰팡이와 효모의 번식을 억제하는 보존제로 사용되며, 개인 위생 용품에도 미생물 번식을 막기 위해 사용된다. 와인 안정제로도 사용되며, 일부 곰팡이와 효모에 의해 피페릴렌으로 분해될 수 있다. 순수한 형태에서는 피부, 눈, 호흡기에 자극을 줄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 사용될 때는 0.025~0.100% 농도로 사용된다. 인간 섭취에 대한 최대 허용 일일 섭취량은 25mg/kg이며, 화학식은 C6H7KO2이다.
소르빈산 칼륨은 소르브산을 수산화 칼륨으로 중화하여 산업적으로 생산된다. 전구체 소르브산은 크로톤알데히드와 케텐의 축합을 통해 2단계 공정으로 생산된다.[5][6][7]
소르빈산 칼륨은 치즈, 와인, 요구르트, 건조 육류, 사과 사이다, 말린 과일, 청량음료 및 과일 음료, 구운 식품 등 많은 식품에서 곰팡이와 효모의 번식을 억제하는 데 사용된다.[8] 많은 건조 과일 제품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곰팡이 및 미생물을 예방하고 유통 기한을 늘리기 위해 소르빈산 칼륨을 사용하기도 한다. 단기간 동안에는 유해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8] 이 방부제는 성분표에 "소르빈산 칼륨" 또는 "E202"로 표시된다. 또한, 많은 개인 위생 용품에서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제조업체는 파라벤의 대체품으로 소르빈산 칼륨을 사용하고 있다. 소르빈산 칼륨을 튜브로 공급하면 병원성 박테리아의 위 부담을 줄일 수 있다.[9]
순수한 소르빈산 칼륨은 피부, 눈, 호흡기에 자극을 유발할 수 있지만,[11][12] 0.5% 이하의 농도에서는 심각한 피부 자극을 일으키지 않는다.[13] 저염, 자연 발효 피클에서는 최대 0.4%까지 연구되었으며, 염화칼슘과 결합하면 0.2%로 "우수한 품질의 피클"을 만들 수 있었다.[16] 효과가 나타나는 상한 pH는 6.5이다.[14]
[1]
간행물
Merck Index
2. 생산
3. 용도
"와인 안정제"로도 알려진 소르빈산 칼륨은 와인에 첨가되면 소르브산을 생성한다. 이는 두 가지 목적을 수행한다. 첫째, 활성 발효가 중단되고 와인이 청징 후 마지막으로 랙킹될 때, 소르빈산 칼륨은 생존하는 효모가 증식할 수 없도록 만든다. 그 시점에서 살아있는 효모는 잔류 설탕을 CO2와 알코올로 계속 발효시킬 수 있지만, 효모가 죽으면 미래의 발효를 일으킬 새로운 효모가 존재하지 않는다. 둘째, 와인을 병입 전에 감미료로 처리할 때 소르빈산 칼륨은 메타중아황산 칼륨과 함께 사용하여 재발효를 방지한다. 이는 주로 스위트 와인, 스파클링 와인, 일부 하드 사이다에 사용되지만, 정제 후에도 투명성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테이블 와인에도 첨가될 수 있다.
