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말리아 실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말리아 실링은 1921년 영국령 소말릴란드에 동아프리카 실링이 도입되면서 소말리아의 통화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1962년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의 소말리아 소말로와 통합되어 소말리아 실링으로 대체되었고, 이후 소말리아 내전과 무정부 상태를 거치며 가치가 폭락하여 1991년 발행이 중지되었다. 현재는 미국 달러 등이 통용되며, 소말리아 실링은 위조지폐 유통 등 불안정한 상황에서도 일부 사용되고 있다. 2000년대 후반 소말리아 중앙은행이 부활하여 통화 정책을 수립하려 했으나, 여전히 미국 달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말리아의 경제 - 소말리아 중앙은행
    소말리아 중앙은행은 소말리아의 통화정책 수립 및 집행, 은행 시스템 규제, 외환 보유고 관리 등을 수행하는 중앙은행으로, 1920년 이탈리아 은행에서 기원하여 1975년 명칭이 변경되었고, 내전으로 기능이 중단되었다가 2009년 재개설되어 인플레이션 억제와 통화 신뢰 회복을 목표한다.
  • 아프리카의 통화 - 콩고 프랑
    콩고 프랑은 벨기에 프랑과 동일한 가치로 벨기에령 콩고 등지에서 사용되다가 자이르화로 대체되었으나, 이후 재도입되어 현재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사용되는 통화로, 낮은 가치와 위조 문제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아프리카의 통화 - 에티오피아 비르
    에티오피아 비르는 1894년 도입된 에티오피아의 공식 통화로, 한때 에리트레아에서도 사용되었으며, 100 산팀으로 구성되고, 이탈리아 점령 기간 동안 리라로 대체되었다가 재도입되었으며, 최근 변동환율제 도입 후 가치 하락을 겪었다.
  • 유통통화 - 부탄 뉘땀
    부탄 뉘땀은 1974년부터 통용된 부탄의 통화로, 인도 루피와 1:1 비율로 고정되어 있으며 부탄에서 법정 통화로 통용되고, 1뉘땀은 100 체트럼으로 나뉘며, 부탄 왕립 통화청에서 지폐와 주화를 발행한다.
  • 유통통화 - 통가 팡가
    통가 팡가는 1967년 통가 파운드를 대체하여 도입된 통화 단위로, 동전과 지폐로 발행되며 국왕의 초상과 통가 상징물을 특징으로 하고 통가 중앙은행이 공식 환율을 고시한다.
소말리아 실링
일반 정보
500 소말리아 실링 지폐
500 소말리아 실링 지폐
현지 이름 (소말리어)Shilin Soomaali
현지 이름 (아랍어)الشلن الصومالي
ISO 코드SOS
사용 국가소말리아
보조 화폐센티, 센츠 또는 센테시미
보조 화폐 비율1/100
기호So. Sh.
사용 지폐5, 10, 20, 50, 100, 500, 1000, 5000, 10000 실링
사용 동전5, 10, 50 센트, 1 실링
발행 기관소말리아 중앙은행
발행 기관 웹사이트소말리아 중앙은행 웹사이트
통화 정보(일본어)
통화 이름 (현지어)Shilin soomaali(ソマリ語), شلن صومالي(アラビア語)
1000シリング札
1000 실링 지폐
ISO 코드SOS
기호So.Sh.
사용 동전100So.Sh.
사용 지폐500So.Sh., 1000So.Sh.
발행 기관소말리아 중앙은행
발행 기관 웹사이트소말리아 중앙은행 웹사이트

2. 역사

실링1921년 영국령 소말릴란드에 동아프리카 실링이 도입되면서 소말리아 지역 통화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1962년에는 독립 후 통일된 소말리아의 공식 통화로서 소말리아 실링이 기존의 동아프리카 실링과 소말로를 대체하여 발행되었다.

이후 모하메드 시아드 바레 정권 시기에는 대량 발행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을 겪었으며, 1991년 소말리아 내전 발발과 중앙 정부 붕괴로 중앙 은행 기능이 마비되면서 실링의 공식 발행이 중단되었다. 이 시기부터 미국 달러 등 외화가 널리 사용되었고, 북부의 소말릴란드는 자체 통화인 소말릴란드 실링을 도입했다. 공식 발행 중단에도 불구하고 기존 실링은 계속 유통되었으나, 위조 지폐 문제 등 혼란이 지속되었다.

