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결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결합은 같은 차원의 두 위상 다양체 또는 매끄러운 다양체를 결합하는 연산이다. 두 다양체에서 각각 공을 제거하고, 경계를 따라 붙여서 새로운 다양체를 만든다. 연결합은 임의의 데이터 선택에 의존하지 않으며, 다양체는 항상 다양체이다. 연결합은 교환 법칙과 결합 법칙을 만족하며, 초구를 항등원으로 갖는다. 닫힌 곡면의 분류, 3차원 다양체의 소분해 등 위상수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부분 다양체를 따른 연결합과 매듭의 연결합 등 다양한 형태로 정의되며, 매듭 이론에서도 중요한 개념으로 사용된다. 연결합의 유일성은 미셸 케르베르와 존 밀너에 의해 증명되었으며, 3차원 다양체의 소분해는 헬무트 크네저와 존 밀너에 의해 연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분위상수학 - 벡터장
    벡터장은 유클리드 공간이나 미분다양체의 각 점에 벡터를 대응시키는 사상으로, 유클리드 공간에서는 벡터값 함수로 표현되고 미분다양체에서는 접다발의 단면이나 도함수로 정의되며, 물리학, 기상, 유체역학, 전자기학, 컴퓨터 그래픽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 미분위상수학 - 법다발
    법다발은 다양체 $M$에 매장된 다양체 $N$의 접다발을 $M$의 접다발로 확장한 몫다발로, 리만 다양체에서는 법선 공간들의 모임으로 정의되며 여법선 다발과 관련이 깊다.
  • 대수적 위상수학 - 매시 곱
    매시 곱은 미분 등급 대수 원소에 대한 연산으로 코호몰로지 곱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위상수학적 불변량을 측정하며, 2항 곱과 3항 곱을 일반화한 형태로 불확정성을 가지지만, 브루니안 링크, 보로메오 고리 연구 및 꼬인 K-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대수적 위상수학 - 톰 공간
    톰 공간은 파라콤팩트 공간 위의 벡터 다발을 이용하여 구성되며, 르네 톰에 의해 도입되었고, 톰 동형을 통해 기저 공간의 코호몰로지와 관계를 가지며 특성류 이론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결합
정의
정의두 다양체를 잘라내어 경계를 따라 붙여서 생성되는 다양체
연산
기호# (해시 기호)
대상다양체
성질연결 합은 가환적이다. (차원에 따라 추가 조건 필요)
연결 합은 결합적이다.
형식적 정의
개요n차원 다양체 M과 N의 연결합은 각 다양체에서 n차원 원반을 제거하고, 남은 경계 성분들을 서로 붙여서 얻는다.
결과는 M과 N, 그리고 선택한 원반과 붙이는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절차

3. 경계 사상 φ: ∂D1 → ∂D2를 선택한다.
결과결과는 M과 N에서 선택한 원반과 붙이는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1차원 다양체의 경우, 연결합은 두 원반을 제거하고 남은 경계를 붙이는 것과 같다.
성질
가환성2차원 이상의 다양체에서 연결합은 유일한 연산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M # N은 N # M과 미분 동형이다.
1차원 다양체의 경우, 연결합은 두 원반을 제거하고 남은 경계를 붙이는 것과 같다.
결합성연결합은 결합적이다. 즉, (M # N) # K는 M # (N # K)와 미분 동형이다.
항등원n차원 구 S^n은 n차원 다양체의 연결합에 대한 항등원이다.
M # S^n은 M과 미분 동형이다.
예시
원환면두 원환면의 연결합은 종수 2의 곡면이다.
사영 평면두 사영 평면의 연결합은 클라인 병이다.
세 사영 평면의 연결합은 사영 평면과 원환면의 연결합과 같다.
관련 개념
연결 합 (매듭 이론)매듭 이론에서의 연결 합
블로섬 2-다양체 연결 합블로섬 2-다양체에서의 연결 합

2. 정의

연결합은 같은 차원의 두 다양체에 대하여 정의할 수 있다. 즉, 위상 다양체나 매끄러운 다양체 모두 연결합을 정의할 수 있다.[1]

두 ''m''차원 다양체의 연결합은 각 다양체 내부에서 공을 제거하고 그 결과로 생긴 경계 구를 붙여서 만들어진다.

