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가디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가디슈는 소말리아의 수도이자 주요 도시로,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고대부터 인도양 무역의 중심지였으며, 아랍 상인들의 정착으로 상업 도시로 성장했다. 소말리아 내전의 격전지였으나, 2010년대 이후 재건 노력을 통해 도시 인프라를 개선하고 있다. 소말리아 연방 정부의 소재지이며, 소말리아의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랍 세계 - 튀니스
튀니지는 튀니지의 수도이자 북아프리카 주요 도시로서, 고대 카르타고 위성 도시에서 로마 시대 농업 중심지를 거쳐 아랍 왕조들의 지배와 프랑스 보호령 시기를 지나 튀니지 독립 후 수도가 되었으며, 현재는 경제, 문화, 정치 중심지로서 역사 유적과 현대 도시 시설이 공존한다. - 아랍 세계 - 트리폴리 (리비아)
트리폴리는 리비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며 주요 항구로, 지중해 연안에 위치하여 "지중해의 인어"라고도 불리며, 기원전 7세기 페니키아인들이 건설한 오에아에서 유래하여 오랜 역사 동안 여러 세력의 지배를 거쳐 1951년 리비아 독립 후 수도가 되어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 역할을 하고, 2011년 리비아 내전과 이후 혼란을 겪기도 했다. - 인도양 -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은 오스트레일리아 본토, 태즈메이니아, 뉴기니 섬으로 구성되고 사훌 대륙붕으로 연결되었던 육지이며, 낮고 평평하며 오래된 대륙으로 독특한 생물상과 문화를 지니고 원주민 거주 후 유럽의 탐험과 식민화를 거쳐 현재는 오스트레일리아 연방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와 경제 활동이 공존한다. - 인도양 - 인도양 다이폴
인도양 다이폴은 인도양 해수면 온도 변화로 나타나는 비주기적 현상이며, 해수면 온도 분포에 따라 양의, 중립, 음의 세 가지 국면으로 나뉘어 지구 기후, 특히 인도양 주변 지역의 강수량과 몬순에 영향을 미치고, 20세기 후반부터 양의 IOD 발생 빈도와 강도 증가 추세와 함께 이상 기후 현상과의 관련성이 주목받고 있다. - 소말리아의 도시 - 갈카요
갈카요는 소말리아 북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호비오 술탄국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씨족 간 분쟁과 내전을 겪으며 푼트랜드와 갈무두그로 분할되었고, 현재는 양측의 행정 구역이 공존하며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 소말리아의 도시 - 베르베라
베르베라는 소말리아 북부의 항구 도시로, 역사적으로 아덴 만의 주요 무역 중심지였으며, 현대에는 항만 확장과 항공 교통 연결을 통해 지역 무역 및 물류 허브로 발전하고 있다.
모가디슈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모가디슈 |
아랍어 표기 | مقديشو |
소말리어 표기 | Muqdisho |
다른 이름 | 하마르 (소말리어) حمر (아랍어) 모가디시오 (이탈리아어) |
별칭 | 하마르 |
국가 | 소말리아 |
행정 구역 | 바나디르 |
시장 | 유수프 후세인 지말레 |
시장 직책 | 시장 |
설립일 | 720년 |
도시 유형 | 수도 |
면적 | 도시 지역: 127 제곱킬로미터 |
도시권 면적 | 96,878 제곱킬로미터 |
고도 | 9 미터 |
인구 (2024년) | 4,726,815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인구 통계 | 마크디샤위 또는 하마라위 |
인간 개발 지수 (2021년) | 0.459 (낮음) 1위 |
기후 | BSh |
시간대 | 동아프리카 시간 |
UTC 오프셋 | +03:00 |
일광 절약 시간제 | 미관찰 |
공식 웹사이트 | 모가디슈 정부 공식 웹사이트 |
로마자 표기 | Mogadishu /ˌmɒɡəˈdɪʃuː/ also /ˌmoʊɡəˈdɪʃuː/ also /ˌmɔːɡ-/ Muqdisho /muq'diʃo/ Xamar /ħamar/ |
정치 및 정부 | |
정치 체제 | 연방 정부 체제 |
이미지 | |
![]() | |
기타 정보 | |
ISO 3166 코드 | SO-BN |
2. 역사
인도양 해안의 베나디르 지역에 위치한 모가디슈는 수세기 동안 중요한 지역 항구 역할을 해왔다. 1991년 중앙 정부 붕괴 이후, 내전으로 인해 큰 혼란을 겪었으며, 2009년 당시 인구는 130만 명이었으나[247], 150만 명에서 300만 명 사이로 추정될 정도로 유동적이었다.
1993년에는 모가디슈 전투가 발생하여 미군 및 파키스탄군과 소말리아 민병대 간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2012년 9월 10일, 하산 셰이크 모하무드가 연방 의회에서 새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취임하면서 모가디슈는 다시 국가 수도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시작했다.
2. 1. 고대
에리트리아해의 항해일지에 따르면, 1세기경 인도양을 따라 모가디슈 지역의 소말리족과 다른 공동체 간의 무역이 이루어졌다.[18] 서기 900년경 아라비아 반도 출신 무슬림 무역업자들이 도착하면서, 모가디슈는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다.모가디슈는 도시 형성 초기에 페르시아의 영향을 받았으며, '모가디슈'라는 이름은 아랍어로 "샤의 소재지"를 뜻하는 '마카드샤'(Maq'ad Shah)에서 유래했다.[246]

고대 도시 사라피온은 모가디슈의 전신으로 여겨지며, 기원 1세기경의 그리스 여행 기록인 『에리트리아해의 항해일지』에 소말리아 해안의 여러 무역항 중 하나로 언급되어 있다.[32] 고대 시대에 모가디슈는 소말리아 도시 국가의 일부였으며, 소말리아인 상인들을 페니키아, 프톨레마이오스 이집트, 그리스, 파르티아 페르시아, 사바이아인, 나바테아, 로마 제국과 연결하는 무역망에 참여했다. 소말리아 선원들은 ''베덴''이라는 고대 소말리아 해양 선박을 사용하여 화물을 운반했다.[19][20]
모가디슈의 건국 민족과 술탄국에 대해서는 소말리아 연구에서 많은 논의가 있었지만, 현대 학자들은 19세기의 책인 키타브 알-주누즈(Kitab Al-Zunuj)가 신뢰할 수 없고 역사적이지 않다고 평가한다.[24][25][26][27] 이는 소말리아 해안에서 번성했던 기존 문명과 공동체에 대한 구전, 고대 문서 및 고고학적 증거와 모순되기 때문이다. 페르시아와 아랍 건국에 대한 "신화"는 아프리카인들이 스스로 정교한 국가를 건설할 수 있다는 능력에 대한 시대에 뒤떨어진 잘못된 식민주의적 반영으로 간주된다.[28] 소말리아 해안에는 이미 소말리아 민족 지도자들이 있는 공동체들이 존재했으며, 아랍과 페르시아 가문들은 그들의 도시에 정착하기 위해 허락을 구해야 했었다는 것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또한, 무슬림 이민자들은 현지 언어와 문화를 채택함으로써 동화 과정을 거쳤고, 현지 소말리아인들은 해안에서 정치적, 수적으로 우위를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29][30]
모가디슈는 제일라와 다른 소말리아 해안 도시들과 함께 내륙 무역을 포함하는 토착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건설되었으며, 이는 상당한 아랍인들의 이주나 소말리아 해안과의 무역 이전에 일어났다. 이는 약 4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고고학적 및 문헌적 증거에 의해 뒷받침된다.[31]
이븐 바투타가 14세기에 술탄국을 방문했을 때, 그는 술탄이 바르바리아 출신이라고 밝혔는데,[33] 이는 소말리아 사람들의 조상을 묘사하는 고대 용어이다. 로스 E. 던에 따르면 모가디슈나 해안의 다른 도시들은 아랍인이나 페르시아인들의 이질적인 지역으로 간주될 수 없으며, 사실상 아프리카 도시들이었다.[34]
야쿠트 알 하마위는 1220년에 무슬림 중세 지리학자로 모가디슈를 해안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로 묘사했다. 야쿠트는 또한 모가디슈를 "검은 피부"를 가진 베르베르인들이 거주하는 도시로 언급했는데, 이들은 현대 소말리아인들의 조상으로 여겨진다.[35] 13세기까지 이븐 사이드는 베나디르 해안에 위치한 모가디슈, 메르카, 바라와가 인도양의 이슬람과 상업 중심지가 되었음을 설명했다. 그는 베나디르 해안과 내륙의 주민들은 대부분 소말리아인들이었고, 소수의 아랍인, 페르시아인, 인도 상인들이 해안 도시에 살고 있었다고 말했다.[36] 이븐 알 무자위르는 1159년 예멘의 뮌디리야 지역에서 도망쳐 모가디슈에 정착한 바누 마지드와 아비안과 하람 항구 도시의 상인들을 언급한다.[37]
모가디슈는 전통적으로 네 개의 씨족이 거주하고 있다. 이들은 무르셰, 이스카샤토, 다바르웨이네, 그리고 반다우이다.[38] 무르셰는 모가디슈에서 가장 오래된 집단으로 여겨지며, 아프리카에서 가장 강력한 중세 왕국 중 하나인 아주란 술탄국을 세운 아주란의 하위 씨족으로 간주된다.[39] 베나디르의 기빌 마도우(검은 피부) 파벌은 대부분을 차지하는 내륙 소말리아 씨족 그룹 출신으로 여겨지며, 소수는 무슬림 이민자 출신인 기빌 카드스(밝은 피부)이다.[40][41]
2. 2. 중세
인도양을 따라 이루어진 무역은 일찍이 1세기경 모가디슈 지역의 소말리족과 다른 공동체들을 연결했다. 서기 900년경 아라비아 반도 출신 무슬림 무역업자들이 도착하면서, 모가디슈는 상업 중심지로 부상했다.
모가디슈는 도시 형성 초기에 페르시아의 영향을 받았다. 모가디슈라는 이름은 아랍어로 "샤의 소재지"를 뜻하는 '마카드샤'(Maq'ad Shah)에서 유래했다.[246] 고대 도시 사라피온은 모가디슈의 전신으로 여겨지며, 기원 1세기경의 그리스 여행 기록인 『에리트리아해의 항해일지』에 소말리아 해안의 여러 무역항 중 하나로 언급되어 있다.