일부 곰팡이 (특히 일부 ''Trichoderma'' 및 ''Penicillium'' 균주)와 효모는 탈카르복실화를 통해 소르베이트를 해독하여 피페릴렌 (1,3-펜타디엔)을 생성할 수 있다. 펜타디엔은 등유 또는 석유의 전형적인 냄새로 나타난다.[10]
4. 독성
일부 조건, 특히 고농도에서 또는 아질산염과 결합할 때, 소르빈산 칼륨은 시험관 내에서 유전독성 활성을 나타냈다.[19] 1970년대에 수행된 세 건의 연구에서는 쥐에게서 발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20][21][22]
4. 1. 섭취 허용량
순수한 형태의 소르빈산 칼륨은 피부, 눈, 호흡기에 자극을 유발한다.[11][12] 농도 0.5% 이하에서는 심각한 피부 자극을 일으키지 않는다.[13]
식품 첨가물로서 소르빈산 칼륨은 0.025~0.100% 농도로 보존제로 사용되며,[14] 이는 100g당 25~100mg의 섭취량에 해당한다. 미국에서는 과일 버터, 젤리, 잼 및 관련 제품에 0.1% 이하로만 사용이 허용된다.[15] 소르빈산 칼륨은 소르브산 항균 활성의 약 74%를 갖는다.[14] 소르브산으로 계산할 때, "콜드 팩 치즈 식품"에는 0.3%가 허용된다.[17]
인간이 섭취할 수 있는 최대 허용 일일 섭취량은 25mg/kg이며, 평균 성인(70kg)의 경우 하루 1750mg이다.[18][19]
5. 화학적 특성
참조
[2]
웹사이트
SIAL&N5=SEARCH_CONCAT_PNO|BRAND_KEY&F=SPEC Potassium sorbate
http://www.sigmaaldr[...]
[3]
서적
Sax's Dangerous Properties of Industrial Materials
Wiley
2004-10-15
[4]
웹사이트
Nordic Food Additive Database
http://www.norfad.dk[...]
Nordic Working Group on Food Toxicology and Risk Assessment.
[5]
간행물
Sorbic Acid
Wiley-VCH, Weinheim
2011
[6]
웹사이트
patent process for commercial potassium sorbate
http://www.patentsto[...]
[7]
웹사이트
Agricultural Marketing Service
http://www.ams.usda.[...]
2012-09-21
[8]
간행물
Sorbic Acid
Wiley-VCH, Weinheim
2000
[9]
논문
Potassium sorbate reduces gastric colonization in patients receiving mechanical ventilization
[10]
문서
The Soft Drinks Companion – A technical handbook for the beverage industry
[11]
웹사이트
Potassium Sorbate
http://www.chemone.c[...]
Chem One, Ltd.
2010-06-14
[12]
웹사이트
Sorbic Acid -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HSDB Database
https://toxnet.nlm.n[...]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13]
논문
Final report on the safety assessment of sorbic acid and potassium sorbate.
https://pdfs.semanti[...]
2018-05-26
[14]
웹사이트
Potassium sorbate - Agricultural Marketing Service - USDA
https://www.ams.usda[...]
U.S. government
2018-05-26
[15]
웹사이트
21 CFR 150 - Fruit butters, jellies, preserves, and related products
https://www.gpo.gov/[...]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11-04-01
[16]
논문
Calcium Chloride and Potassium Sorbate Reduce Sodium Chloride used during Natural Cucumber Fermentation and Storage
[17]
웹사이트
21 CFR 133 - Cheeses and related cheese products
https://www.gpo.gov/[...]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11-04-01
[18]
웹사이트
036. Sorbate, potassium (FAO Nutrition Meetings Report Series 40abc)
http://www.inchem.or[...]
Inchem.org
2013-02-22
[19]
논문
Adding Molecules to Food, Pros and Cons: A Review on Synthetic and Natural Food Additives
[20]
논문
Long-term toxicity studies of sorbic acid in mice
[21]
논문
Long-term toxicity of sorbic acid in the rat
[22]
논문
Long-term toxicity of parasorbic acid in rats
[23]
논문
Recent trends in the use of food additives in the United Kingdom
2015-03-15
[24]
웹사이트
食品健康影響評価の結果の通知について
https://www.mhlw.go.[...]
食品安全委員会
2008-11-02
[25]
웹사이트
D 成分規格・保存基準各条
https://www.mhlw.go.[...]
食品安全委員会
2007-08-15
[26]
간행물
Merck Index
[27]
웹사이트
SIAL&N5=SEARCH_CONCAT_PNO|BRAND_KEY&F=SPEC Potassium sorbate
http://www.sigmaaldr[...]
[28]
서적
Sax's Dangerous Properties of Industrial Materials
https://archive.org/[...]
Wiley
2004-1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