만약 두 다양체가 모두 방향을 가질 수 있는 경우, 붙이는 과정에서 방향을 반대로 하는 함수를 사용하여 연결합이 유일하게 정의된다.

연결합 연산은 \# 기호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A\#BAB의 연결합을 나타낸다. 연결합 연산에서 구 S^m항등원 역할을 한다. 즉, M \# S^mM과 위상 동형이다.

닫힌 곡면의 분류에 따르면, 모든 닫힌 곡면은 구와 여러 개의 토러스, 그리고 여러 개의 실사영평면의 연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2. 1. 위상 다양체의 연결합

연결합(connected sum)은 같은 차원의 두 다양체에 대하여 정의할 수 있다. n차원 연결 다양체 M과 N이 주어졌을 때, 각 다양체에서 n차원 열린 공을 제거하고, 그 경계인 (n-1)차원 구면을 따라 붙여서 연결합 M#N을 정의한다.[1] 만약 M과 N이 가향 다양체라면, 방향을 보존하거나 반전시키는 방식으로 붙여서 연결합을 정의할 수 있다.

두 다양체가 모두 방향을 가지는 경우, 접착 맵이 방향을 반전시켜 정의되는 고유한 연결합이 존재한다. 이 구성은 공의 선택을 사용하지만, 결과는 위상 동형까지 고유하다. 또한 이 연산을 매끄러운 함수 범주에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때 결과는 미분 동형까지 고유하다. 매끄러운 경우 미묘한 문제가 있는데, 구의 경계 사이의 모든 미분 동형이 방향이 올바르게 선택된 경우에도 동일한 합성 다양체를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밀너는 두 개의 7-세포를 경계를 따라 접착하여 결과가 7-구와 위상 동형이지만 미분 동형이 아닌 이상한 구가 될 수 있음을 보였다.[1]

그러나 M_1M_2의 접착을 선택하여 고유하고 잘 정의된 연결합을 제공하는 표준적인 방법이 있다.[1] 방향을 보존하는 i_1 : D_n \rightarrow M_1와 방향을 반전시키는 i_2 : D_n \rightarrow M_2를 선택한다. 이제 분리 합에서 M_1 \mathbin{\#} M_2를 얻는다.

:(M_1 - i_1(0)) \sqcup (M_2 - i_2(0))

각 단위 벡터 u \in S^{n-1}와 각 0 < t < 1에 대해 i_1(tu)i_2((1 - t)u)로 식별한다. M_1M_2와 호환되는 M_1 \mathbin{\#} M_2에 대한 방향을 선택한다. 이 구성이 잘 정의되어 있다는 사실은 전혀 명확하지 않은 원반 정리에 결정적으로 의존한다.[2]

2. 2. 매끄러운 다양체의 연결합

매끄러운 다양체MN의 연결합 M\#N 위에는 자연스러운 매끄러움 구조가 존재하여, 매끄러운 다양체를 이룬다.[1] 이 구성은 공의 선택을 사용하지만, 결과는 위상 동형까지 고유하다. 또한 이 연산을 매끄러운 함수 범주에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때 결과는 미분 동형까지 고유하다.

매끄러운 경우, 구의 경계 사이의 모든 미분 동형이 방향이 올바르게 선택된 경우에도 동일한 합성 다양체를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밀너는 두 개의 7-세포를 경계를 따라 접착하여 결과가 7-구와 위상 동형이지만 미분 동형이 아닌 이상한 구가 될 수 있음을 보였다.[1]

그러나 M_1M_2의 접착을 선택하여 고유하고 잘 정의된 연결합을 제공하는 표준적인 방법이 있다.[1] 방향을 보존하는 i_1 : D_n \rightarrow M_1와 방향을 반전시키는 i_2 : D_n \rightarrow M_2를 선택한다. 이제 분리 합에서 M_1 \mathbin{\#} M_2를 얻는다.