고대에 모가디슈는 소말리아 도시 국가의 일부였으며, 소말리아인 상인들을 페니키아, 프톨레마이오스 이집트, 그리스, 파르티아 페르시아, 사바이아인, 나바테아, 로마 제국과 연결하는 무역망에 참여했다. 소말리아 선원들은 ''베덴''이라는 고대 소말리아 해양 선박을 사용하여 화물을 운반했다.[19][20]
모가디슈의 건국 민족과 술탄국에 대해서는 소말리아 연구에서 많은 논의가 있었다. 아이언 루이스와 엔리코 체룰리는 모가디슈가 아랍과 페르시아 가문들의 의회에 의해 건설되고 통치되었다고 믿었다.[21][22][23] 그러나 이들의 자료는 19세기의 책인 키타브 알-주누즈(Kitab Al-Zunuj)가 유일한데, 이 책은 현대 학자들에 의해 신뢰할 수 없고 역사적이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24][25][26][27] 이는 소말리아 해안에서 번성했던 기존 문명과 공동체들, 모가디슈와 다른 해안 도시들의 선조들에 대한 구전, 고대 문서 및 고고학적 증거와 모순된다. 따라서 페르시아와 아랍 건국에 대한 "신화"는 아프리카인들이 스스로 국가를 건설할 수 있다는 능력에 대한 시대에 뒤떨어진 잘못된 식민주의적 반영으로 간주된다.[28] 현재는 소말리아 해안에 이미 소말리아 민족 지도자들이 있는 공동체들이 존재했으며, 아랍과 페르시아 가문들은 그들의 도시에 정착하기 위해 허락을 구해야 했다는 것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또한, 무슬림 이민자들은 현지 언어와 문화를 채택하여 동화되었고, 현지 소말리아인들은 해안에서 정치적, 수적으로 우위를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29][30]
모가디슈는 제일라 등 다른 소말리아 해안 도시들과 함께 내륙 무역을 포함하는 토착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건설되었으며, 이는 상당한 아랍인들의 이주나 소말리아 해안과의 무역 이전에 일어났다. 이는 약 4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고고학적 및 문헌적 증거로 뒷받침된다.[31] 기원 1세기의 그리스 문서인 에리트리아해의 항해기는 고대 소말리아의 여러 항구 도시들을 설명하고, 고대 사라피온을 나중에 모가디슈로 알려지게 될 도시와 동일시한다.[32] 이븐 바투타가 14세기에 술탄국을 방문했을 때, 그는 술탄이 소말리아 사람들의 조상을 묘사하는 고대 용어인 바르바리아 출신이라고 밝혔다.[33] 로스 E. 던에 따르면 모가디슈나 해안의 다른 도시들은 아랍인이나 페르시아인들의 이질적인 지역이 아니라, 사실상 아프리카 도시들이었다.[34]
야쿠트 알 하마위는 1220년에 무슬림 중세 지리학자로 모가디슈를 해안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로 묘사했다. 야쿠트는 또한 모가디슈를 현대 소말리아인들의 조상으로 여겨지는 "검은 피부"를 가진 베르베르인들이 거주하는 도시로 언급했다.[35] 13세기까지 이븐 사이드는 베나디르 해안에 위치한 모가디슈, 메르카, 바라와가 인도양의 이슬람과 상업 중심지가 되었음을 설명했다. 그는 베나디르 해안과 내륙의 주민들은 대부분 소말리아인들이었고, 소수의 아랍인, 페르시아인, 인도 상인들이 해안 도시에 살고 있었다고 말했다.[36] 이븐 알 무자위르는 1159년 예멘의 뮌디리야 지역에서 도망쳐 모가디슈에 정착한 바누 마지드와 아비안과 하람 항구 도시의 상인들을 언급한다.[37]
모가디슈에는 전통적으로 네 개의 씨족이 거주하고 있다. 이들은 무르셰, 이스카샤토, 다바르웨이네, 그리고 반다우이다.[38] 무르셰는 모가디슈에서 가장 오래된 집단으로 여겨지며, 아프리카에서 가장 강력한 중세 왕국 중 하나인 아주란 술탄국을 세운 아주란의 하위 씨족으로 간주된다.[39] 베나디르의 기빌 마도우(검은 피부) 파벌은 대부분 내륙 소말리아 씨족 그룹 출신이며, 소수는 무슬림 이민자 출신인 기빌 카드스(밝은 피부)이다.[40][41]
모가디슈 술탄국은 소말리아 남부를 중심으로 한 중세 소말리아 술탄국이었다. 13세기에 확장되던 아주란 제국의 일부가 되기 전, 파크르 아드-딘(Fakhr ad-Din)의 통치 아래 아프리카의 뿔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세력 중 하나로 부상했다.[42] 모가디슈 술탄국은 광대한 무역 네트워크를 유지하고, 지역 금 무역을 지배했으며, 자체 화폐를 주조했고, 오늘날 소말리아 남부에 광범위한 건축 유산을 남겼다.[43] 내륙의 인근 해안 도시들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던 지역 도시 국가였다.[44][45]
수년 동안 모가디슈는 중세 아랍어 사용자들이 소말리아 해안을 부르던 بلد البربر|Bilad al Barbar|베르베르인의 땅ar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로 기능했다.[46][47][48][49] 12세기 시리아 역사가 야쿠트 알 하마위(그리스계 출신의 전 노예)는 모가디슈를 방문한 후 그곳을 지역에서 가장 부유하고 강력한 도시이자 인도양을 넘나드는 이슬람 중심지라고 묘사했다.[50][51]

이븐 사이드 알 마그리비(1213~1286)는 자신의 여행 기록에서 모가디슈가 이미 그 지역의 주요 이슬람 중심지가 되었음을 언급했다.[52] 탕헤르 출신 여행가 이븐 바투타가 1331년 소말리아 해안에 도착했을 때, 이 도시는 번영의 절정에 달해 있었다. 그는 모가디슈를 "매우 큰 도시"로 묘사하며, 부유한 상인들이 많고, 마므룩 술탄국이 지배하는 이집트 등 여러 곳으로 수출하는 고품질 직물로 유명하다고 적었다.[53][54] 그는 또한 모가디슈 주민들의 환대를 묘사했다.[55] 바투타는 이 도시가 소말리아 술탄 아부 바크르 이븐 셰이크 우마르에 의해 통치되었음을 언급했다.[56][57] 그는 술탄 아부 바크르가 어두운 피부색을 가지고 있었고 모국어인 소말리어로 말했지만 아랍어에도 능숙했다고 적었다.[58][57][59] 술탄은 대신, 법률 전문가, 지휘관, 내시, 그리고 다른 관리들을 거느리고 있었다.[57] 이븐 칼둔(1332~1406)은 자신의 저서에서 모가디슈를 거대한 대도시라고 언급하며, 인구가 많고 부유한 상인들이 많다고 주장했다.[60]
이 시기에는 이븐 바투타에 의해 말디브의 총독이자 섬의 지도자로 묘사된 모가디슈의 압드 알-아지즈와 같은 주목할 만한 인물들이 나타났다.[61][62][63] 그를 기념하여 모가디슈의 압둘-아지즈 모스크가 세워졌고, 수세기 동안 존속했다.[64]
마다가스카르라는 섬의 이름은 현지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라 중세에 유럽인들에 의해 널리 알려졌다.[65] "마다게이스카르(Madageiscar)"라는 이름은 13세기 베네치아 탐험가 마르코 폴로의 회고록에서 처음 기록되었는데, 폴로가 섬과 혼동했던 모가디슈의 이름을 잘못 표기한 것이다.[66]
15세기에 모가디슈를 지나간 바스쿠 다 가마는 이 도시가 4층 또는 5층짜리 집들과 중앙에 큰 궁전들, 그리고 원통형 첨탑이 있는 많은 모스크들이 있는 큰 도시라고 언급했다.[67] 16세기에 두아르테 바르보사는 캄바야 왕국에서 많은 배들이 천과 향신료를 싣고 모가디슈로 항해하여 금, 밀랍, 상아를 얻었다고 기록했다. 바르보사는 또한 해안 시장에 고기, 밀, 보리, 말, 과일이 풍부하여 상인들에게 막대한 부를 가져다주었다고 강조했다.[68] 이집트와 시리아 시장을 위해 특화된 "투브 베나디르(toob benadir)"로 알려진 번성하는 직조 산업의 중심지였던 모가디슈[69]는 메르카와 바라와와 함께 몸바사와 말린디 출신 스와힐리 상인들과 킬와의 금 무역의 중간 기착지 역할을 했다.[70] 오르무즈의 유대인 상인들도 인도 직물과 과일을 소말리아 해안으로 가져왔다.[71]
1542년 포르투갈 사령관 주앙 드 세푸벨다는 소말리아 해안 원정에 소규모 함대를 이끌었다. 이 원정 중에 그는 잠시 모가디슈를 공격하여 오스만 배를 나포하고 도시에 사격을 가했는데, 이로 인해 모가디슈 술탄은 포르투갈과 평화 조약을 체결하게 되었다.[73]
16세기 탐험가 레오 아프리카누스에 따르면, 모가디슈 정치체의 원주민들은 아달 술탄국의 수도인 제일라 북부 주민들과 같은 기원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키가 크고 올리브색 피부를 가졌으며, 일부는 더 어두웠다. 그들은 전통적으로 몸에 감싼 풍부한 흰색 실크를 입고 이슬람식 터번을 쓰고, 해안 주민들은 옷을 입고 아랍어를 공용어로 사용했다. 그들의 무기는 칼, 단검, 창, 전투 도끼, 활과 화살과 같은 전통적인 소말리아 무기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그들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도움을 받았으며, 머스킷과 대포와 같은 화기를 수입했다. 대부분은 무슬림이었지만, 일부는 와악(pre-Islamic beliefs)과 같은 이슬람 이전의 신앙을 고수했으며, 내륙에는 몇몇 정교회 테와헤도 기독교인들이 있었다. 모가디슈 자체는 부유하고 잘 건설된 도시 국가로, 전 세계의 왕국들과 상업 무역을 유지했다.[74] 대도시는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75][76]
아주란 술탄국은 17세기에 백성들에게 과도한 세금을 부과한 결과 붕괴되었고, 반란이 시작되었다. 압가알은 셰벨레 강 유역과 모가디슈로 이주했다. 내륙의 새로운 지도자들과 연계된 압가알 야쿠브 이맘이 이끄는 새로운 정치 엘리트가 도시의 상가니 지역으로 이주했다. 아주란의 잔존 세력은 하마르웨이네 지역의 다른 주요 지역에 거주했다. 압가알이 기존의 무역망을 장악했기 때문에 아주란 상인들은 새로운 연계와 지역 무역 기회를 찾기 시작했다.[77][78]
2. 3. 근대
17세기까지 히라브 이맘국(Hiraab Imamate)은 소말리아 남부와 중부 지역 대부분을 지배하는 강력한 왕국이었다. 히라브 이맘국은 아주란 술탄국(Ajuran Sultanate)에 성공적으로 반란을 일으켜 1700년대부터 최소 2세기 동안 독립적인 통치를 수립했다.[79]19세기 후반, 이맘국은 내부 문제로 쇠퇴하기 시작했으며, 해안 지역의 잔지바르 술탄과 내륙의 겔레디 술탄국(Geledi Sultanate) 및 호비오 술탄국(Hobyo Sultanate)으로부터 제국주의 왕국들의 도전에 직면했다.[80]

겔레디 술탄국(Geledi Sultanate)과 오만 제국(Omani Empire)은 베나디르 해안(Benadir Coast)에서 누가 최고의 권력을 가질 것인가를 다투었고, 궁극적으로 술탄 유수프 마하무드(Sultan Yusuf Mahamud Ibrahim)가 우세한 세력이 되었다. 오만인들은 명목상의 존재였고, 사이드 빈 술탄(Said bin Sultan)조차도 모가디슈에 오만 대표를 유지하기 위해 그에게 조공을 바쳤다.[81] 아브갈(Abgaal)의 지배하에 있던 모가디슈는 히라브 이마마트(Hiraab Imamate) 말기에 쇠퇴와 혼란의 시기를 겪었다. 각 지역(샹가니(Shangani District)와 하마르웨인(Hamar Weyne District))의 두 지도자 간의 갈등 이후, 술탄 유수프는 8,000명의 군대를 이끌고 도시로 진군하여 샹가니 지도자를 지지했고, 패배한 지도자는 도시에서 도망쳤다. 유수프는 폐위된 수장의 친척을 하마르웨인 지역을 이끌도록 임명하여 분쟁을 종식시켰다.[82]
소말리아의 정치적 쇠퇴에도 불구하고, 게레디 술탄 아흐메드 유수프(Ahmed Yusuf (Gobroon))의 통치 기간 동안 겔레디 술탄국(Geledi Sultanate)과의 무역은 번영했다. 영국의 탐험가 존 커크(John Kirk (explorer))는 1873년에 이 지역을 방문하여 여러 가지 사실들을 기록했다. 모가디슈와 메르카(Merka)에는 내륙 게레디의 농장에서 생산된 곡물로 가득 찬 약 20척의 대형 도우(dhow)가 정박해 있었다. 커크는 모가디슈를 통치하는 이맘 마무드(Imam Mahmood)를 만났다. 셰벨레 강(Shabelle) 자체는 커크에 의해 '게레디 강'이라고 불렸는데, 이는 술탄국이 생산한 곡물의 양을 고려한 것일 수 있다. 바라와(Barawa)에는 곡물이 거의 없었고, 대신 상당량의 상아와 가죽이 이미 잔지바르(Zanzibar)로 향하는 배에 실려 있었다.[84]
게레디 술탄들은 그들의 권력의 절정에 달해 있었다. 그들은 동아프리카 상아(ivory) 무역을 지배했고, 내륙의 주바 계곡(Jubba Valley)과 셰벨레 계곡(Shebelle Valley)에도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러나 모가디슈에서 오만 술탄의 권위는 대부분 명목상의 것이었다(이름만 존재했다).[85][86] 무스카트와 오만의 술탄 아잔 빈 카이스(Imam Azzan bin Qais, Sultan of Muscat and Oman)가 도시에 요새를 건설하려고 했을 때, 그는 실제 권력자인 술탄 아흐메드 유수프(Sultan Ahmed Yusuf (Gobroon))에게 허락을 요청해야 했고, 아흐메드 유수프는 히라브 이맘을 설득하여 그 결정에 동의하게 했다.[87] 오만, 그리고 후에 잔지바르 관리들은 관세를 징수하기 위한 술탄의 단순한 대표자였고, 도시를 통제하기 위해서라기보다는 자신의 안전을 위해 요새가 필요했다.[88][85] 가레사 요새(Fort of Garessa)는 결국 1870년에 건설되었다.[89] 잔지바르 술탄은 나중에 자신이 건설한 기반 시설을 이탈리아인들에게 임대하고 판매했지만, 토지 자체는 소말리아 소유였다.[90]


1905년 이탈리아는 새로 설립된 이탈리아 소말릴란드(Italian Somaliland)의 수도로 모가디슈(Mogadishu)를 정했다. 이탈리아인들은 이후 도시 이름을 '모가디시오(Mogadiscio)'라고 표기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주변 영토는 일부 저항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의 통제하에 들어왔다.
