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 매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 매듭은 매듭의 연결합 연산을 통해 정의되는 매듭의 한 종류이다. 유향 매듭 K가 자명한 매듭이 아닌 두 매듭 K'와 K''의 연결합 K = K'#K''로 표현될 때, K' 또는 K'' 중 하나가 자명한 매듭이면 K를 소 매듭이라고 한다. 모든 유향 매듭은 유한 개의 유향 소 매듭의 연결합으로 유일하게 표현되며, 교차수에 따라 소 매듭의 수가 달라진다. 소 매듭은 알렉산더-브리그스 표기법, 시슬스웨이트 표기법, 다우커 표기법, 콘웨이 표기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되며, 세잎매듭, 8자 매듭 등 일부 소 매듭은 그 모양이나 유래에 따라 이름이 붙여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매듭 이론 - 꼬임군 (위상수학)
    꼬임군은 n개의 가닥 꼬기 연산을 연구하는 수학적 구조로, 꼬임들의 연결을 통해 군 연산을 수행하며 매듭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매듭 이론 - 천-사이먼스 이론
    천-사이먼스 이론은 천싱선과 제임스 해리스 사이먼스가 정의한 3차 천-사이먼스 형식을 기반으로 3차원 다양체에서 정의되는 위상 양자장론으로, 양자장론, 매듭 이론, 끈 이론 등 다양한 분야와 연관되어 있으며 존스 다항식, 베스-추미노-위튼 모형, 분수 양자 홀 효과 설명 등에 활용된다.
소 매듭
매듭 이론
정의소 매듭은 두 개의 자명하지 않은 매듭의 연결합으로 표현할 수 없는 매듭이다.
소수가 소수의 곱으로 표현할 수 없는 수인 것처럼, 소 매듭은 다른 매듭의 연결합으로 분해할 수 없는 매듭이다.
다른 이름프라임 매듭
성질
개수매듭 교차 수가 주어졌을 때 소 매듭의 개수는 다음과 같다.
참고소 매듭의 수열은 A002863에 나타나 있다.
매듭 교차 수가 10개 이하인 소 매듭은 이미 표로 작성되어 있다.

2. 정의

knot영어은 3차원 공간에서 원을 꼬아 만든 도형이다. 매듭 이론에서는 양 끝을 서로 붙여 고리 모양으로 만든 매듭을 다룬다.

2. 1. 매듭의 연결합

두 유향 매듭 K, K' \colon\mathbb S^1\to\mathbb S^3이 주어졌을 때, 다음과 같은 연산을 생각할 수 있다.

  • 두 매듭의 그림을 임의로 고른다.


  • 이 두 매듭의 그림에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두 변들을 고른다.


  • 이 두 변들을 잇는다.



이 연산에 따라, 유향 매듭들은 가환 모노이드를 이룬다. (그러나 이 연산은 매듭의 방향에 의존한다.) 이 연산을 매듭의 '''연결합'''이라고 하고, \#로 표기한다. 이 연산은 다음을 만족시킨다.

:\overline{K\#K'} \cong \bar K\#\bar K'

여기서 \bar K는 유향 매듭 K에서, 반대 방향을 부여한 유향 매듭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K \# K' \not\cong K \# \bar K'

이다. (예를 들어, 두 세잎매듭의 연결합은 방향에 따라 두 가지가 있다.)

호르스트 슈베르트가 증명한 정리에 따르면, 모든 매듭은 소수 매듭의 연결합으로 유일하게 표현될 수 있다.[1]

2. 2. 소 매듭

두 유향 매듭 K, K'의 매듭 연결합이 자명한 매듭일 필요충분조건은 KK' 둘 다 자명한 매듭인 것이다. 또한, 자명한 매듭은 매듭 연결합의 항등원이다.

이제, 유향 매듭 K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유향 소 매듭'''이라고 한다.

  • K\cong K'\# K''일 때, K'K'' 가운데 하나가 자명한 매듭이며, 다른 하나는 자명한 매듭이 아니다.

유향 매듭 K가 유향 소 매듭일 필요충분조건은 \bar K가 유향 소 매듭인 것이다. 즉, 이 조건은 매듭의 방향에 의존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임의로 방향을 부여하였을 때 유향 소 매듭이 되는 매듭을 '''소 매듭'''이라고 한다. (특히, 자명한 매듭은 소 매듭이 아니다.)