:(M_1 - i_1(0)) \sqcup (M_2 - i_2(0))

각 단위 벡터 u \in S^{n-1}와 각 0 < t < 1에 대해 i_1(tu)i_2((1 - t)u)로 식별한다. M_1M_2와 호환되는 M_1 \mathbin{\#} M_2에 대한 방향을 선택한다. 이 구성이 잘 정의되어 있다는 사실은 원반 정리에 결정적으로 의존한다.[2]

3. 성질

연결합은 교환 법칙과 결합 법칙을 만족시킨다. 즉, 다양체 또는 매끄러운 다양체의 연결합에서, 다음이 성립한다.[1]

:M\#N\cong N\#M

2차원 이상의 다양체에서, 두 연결 비가향 또는 유향 다양체의 연결합은 연결 공간이다. 이 경우, 연결합은 (위상 동형 아래) 결합 법칙을 만족시키며, 매끄러운 다양체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2차원 이상에서 연결 비가향 또는 유향 다양체들은 가환 모노이드를 이룬다.

연결합 모노이드의 항등원은 초구 \mathbb S^n이다. 즉, 임의의 n차원 연결 비가향 또는 유향 다양체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M\#\mathbb S^n\cong M

3차원 이하에서는 연결합 모노이드에 역원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M\# N\cong\mathbb S^n이라면 M\cong N\cong\mathbb S^n이어야 한다 (n\le3). 그러나 이는 5차원 이상의 매끄러운 다양체에서는 성립하지 않는다. 5차원 이상에서는 자명하지 않은 매끄러운 호모토피 초구(초구호모토피 동치인 매끄러운 다양체)가 존재하며, 매끄러운 다양체에 대하여 호모토피 초구인 것은 연결합 모노이드에서 역원을 갖는 것과 동치이다.[1]

4. 예


  • 임의의 차원 n>0에서, 두 유클리드 공간의 연결합은 기둥 \mathbb R^n\#\mathbb R^n\cong\mathbb S^{n-1}\times\mathbb R이다.
  • 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차원 n>0에서, 구멍이 p개 뚫린 초구와 q개 뚫린 초구의 연결합은 구멍이 p+q개 뚫린 초구이다. (유클리드 공간은 구멍이 1개 뚫린 초구와 위상 동형이며, 기둥 \mathbb S^{n-1}\times\mathbb R은 구멍이 2개 뚫린 초구와 위상 동형이다.)

:(\mathbb S^n\setminus\{x_1,\dots,x_p\})\#(\mathbb S^n\setminus\{y_1,\dots,y_q\})\cong\mathbb S^n\setminus\{z_1,\dots,z_{p+q}\}

  • 두 m차원 다양체의 '''연결합'''은 각 다양체 내부에서 공을 삭제하고 결과 경계 구를 합착 공간을 통해 접착하여 형성된 다양체이다.
  • 두 다양체가 모두 방향을 가지는 경우, 접착 맵이 방향을 반전시켜 정의되는 고유한 연결합이 존재한다. 이 구성은 공의 선택을 사용하지만, 결과는 위상 동형까지 고유하다.
  • 이 연산을 매끄러운 함수 범주에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때 결과는 미분 동형까지 고유하다. 매끄러운 경우 미묘한 문제가 있는데, 구의 경계 사이의 모든 미분 동형이 방향이 올바르게 선택된 경우에도 동일한 합성 다양체를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밀너는 두 개의 7-세포를 경계를 따라 접착하여 결과가 7-구와 위상 동형이지만 미분 동형이 아닌 이상한 구가 될 수 있음을 보였다.
  • 연결합 연산은 \#로 표시된다. 연결합 연산은 구 S^m항등원으로 갖는다. 즉, M \mathbin{\#} S^mM과 위상 동형(또는 미분 동형)이다.
  • 위상수학의 기초적이고 역사적으로 중요한 결과인 닫힌 곡면의 분류는 모든 닫힌 곡면이 구와 몇 개의 토러스와 몇 개의 실 투영 평면의 연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고 말한다.
  • 두 개의 매끄러운 유향 다양체 M_1M_2가 같은 차원을 가지고, V는 두 M_1M_2에 모두 부분다양체로 임베딩된 매끄럽고 닫힌 유향 다양체라고 가정하자. 또한 각 섬유의 방향을 반전시키는 정규 벡터 다발의 동형 사상 \psi: N_{M_1} V \to N_{M_2} V가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psi는 방향을 보존하는 미분 동형 사상을 유도한다.