수천 명의 이탈리아인과 이탈리아 제국의 다른 사람들이 모가디슈에 정착하여 소말리아 전역에 소규모 제조 회사를 설립했다. 그들은 또한 수도 근처 남부 지역, 예를 들어 자날레(Janale)와 '빌라지오 두카 델리 아브루치'(Villaggio duca degli Abruzzi)(현재의 조하르(Jowhar))와 같은 농업 지역을 개발했다. 1930년대에는 새로운 건물과 도로가 건설되었다. 모가디슈에서 조하르까지 114km의 협궤 철도가 부설되었다. '스트라다 임페리알레'(Strada Imperiale)라는 아스팔트 도로도 건설되어 모가디슈와 아디스아바바(Addis Ababa)를 연결할 계획이었다.
1940년 이탈리아-소말리아(Italo-Somali) 인구는 22,000명으로, 50,000명의 도시 인구의 44% 이상을 차지했다.[91][92] 모가디슈는 이탈리아 소말릴란드의 존재 기간 내내 수도로 남아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1년 2월 영국군에 점령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모가디슈는 유엔(UNO)의 위임 통치하에 이탈리아가 관리하는 신탁 통치 지역인 소말릴란드 신탁통치령(Trust Territory of Somaliland)의 수도가 되어 10년(1950년~1960년) 동안 그 역할을 수행했다.
2. 4. 현대
인도양 해안에 위치한 모가디슈는 수세기 동안 중요한 항구 도시 역할을 해왔다. 1991년 중앙 정부 붕괴 이후, 모가디슈는 내전으로 인해 큰 혼란을 겪었다. 2009년 당시 인구는 130만 명이었으나[247], 내전으로 인해 150만 명에서 300만 명 사이로 추정될 정도로 유동적이었다.
2012년 9월 10일, 하산 셰이크 모하무드가 연방 의회에서 새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취임하면서 모가디슈는 다시 국가 수도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시작했다.
2. 4. 1. 소말리아 내전
1991년 중앙 정부가 붕괴되면서, 모가디슈는 적대적인 민병대 간의 계속된 교전으로 혼란에 빠졌다. 민병대와 정부군 간의 충돌은 시민 불안을 야기했고, 에티오피아인 거주에 반대하는 폭동은 모가디슈를 세계에서 가장 위험하고 무법적인 도시로 만들었다.[248] 이러한 무정부 상태가 지속되자 많은 외국 대사관이 문을 닫고 외교관과 교민들을 철수시켰다.1993년에는 모가디슈 전투가 발생하여 미군 및 파키스탄군과 소말리아 민병대 간의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1970년대부터 계속된 소말리아 내전에서 1990년 반군이 모가디슈를 점령했다. 이후 반군 내부의 부족 간, 파벌 간의 갈등이 심화되어 도시는 크게 파괴되었다. 1992년부터 1995년까지 내전에 개입한 UN 평화유지군이 주둔했지만, 1993년 10월 미군과 아이디드 파 민병대 간의 전투로 미군 병사 18명, 말레이시아 병사 1명이 사망하고 소말리아인들도 많은 사상자를 냈다(모가디슈 전투).
모가디슈는 인도주의적 지원자에 대한 공격과 부족 간 분쟁이 계속되어 매우 위험한 상태이다.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소말리아 과도 연방 정부가 있었지만, 2006년 6월 이슬람 법정 연합(UIC)이 미국의 지원을 받는 "평화 회복과 대테러 동맹"을 격파하고 사실상 지배하기 시작했다. UIC는 엄격한 이슬람 율법을 시행하여 치안을 회복하고 모가디슈 국제공항과 항구를 개방하여 아랍에미리트와의 교류를 시작했다고 한다. 그러나 상황은 악화되어 2006년 12월 소말리아 과도 연방 정부군이 에티오피아군의 지원을 받아 모가디슈를 일시 점령했고, 아프리카 연합군이 치안 유지에 나섰다. 이후에도 이슬람 무장 세력과 소말리아 과도 연방 정부 간의 세력 다툼이 이어졌지만, 2008년 8월 소말리아 과도 연방 정부와 UIC의 후신인 ARS 온건파가 지부티 합의(휴전 등)에 서명했다.
2017년 10월에는 트럭 폭탄 테러로 500명 이상이 사망했고, 2022년 10월에도 교육부 앞에서 폭발이 발생하여 100명 이상이 사망하는 등 테러가 계속되고 있다.[242]
2. 4. 2. 재건 노력
2011년 8월, 알샤바브 무장단체는 모가디슈에서 전략적 철수를 단행하여 게릴라 전술로 전환했다.[114] 모하메드 누르 시장은 이 기회를 도시 안정화 및 재건에 매우 중요한 것으로 보았다. 유엔, USAID, DRC와 긴밀히 협력하여 누르 시장의 행정부는 도로 및 일반 인프라의 대규모 재건을 시작했고, 주민들은 치안 당국과 협력하여 치안을 강화했다.[115] 누르 시장은 자원이 제한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모가디슈를 변화시킬 기회를 인식했다. 도시 전략가 미첼 시퍼스와 협력하여 베나디르 정부는 전후 재건을 위한 데이터 기반 접근 방식을 설계하고 배포하고자 했다.[116]2012년 새로운 헌법이 통과되고 새로운 연방 정부의 초대 대통령이 선출됨에 따라, 시장직은 모가디슈의 지속적인 전후 재건을 감독했다. 초기 시범 사업을 바탕으로 베나디르 행정부는 도시 전체의 도로 명명, 주택 번호 부여 및 우편 번호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공식적으로 주택 번호 및 우편 번호 시스템이라고 불리는 이 프로젝트는 시 당국과 소말리아 사업계 대표의 공동 이니셔티브이다. 누르 시장에 따르면, 이 계획은 당국이 치안을 강화하고 주택 소유권 분쟁을 해결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한다.[117] 현재 모가디슈 대도시권을 포함하여 156개 지역과 하위 지역에 우편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118]
3. 지리
모가디슈는 동아프리카의 뿔 지역, 인도양 연안에 위치한 소말리아 남동부 바나디르 행정 지역(고볼)에 자리 잡고 있다.[119] 이 지역은 도시와 면적이 같으며, 역사적인 베나디르 주보다 훨씬 작다. 도시는 아브디아지즈, 본드헤레, 데이닐레, 드하르켄리, 하마르야자브, 하마르웨이네, 헬리와, 호단, 하울와다그, 카란, 상가니, 시비스, 와베리, 와다지르, 와르디글리, 야크시드 등 18개 구역으로 나뉜다.[120] 도시의 특징으로는 하마르웨인 구시가지, 바카라 시장, 게지라 해변 등이 있으며, 모래 해변에는 활기찬 산호초가 있어 관광 리조트가 들어설 최적의 부동산으로 여겨진다.[121]
셰벨레 강(Webiga Shabelle)은 에티오피아 중부에서 발원하여 모가디슈 근처 인도양에서 약 30km 떨어진 곳까지 이어진 후 남서쪽으로 흐르며, 2월과 3월에는 보통 건조하지만 사탕수수, 목화, 바나나 재배에 필요한 물을 제공한다.[122] 게지라 해변을 비롯하여 이전에는 리조트였던 해변이 있으나, 내전 중에는 사실상 폐쇄 상태였다. 2011년부터 리드(북위 2.037084, 동경 45.357548)에서 해수욕이 재개되었다.[243] 에티오피아 중부에서 인도양으로 향하는 셰벨 강은 도시에서 30km 떨어진 곳에서 해안선과 평행하게 흐르다가 키스마요 근처에서 주바 강과 합류한다.
3. 1. 기후

모가디슈는 적도 근처에 위치하지만 건조한 기후를 가지고 있다. 소말리아 남동부 대부분과 마찬가지로 쾨펜 기후 구분(BShw)에 따른 더운 준건조 기후로 분류된다. 여름(6월~8월)이 가장 춥고 비가 많이 오는 계절이다. 반대로 소말리아 북부의 도시들은 일반적으로 열대 사막 기후(쾨펜 BWh)를 갖는다.[123] 도시가 상대적으로 건조하지만, 해안 위치 때문에 상대 습도는 상당히 높아 연평균 79%이다.
모가디슈는 홀드리지 세계 생물 기후 체계의 열대 가시 관목림 생물군계에 위치하거나 그 근처에 위치한다. 연중 평균 기온은 27°C이며, 평균 최고 기온은 30°C, 평균 최저 기온은 24°C이다. 월별 평균 기온은 3°C 정도 차이가 나는데, 이는 초해양성 및 아형의 진정 초해양성 대륙성 유형에 해당한다. 연간 강수량은 평균 429.2mm이며, 연간 강우일수는 47일로, 연간 일일 강우 확률은 12%이다. 이 도시는 연간 평균 3,066시간의 일조시간을 가지며, 하루 평균 8.4시간의 일광을 받는다. 하루 평균 일광 시간은 8시간 24분이며, 가능 일조 시간의 비율은 70%이다. 월 21일 정오의 평균 태양 고도는 75%이다.[124]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30.2 | 30.2 | 30.9 | 32.2 | 31.2 | 29.6 | 28.6 | 28.6 | 29.4 | 30.2 | 30.6 | 30.8 | 30.2 |
평균 최저 기온 (°C) | 23.0 | 23.4 | 24.9 | 25.6 | 24.9 | 23.7 | 23.1 | 23.0 | 23.4 | 24.3 | 24.2 | 23.5 | 23.9 |
평균 강수량 (mm) | 0 | 0 | 8 | 61 | 61 | 82 | 64 | 44 | 25 | 32 | 43 | 9 | 428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0.3 | 0.1 | 0.6 | 4.8 | 6.7 | 12.7 | 13.3 | 10.2 | 4.9 | 3.9 | 4.1 | 1.5 | 63.0 |
평균 상대 습도 (%) | 78 | 78 | 77 | 77 | 80 | 80 | 81 | 81 | 81 | 80 | 79 | 79 | 79 |
평균 일조 시간 | 266.6 | 251.4 | 282.1 | 261.0 | 272.8 | 219.0 | 226.3 | 254.2 | 264.0 | 266.6 | 261.0 | 257.3 | 3066.6 |
평균 일일 일조 시간 | 8.6 | 8.9 | 9.1 | 8.7 | 8.8 | 7.3 | 7.3 | 8.2 | 8.8 | 8.6 | 8.7 | 8.3 | 8.4 |
자료 출처 1: 독일 기상청[251]
자료 출처 2: 식량농업기구: 소말리아 물 및 토지 관리 (일조율)[252]
4. 인구
모가디슈 인구는 위 표와 같이 변화했다. 이 표의 출처는 이탈리아 소말릴란드, 영국군사행정부, 국제연합 및 모가디슈 시 당국의 추산 및 인구 조사이며, 행정 구역 변경에 따라 인구 규모가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249][250]
모가디슈에는 모든 소말리아 씨족 가문이 거주하며, 그중에서도 압가알(Abgaal)과 무루사데(Murusade) 씨족이 가장 큰 세력을 차지한다.[159][160][161][162] 도시 건설 초기부터 거주해 온 소말리아인 외에도 여러 소수 민족이 역사적으로 모가디슈에 살았다. 이슬람 전파와 함께 중세 시대에 아랍과 페르시아 이주민들이 정착하기 시작했다. 여러 민족 집단 간 수세기에 걸친 혼혈로 베나디리인이라는 소수 민족이 생겨났으며, 주로 모가디슈의 가장 오래된 지역에 거주한다.[163] 식민지 시대에는 이탈리아인을 비롯한 유럽인 이주민들도 도시의 다국적 인구에 기여했다.