2000년대 이후 중앙 정부 재건 노력과 함께 중앙은행 기능 복원 및 통화 개혁 시도가 있었으나, 여전히 미국 달러가 실질적인 통화 역할을 하고 있다. 2023년에는 수단에서 인쇄 중이던 신권이 현지 분쟁으로 유출되는 사건이 발생하는 등 통화 안정화까지는 과제가 남아있다. 소말리아 실링은 역사적으로 불안정한 가치 변동을 겪어왔다.

2. 1. 초기 역사 (1921년 ~ 1962년)

실링1921년 영국령 소말릴란드에 동아프리카 실링이 도입되면서 소말리아 일부 지역의 통화로 처음 사용되었다. 이후 1960년 영국령 소말릴란드와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가 독립하고 통일하면서, 1962년에는 두 지역에서 사용되던 동아프리카 실링과 소말로(두 통화는 가치가 동일했다)가 액면가 그대로 새로운 소말리아 실링으로 대체되었다. 당시 통화 단위 명칭으로는 실링(scellino|스켈리노ita, 복수형: scellini|스켈리니ita, 아랍어: شلنara)과 함께 센트(centesimo|첸테시모ita, 복수형: centesimi|첸테시미ita, 아랍어: سنتara, 복수형: سنتيماتara)가 사용되었다.

2. 2. 소말리아 공화국 및 민주 공화국 (1962년 ~ 1991년)

1960년 영국령 소말릴란드와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가 독립하고 통일한 후, 1962년에 기존에 사용되던 동아프리카 실링과 소말로(두 통화는 동일한 가치를 가졌음)를 대체하여 소말리아 실링이 액면가 그대로 도입되었다. 통화 단위 명칭으로는 실링(scellinoita, 복수형: scelliniita)과 센트(centesimoita, 복수형: centesimiita), 그리고 아랍 문자 표기(سنت, 복수형: سنتيمات)가 함께 사용되었다.

초기에 소말리아 실링은 파운드 스털링에 고정되어 1 파운드 스털링 당 20 실링의 가치를 가졌다. 이는 영국 실링과 동일한 가치였다. 그러나 1967년 11월 18일, 파운드 스털링이 평가 절하되면서 소말리아 실링은 미국 달러에 고정되었고, 당시 환율은 1USD = 7.14286 실링이었다. 1971년 8월 28일 브레튼 우즈 체제가 붕괴되자 실링은 금 0.124414g에 해당하는 가치로 평가되었다. 같은 해 12월 23일에는 다시 미국 달러에 고정되어 1USD = 6.57895 실링으로 환율이 변경되었다. 1972년 1월 8일에는 5% 평가 절하되어 1USD = 6.92522 실링이 되었고, 1973년 2월 24일에는 1USD = 6.23272 실링으로 다시 조정되었다.[4]

1975년부터는 소말리어로마자로 표기한 통화가 도입되었다. 보조 단위 명칭은 아랍 문자 표기인 '센트(سنت)'로 통일되었고, 이탈리아식 명칭(centesimoita, scellinoita)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다. 다만 영어식 명칭은 지폐에 계속 남아있었다. 이탈리아식 이름인 스켈리노는 이후 2000년에 발행된 동전에 다시 등장하기도 했다.

1981년 6월 30일에는 이중 환율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공식 환율은 1USD 당 6.295 실링이었지만, 두 번째 환율은 1USD 당 12.4654에서 12.7146 실링 사이에서 변동했다. 암시장에서는 미국 달러가 공식 환율보다 훨씬 높은 가격에 거래되었다.

이후 소말리아 실링은 지속적으로 평가 절하를 겪었다. 주요 변동 내역은 다음과 같다.

날짜내용환율 (대 미국 달러, 공식)
1982년 7월 1일SDR 고정1 SDR = 16.5소말리아 실링 (1983년 7월 1일부터 ±7.5% 변동폭 적용)
1984년 9월 15일USD 고정26SOS/USD
1985년 1월 1일USD 고정36SOS/USD
1985년 6월 30일USD 고정40.6083SOS/USD
1985년 11월 2일USD 고정42.5소말리아 실링/USD
1986년지속적 평가 절하54.5소말리아 실링/USD 에서 90.5소말리아 실링/USD 로 변동 (다중 환율 존재)
1987년 10월 12일USD 고정100SOS/USD
1989년 12월 29일환율 급등924SOS/USD
1990년 말환율 급등 지속3470SOS/USD


2. 3. 중앙 정부 붕괴와 무정부 상태 (1991년 ~ 2000년대)

소말리아 내전이 1990년대 초 시작되면서 모하메드 시아드 바레 정권 하에서 대량으로 지폐를 인쇄하여 이미 가치가 하락하고 있던 소말리아 실링은 중앙 정부의 권위가 무너진 후 더욱 가치가 폭락했다. 소말리아의 통화 당국인 소말리아 중앙은행 또한 업무를 중단했으며, 1991년을 마지막으로 소말리아 실링의 공식 발행이 중지되었다. 이후 무정부 상태에 빠지면서 미국 달러나 에티오피아 브르, 케냐 실링 등이 함께 유통되기 시작했다.

