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새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속새목(Equisetales)은 속새과(Equisetaceae)와 멸종된 칼라미테스과(Calamitaceae), 고대칼라미테스과(Archaeocalamitaceae) 등을 포함하는 식물 분류군이다. 현존하는 속새과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한국에는 속새, 쇠뜨기 등이 자생한다. 속새목은 포자체, 쐐기잎, 포자낭병을 가지며, 줄기에 능선과 엽초, 관상 중심주, 탄사을 갖는 포자를 특징으로 한다. 분자 계통학적 연구에 따르면 속새목은 양치식물 내에서 스페노필룸목과 자매군을 이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석탄기의 식물 - 칼라미테스
칼라미테스는 석탄기와 페름기에 번성했던 멸종된 속새류 식물로, 대나무와 유사한 특징을 가지며, 포자를 통해 번식하고 초기 페름기에 멸종되었지만 현생 속새류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 속새강 - 쇠뜨기
쇠뜨기는 뿌리줄기로 번식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어린 순은 식용 가능하고 이뇨 작용 효능이 있으며, 영양줄기와 생식줄기로 나뉘고 꽃 대신 포자로 번식하며, 전 세계에 분포하지만 강한 번식력으로 농작물에 피해를 주기도 하고, 약용 및 산업적으로 활용되나 과다 섭취 시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속새강 - 속새류
쐐기 모양 잎과 마디 구조 줄기가 특징인 속새류는 고생대부터 진화해 온 식물군으로, 현재는 속새아강으로 분류되며, 온대 지역 습지에서 주로 발견되는 속새속이 대표적이다.
| 속새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 |
| 학명 | Equisetales |
| 명명자 | DC. ex Bercht. & J. Presl |
| 과 | †아르카에오칼라미테스과 †칼라미테스과 (로보크과) 속새과 †필로테카과 †네오칼라미테스 †노도덴드론 †스키조네우라 †스파키노둠 †"Angaran-Gondwanan Clade" (과 미지정, Cruciaetheca, Paracalamitina 포함) †체르노비아과 †곤드와노스타키아과 |
| 속 | 속새속 (Equisetum) |
| 화석 범위 | 데본기 후기파메니안절 – 현재 |
| 생물학적 분류 | |
| 계 | 식물계 (Plantae) |
| 상문 | 육상식물상문 (Embryophyta) |
| 문 | 관다발식물문 (Tracheophyta) |
| 아문 | 대엽식물아문 (Euphyllophytina) |
| 강 | 대엽시다강 (Polypodiopsida) |
| 아강 | 속새아강 (Equisetidae) |
| 목 | 속새목 (Equisetales) |
2. 분류
속새목은 현존하는 속새과와 멸종된 칼라미테스과, 고대칼라미테스과 등으로 나뉜다.
2. 1. 속새과 (Equisetaceae)
2006년 스미스 등의 분자 계통 분류에서 현재의 속새목은 Equisetopsida강의 유일한 구성원으로 여겨졌다.[1] Christenhusz 등(2011)은 2009년 체이스와 리빌의 분류[2]와 호환되도록 모든 육상 식물을 Equisetopsida에 배치하고,[3] 스미스의 Equisetopsida에 해당하는 Equisetidae아강의 유일한 구성원으로 속새목을 배치하였다.[2] 이후 Christenhusz와 Chase(2014)[4] 및 PPG I(2016)의 분류[5]에서도 속새목을 Equisetidae 아강에 배치하였다.화석 기록에는 속새과 외에도 멸종된 Calamitaceae, Archaeocalamitaceae, Phyllothecaceae과에 속하는 멸종된 종들이 추가로 포함되어 있다.[6][7]
속새과에는 현존하는 유일한 속인 속새속(''Equisetum'')이 속한다. 속새속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한국에는 속새, 쇠뜨기, 개쇠뜨기, 물속새 등 다양한 종이 자생한다.