2012년 도시 치안 상황이 크게 개선된 후, 소말리아 이주민들과 디아스포라가 투자 기회를 얻고 분쟁 후 재건에 참여하기 위해 모가디슈로 돌아오기 시작했다.[164] 소말리아 디아스포라 군단 같은 민간 노력과 공공 사업을 통해 학교, 병원, 은행 및 기타 기반 시설 개보수에 참여했다.[164][165] 또한 지역 부동산 시장 활성화에도 기여했다.[166] 2015년 이후 모가디슈와 북부 지역 여러 곳에서 특히 예멘에서 돌아오는 사람들이나 전쟁으로 폐허가 된 아랍 국가, 특히 예멘인과 시리아인 난민, 이주민 증가를 목격했다.[167][168]
데모그라피아(Demographia)에 따르면, 2017년 4월 기준 모가디슈 인구는 약 2,425,000명이다. 인구 규모로 세계 210위 도시이다. 도시 지역은 91km2이며, 인구 밀도는 약 26800PD/km2이다.[169] UNFPA는 2016년 예정된 국민투표와 지방 및 전국 선거에 앞서 마무리될 예정인 이 프로젝트에서 소말리아 정부를 지원했다.[170]
5. 정치
소말리아 연방 정부는 수도 모가디슈에 자리 잡고 있다. 과도연방정부(TFG)는 2004년부터 2012년까지 소말리아의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중앙 정부였다. 모가디슈에 본부를 둔 이 정부는 정부의 행정부를 구성했다.
소말리아 연방 정부는 2012년 8월 20일에 TFG의 임시 권한이 종료된 후 수립되었다.[127] 이는 내전 시작 이후 이 나라의 첫 번째 상설 중앙 정부였다.[127] 소말리아 연방 의회는 정부의 입법부 역할을 한다.[128]
모가디슈 시정부는 오마르 모하무드 모하메드(오마르 피니시)가 이끌고 있다. 그는 2019년 8월 오스만이 그의 사무실을 겨냥한 자살 폭탄 테러로 사망한 후, 오마르 압디라만 오스만(야리소우)을 계승했다.[129][130]
시정부의 개발 계획에는 다음이 포함된다.[131]
- 1억 달러 규모의 도시 재생 프로젝트
- 쓰레기 처리 및 소각 시설 건설
- 시 전역 청소 프로젝트 시작
- 아스팔트 및 시멘트 공장 건설
- 시청 및 의회 건물 재건
- 전 국방부 청사 재건
- 교정 시설 재건
- 의료 시설 재건 및 건설
- 경찰 훈련 센터 설립
- 새로운 소말리아군을 위한 자시라(Jasiira)에 상설 기지 설립
- 소말리아 우정청 본사 재건
- 여러 지역의 공공 놀이터 재건
2014년 1월 베나디르(Benadir) 행정부는 주택 번호 및 우편 번호 시스템을 시작했다.[117] 같은 해 3월에는 주민등록증 발급도 시작했다.[132] 또한, 시 당국은 2014년 9월 수도의 전 피쇼 구베르노(Fisho Guverno) 단지 등 주요 지방 정부 센터의 개보수 공사를 시작했다.[133] 2015년 1월 베나디르 행정부는 도시의 보건 및 안전 실태를 감독하기 위해 새로운 보건 및 안전 사무소를 개설했고,[134] 다양한 국제 회의 개최를 앞두고 도시 미화 캠페인을 시작했다.[135]
2015년 3월, 베나디르 행정부는 EU와 유엔-해비타트와 함께 SECIL 프로젝트를 완료했다. 350만유로 규모의 이 프로젝트는 3년 반 동안 진행되었으며, 다음을 구축했다.
- 모가디슈에 지속 가능한 쓰레기 수거 시스템
- 기술 훈련 센터
- 수질 검사 실험실
- 깨끗한 식수에 대한 접근성 개선
- 저가 연료 생산 부문의 고용 및 생계 기회 개선
- 건설 부문의 기술 훈련 및 규제 강화
- 건축 자재 품질 검사 실험실[136]

많은 국가들이 모가디슈에 외국 대사관과 영사관을 두고 있다. 2014년 1월 기준으로, 다음 대사관들이 포함된다.
모가디슈에 재개관 예정인 대사관으로는 이집트, 아랍에미리트, 이탈리아, 대한민국의 대사관이 있다.[137]
2015년 5월, 소말리아의 사회정치적 발전과 효과적인 통치로의 복귀를 인정하여 미국 국무장관 존 케리는 모가디슈에 미국 대사관을 재설립하기 위한 예비 계획을 발표했다. 그는 대사관 재개관 시점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미국 정부가 즉시 소말리아 내 외교 대표부를 강화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140] 소말리아 대통령 하산 셰이크 모하무드와 총리 오마르 압디라시드 알리 샤르마르케도 케리에게 새로운 미국 대사관 부지에 대한 부동산 소유권 증서를 제출했다.[141] 모하무드는 동시에 소말리아 주 EU 대표부 수장인 미셸 세르보네 듀르소와 설립 협정에 서명했는데, 이는 유럽 연합 회원국들이 모가디슈에 더 많은 대사관을 개설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EU는 또한 모가디슈에 새로운 EU 대표부 사무소를 개설했다고 발표했다.[142]
2014년 2월, 소말리아 외교 및 국제 협력 장관 압디라만 두알레 베일레는 연방 정부가 모가디슈의 전 외교 연구소를 재개관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 센터는 역사적으로 외교와 국제 관계에 있어 가장 중요한 국가 기관 중 하나였다. 베일레는 또한 연구소의 외교 부서, 정보 및 방송 부서, 도서관을 재설립할 것을 약속했다.[143]
6. 경제
모가디슈는 전통적으로 상업 및 금융 중심지 역할을 해왔다. 유럽과 미국에서 대량 생산된 직물이 수입되기 전에는, 이 도시의 직물이 아라비아 반도와 페르시아 해안까지 널리 운송되었다.[144]
2011년 중반 모가디슈가 평화를 되찾은 이후 경제는 급속도로 성장했다. 소말프루트(SomalFruit) 가공 공장과 현지 코카콜라(Coca-Cola) 공장이 다시 문을 열었고, 후자는 개보수되었다.[131] 2012년 5월에는 소말리아 제1은행(First Somali Bank)이 설립되어 1991년 이후 소말리아 남부에 문을 연 최초의 상업은행이 되었다.[147] 소말리아의 토목기사이자 기업가인 나스라 아길(Nasra Agil)은 도시 최초의 달러샵(Dollar store)을 열었다.[145] 역사적인 중앙은행이 재건되었고, 무민 비즈니스 센터도 건설 중이다.[131]
2012년 11월 이스탄불(Istanbul)시와 튀르키예 적신월사(Turkish Red Crescent)가 현지 건설 현장을 설립하면서 모가디슈 부동산 부문이 활성화되었다. 터키에서 50대의 건설 트럭과 기계가 수입되었다. 이 현장에서는 건설 프로젝트와 기업가를 위한 콘크리트, 아스팔트, 포장 돌을 생산한다. 이스탄불시는 또한 건설 계획을 가속화하기 위해 100명의 전문가를 추가로 파견할 예정이며, 이 계획의 궁극적인 목표는 수도의 기반 시설을 현대화하는 것이다.[146]
2012년 중반, 모가디슈에서는 최초의 기술, 엔터테인먼트, 디자인(TEDx) 컨퍼런스가 개최되었다. 이 행사는 소말리아와 국제 투자자들에게 사업, 개발 및 안보 개선을 보여주기 위해 소말리아 제1은행이 주최했다.[147] 다음 해 수도에서는 연이어 두 번째 TEDx 기업가 컨퍼런스가 열려 새로운 기업과 상업 기회를 강조했으며, 수년 만에 도시 최초의 드라이클리닝(dry cleaning) 사업이 설립되었다.[148]
많은 대기업들이 모가디슈에 본사를 두고 있다. 그중 하나는 2010년에 설립된 에너지 복합기업인 트랜스내셔널 산업 전기 및 가스 회사(Trans-National Industrial Electricity and Gas Company)로, 소말리아 기업 5개를 무역, 금융, 안보, 통신 부문에서 통합하고 있다.[149] 모가디슈에 본사를 둔 다른 기업으로는 소말리아 남부와 중부에서 가장 큰 통신 회사인 호르무드 텔레콤(Hormuud Telecom)이 있다. 텔콤은 수도를 중심으로 하는 또 다른 통신 서비스 제공업체이다. 현지 소말리아 에너지 회사(Somali Energy Company)는 바나디르 지역의 주민과 기업에 전력을 생산, 송전, 배전하는 것을 전문으로 한다.[150] 소말리아계 영국 건축가 알렉산더 유수프(Alexander Yusuf)가 설립한 국제 건축 회사인 빌라 앤 맨션 건축가(Villa and Mansion Architects)는 모가디슈에 지역 사무소를 두고 있다.[151] 2014년 시내에 문을 연 소말리아 국제은행(International Bank of Somalia)은 이슬람 금융(Islamic banking)과 swift code 시스템을 통해 국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152] 이슬람 보험 회사(Islamic Insurance Company)(First Takaful and Re-Takaful Insurance Company)는 수년 만에 도시 최초의 풀 서비스 보험 회사이다.[153] 국가 통화 당국인 소말리아 중앙은행(Central Bank of Somalia) 또한 모가디슈에 본사를 두고 있다.
2013년 6월, 전 총리 압디 파라 쉬르돈(Abdi Farah Shirdon)은 새로운 외국인 투자 법안에 서명했다. 이 법안 초안은 상공부와 정부 변호사들이 함께 작성했다. 내각의 승인을 받은 이 법안은 모가디슈와 국가의 다른 지역에 대한 외국인 투자를 위한 안전한 법적 체계를 구축한다.[154]
2014년 10월, 타와칼 머니 익스프레스(Tawakal)는 7층짜리 타와칼 플라자 모가디슈(Tawakal Plaza Mogadishu) 건설을 시작했다. 이 새로운 고층 건물은 2015년 말에 완공될 예정이며, 타와칼 글로벌 은행(Tawakal Global Bank) 고객 및 금융 서비스 센터, 338㎡ 규모의 대형 슈퍼마켓, 46개 객실의 고급 호텔, 레스토랑과 커피숍 시설, 컨퍼런스 및 행사장이 들어설 예정이다.[155] 또한 나바드 슈퍼마켓(Nabaad Supermarket)은 지역 주민들에게 주요 소매 서비스를 제공한다. 매일 밤 10시까지 문을 여는 이 편의점 체인은 대부분의 상품을 아랍에미리트(United Arab Emirates)와 중국에서 수입한다.[156] 알 부루지(Al Buruuj) 회사는 2015년 1월에도 다루살람 시티(Daru-Salam City)라는 대규모 부동산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살람 소말리아 은행(Salaam Somali Bank)이 자금을 지원하는 이 새로운 도시 단지는 타운하우스, 아파트, 모스크, 휴양 시설, 놀이터, 슈퍼마켓, 도로를 포함한다. 이 단지는 수도 북부 외곽, 산업 도로에서 반경 7km 이내에 건설될 예정이다.[134]
내전 이후 경제는 회복되고 있지만, 여전히 불안정하다. 실질적인 정부가 없기 때문에 조세가 없고, 따라서 세출 계획도 없다. 살인, 폭파 등 범죄가 빈발하여 기업들은 무장 민병대를 고용하고 있다. 식량·음료·섬유가 주요 산업이며, 시장에서는 다양한 물건이 팔리고 있다.