:N_1 \setminus V \cong N_{M_1} V \setminus V \to N_{M_2} V \setminus V \cong N_2 \setminus V,

여기서 각 정규 다발 N_{M_i} VM_iV의 근방 N_i와 미분 동형적으로 식별되며, 사상 N_{M_1} V \setminus V \to N_{M_2} V \setminus V는 방향을 반전시키는 미분 동형 대합 v \mapsto v / |v|^2이 정규 벡터에 적용된다.

  • V를 따라 M_1M_2의 '''연결합'''은 (M_1 \setminus V) \bigcup_{N_1 \setminus V = N_2 \setminus V} (M_2 \setminus V)이며, 방향을 보존하는 미분 동형 사상에 의해 삭제된 근방들을 함께 접착하여 얻어진다. 합은 종종 (M_1, V) \mathbin{\#} (M_2, V)으로 표시된다. 그것의 미분 동형 유형은 V의 두 임베딩의 선택과 \psi의 선택에 따라 달라진다.
  • 대략적으로 말하면, 부분다양체 V의 각 정규 섬유는 V의 단일 점을 포함하며, V를 따라 연결합은 단순히 앞 절에서 설명한 연결합으로, 각 섬유를 따라 수행된다. 이러한 이유로, V를 따른 연결합은 종종 '''섬유 합'''이라고 불린다. V가 점인 특수한 경우는 앞 절의 연결합을 복구한다.
  • 또 다른 중요한 특수한 경우는 V의 차원이 M_i의 차원보다 2만큼 작을 때 발생한다. 이 경우, 정규 번들의 오일러류가 반대일 때마다 정규 번들의 동형사상 \psi가 존재한다.

:e\left(N_{M_1} V\right) = -e\left(N_{M_2} V\right).

또한, 이 경우 정규 번들의 구조군은 원군 SO(2)이다. 따라서 매장의 선택은 V에서 으로 가는 사상의 호모토피류의 과 정규적으로 동일시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첫 번째 정수 코호몰로지H^1(V)과 같다. 따라서 합의 미분동형사상 유형은 \psi의 선택과 H^1(V)의 원소 선택에 따라 달라진다.

  • 코드차원 2인 V를 따라 연결합은 심플렉틱 다양체 범주에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확장은 심플렉틱 합이라고 한다.
  • 연결합은 다양체에 대한 국소 연산으로, V의 근방에서만 피합수들을 변경한다는 의미이다. 이는 예를 들어, MV의 상호소 복사본 두 개를 포함하는 단일 다양체 M에서 합이 수행될 수 있으며, 그 결과 M을 자체에 붙이는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2-구의 서로 다른 두 점에서 2-구의 연결합은 2-원환면을 생성한다.
  • 두 매듭의 연결합과 밀접하게 관련된 개념이 있다. 실제로 매듭을 단순히 1-다양체로 간주한다면 두 매듭의 연결합은 단지 1차원 다양체로서의 연결합일 뿐이다. 그러나 매듭의 본질적인 속성은 (모든 매듭이 원과 동등하게 되는) 다양체 구조가 아니라 임베딩을 주위 공간에 임베딩하는 것이다. 따라서 매듭의 연결합은 다음과 같이 잘 정의된 임베딩을 생성하는 더 정교한 정의를 갖는다.

각 매듭의 분리된 평면 투영을 고려


평면에서 한 쌍의 변이 각 매듭을 따라 호를 이루지만 그 외에는 매듭과 분리된 직사각형을 찾음


매듭에서 이러한 호를 삭제하고 직사각형의 다른 한 쌍의 변을 형성하는 호를 추가하여 두 매듭을 함께 연결

  • 이 절차는 새로운 매듭의 투영, 즉 원래 매듭의 '''연결합''' (또는 '''매듭 합''' 또는 '''합성''')을 생성한다. 매듭의 연결합이 잘 정의되려면 3차원에서 '''방향이 있는 매듭'''을 고려해야 한다. 두 개의 방향이 있는 매듭에 대한 연결합을 정의하려면 다음과 같이 한다.