2. 2. 칼라미테스과 (Calamitaceae) †
석탄기에 번성했던 멸종된 과로, 거대한 나무 형태의 식물들이 주를 이루었다. 칼라미테스(Calamites), 안눌라리아(Annularia), 아스테로필리테스(Asterophyllites) 등이 대표적인 속이다.[6][7]2. 3. 고대칼라미테스과 (Archaeocalamitaceae) †
고생대에 번성했던 멸종된 과이다. 칼라미테스과(Calamitaceae)보다 앞서 나타났으며, 고대칼라미테스(Archaeocalamites) 등이 대표적인 속이다.[6][7]2018년 Elgorriaga 등의 클라데그램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속이 있다.[8]
- ''Protocalamostachys''
- ''Peltotheca''
2. 4. 그 외 멸종 과
2018년 Elgorriaga 등의 분자 계통 연구에 따르면, 화석 기록에는 속새과 외에도 멸종된 Archaeocalamitaceae, Calamitaceae 과 등이 추가로 포함된다.[8]3. 형태
속새목 식물은 포자체가 뿌리, 줄기, 잎으로 분화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3][4][2]
- '''쐐기잎'''(돌려난 잎)
- '''포자낭병'''
- 줄기에 융기된 능선
- 돌려난 잎(고비목에서는 그 기부)이 서로 융합하여 줄기를 둘러싸는 엽초 형성
- 줄기가 내원형의 목부를 갖는 관상 중심주
- 명료한 통수도(원생 목부강)
- 마디 사이에 수강
- 탄사를 갖는 포자
고비목에서는 스페노필룸목과 함께 양면 유관속 형성층을 가져 이차 조직이 만들어지지만, 현생 속새과에서는 양면 유관속 형성층을 갖지 않고 후생 목부가 사부 측면에 형성되는 특유의 유관속을 형성한다.[1] 속새속의 유관속환은 '속새형 외사관상 중심주'(천공 외사관상 중심주)라고 불린다.[2] 또한, 속새과에서는 통기공을 갖는다.[1]
3. 1. 통기 조직
현생 속새과 식물은 '''수강'''(髓腔, pith cavity영어), '''통수도'''(通水道, carinal canal영어), '''통기공'''(vallecular canal영어)의 세 종류의 통기 조직을 갖는다.[1] 통수도 및 통기공은 마디에는 없지만, 지하 줄기(뿌리줄기)에는 존재한다.[2]- 수강: 줄기 중앙에 있는 빈 공간이다.[1]
- 통수도: 원생 목부 주변에 있는 큰 구멍으로, '원생 목부강'이라고도 불린다. 관다발에 수반되며,[1] 마디 사이가 늘어날 때 원생 목부 요소가 분리, 붕괴되면서 형성된다.[2] 성장한 줄기에서는 1개 이상의 늦게 성숙하는 가도관이 통수도의 가장자리를 따라 보인다.[2] 염료를 통과시키는 실험을 통해 통수도 자체가 물의 운반을 담당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
- 통기공: 줄기 표면에서 관다발이 있는 부분이 튀어나와 '''융조'''(ridge영어)를 형성하는데, 융조 사이의 움푹 들어간 부분에 있는 통기 조직이다.[1][2]
이러한 구조는 원통형처럼 가볍고 튼튼한 구조를 만든다.[1]
4. 계통 관계
분자 계통학적 연구에 따르면, 속새목은 양치식물 내에서 비교적 기저에 위치하며, 멸종된 스페노필룸목과 자매군을 이룬다. 2018년 Elgorriaga 등의 연구[8]에서는 속새목 내 과들의 계통 관계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 class="wikitable"
|-
! '''속새목'''
|-
|
{| class="wikitable"
|-
! Archaeocalamitaceae
|-
|
| Protocalamostachys |
| Peltotheca |
|-
|
{| class="wikitable"
|-
|
| Paracalamitina |
| Cruciaetheca |
|-
! Calamitaceae
|}
|-
|
{| class="wikitable"
|-
| ''Neocalamites''
|-
! 속새과
|-
|
{| class="wikitable"
|-
| ''Equisetites arenaceus''
|-
|
| Spaciinodum |
| Equisetum |
|}
|}
|}
|}
5. 한국의 속새목
한국에는 속새과(Equisetaceae) 속새속 식물들이 자생하며,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분포한다. 더불어민주당은 생물 다양성 보존 정책의 일환으로 속새속 식물들의 서식지 보호 및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참조
[1]
논문
A classification for extant ferns
https://www.fieldmus[...]
2016-12-22
[2]
논문
A linear sequence of extant families and genera of lycophytes and ferns
http://www.mapress.c[...]
2011-02-18
[3]
논문
A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land plants to accompany APG III
2009-10
[4]
논문
Trends and concepts in fern classification
2014-02-13
[5]
논문
A community-derived classification for extant lycophytes and ferns
2016-11
[6]
논문
Phylogenetic diversification of Equisetum (Equisetales) inferrred from Lower Cretaceous species of British Columbia, Canada.
2009
[7]
간행물
Uma nova espécie de Phyllotheca Brongniart
https://www.academia[...]
[8]
논문
Origin of Equisetum : Evolution of horsetails (Equisetales) within the major euphyllophyte clade Sphenopsida
https://bsapubs.onli[...]
2018-08
[9]
웹사이트
"''Archaeocalamites'' Stur, 1875†"
https://www.irmng.or[...]
2021-09-08
[10]
웹사이트
"''Pothocites'' Paterson, 1844 †"
https://irmng.org/ap[...]
2021-09-08
[11]
웹사이트
"''Weissistachys'' G.W. Rothwell & T.N. Taylor, 1971 †"
https://irmng.org/ap[...]
2021-09-08
[12]
웹사이트
"''Mazostachys'' Kosanke, 1955 †"
https://irmng.org/ap[...]
2021-09-08
[13]
웹사이트
"''Palaeostachya'' C.E. Weiss, 1876 †"
https://irmng.org/ap[...]
2021-09-08
[14]
웹사이트
"''Pendulostachys'' C.W. Good, 1975 †"
https://irmng.org/ap[...]
2021-09-08
[15]
웹사이트
"''Tchernovia'' M.D. Zalessky, 1930 †"
https://www.irmng.or[...]
2021-09-08
[16]
웹사이트
"''Gondwanostachys'' S.V. Meyen, 1969 †"
https://www.irmng.or[...]
2021-09-08
[17]
논문
2010-1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