7. 교통
아덴 아데 국제공항이 있다.
1980년대에는 1926년 이탈리아가 건설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군에 의해 해체된 모가디슈-빌라브루지 철도(Mogadishu–Villabruzzi Railway)의 114km 구간(모가디슈와 조하르(Jowhar) 사이)을 재가동하려는 계획이 있었다. 원래 이 철도는 아디스아바바(Addis Ababa)까지 연결될 예정이었다. 모가디슈 항구 지역 내부에 남아 있는 몇 개의 선로만이 아직 사용되고 있다.
7. 1. 도로
모가디슈에서 뻗어나가는 도로는 소말리아의 다른 지역뿐 아니라 케냐, 에티오피아 등 인접 국가와도 도시를 연결한다. 수도 자체는 광범위한 도로망에 의해 여러 개의 격자 형태로 나뉘어져 있다.[203]2011년 8월, 알샤바브 무장단체가 모가디슈에서 전략적 철수를 단행한 후, 모하메드 누르 시장은 도로 및 일반 인프라의 대규모 재건을 시작했다.[114][115] 2013년 10월에는 공항으로 이어지는 23km 도로의 대규모 공사가 시작되었고, 11월에 완료되었다. 이 도로는 모가디슈와 이스탄불을 자매 도시로 맺고 모가디슈의 모든 도로를 현대적인 기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협약의 일환이었다.[203] 터키 국제협력개발청(TIKA)은 도시 전체 청소 프로젝트를 시작했고, 2015년 3월 베나디르 시가 운영을 인수했다.[204]
2012년~2013년에는 영국, 노르웨이 정부와 함께 주요 도로에 태양광 가로등을 설치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약 140000USD가 들었고, 야간 시야 개선과 도시 미관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205]
미니버스는 모가디슈에서 가장 일반적인 대중교통 수단이며, 오토릭샤도 많이 이용된다. 오토릭샤는 저렴하고 좁은 길도 다닐 수 있어 짧은 통근에 선호된다.[206] 2013년 6월, 모가디슈 택시와 시티 택시라는 두 개의 새로운 택시 회사가 서비스를 시작했다.[207]
2014년 1월, 베나디르 행정부는 도시 전역의 도로 명칭, 주택 번호 및 우편 번호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2015년 3월에는 하우 아시르-파가 주요 도로의 개보수 프로젝트를 시작했으며, 곧 완료될 예정이다.[208]
7. 2. 항공
아덴 아데 국제공항은 독립 이후 여러 국제선 노선을 제공했다. 1960년대 중반, 더 많은 국제 항공사를 수용하기 위해 공항이 확장되었으며, 국영 소말리아항공이 많은 주요 도시로 정기편을 운항했다. 1969년까지 이 공항의 많은 활주로는 소형 제트기와 DC 6B형 항공기까지 수용할 수 있었다.[209]
1990년대 초 내전이 발발하면서 항공 서비스는 지속적인 차질을 겪었고, 시설과 장비는 대부분 파괴되었다. 2000년대 후반에는 K50 공항이 수도의 주요 공항 역할을 했으며, 아덴 아데 국제공항은 잠시 폐쇄되었다. 그러나 2010년 말 모가디슈의 치안 상황이 크게 개선되어, 2011년 8월까지 연방 정부는 도시 전체를 장악하게 되었다.[105]
2011년 5월, 교통부는 SKA-소말리아와 재개장한 아덴 아데 국제공항 운영 관리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약 600만달러 규모의 첫 번째 사업으로 SKA는 새로운 공항 장비에 투자하고 지원 서비스를 확장했다. 또한 광범위한 인프라 개보수를 지원하고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복구했으며, 수하물 처리 시설과 출발 및 도착 라운지를 개조하고 전자 체크인 시스템을 도입했으며 보안 및 업무 흐름을 강화했다. 2013년 1월까지 승객 터미널까지 승객을 수송하는 셔틀 버스를 도입했다.[211]

2011년 12월, 터키 정부는 공항을 더욱 현대화할 계획을 발표했다. 예정된 개보수에는 영공을 감시하기 위한 현대식 관제탑을 포함한 새로운 시스템과 인프라가 포함되었다.[214] 2013년 9월, 터키 기업인 Favori LLC가 공항 운영을 시작했다. 1000만달러 규모의 이 프로젝트는 기존 15대의 항공기 수용 능력을 60대로 늘릴 것이다.[212] 2015년 1월, 공항에 최첨단 터미널이 새로 문을 열었다. 현대적인 승객 시설과 유리 외관을 갖춘 이 터미널은 공항의 일일 상업 항공편 수를 60편으로 두 배로 늘리고 시간당 약 1,000명의 승객을 처리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다.[190]
2015년 1월 현재 아덴 아데 국제공항을 이용하는 가장 큰 항공사는 소말리아 소유의 민간 항공사인 주바 항공, 달로 항공, 아프리카 익스프레스 항공과 UN 전세기, 터키항공을 포함한다.[214] 이 공항은 갈카요, 베르베라, 하르게이사와 같은 소말리아의 다른 도시와 지부티, 제다,[215] 이스탄불[214] 등의 국제선 목적지로의 항공편도 제공한다.
2012년 7월, 모하메드 오스만 알리 항공교통부 장관은 소말리아 정부가 모가디슈를 기반으로 하는 국영 항공사인 소말리아항공을 부활시키기 위한 준비를 시작했다고 발표했다.[216]
7. 3. 항만
모가디슈 항(Mogadishu port)은 소말리아의 주요 항구이자 소말리아에서 가장 큰 항만이다.[218][219][220]내전으로 피해를 입은 후, 연방 정부는 모가디슈 항구 재건 프로젝트를 시작하여 항구 재건, 개발, 현대화 계획을 추진했다.[218][220] 이 과정에서 알파 물류 기술 설치 등의 개보수가 이루어졌다.[131] 2013년 6월에는 지부티 항구 소장과 중국 인프라 재건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국제 합동 대표단이 시설을 방문하여 현지 소말리아 관리들과 함께 항구 기능에 대한 보고서를 받았다.[220][221]
2013년, 모가디슈 항구 관리들은 이란 회사인 시마테크 쉬핑 LLC와 항구의 중요 운영 처리에 대한 합의에 도달했으며, 이 회사는 모가디슈 항구 컨테이너 터미널이라는 이름으로 항구의 모든 기술 및 운영 기능을 담당할 예정이었다.[220]
2013년 10월, 연방 내각은 터키 회사인 알-바이락과 모가디슈 항구를 20년 동안 관리하는 계약을 승인했다. 항만 및 공공 사업부가 체결한 이 계약에 따라 알-바이락은 항구 재건과 현대화 책임도 맡게 되었다.[222] 2014년 9월, 연방 정부는 모가디슈 항구 관리를 공식적으로 알-바이락에 위임했으며, 이 회사의 현대화 프로젝트에는 8000만달러가 소요될 예정이다.[223]
모가디슈 항은 사실상 자유항으로 국제적으로 널리 이용되지만, 인근 해역에 해적이 출몰하여 위험 부담이 따른다.
8. 문화
모가디슈는 다양한 문화를 향유하는 도시이다.
소말리아의 수도인 모가디슈에는 여러 중요한 국가 기관들이 있다. 빌라 소말리아는 소말리아 대통령의 공식 관저이자 주요 직장인 대통령궁이다. 소말리아 국립 박물관(National Museum of Somalia)은 1960년 독립 후 기존의 가레사 박물관(Garesa Museum)을 국립 박물관으로 전환하면서 설립되었으며, 많은 문화적으로 중요한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177] 소말리아 국립 도서관(National Library of Somalia)은 1975년에 설립되었으나 1990년대에 폐관되었다. 2013년, 소말리아 당국은 국립 도서관 재건을 위한 대규모 프로젝트를 공식적으로 시작했다.[180]
소말리아 국립 극장(National Theatre of Somalia)은 1967년 수도에 중요한 문화 랜드마크로 개관했다가 1990년대 초 내전으로 폐관되었지만, 2012년 3월 재건 후 다시 문을 열었다.[181]
바카라 시장(Bakaara Market)은 1972년 후반 바레 정부에 의해 조성되어 농산물과 의류를 포함한 상품과 서비스를 판매하는 개방 시장으로 기능했다. 내전이 시작된 후에는 무장 단체들이 시장을 작전 기지로 사용하기도 했으나, 2011년 모가디슈가 평화를 되찾은 후 시장 재건이 재개되었다.[183]
소말리아어 지역 아카데미는 뿔의 지역에서 소말리아어를 규제하는 정부 간 기구이다. 2015년 1월, 소말리아 대통령 하산 셰이크 모하무드는 지부티와 에티오피아 정부와 공동으로 이 기관을 설립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186]
모가디슈에는 최근에 건설된 호텔이 많다.
8. 1. 종교
소말리아는 이슬람교가 국교이며, 모가디슈의 예배 장소는 대부분 이슬람교 모스크이다.아르바아 루쿤 모스크(Arba'a Rukun Mosque)는 모가디슈에서 가장 오래된 이슬람 예배 장소 중 하나이다. 팍르 아드딘 모스크(Fakr ad-Din Mosque)와 함께 서기 667년경(1268~129년)에 건설되었다. 아르바아 루쿤 모스크의 미흐랍(mihrab)에는 같은 해에 새겨진 비문이 있는데, 모스크의 창립자인 쿠스라 이븐 무바라크 알-시라지(Khusra ibn Mubarak al-Shirazi)(쿠스라우 이븐 무하마드(Khusrau ibn Muhammed))를 기념하는 것이다.