1. 각 매듭의 평면 투영을 고려하고 이러한 투영이 분리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2. 평면에서 한 쌍의 변이 각 매듭을 따라 호를 이루지만 그 외에는 매듭과 분리된 직사각형을 찾는다. '''그리고''' 직사각형의 측면에 있는 매듭의 호가 직사각형의 경계 주위를 '''같은 방향'''으로 향하도록 한다.

3. 이제 매듭에서 이러한 호를 삭제하고 직사각형의 다른 한 쌍의 변을 형성하는 호를 추가하여 두 매듭을 함께 연결한다.

  • 결과 연결합 매듭은 두 개의 원래 매듭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을 상속하며, 결과의 방향이 있는 주위 공간 아이소토피 클래스는 잘 정의되며 원래 두 매듭의 방향이 있는 주위 공간 아이소토피 클래스에만 의존한다.
  • 이 연산 하에서 3차원의 방향이 있는 매듭은 고유한 소인수 분해를 갖는 가환 모노이드를 형성하므로 소수 매듭의 의미를 정의할 수 있다. 가환성은 한 피가수를 매우 작아질 때까지 줄인 다음 다른 매듭을 따라 당겨서 수학적 증명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매듭 없음은 단위 원이다. 두 개의 세잎 매듭은 가장 간단한 소수 매듭이다. 더 높은 차원의 매듭은 n-구체를 이어 붙여 추가할 수 있다.
  • 3차원에서 매듭 없음은 두 개의 비자명한 매듭의 합으로 표현될 수 없다. 이 사실은 매듭 종수의 가법성에서 비롯되며, 또 다른 증명은 때때로 마주르 사기라고 불리는 무한한 구성을 사용한다. 더 높은 차원(코디멘션이 3 이상인 경우)에서는 두 개의 비자명 매듭을 더하여 매듭 없음을 얻을 수 있다.
  • 매듭의 방향을 '''고려하지''' 않으면 연결합 연산은 (방향이 없는) 매듭의 아이소토피 클래스에서 잘 정의되지 않는다. 이를 확인하려면 동등하지 않은 (방향이 없는 매듭으로) 두 개의 비가역 매듭 K, L을 고려한다. 예를 들어 두 개의 프레즐 링크 K = P(3, 5, 7) 및 L = P(3, 5, 9)를 사용한다. K+와 K는 두 개의 동등하지 않은 방향을 가진 K이고, L+와 L는 두 개의 동등하지 않은 방향을 가진 L이다. 형성할 수 있는 네 개의 방향이 있는 연결합이 있다.
  • A = K+ # L+
  • B = K # L
  • C = K+ # L
  • D = K # L+
  • 이 네 개의 방향이 있는 매듭의 방향이 있는 주위 공간 아이소토피 클래스는 모두 다르며, 방향에 관계없이 매듭의 주위 공간 아이소토피를 고려하면 '''두 개의 뚜렷한''' 등가 클래스 {A ~ B} 및 {C ~ D}가 있다. A와 B가 방향이 없는 동등함을 보려면 위와 같이 동일한 한 쌍의 분리된 매듭 투영에서 모두 구성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면 된다. 유일한 차이점은 매듭의 방향이다. 마찬가지로 C와 D는 동일한 한 쌍의 분리된 매듭 투영에서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4. 1. 1차원 다양체

1차원 (하우스도르프 파라콤팩트) 연결 다양체는 모두 \mathbb S^1 또는 실직선 \mathbb R와 위상 동형이다. 둘 다 유향 다양체이며, 둘 다 방향을 뒤집는 자기 동형을 갖는다. 이 경우, 가능한 연결합들은 다음과 같다.

:\mathbb S^1\#\mathbb R\cong\mathbb R

:\mathbb R\#\mathbb R\cong\mathbb R\sqcup\mathbb R

:\mathbb S^1\#\mathbb S^1\cong\mathbb S^1

특히, \mathbb R\#\mathbb R의 경우 연결 공간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이는 0차원 초구 \mathbb S^0연결 공간이 아니기 때문에 가능하다.