중앙 정부 부재 상황에서 푼트랜드와 같은 자치 지역을 포함하여 현지 통화를 자체적으로 생산하려는 시도가 나타났다.[5] 이 과정에서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은 '나 실링'(so)이나 1991년 이전 지폐를 모방한 위조지폐인 '발웨인'(so) I과 II 등이 등장했다. 이러한 통화 발행 경쟁(세뇨리지 경쟁)은 실링의 가치를 더욱 떨어뜨려, 1000실링 지폐 한 장의 가치가 제작 비용 수준인 약 0.04USD까지 하락하기도 했다. 그러나 소비자들은 1991년 이후 발행된 고액권 지폐 수용을 거부했는데, 이는 역설적으로 통화 가치의 추가적인 급락을 막는 데 일부 기여했다. 시장에서는 1991년 이전 지폐와 이후의 위조지폐가 구분 없이 통용되었으며, 현금 거래를 위해서는 많은 양의 지폐 묶음이 필요했다.[6] 이 때문에 고액 거래에서는 미국 달러가 주로 사용되었다.[6]

한편, 공식 발행이 중단된 소말리아 실링은 오히려 인플레이션율이 낮게 유지되어 주변국 통화보다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이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실링은 발행 중단 후 20년 이상 지난 시점까지도 계속 유통되었다. 1996년 발행 연도가 찍힌 해외 인쇄 위조지폐가 대량으로 유입되기도 했으나, 일반적인 거래에서는 주로 1991년 이전에 발행된 지폐가 선호되었다.

중앙 정부 붕괴 후 분리된 소말릴란드 지역은 자체 통화인 소말릴란드 실링을 도입하여 사용하게 되었다. 다른 일부 지역에서는 미국 달러유로가 통용되기도 한다.

2007년 6월, 미국 외교 전문지 포린 폴리시는 소말리아 실링을 북한 원, 베네수엘라 볼리바르, 이라크 디나르, 짐바브웨 달러와 함께 세계에서 가장 가치가 낮은 통화 중 하나로 선정하며 당시 실링의 위상을 보여주었다.

2. 4. 과도 연방 정부와 중앙은행 부활 (2000년대 후반 ~ 현재)

2000년대 후반, 소말리아에 새로 수립된 과도 연방 정부는 소말리아 내전 이후 사실상 기능이 정지되었던 소말리아 중앙은행을 부활시켰다. 중앙은행은 통화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임무를 맡게 되었다.[7]

하지만 소말리아 실링에 대한 신뢰 부족으로 인해 미국 달러가 실링과 함께 널리 사용되었다. 특히 소액 거래에서는 달러화 사용과 더불어 실링의 대량 발행이 물가 상승을 부추기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 새로 출범한 중앙은행은 통화 정책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확보하고 민간 부문에서 널리 사용되는 외국 통화(주로 미국 달러)를 대체하게 되면 이러한 인플레이션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기대했다.[7]

2010년대 들어 소말리아 내 안보 상황이 상당히 개선되면서, 해외에 거주하던 소말리아인들이 투자 기회를 찾아 본국으로 돌아오기 시작했다. 외국인 투자와 함께 이러한 자금 유입은 소말리아 실링의 가치를 크게 끌어올리는 데 기여했다. 2014년 3월까지 실링은 지난 1년간 미국 달러 대비 가치가 약 60% 상승했다. 이는 블룸버그가 집계하는 175개 세계 통화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이었으며, 두 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통화보다 거의 50% 포인트나 더 높은 수치였다.[8]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달러는 여전히 소말리아에서 주로 사용되는 통화이며, 특히 EVC Plus와 같은 SMS를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과거 모하메드 시아드 바레 정권 시절에는 지폐를 대량으로 인쇄하여 실링 가치가 크게 떨어지고 인플레이션이 발생한 경험이 있다.[18] 소말리아 내전으로 무정부 상태에 빠진 후에는 중앙은행 기능이 마비되면서 1991년을 마지막으로 실링 발행이 중단되었고, 그 대신 미국 달러나 에티오피아 브르, 케냐 실링 등이 유통되었다.[19] 역설적이게도 발행이 중단되면서 오히려 실링의 인플레이션율이 낮게 유지되어 주변국 통화보다 강세를 보이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으며[20], 이 때문에 발행 중단 후 20년 이상이 지난 현재까지도 실링은 계속 유통되고 있다. 1996년 발행 연도가 찍힌[19] 해외에서 제작된 위조 지폐가 대량으로 유입된 사례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1991년 이전에 발행된 지폐만이 통용된다.[21]