호르스트 슈베르트(1919-2001)에 의해 증명된 정리는 모든 매듭은 소수 매듭의 연결합으로 유일하게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1]

3. 성질

모든 유향 매듭은 유한 개의 유향 소 매듭들의 연결합으로 유일하게 표현된다. 이 정리가 성립하려면, 자명한 매듭이 소 매듭이 될 수 없다.[1]

호르스트 슈베르트가 증명한 정리에 따르면, 모든 매듭은 소수 매듭의 연결합으로 유일하게 표현될 수 있다.[1]

각 교차수에 따른 소 매듭의 수는 다음과 같다.

교차수12345678910111213141516
소 매듭의 수0011237214916555221769988469722532931388705


4. 목록

이름그림알렉산더-브리그스 표기법시슬스웨이트 표기법다우커 표기법콘웨이 표기법
세잎매듭
313a14 6 2[3]
8자 매듭
414a14 6 8 2[22]
다섯잎매듭
515a26 8 10 2 4[5]
3겹 뒤튼 매듭
525a14 8 10 2 6[32]
하역 매듭
616a34 8 12 10 2 6[42]
밀러 연구소 매듭
626a24 8 10 12 2 6[312]
636a14 8 10 2 12 6[2112]
일곱잎매듭
717a78 10 12 14 2 4 6[7]
5겹 뒤튼 매듭
727a44 10 14 12 2 8 6[52]
737a56 10 12 14 2 4 8[43]
747a66 10 12 14 4 2 8[313]
757a34 10 12 14 2 8 6[322]
767a24 8 12 2 14 6 10[2212]
777a14 8 10 12 2 14 6[21112]



여기서 사용된 표기법은 다음과 같다.


  • '''알렉산더-브리그스 표기법'''(Alexander–Briggs notation영어): 제임스 워델 알렉산더와 갈런드 버드 브리그스(Garland Baird Briggs)의 1927년 논문[2]에서 최초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데일 롤프슨이 그 목록을 확장하였다. 이 표기법에서, nm은 교차수 n을 갖는 소 매듭을 뜻하며, m은 같은 교차수 속에서 임의로 순서를 매긴 것이다.
  • '''시슬스웨이트 표기법'''(Thistlethwaite notation영어): 모원 시슬스웨이트가 도입하였다.
  • '''다우커 표기법'''(Dowker notation영어): 클리퍼드 휴 다우커가 도입하였다.
  • '''콘웨이 표기법'''(Conway notation영어): 존 호턴 콘웨이가 도입하였다.

5. 역사

일부 소 매듭의 어원은 다음과 같다.


  • 세잎매듭(trefoil knot영어), 다섯잎매듭(cinquefoil knot영어), 일곱잎매듭(septfoil knot영어): 매듭의 모양을 세잎 토끼풀 및 (가상의) 다섯잎·일곱잎 토끼풀에 빗댄 것이다.
  • 8자 매듭(figure-eight knot영어): 매듭의 중앙에 아라비아 숫자 8과 비슷한 모양이 있다.
  • 3겹 뒤튼 매듭(three-twist knot영어), 5겹 뒤튼 매듭(five-twist knot영어): 맨 위에 3번·5번 뒤튼 모양이 있다. (1겹 뒤튼 매듭은 세잎매듭과 같으며, 2겹 뒤튼 매듭은 8자 매듭과 같으며, 4겹 뒤튼 매듭은 하역 매듭과 같다.)
  • 하역 매듭(荷役-, stevedore’s knot영어): 부두에서 짐을 싣거나 내릴 때 이 매듭을 사용했다고 한다. stevedore|스티브도어영어는 항만(港灣) 노동자를 뜻한다.
  • 밀러 연구소 매듭(Miller Institute knot영어):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밀러 기초 과학 연구소(The Miller Institute for Basic Research in Science영어)의 로고에 이 매듭이 등장한다.

참조

[1] 논문 Die eindeutige Zerlegbarkeit eines Knotens in Primknoten S.-B Heidelberger Akad. Wiss. Math.-Nat. Kl. 1949
[2] 저널 On types of knotted curves http://www.maths.ed.[...] 19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