4. 2. 2차원 다양체

두 개의 원환면의 연결합은 종수가 2인 리만 곡면이다.


2차원 콤팩트 연결 다양체의 경우, 모두 원환면사영 평면들의 연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원환면은 가향 다양체이며, 사영 평면은 비가향 다양체이다.[1] 2차원 콤팩트 연결 유향 또는 비가향 다양체들의 연결합 가환 모노이드는 다음과 같은 표시를 갖는다.

:\langle\mathbb P^2,\mathbb T^2|\mathbb P^2\#\mathbb P^2\#\mathbb P^2=\mathbb T^2\#\mathbb P^2\rangle

4. 3. 3차원 다양체

모든 3차원 콤팩트 유향 다양체는 유한 개의 소다양체(prime manifold)들의 연결합으로 유일하게 표현된다 (소분해).[1] 3차원 다양체는 유일한 매끄러움 구조를 갖는다.[1]

3차원 초구가 아닌 두 개의 다양체의 연결합으로 나타낼 수 없는 3차원 연결 콤팩트 유향 다양체를 '''소다양체'''(prime manifold영어)라고 한다.[1] 모든 3차원 콤팩트 유향 다양체는 유한 개의 소다양체들의 연결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러한 표현은 유일하다.[1] 이를 3차원 다양체의 '''소분해'''(prime decomposition영어)라고 한다.[1] 따라서, 3차원 콤팩트 연결 유향 다양체들의 연결합 모노이드는 자유 가환 모노이드이다.[1]

4. 4. 4차원 이상

4차원 이상에서는 다양체, 조각적 선형 다양체, 매끄러운 다양체가 각각 다르다.

5. 부분 다양체를 따른 연결합

M_1M_2를 같은 차원의 매끄럽고 방향을 갖는 다양체라 하고, VM_1M_2 모두에 부분다양체로 매끄럽게 임베딩된 닫힌 유향 다양체라고 하자. 그리고 각 섬유의 방향을 반전시키는 정규 벡터 다발의 동형 사상

:\psi: N_{M_1} V \to N_{M_2} V

이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psi는 방향을 보존하는 미분 동형 사상을 유도한다.

:N_1 \setminus V \cong N_{M_1} V \setminus V \to N_{M_2} V \setminus V \cong N_2 \setminus V,

여기서 각 정규 다발 N_{M_i} VM_i에서 V의 근방 N_i와 미분 동형적으로 식별되며, 사상

:N_{M_1} V \setminus V \to N_{M_2} V \setminus V

는 정규 벡터에 방향을 반전시키는 미분 동형 대합

:v \mapsto v / |v|^2

을 적용한 것이다. V를 따라 M_1M_2의 연결합은

:(M_1 \setminus V) \bigcup_{N_1 \setminus V = N_2 \setminus V} (M_2 \setminus V)

와 같이, 방향을 보존하는 미분 동형 사상에 의해 삭제된 근방들을 함께 접착하여 얻어진다. 이 합은 종종

:(M_1, V) \mathbin{\#} (M_2, V).

로 표시된다. 이 결과의 미분 동형 유형은 V의 두 임베딩의 선택과 \psi의 선택에 따라 달라진다.[1]

V의 각 정규 섬유는 V의 단일 점을 포함하며, V를 따라 연결합을 하는 것은 각 섬유를 따라 연결합을 수행하는 것과 같다. 이러한 이유로, V를 따른 연결합은 섬유 합이라고도 불린다.[1]

V가 점인 특수한 경우는 점에서의 연결합과 같다.

연결합은 다양체에 대한 국소 연산이므로, V의 근방에서만 피합수들을 변경한다.[1]

5. 1. 여차원 2인 경우

V|V영어의 여차원이 2인 경우, 정규 다발의 오일러류가 반대이면 연결합을 정의할 수 있다.[1] 즉,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e\left(N_{M_1} V\right) = -e\left(N_{M_2} V\right).