소말리아 정부는 새 지폐 발행을 준비하여 수단에서 인쇄를 진행했으나, 2023년 수단 분쟁 시기에 10000, 20000, 50000 실링 지폐가 하르툼 거리에 흩어져 정식 발행 전에 유출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22]

한편, 미국 외교 전문 잡지 포린 폴리시는 2007년 6월, 소말리아 실링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원, 베네수엘라 볼리바르, 이라크 디나르, 짐바브웨 달러와 함께 세계에서 가장 가치가 낮은 통화 중 하나로 평가한 바 있다.[23]

3. 동전

처음에는 동아프리카 실링과 소말로의 동전이 통용되었다. 1967년에 소말리아 공화국의 이름으로 5, 10, 50 센트/센테시미 동전과 1 실링/스켈리노 동전이 발행되었다. 1976년에는 각 화폐 단위에 소말리아어 이름이 도입되었고, 소말리아 민주 공화국의 이름으로 5, 10, 50 센트와 1 실링 동전이 주조되었다.

2000년부터는 소말리아 공화국의 이름으로 5, 10, 25, 50, 100 실링 동전이 주조되었다. 그러나 현재 이 동전들이 실제로 통용되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발행된 동전의 상당수는 중국 점성술 시리즈나 유엔 식량 농업 기구 관련 기념 주화이다.

4. 지폐

1962년 10월 15일, 당시 소말리아 국립 은행(Banca Nazionale Somalaita)은 5, 10, 20, 100 실링 지폐를 처음 발행했다.[2] 이후 1975년에는 소말리아 국립은행(Bankiga Qaranka Soomaaliyeedsom)이 같은 액면가의 지폐를 새로 도입했으며, 1978년에는 소말리아 중앙 은행( Bankiga Dhexe Ee Soomaaliyasom)에서 다시 동일한 액면가의 지폐를 발행했다. 고액권으로는 1983년에 50 실링, 1989년에 500 실링, 1990년에 1000 실링 지폐가 차례로 도입되었다. 1990년에는 100대 1의 통화 개혁이 시도되었고, 이를 위해 20 및 50 신 실링 지폐가 준비되기도 했다.[3]

모하메드 시아드 바레 정권 하에서 지폐를 대량으로 인쇄하면서 소말리아 실링의 가치가 크게 하락하고 인플레이션이 발생했다. 소말리아 내전을 겪으며 무정부 상태에 빠진 후, 중앙 은행 기능이 사실상 소멸하면서 1991년을 마지막으로 공식적인 실링 발행은 중단되었다. 이후 미국 달러, 에티오피아 브르, 케냐 실링 등 외국 통화가 널리 사용되었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공식 발행 중단 이후 소말리아 실링의 인플레이션율이 오히려 낮게 유지되면서 주변국 통화보다 강세를 보이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발행이 중단된 지 20년 이상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소말리아 실링은 여전히 일부 지역에서 통용되고 있다. 소말리아 남부에서는 1000 실링 지폐가 주로 사용되며, 다른 액면가의 지폐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반면 상대적으로 안정된 북부 지역( 소말릴란드 등)에서는 500 실링 지폐도 통용되고 있다.

한편, "1996년" 발행 연도가 찍힌 위조 지폐가 해외에서 대량으로 인쇄되어 유입된 사례도 있으나, 일반적인 거래에서는 1991년 이전에 발행된 구권 지폐만 통용되는 경향이 있다.

새로운 지폐 발행 계획에 따라 수단에서 인쇄 작업이 진행되기도 했으나, 2023년 수단 내전 중에 10,000, 20,000, 50,000 실링 지폐가 하르툼 거리에 흩어지는 사건이 발생하여 정식 발행 전에 유출되는 사태를 겪었다.