이슬람 연대 모스크(Mosque of Islamic Solidarity)는 1987년 사우디아라비아의 파흐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재단의 재정 지원으로 건설되었다. 이 모스크는 최대 1만 명의 예배자를 수용 가능하며, 아프리카의 뿔 지역에서 가장 큰 모스크이다.[171] 2015년, 연방 당국은 모스크 시설에 대한 보수 공사를 완료했다.[171]

모가디슈 대성당(Mogadishu Cathedral)은 1928년 이탈리아 소말리아의 식민 당국에 의해 건설되었다. "모가디슈 대성당(Cattedrale di Mogadiscio)"으로 알려진 이 성당은 체팔루 대성당(Cefalù Cathedral)을 기반으로 노르만 건축(Norman architecture) 양식의 고딕 부흥 건축(Gothic Revival architecture)으로 건설되었다. 이 교회는 모가디슈 로마 가톨릭 교구(Roman Catholic Diocese of Mogadiscio)의 본부 역할을 했다.[172] 그러나 내전 중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2013년 4월, 모가디슈 교구는 건물 보수 계획을 발표했다.[173]
8. 2. 교육
모가디슈에는 여러 교육 기관이 있다. 정부의 도시 재생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전국 100개 학교의 개보수 및 재개교가 예정되어 있다. 의무 교육 기간은 15년이며,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7세부터 19세까지의 연령대의 학생들에게 공립학교에서 무료로 제공되며, 2015년 기준으로 이 연령대 아동의 취학률은 거의 55%에 달했다. 고등학교 교육은 의무는 아니지만 대학교 진학을 위해서는 필요하다.[131]소말리아 국립대학교(Somali National University, SNU)는 1950년대에 설립되었다. 1973년에는 프로그램과 시설이 확장되었고, SNU는 향후 20년 동안 13개 학과, 700명의 교직원, 그리고 15,000명이 넘는 학생을 보유한 대규모 고등 교육 기관으로 성장했다. 2013년 11월 14일, 내각은 1990년대 초에 폐쇄되었던 소말리아 국립대학교를 재개교하기 위한 연방 정부 계획을 만장일치로 승인했다. 개보수 사업에는 360만달러가 소요되었으며,[193] 2014년 8월에 완료되었다.[194]
모가디슈 대학교(Mogadishu University, MU)는 이사회와 대학 평의회가 운영하는 비정부 대학교이다.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의 이슬람 개발은행(Islamic Development Bank)과 다른 기부 기관들의 자금 지원을 받는 이 대학교는 7개 학부에서 수백 명의 졸업생을 배출했으며, 그중 일부는 장학금 프로그램 덕분에 해외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있다. 모가디슈 대학교는 덴마크의 올보르그 대학교(University of Aalborg), 이집트의 3개 대학교, 수단의 7개 대학교, 지부티 대학교(University of Djibouti), 그리고 예멘의 2개 대학교를 포함한 여러 다른 학술 기관과 여러 파트너십을 맺었다. 2012년 기준으로, MU는 정부 간 기구 EDU 이사회의 인증도 받았다.[195]
1999년, 소말리아 관리 및 행정 연구소(SIMAD)가 하산 셰이크 모하무드(Hassan Sheikh Mohamud)에 의해 모가디슈에 공동 설립되었다. 이 기관은 그 후 시마드 대학교(SIMAD University)로 성장했으며, 모하무드는 2010년까지 학장직을 역임했다.[196] 이 대학교는 경제학, 통계학, 경영학, 회계학, 기술, 컴퓨터 과학, 보건 과학, 교육학, 법학 및 공공 행정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학부 과정을 제공한다.[197]
베나디르 대학교(Benadir University, BU)는 2002년 의사 양성을 목표로 설립되었으며, 이후 다른 분야로 확장되었다. 도시의 또 다른 고등 교육 기관으로는 잠잠 과학기술대학교(Zamzam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와 잠후리야 과학기술대학교(Jamhuriya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가 있다. 터키 기숙학교도 설립되었고, 모가디슈 공과대학(Mogadishu Polytechnic Institute)과 샤벨레 대학교(Shabelle University) 캠퍼스도 개보수 공사를 진행 중이다. 또한 새로운 이슬람 대학교 캠퍼스가 건설 중이다.[131] 2014년 4월, 아브디웰리 셰이크 아흐메드(Abdiweli Sheikh Ahmed) 총리는 모가디슈에 있던 기상학교 재건 공사의 기공식을 거행했다.[198] 아덴 아데 국제공항에는 새로운 국가 항공훈련학교가 건설 중이다.[199] 이는 소말리아 최초의 항공훈련학교이다.
시티 대학교(City University)는 교육과 연구를 목표로 2012년에 설립되었다. 이 대학은 인증된 석사급 교수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계 및 저명한 기업가들로 구성된 이사회가 운영한다. 시티 대학교의 교육 과정은 영어로 진행되는 교과 과정과 기초 프로그램을 특징으로 한다. 캠퍼스에는 물리 및 디지털 도서관뿐만 아니라 IT 및 과학 실험실도 있다. 이 대학교는 소말리아 연구 및 교육 네트워크의 회원이며, 국가 교육부 고등교육문화국으로부터 학위 수여 기관으로 승인받았다.
잠잠 과학기술대학교(Zamzam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는 2012년에 설립되었다. 2013년 농업 훈련 학교는 잠잠 과학기술대학교(ZUST)가 되었고, 학사 학위 첫 수업은 2014년 9월에 시작되었으며, 2015년에는 의과대학이 설립되었다. 현재 ZUST는 6개 학부와 대학원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8. 3. 스포츠

모가디슈 경기장(Mogadishu Stadium)은 1978년 바레 정권 시절 중국 기술자들의 지원을 받아 건설되었다. 이 시설은 주로 소말리아 컵(Somalia Cup)과 소말리아 리그(Somalia League) 팀들의 축구(Association football) 경기와 같은 스포츠 활동을 개최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대통령 연설과 정치 집회 등 다른 행사도 이곳에서 열렸다.[200] 2013년 9월, 소말리아 연방 정부와 중국 정부는 소말리아의 5개년 국가 회복 계획의 일환으로 모가디슈에서 공식 협력 협정에 서명했고, 이에 따라 중국 당국은 모가디슈 경기장을 포함한 여러 주요 인프라 랜드마크를 재건설할 예정이다.[182]
바나디르 경기장(Banadir Stadium)과 코니스 경기장(Konis Stadium)은 모가디슈에 있는 다른 두 개의 주요 스포츠 시설이다. 2013년 소말리아 축구 연맹(Somali Football Federation)은 코니스 경기장에 FIFA가 기증한 인조잔디를 설치하는 개보수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압디아지즈구(Abdiaziz District)에 있는 옛 루지노 농구 경기장도 현지 통신 회사인 호르무드 텔레콤(Hormuud Telecom)의 자금 지원을 받아 1만달러를 들여 재건되었다.[201] 시 당국은 바나디르 경기장(Banadir Stadium)의 재건을 감독했다.[131]
모가디슈에는 소말리아 축구 연맹(Somali Football Federation), 소말리아 올림픽 위원회(Somali Olympic Committee), 소말리아 농구 연맹(Somali Basketball Federation) 등 국가 스포츠 기관들의 본부가 있다. 소말리아 가라테 태권도 연맹(Somali Karate and Taekwondo Federation) 역시 이 도시에 중심을 두고 있으며, 소말리아 태권도 국가대표팀(Somalia national Taekwondo team)을 관리한다.[202]
9. 자매 도시
모가디슈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국가 | 도시 |
---|---|
Ankara|앙카라tr | 앙카라 [234] |
الدوحة|도하ar | 도하 [235] |
Konya|코냐tr | 코냐 [236] |
المدينة المنورة|메디나ar | 메디나 [237] |
Saint Paul|세인트폴영어 | 세인트폴 |
Алматы|알마티kk | 알마티 |
10. 모가디슈를 소재로 한 작품
11. 저명한 출신 인물
- 하산 셰이크 마무드, 소말리아 대통령
- 샤리프 아이다루스, 저명한 이슬람 및 소말리아 역사 학자이자 범이슬람 지도자
- 셰이크 수피, 19세기 학자, 시인, 개혁가, 점성가
- 하와 압디, 의사, 사회 운동가
- 야스민 알라스, 배우, 작가
- 파이살 제일라니 아웨이스, 태권도 선수
- 아유브 다우드, 축구 선수
- 크리스티나 알리 파라, 작가, 지식인
- 하산 압시르 파라, 국회의원, 전 소말리아 총리, 전 모가디슈 시장
- 알리 모하메드 게디, 전 소말리아 총리
- 이만, 모델, 배우, 기업가
- 크나안, 음악가
- 라게 오마르, 언론인
- 디리예 오스만, 작가, 시각 예술가
- 파티마 시아드, 모델
- 라단 오스만, 시인
- 모가디슈의 사익드, 14세기 이슬람 학자, 여행가
- 모하메드 압둘라히 모하메드, 전 총리, 소말리아 대통령
- 무스타파 모하메드, 장거리 달리기 선수
- 모하메드 누르, 전 모가디슈 시장
- 무세 올롤, 기술자, 사회 운동가
- 오마르 압디라시드 알리 샤르마르케, 전 소말리아 총리
- 사미아 유수프 오마르, 2012년 올림픽 참가를 위해 이주민으로 지중해를 건너다 사망한 운동선수
- 야스민 워사메, 모델
- 사이드 압둘라히 데니, 푼트랜드 주 대통령
- 압둘카위 아흐메드 유수프, 전 국제사법재판소장
- 이만 압둘마지드, 슈퍼모델
- 아이얀 히르시 알리, 페미니스트, 정치인
- 크나안, 가수
다른 국가 출신 모가디슈 태생 시민:
참조
[1]
웹사이트
Mogadishu Population 2024
https://worldpopulat[...]
2024-06-19
[2]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20-12-03
[3]
서적
The Archaeology of Islam in Sub-Saharan Afric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07-03
[4]
RDPCE
[5]
사전
Mogadishu
2019-08-19
[6]
백과사전
Mogadishu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a.gov/[...]
CIA
2021-06-06
[8]
논문
Access to Agricultural Information among Rural Farmers–A Case of Ido Local Government Area Ibadan, Oyo State, Nigeria
[9]
서적
A Pastoral Democracy: A Study of Pastoralism and Politics Among the Northern Somali of the Horn of Africa
https://books.google[...]
James Currey Publishers
1999
[10]
서적
Horn and Crescent Cultural Change and Traditional Islam on the East African Coast
[11]
서적
Atti Parlimentari
https://books.google[...]
2024-03-05
[12]
서적
Somalia e Benadir viaggio di esplorazione nell'Africa orientale Prima traversata della Somalia compiuta per incarico della Societa geografica italiana
https://books.google[...]
2024-03-05
[13]
서적
Ricordi del Benadir
https://ibb.co/gdg1D[...]
2022-07-15
[14]
논문
A "Grandiose Future for Italian Somalia": Colonial Developmentalist Discourse, Agricultural Planning, and Forced Labor (1900–1940)
[15]
간행물
Horn of Africa
[16]
학술지
David D. Laitin and khadar ali.
[17]
서적
The History and Description of Africa
https://archive.org/[...]
Hakluyt Society
2017-07-15
[18]
서적
Inside Al-Shabaab: The Secret History of Al-Qaeda's Most Powerful Ally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8-10-01
[19]
학술지
Journal of African History
[20]
서적
Innovative Approach for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Settlements in East Africa: Affordable Housing for Mogadishu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4-04-26
[21]
서적
Peoples of the Horn of Africa: Somali, Afar, and Saho, Issue 1
International African Institute
[22]
서적
The modern history of Somaliland: from nation to state
Weidenfeld & Nicolson
[23]
서적
Renewers of the Age Holy Men and Social Discourse in Colonial Benaadir
[2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Volume 3: From c.1050 to c. 16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Volum 3
[26]
서적
The Archaeology of Islam in Sub-Saharan Africa
[27]
서적
History of East Africa, Volume 1
Clarendon Press
[28]
서적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Mogadishu AD 1000 to 1850: A Study of the Urban Growth Along the Benadir Coast of Southern Somalia
https://books.google[...]
Uppsala University
2023-09-28
[29]
서적
Cities of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A Historical Encyclopedia
[30]
서적
What are Somalia's Development Perspectives?: Science Between Resignation and Hope? : Proceedings of the 6th SSIA Congress, Berlin 6-9 December 1996
https://books.google[...]
Verlag Hans Schiler
2024-04-26
[31]
서적
Divine Fertility: The Continuity in Transformation of an Ideology of Sacred Kinship in Northeast Afric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06-06
[32]
서적
Making Sense of Somali History: Volume 1
[33]
서적
The Travels of Ibn Battuta, A.D. 1325–1354: Volume II
[34]
서적
The Adventures of Ibn Battuta: A Muslim Traveller of the Fourteenth Century
[35]
서적
The History of Somalia
Raphael Chijioke Njoku
2013-01-01
[3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09-28
[3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
서적
Renewers of the Age: Holy Men and Social Discourse in Colonial Benaadir
https://books.google[...]
BRILL
2008-01-01
[39]
서적
Patricians of the Benaadir: Islamic Learning, Commerce and Somali Urban Identity in the Nine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1996-01-01
[40]
서적
Understanding Somalia and Somaliland: Culture, History, Society
https://books.google[...]
Hurst
2020-11-05
[41]
웹사이트
Reer Xamar
https://www.landinfo[...]
2020-11-05
[42]
서적
Making Sense of Somali History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03-02-25
[43]
서적
The Muslim Diaspora (Volume 2, 1500–1799): A Comprehensive Chronolog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00-07-01
[4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volume 3
https://archive.org/[...]
2020-08-07
[45]
웹사이트
The Sultanates of Somalia World Civilization
https://courses.lume[...]