이 경우, 정규 다발의 구조군은 원군 SO(2)|SO(2)영어이다.[1] 따라서 매장의 선택은 V|V영어에서 으로 가는 사상의 호모토피류의 과 정규적으로 동일시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첫 번째 정수 코호몰로지H^1(V)과 같다.[1] 그러므로 합의 미분동형사상 유형은 \psi의 선택과 H^1(V)의 원소 선택에 따라 달라진다.[1]

심플렉틱 다양체의 경우, 심플렉틱 합을 정의할 수 있다.[1]

6. 매듭의 연결합

두 매듭의 연결합은 각 매듭에서 호(arc)를 제거하고, 그 경계를 따라 붙여서 정의한다. 이 연산은 매듭 이론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소수 매듭을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1]

3차원에서 방향이 있는 두 매듭의 연결합을 구체적으로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1]

1. 각 매듭을 평면에 사영했을 때, 서로 겹치지 않도록 위치시킨다.[1]

2. 각 매듭의 호(arc)를 한 변으로 하는 직사각형을 찾는다. 이때, 직사각형의 변을 따라 매듭의 방향이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1]

3. 각 매듭에서 직사각형과 겹치는 호(arc) 부분을 제거하고, 직사각형의 나머지 두 변을 이용하여 두 매듭을 연결한다.[1]

이렇게 만들어진 연결합 매듭은 원래 두 매듭의 방향을 이어받으며, 그 주위 공간 아이소토피 클래스는 원래 두 매듭의 주위 공간 아이소토피 클래스에 의해서만 결정된다.[1]

이 연결합 연산을 통해 3차원 공간의 방향 있는 매듭들은 가환 모노이드를 이루며, 소인수 분해와 유사한 고유한 분해를 갖는다. 여기서 매듭 없음은 단위원이 된다. 세잎 매듭은 가장 간단한 소수 매듭이다.[1]

3차원에서는 매듭 없음이 두 개의 비자명한 매듭의 연결합으로 표현될 수 없다. 이는 매듭 종수의 덧셈 성질로부터 유도된다.[1]

하지만 매듭의 방향을 고려하지 않으면 연결합 연산이 잘 정의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비가역적인 두 매듭 *K*, *L*에 대해 서로 다른 방향을 부여하여 네 가지 연결합을 만들 수 있는데, 이들은 방향을 무시하면 두 개의 동치류로 묶이게 된다.[1]

7. 역사

매끄러운 다양체의 경우, 연결합의 유일성은 미셸 케르베르존 밀너가 1963년에 증명하였다.[3] 위상 다양체의 경우, 연결합의 유일성은 원환 정리(annulus theorem영어)로부터 유도된다. 원환 정리의 증명은 복잡하며, 2차원에서는 러도 티보르((Radó Tiborhu))가 1924년에 증명하였고,[4] 3차원에서는 에드윈 에바리스트 모이즈((Edwin Evariste Moise영어))가 1952년에 증명하였고,[5] 4차원에서는 프랭크 퀸((Frank Quinn영어))이 1982년에 증명하였고,[6] 5차원 이상에서는 로비언 크롬웰 커비((Robion Cromwell Kirby영어))가 1969년에 증명하였다.[7]

3차원 다양체의 소분해의 존재는 1929년에 헬무트 크네저((Hellmuth Kneserde))가 증명하였고,[8] 그 유일성은 존 밀너가 증명하였다.[9]

참조

[1] 서적 Groups of Homotopy Spheres I 1963-05
[2] 서적 Differential Manifolds Academic Press Inc 1992
[3] 저널 Groups of homotopy spheres. I 1963
[4] 저널 Über den Begriff der Riemannschen Fläche
[5] 저널 Affine structures in 3-manifolds. V. The triangulation theorem and Hauptvermutung
[6] 저널 Ends of maps. III. Dimensions 4 and 5 http://projecteuclid[...]
[7] 저널 Stable homeomorphisms and the annulus conjecture
[8] 저널 Geschlossene Flächen in dreidimensionalen Mannigfaltigkeiten http://resolver.sub.[...]
[9] 저널 A unique decomposition theorem for 3-manifolds 196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