2007년 6월, 미국 외교 전문지 포린 폴리시는 소말리아 실링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원, 베네수엘라 볼리바르, 이라크 디나르, 짐바브웨 달러와 함께 세계에서 가장 가치가 낮은 통화 중 하나로 선정하기도 했다.

소말리아 실링 지폐 (1983-1996년 발행)
이미지액면가앞면뒷면
이미지 보기5 소말리아 실링/Shilin Soomaali물소바나나 농장
이미지 보기10 소말리아 실링/Shilin Soomaali압둘 아지즈 모스크, 모가디슈조선업
이미지 보기20 소말리아 실링/Shilin SoomaaliBankiga Dhexe ee Soomaaliya (소말리아 중앙 은행) 건물, 모가디슈
이미지 보기50 소말리아 실링/Shilin Soomaali하마르 웨인 유적, 옛 모가디슈물을 주는 동물
이미지 보기100 소말리아 실링/Shilin Soomaali총, 삽, 갈퀴를 들고 있는 아기를 안고 있는 여성; "Muuqaalka Dhagaxtuur"(돌을 던지는 사람) 기념비, 모가디슈농산물 가공 공장
이미지 보기500 소말리아 실링/Shilin Soomaali어부Masaagidka Isbaheysiga("연대" 또는 "사우디" 모스크), 모가디슈
이미지 보기1000 소말리아 실링/Shilin Soomaali바구니 직공모가디슈 항구 및 해안가



소말리아 실링 지폐 (1991년 통화 개혁 발행)
이미지액면가앞면뒷면
이미지 보기20 신 소말리아 실링/N-Shilin Soomaali상인과 낙타면화 수확
이미지 보기50 신 소말리아 실링/N-Shilin Soomaali직조공당나귀를 탄 아이들과 함께 있는 남자



소말리아 실링 지폐 (2018년 발행)
이미지액면가앞면뒷면
이미지 보기5,000 소말리아 실링/Shilin Soomaali하마르 웨인 유적, 옛 모가디슈물을 주는 동물
이미지 보기10,000 소말리아 실링/Shilin Soomaali압둘 아지즈 모스크, 모가디슈조선업



소말리아 실링 지폐 (2013년 발행, 수단에서 인쇄)
이미지액면가앞면뒷면
이미지 없음10,000 소말리아 실링/Shilin Soomaali알려지지 않음물고기 3마리, 문장
20,000 소말리아 실링/Shilin Soomaali알려지지 않음나무, 모가디슈의 소말리아 중앙 은행 본부, 문장
50,000 소말리아 실링/Shilin Soomaali이슬람 연대 모스크, 모가디슈모가디슈 압둘 아지즈 모스크의 첨탑, 문장


5. 환율

소말리아 실링은 초기에 스털링에 20 실링 = 1 파운드로 고정되어 영국 실링과 동일한 가치를 가졌다. 1967년 11월 18일 스털링이 평가 절하되면서 미국 달러에 고정되었고, 1달러 = 7.14286 실링의 환율이 적용되었다. 1971년 8월 28일 브레튼 우즈 체제 붕괴 후 실링은 0.124414g의 금으로 평가되었으나, 같은 해 12월 23일 다시 미국 달러에 1달러 = 6.57895 실링으로 고정되었다. 1972년 1월 8일에는 5% 평가 절하되어 1달러 = 6.92522 실링이 되었고, 1973년 2월 24일에는 1달러 = 6.23272 실링으로 조정되었다.[4]

1981년 6월 30일에는 이중 환율 시스템이 도입되어 공식 환율은 1달러당 6.295 실링이었으나, 두 번째 환율은 1달러당 12.4654 ~ 12.7146 실링으로 적용되었다. 당시 암시장에서는 미국 달러가 공식 환율보다 높은 가격으로 거래되었다.

이후 소말리아 실링은 여러 차례 평가 절하를 겪었다.


  • 1982년 7월 1일: SDR에 고정 = 16.50 실링 (1983년 7월 1일 ±7.5% 변동폭 허용)
  • 1984년 9월 15일: 미국 달러에 고정 = 26 실링 (공식 환율)
  • 1985년 1월 1일: 미국 달러에 고정 = 36 실링 (공식 환율)
  • 1985년 6월 30일: 미국 달러에 고정 = 40.6083 실링 (공식 환율)
  • 1985년 11월 2일: 미국 달러에 고정 = 42.50 실링 (공식 환율)
  • 1986년 동안: 1달러당 54.50 실링에서 90.50 실링으로 평가 절하 (복수 환율 존재)
  • 1987년 10월 12일: 미국 달러에 고정 = 100 실링 (공식 환율)


1989년 12월 29일에는 1달러가 924 실링에 거래되었고, 1990년 말에는 3,470 실링까지 급등했다.