[46]
서적
Africa from the Seventh to the Elev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UNESCO
1988
[47]
서적
The Career and Legend of Vasco Da Ga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4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7
[49]
서적
The Periplus of the Erythraean Sea: With Some Extracts from Agatharkhidēs "On the Erythraean Sea"
Hakluyt Society
1980
[50]
간행물
Journal of African history, Volume 7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6
[51]
서적
A modern history of Somalia: nation and state in the Horn of Africa
Westview Press
[52]
서적
Cities of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53]
서적
The African Iron Age
Clarendon Press
[54]
서적
Somalia: A Country Study
https://archive.org/[...]
Federal Research Division, Library of Congress
[55]
서적
The Travels of Ibn Battutah
Picador
[56]
서적
Encyclopedia of Arabic language and linguistics, Volume 4
https://books.google[...]
Brill
2015-11-15
[57]
서적
Somalia: Nation in Search of a State
Westview Press
[58]
서적
The Earth and Its Peoples, Brief Edition, Complete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20-11-06
[59]
서적
The Rise and Fall of Swahili States
AltaMira Press
[60]
서적
Ibn Khaldun and the Medieval Maghrib
https://books.google[...]
Ashgate/Variorum
2018-04-06
[61]
서적
The Maldives: Kingdom of a Thousand Isles
https://books.google[...]
Odyssey
2020-09-20
[62]
서적
The African Diaspora in India: Assimilation, Change and Cultural Survival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0-11-06
[63]
서적
Kenya Past and Present
https://books.google[...]
Kenya Museum Society
2020-09-20
[64]
서적
The Somali Nation and Abyssinian Colonialism
https://books.googl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omali Democratic Republic
2020-09-20
[65]
서적
Cousins
1895
[66]
서적
Room
2006
[67]
서적
A Journal of the First Voyage of Vasco Da Gama, 1497–1499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04-21
[68]
서적
East Africa and its Invaders
2016-10
[69]
학술지
Gujarat and the Trade of East Africa, c. 1500–1800
1976
[70]
서적
The Return of Cosmopolitan Capital: Globalization, the State and War
https://books.google[...]
I.B.Tauris
2018-04-04
[71]
서적
The Arabian Seas: The Indian Ocean World of the Seventeenth Century: The Indian Ocean World of the Seven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8-04-04
[72]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Somali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20-11-06
[73]
서적
Francis Xavier: His Life, His Times. Volume II: India, 1541–1545
https://archive.org/[...]
Jesuit Historical Institute
1977
[74]
서적
The History of Somal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20-11-06
[75]
웹사이트
A Geographical Historie of Africa
https://archive.org/[...]
Theatrum Orbis Terrarum
2018-04-06
[76]
서적
The Adventures of Ibn Battut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77]
서적
How a Hawiye tribe used to live, Chapter 4, scritti vari editi ed inediti, Vol. 2
[78]
서적
Towns and Trading centres in Somalia: A Nomadic perspective
[79]
서적
Making Sense of Somali History: Volume 1
https://books.google[...]
Adonis and Abbey Publishers
2020-11-06
[80]
서적
The shaping of Somali society.
[81]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History, Volume 2
Fitzroy Dearborn
[82]
논문
The social structure of southern Somali tribes
https://discovery.uc[...]
University College London
2023-03-23
[83]
서적
Somalia:A Chronology of Historical Documents 1827–2000
Indiana University
[84]
서적
Proceedings of the Royal Geographical Society of London, Volume 17; Volumes 1872–1873
Edward Stanford
1873
[85]
서적
Making Sense of Somali History: Volume 1
Adonis & Abbey Publishers Ltd
[86]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Somalia (Culture and Customs of Africa)
Greenwood Publishing Group; Illustrated edition
[87]
서적
Africa in the Nineteenth Century Until the 1880s
https://archive.org/[...]
UNESCO
1989-01-01
[8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Volume 5
[89]
서적
Africa Volumes 27-28
Oxford University Press
[90]
서적
The Ogaden
https://books.google[...]
LULU
2015-01-30
[91]
웹사이트
Somalia, una nazione che non esiste
http://www.paginedid[...]
Pagine di Difesa
2014-01-02
[92]
웹사이트
Il Razionalismo nelle colonie italiane 1928–1943 – La "nuova architettura" delle Terre d'Oltremare
http://www.fedoa.uni[...]
Fedoa
2014-01-02
[93]
서적
Somalia: A Country Study
Library of Congress
2009-10-21
[94]
웹사이트
Brothers in Arms Part I
http://wardheernews.[...]
WardheerNews
2012-02-28
[95]
간행물
Military Imposes 'Terror' in Capital
Foreign Broadcast Information Service
1989-07-19
[96]
뉴스
SOMALIA EXECUTES 46 AFTER RIOTING
https://www.nytimes.[...]
2022-12-31
[97]
간행물
Envoy to London Cited on Unrest in Mogadishu
Foreign Broadcast Information Service
1989-07-18
[98]
서적
The Middle East: Abstracts and index
Library Information and Research Service
[99]
웹사이트
Ethiopian Invasion of Somalia
http://www.globalpol[...]
Globalpolicy.org
2010-06-27
[100]
웹사이트
Somalia President, Parliament Speaker dispute over TFG term
http://www.garoweonl[...]
2011-06-12
[101]
웹사이트
USCIRF Annual Report 2009 – The Commission's Watch List: Somalia
http://www.unhcr.org[...]
Unhcr.org
2009-05-01
[102]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09-05-14
[103]
뉴스
UN boss urges support for Somalia ahead of Istanbul summit
http://horseedmedia.[...]
2010-05-22
[104]
웹사이트
Security Council Meeting on Somalia
http://www.somaliwey[...]
Somaliweyn.org
[105]
웹사이트
Al-Shabaab 'dug in like rats'
http://www.iol.co.za[...]
Independent Newspapers Online
2011-08-10
[106]
웹사이트
Mogadishu: East Africa's newest business destination?
http://www.howwemade[...]
2012-06-21
[107]
뉴스
Sports, arts and streetlights: Semblance of normal life returns to Mogadishu, despite mortars
http://www.globalnew[...]
2012-04-03
[108]
웹사이트
Committee: 1000 dead in Oct 14 terror attack
https://hiiraan.com/[...]
Hiiraan Online
2018-03-05
[109]
웹사이트
Female opposition MP among dozens killed in Somalia bombings
https://www.theguard[...]
2022-03-24
[110]
웹사이트
Context Assessment: Heightened Political Violence in Somalia
https://acleddata.co[...]
Armed Conflict Location & Event Data Project
2023-03-01
[111]
웹사이트
Al-Shabab fighters killed as overnight siege of Mogadishu hotel ends
https://www.aljazeer[...]
2024-03-15
[112]
뉴스
At least eight killed in shootout during Somalia prison breakout attempt
https://www.aljazeer[...]
2024-07-14
[113]
뉴스
More than 30 killed in terrorist attack on popular Mogadishu beach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4-08-03
[114]
뉴스
Al-Shabaab rebels withdraw from Somali capital
https://www.telegrap[...]
2011-08-07
[115]
웹사이트
Mogadishu City Life Returning to Normal
https://web.archive.[...]
2011-12-06
[116]
뉴스
Life After Warfare: How a Digital Map Could Revive Mogadishu
https://www.wired.co[...]
2013-06
[117]
뉴스
Banadir officials launch Mogadishu Street Naming Project
http://www.bar-kulan[...]
2014-01-29
[118]
웹사이트
Banaadir
http://www.mapanet.e[...]
Mapanet
[119]
간행물
Somalia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3-01-19
[120]
웹사이트
Districts of Somalia
http://www.statoids.[...]
Statoids.com
[121]
뉴스
'Mogadishu is like Manhattan': Somalis return home to accelerate progress
https://www.theguard[...]
2013-01-11
[122]
서적
Arab League League of Arab States Investment and Business Guide
https://books.google[...]
Int'l Business Publications
2007-02-07
[123]
논문
Updated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http://www.hydrol-ea[...]
[124]
웹사이트
Mogadishu Climate & Temperature
http://www.mogadishu[...]
Climatemps
[125]
웹사이트
Klimatafel von Mogadischu (Mogadiscio) / Somalia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126]
웹사이트
Long term mean monthly sunshine fraction in Somalia
http://sddr.faoswali[...]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127]
뉴스
Somalia: UN Envoy Says Inauguration of New Parliament in Somalia 'Historic Moment'
http://allafrica.com[...]
2012-08-21
[128]
웹사이트
Guidebook to the Somali Draft Provisional Constitution
http://unpos.unmissi[...]
UN Missions
[129]
뉴스
Somali president replaces security chiefs and Mogadishu mayor
https://www.reuters.[...]
2019-08-22
[130]
뉴스
Abdirahman Omar Osman, Mogadishu mayor, dies after suicide bombing
https://www.bbc.com/[...]
2019-08-01
[131]
웹사이트
Number of Infrastructure Development Projects are underway in Mogadishu
http://www.actforsom[...]
Act For Somalia
2013-05-26
[132]
뉴스
Governor Muungaabs meet with the 17 district commissioners of Mogadishu
http://shabelle.net/[...]
2014-03-09
[133]
뉴스
Banadir administration plans to renovate government centers
http://goobjoog.com/[...]
[134]
뉴스
Somalia: Weekly Press Conference on the Progress of the Government 10 January 2015
https://web.archive.[...]
2015-01-10
[135]
뉴스
Banadir administration calls society to boost cleanness
http://goobjoog.com/[...]
2015-01-13
[136]
뉴스
EU and UNHABITAT highlight impact of SECIL project in Mogadishu
http://goobjoog.com/[...]
2015-03-20
[137]
웹사이트
Embassies in Mogadishu
http://mogadishuairp[...]
Aden Adde International Airport
[138]
뉴스
SOMALIA: China officially opens embassy in Somalia today
https://web.archive.[...]
2014-10-12
[139]
뉴스
Qatari diplomat in Mogadishu meeting
http://www.gulf-time[...]
2014-08-24
[140]
뉴스
Kerry In Mogadishu: 'Somalia's Return to Effective Government Is An Opportunity'
http://www.nbcnews.c[...]
2015-05-05
[141]
뉴스
My government does not want, nor will it seek to extend its mandated term beyond September 2016 says president Hassan
http://goobjoog.com/[...]
2015-05-06
[142]
뉴스
EU Delegation office to open in Somalia
http://amisom-au.org[...]
2015-05-11
[143]
뉴스
Somalia: Somali Govt to Revive Former Institute of Diplomacy
http://allafrica.com[...]
2014-02-13
[144]
웹사이트
The Earth and its Inhabitants: Africa (South and East Africa)
http://mogadishuimag[...]
D. Appleton and Company
[145]
웹사이트
Happy International Women's Day
http://www.printfrie[...]
Somali Media Mapping
[146]
뉴스
Turkish organisations open construction yard in Mogadishu
http://sabahionline.[...]
2012-11-14
[147]
뉴스
War-torn Somalia stages TEDx conference
http://phys.org/news[...]
2012-05-17
[148]
뉴스
Somali capital hosts entrepreneur talks
https://www.google.c[...]
2013-08-31
[149]
뉴스
Somalia business keen to join forces for peace
https://af.reuters.c[...]
2010-05-23
[150]
웹사이트
Mission & Vision
http://www.somenergy[...]
Somali Energy Company
[151]
웹사이트
Contacts
https://web.archive.[...]
Villa and Mansion Architects
2015-01-10
[152]
뉴스
Bank of Somalia opens in Mogadishu
http://asokoinsight.[...]
Asoko Insight
2015-01-10
[153]
뉴스
Somalia opens first insurance company in over 20 years
http://goobjoog.com/[...]
2015-01-05
[154]
뉴스
SOMALIA: Prime Minister welcomes foreign investment law as business-friendly step in the right direction
https://archive.toda[...]
2013-06-10
[155]
뉴스
SOMALIA: Tawakal Money Express announce building projects to house upcoming Tawakal Global Bank in Somalia
https://web.archive.[...]
2014-10-14
[156]
뉴스
Shopping at night in Mogadishu comes to live, thanks to retail chain
http://www.shanghaid[...]