모하메드 시아드 바레 정권 하에서는 대량의 지폐 인쇄로 인해 실링 가치가 하락하고 인플레이션이 발생했다. 소말리아 내전을 거치며 무정부 상태에 빠진 후, 중앙 은행이 소멸하면서 1991년을 마지막으로 실링 발행이 중단되었다. 이후 미국 달러, 에티오피아 브르, 케냐 실링 등이 유통되었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발행 중단으로 인해 실링의 인플레이션율이 낮게 유지되면서 주변국 통화보다 강세를 보이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이러한 이유로 발행 중단 후 20년 이상 지난 현재에도 실링은 여전히 유통되고 있다. 1996년 발행 연도로 표기된 해외 인쇄 위조 지폐가 대량 유입된 사례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1991년 이전에 발행된 지폐만 통용된다.

2023년에는 새 지폐 발행이 예정되어 수단에서 인쇄 중이었으나, 수단 내 분쟁으로 인해 10,000, 20,000, 50,000 실링 지폐가 하르툼 거리에 흩어지면서 정식 발행 전에 유출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미국 외교 전문지 포린 폴리시는 2007년 6월 12일자 전자판에서 소말리아 실링을 북한 원, 베네수엘라 볼리바르, 이라크 디나르, 짐바브웨 달러와 함께 세계에서 가장 가치가 낮은 통화 중 하나로 선정했다.

아래는 소말리아 실링의 자유 시장 환율 변동 추이이다.

소말리아 실링 자유 시장 환율 (USD 대비)
시점환율 (1 USD 당)
1970년7 SOS
1980년30 SOS
1985년100 SOS
1991년 6월2,000 SOS
1993년 6월5,000 SOS
2006년 3월13,400 SOS
2006년 8월14,406 SOS[9]
2007년 2월15,000 SOS
2008년 3월25,000 SOS[10][24]
2008년 7월35,000 SOS[11]
2009년 3월28,250 SOS[12]
2010년 2월33,300 SOS[13]
2011년 10월27,000 SOS[13]
2012년 12월19,000 SOS[14]
2013년 5월15,000 SOS[15]
2014년 3월20,000 SOS[8]
2014년 12월22,000 SOS[16]
2015년 4월23,000 SOS[17]


참조

[1] 웹사이트 Central Bank of Somalia http://somalbanca.or[...] 2011-02-24
[2] 서적 The Banknote Book http://www.banknoteb[...] www.BanknoteNews.com
[3] 웹사이트 CURRENCY http://somalbanca.or[...] 2018-04-15
[4]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05-09-10
[5] 웹사이트 Somalia: Puntland faces worst Currency and Inflation crisis in its history https://www.garoweon[...] 2021-01-14
[6] 웹사이트 Somalia After State Collapse: Chaos or Improvement? http://www.independe[...] 2006-11-30
[7] 웹사이트 Central Bank of Somalia - Monetary policy http://www.somalbanc[...] 2018-04-15
[8] 뉴스 The curious tale of the world-beating Somali shilling http://blogs.ft.com/[...] 2014-03-26
[9] 웹사이트 The United Nations Operational Rates of Exchange https://www.un.org/D[...]
[10] 뉴스 Reuters https://web.archive.[...] Reuters Africa 2008-03-19
[11] 뉴스 The new tsunami In Somalia (inflation) http://www.hiiraan.c[...] 2008-07-28
[12] 문서 http://www.reliefweb[...]
[13] 웹사이트 Exchange Rates http://www.somalbanc[...] 2010-04-26
[14] 웹사이트 CBS Annual Report, 2012 http://media.wix.com[...] Central Bank of Somalia 2013-07-27
[15] 웹사이트 Exchange Rates http://www.centralba[...] Central Bank of Somalia 2013-07-27
[16] 웹사이트 Somali Shilling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4-12-18
[17] 웹사이트 Board of Directors http://www.centralba[...] Central Bank of Somalia 2015-04-30
[18] 문서 高野、232ページ
[19] 문서 同上
[20] 문서 高野、233ページ
[21] 웹사이트 https://macromarketm[...]
[22] 웹사이트 https://banknotenews[...]
[23] 뉴스 2007年6月14日 西日本新聞夕刊
[24] 웹인용 Reuters Africa http://africa.reuter[...] 2008-04-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