2015-03-06
[157]
웹사이트
Somalia
https://web.archive.[...]
Populstat
[158]
웹사이트
Italian arquitecture in Somalia (in Italian)
http://www.fedoa.uni[...]
[159]
웹사이트
Refworld {{!}} Somalia: Information on the present treatment of the Darood tribe by the Hawiye tribe, forming the backbone of the United Somali Congress, in Mogadishu
https://www.refworld[...]
[160]
논문
Country Policy and Information Note Somalia: Majority clans and minority groups in south and central Somalia
https://assets.publi[...]
2019-01
[161]
웹사이트
Clans and crisis in Somalia
http://www.theguardi[...]
2007-05-06
[162]
논문
Somalia's Endless Transition: Breaking the Deadlock
https://www.files.et[...]
2010-06-01
[163]
논문
Somalia: The Reer Hamar and/or Benadiri, including the location of their traditional homeland, affiliated clans and risks they face from other clans
https://www.justice.[...]
2012-12-03
[164]
뉴스
Mogadishu: East Africa's newest business destination?
http://www.howwemade[...]
2012-06-21
[165]
웹사이트
Somali Diaspora Corps
https://startsomegoo[...]
SSG
[166]
웹사이트
Opportunity Somalia
http://bnmagazine.co[...]
[167]
웹사이트
Yemeni refugees integrate smoothly into Somali society
https://www.aa.com.t[...]
[168]
웹사이트
Syrian Refugees in Somalia Enrich Culture, Contribute to Economy
https://www.voanews.[...]
2021-06-16
[169]
웹사이트
Demographia World Urban Area
http://demographia.c[...]
Demographia
2017-04-01
[170]
뉴스
SOMALIA: Gov't to launch population census ahead of 2016 elections
http://www.warqabad.[...]
[171]
뉴스
Weekly Press Conference on the Progress of the Government
http://www.dayniilec[...]
2015-01-24
[172]
서적
Consolata Missionaries in the World (1901-2001)
https://books.google[...]
Paulines
2024-01-10
[173]
웹사이트
AFRICA/SOMALIA – "I found signs of hope," said Bishop Bertin who has just returned from Mogadishu
http://www.fides.org[...]
Agenzia Fides
2014-01-24
[174]
서적
Reports Service: Northeast Africa series, Volume 13, Issue 1
https://books.google[...]
American Universities Field Staff
2016-02-27
[175]
뉴스
Museum development and monuments conservation: Somalia
http://unesdoc.unesc[...]
2014-01-23
[176]
뉴스
National Museum of Somalia, Mogadiscio: Roof Restoration Project
http://unesdoc.unesc[...]
2014-01-23
[177]
웹사이트
Mogadishu Points of interest
http://mogadishuairp[...]
Aden Adde International Airport
2014-01-24
[178]
웹사이트
Development of services: National Library
http://unesdoc.unesc[...]
UNESCO
2014-01-23
[179]
뉴스
Somalia's national library rises amid the ruins
https://www.thestar.[...]
2013-07-19
[180]
뉴스
Somalia to rebuild national library
http://www.waamood.c[...]
2013-12-22
[181]
뉴스
Somalia's National Theatre: Still defiant
https://www.economis[...]
2012-09-21
[182]
뉴스
Somalia: Gov't, China Officially Sign Cooperation Agreement
http://allafrica.com[...]
2013-09-09
[183]
웹사이트
London conference aims to speed Somalia recovery
http://en-maktoob.ne[...]
AFP
2013-05-03
[184]
웹사이트
Warehouse for Rent in Bakaara Market
http://tabaarak.so/p[...]
Tabaarak
[185]
뉴스
Ansaloti market in Mogadishu reopened
http://goobjoog.com/[...]
2014-09-13
[186]
뉴스
Somali President Orders the Use of Somali Language in the Official Documents
http://goobjoog.com/[...]
2015-01-21
[187]
뉴스
Somalia: President orders use of Somali as official language of communication
http://raadgoob.com/[...]
2015-01-21
[188]
뉴스
Presidents Of Somalia And Djibouti Lay New Regional Somali Language Academy
http://goobjoog.com/[...]
2015-02-22
[189]
뉴스
Somalia is 'ripe for investment', says Mogadishu hotel owner
http://www.howwemade[...]
2013-09-27
[190]
웹사이트
Focus on Somalia
https://www.scribd.c[...]
Air Transport
[191]
웹사이트
Mogadishu Hotels
http://mogadishuairp[...]
Aden Adde International Airport
2014-01-24
[192]
뉴스
At least 19 killed in hotel attack in Somali capital
https://web.archive.[...]
2017-06-15
[193]
뉴스
Cabinet endorses plans to reopen Somali National University
https://web.archive.[...]
2013-11-14
[194]
뉴스
Federal government re-opens Somali National University
http://goobjoog.com/[...]
2014-08-16
[195]
웹사이트
EDU Accreditation Status — Mogadishu University
https://web.archive.[...]
Intergovernmental Organization for Accreditation in Higher Learning
[196]
뉴스
Profiles of Somalia's top presidential candidates
http://sabahionline.[...]
2012-08-17
[197]
웹사이트
SIMAD University — History
https://web.archive.[...]
SIMAD University
[198]
뉴스
Somali PM lay foundation stone for rebuilding meteorological school in Mogadishu
http://goobjoog.com/[...]
2014-04-23
[199]
뉴스
SOMALIA: H.E Prime Minister Abdiweli Sheikh Ahmed lays foundation stone for the Aviation Training Academy at Aden Adde Airport
https://web.archive.[...]
2014-04-23
[200]
간행물
Daily report: People's Republic of China
National Technical Information Service
1986
[201]
뉴스
Mogadishu looks to future, renovates sports stadiums
http://sabahionline.[...]
2014-01-24
[202]
웹사이트
Somalia
http://www.worldtaek[...]
World Taekwondo Federation
2013-11-08
[203]
뉴스
Mogadishu roads get much needed upgrades
http://sabahionline.[...]
2014-01-24
[204]
뉴스
Turkey Halts Cleaning Project in Mogadishu
http://goobjoog.com/[...]
2015-03-07
[205]
뉴스
Mogadishu Municipality resumes solar light installations on major roads
http://sabahionline.[...]
2014-01-24
[206]
뉴스
Auto-rickshaws transform public transport in Mogadishu
http://goobjoog.com/[...]
2015-03-17
[207]
뉴스
New taxi companies offer peace of mind to Mogadishu residents
http://sabahionline.[...]
2014-01-24
[208]
뉴스
Benadir administration reconstructs Hawo Asir-Fagah road in Mogadishu
http://goobjoog.com/[...]
2015-03-27
[209]
논문
By Ilyushin 18 to Mogadishu
[210]
뉴스
Somalia: SKA Effectively Manages Aden-Adde International Airport
http://allafrica.com[...]
2013-01-09
[211]
뉴스
Somali travellers heap praise on SKA services at Mogadishu airport
http://shabelle.net/[...]
2013-01-08
[212]
뉴스
Somali'ye Türk firma havalimanı yapacak
http://www.aksam.com[...]
2014-01-11
[213]
뉴스
Press Release: Erdogan's Somalia Visit
http://goobjoog.com/[...]
2015-01-25
[214]
뉴스
Turkish carrier to start direct Mogadishu flights in March
http://www.africarev[...]
2012-02-16
[215]
뉴스
Dubai's SKA signs deal to manage Mogadishu airport
http://www.arabianbu[...]
2010-12-29
[216]
뉴스
Somalia to revive national airline after 21 years
http://laanta.net/20[...]
Laanta
2012-07-24
[217]
뉴스
The long awaited Somali Airlines is Coming Back!
http://www.keydmedia[...]
2013-11-20
[218]
웹사이트
The Official Website of the Mogadishu International Port
http://www.mogadisho[...]
Mogadishu Port
[219]
웹사이트
Istanbul conference on Somalia 21 – 23 May 2010 – Draft discussion paper for Round Table "Transport infrastructure"
http://www.somalital[...]
Government of Somalia
[220]
뉴스
Djibouti and China to rebuild Mogadishu port
http://www.africarev[...]
2013-06-12
[221]
뉴스
Chinese-Djiboutian delegation visits Mogadishu port to plan reconstruction
http://sabahionline.[...]
2013-12-01
[222]
뉴스
Holidays in Mogadishu
http://www.portstrat[...]
2014-04-04
[223]
뉴스
Somalia hands over Mogadishu seaport to Turkish company
https://web.archive.[...]
2014-09-22
[224]
서적
World radio TV handbook
Billboard Publications.
1955
[225]
웹사이트
SOMALIA: TNG launches "Radio Mogadishu"
http://www.irinnews.[...]
IRIN
2014-01-23
[226]
웹사이트
Mustaqbal Radio, Bar-Kulan, Radio Kulmiye, Radio Dannan, Radio Dalsan, Radio Banadir, Radio Maanta, Gool FM, Radio Xurmo, Radio Xamar
http://www.mustaqbal[...]
[227]
뉴스
After 20 years, Somali president inaugurates national TV station
https://web.archive.[...]
2013-04-06
[228]
웹사이트
Somalia launches national TV
https://web.archive.[...]
Vlex.cn
2014-03-10
[229]
웹사이트
Somalia: Musicians undaunted with music ban
https://web.archive.[...]
Africanews.com
2012-05-25
[230]
웹사이트
Mogadishu music festival helps city move past sounds of war
https://web.archive.[...]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s coalitions pour la diversité culturelle
2013-09-11
[231]
웹사이트
Somali Webchat Series
https://web.archive.[...]
IIP CO.NX
2013-09-11
[232]
뉴스
Somalie : « Bilan », le premier média 100 % féminin qui brise les tabous
https://www.lemonde.[...]
2023-10-24
[233]
CongBio
[234]
웹사이트
Twin Cities of Ankara
http://www.ankara.be[...]
Greater Municipality of Ankara
2014-10-12
[235]
웹사이트
Mungaab seeks Doha's help in reviving Mogadishu
https://somaliagenda[...]
Somali Agenda
2014-11-13
[236]
웹사이트
Konya and Mogadishu Signed Sister City Protocol
https://www.tdbb.org[...]
Union of Turkish World Municipalities
2022-00-00 #연도만 제공됨
[237]
unknown
[238]
뉴스
Somalia: New Mogadishu Mayor Pledges to Deal With Insecurity
https://allafrica.co[...]
allafrica
2022-09-14
[239]
보고서
Population Estimation Survey 2014 for the 18 Pre-War Regions of Somalia
http://reliefweb.int[...]
[240]
보고서
Demographia World Urban Areas 12th Annual Edition: 2016:04
http://demographia.c[...]
[241]
논문
Population predictions of the 101 largest cities in the 21st century
http://media.wix.com[...]
2014-01-00
[242]
웹사이트
ソマリア首都で自動車爆弾が爆発、少なくとも100人死亡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22-10-30
[243]
뉴스
海水浴客でにぎわうソマリアの首都モガディシオのビーチ
https://www.afpbb.co[...]
2014-02-01
[244]
웹사이트
Wetter im Detail: Klimadaten
http://wetter.spiege[...]
BBC Weather
2012-04-11
[245]
웹사이트
Monthly - Weather Averages Summary
http://www.weatherba[...]
Weatherbase.com
2014-03-10
[246]
서적
Somalia: Nation in Search of a State
Westview Press
1987
[247]
간행물
CIA world fact book
[248]
뉴스
Somalian 'ghost city' wracked by war
http://news.bbc.co.u[...]
BBC
2008-10-06
[249]
웹인용
Somalia
https://web.archive.[...]
Populstat
2015-02-24
[250]
웹인용
Italian arquitecture in Somalia (in Italian)
http://www.fedoa.uni[...]
2021-02-06
[251]
웹인용
Klimatafel von Mogadischu (Mogadiscio) / Somalia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6-10-22
[252]
웹인용
Long term mean monthly sunshine fraction in Somalia
http://sddr.faoswali[...]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16-11-0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AI 시나리오’ 기반 영화로 개막···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3일부터 시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