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솔페리노의 회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솔페리노의 회상》은 1859년 솔페리노 전투를 목격한 앙리 뒤낭이 쓴 책이다. 뒤낭은 전투의 참상과 부상자 구호 활동의 필요성을 묘사하며, 각국에 전쟁 희생자를 구호하는 조직을 설치하고, 전투 부상자와 구호자를 보호하는 국제법을 제정할 것을 제안했다. 이 책은 국제 적십자 위원회와 제네바 협약의 설립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1894년 일본어 번역본이 출판되었으며, 2020년에는 한국어 완역본이 출간되어 한국 사회에 인도주의 정신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서전 - 나의 투쟁
    《나의 투쟁》은 아돌프 히틀러가 집필한 자서전이자 나치즘의 핵심 이념을 담은 책으로, 히틀러의 유년 시절, 나치당 창당 과정, 인종주의, 반유대주의, 레벤스라움 등의 정치적 신념을 상세히 묘사하고 있다.
  • 자서전 - 고백록 (아우구스티누스)
    아우구스티누스가 397년부터 401년 사이에 쓴 자전적 저서인 고백록은 총 13권으로 구성되어 자신의 삶과 회심 과정, 철학적, 신학적 성찰을 담아 인간의 죄성과 신의 은총, 시간과 영원 등의 주제를 탐구하며 여러 분야에 큰 영향을 주었다.
솔페리노의 회상
개요
제목솔페리노의 회상
원제Un souvenir de Solférino (엉 수브니르 드 솔페리노)
저자앙리 뒤낭
국가스위스
언어프랑스어
출판사Impremerie Jules-Guillaume Fick
출판년도1862년
내용
주제전쟁의 참상
인도주의
영향국제 적십자 위원회 창립의 계기
제네바 협약 체결의 계기

2. 역사적 배경

1859년 6월, 앙리 뒤낭은 사업차 이탈리아를 여행하던 중 솔페리노 전투를 목격하게 된다. 이 전투는 사르데냐 왕국프랑스 제2제국 연합군이 오스트리아 제국 군대와 싸운 전투였다. 뒤낭은 전투 후 부상자들이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하고 방치된 참혹한 상황을 목격하고 큰 충격을 받았다. 이러한 경험은 뒤낭이 『솔페리노의 회상』을 저술하는 계기가 되었다.

2. 1. 솔페리노 전투와 뒤낭의 경험

1859년 6월, 사업차 여행 중이던 앙리 뒤낭이탈리아솔페리노라는 마을 근처에서 사르데냐 왕국프랑스 제2제국 연합군이 오스트리아 제국 군대와 싸운 솔페리노 전투를 목격했다. 전투가 끝난 뒤 전장을 둘러본 뒤낭은 주검들이 흩어져 있는 가운데 부상자들이 아무런 도움도 받지 못한 채 방치되어 있는 참혹한 광경을 보고 큰 충격을 받아 부상자 구호 활동에 참여했다.[5][6]

뒤낭은 이 경험을 바탕으로 책을 썼으며, 책에서 전투의 참상과 부상자 구호의 필요성을 생생하게 묘사했다. 또한, 뒤낭은 이 책에서 다음과 같은 제안을 했다.

  • 각국에 전쟁이 일어났을 때 전투 희생자들을 구호하는 조직을 만들 것
  • 전투로 인한 부상자와 그 부상자를 구호하는 자는 전투 당사자 모두가 보호하는 법을 정할 것


1862년 뒤낭은 이 책을 자비로 출판하여 유럽 각국의 주요 정치인과 군인들에게 선물했다. 이후 몇 년 뒤 이 책은 11개 국어로 번역되었다.[2]

2. 2. 책의 출판과 주요 제안

1862년, 앙리 뒤낭은 《솔페리노의 회상》을 자비로 출판하여 유럽 각국의 주요 정치인과 군인들에게 선물했다. 이후 수년 안에 이 책은 11개 국어로 번역되었다.[2]

뒤낭은 이 책에서 솔페리노 전투의 참상과 자신의 구호 경험을 묘사하며 다음과 같이 제안했다.[5][6]

  • 각국에 전쟁이 일어났을 때 전투 희생자들을 구원하는 조직을 설치할 것[5][6]
  • 전투로 인한 부상자 및 그 부상자 구호에 나서는 자를 전투에 가담하는 어느 측에서도 보호하는 법을 정할 것[5][6]


뒤낭은 또한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졌다.

  • "평화로운 시기에 전쟁 시 부상자들을 헌신적이고, 헌신적이며, 철저히 자격을 갖춘 자원 봉사자들이 돌볼 수 있도록 구호 단체를 설립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까요?"[2]
  • "예를 들어, 각국의 군사 전문가들이 쾰른이나 샬롱에서 만나는 특별한 경우에, 이러한 종류의 회의를 이용하여 국제적인 원칙을 공식화하고, 협약에 의해 승인되어 불가침의 성격을 가지며, 일단 합의되고 비준되면 각 유럽 국가의 부상자 구호 단체의 기초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까요?"[2]


이 책의 출판은 국제 적십자 위원회(국제 적십자 및 적신월 운동)와 제네바 협약의 설립으로 이어졌다.[3]

3. 영향 및 결과

1859년 솔페리노 전투에서 수천 명의 부상병들이 고통받는 모습을 목격한 앙리 뒤낭은 《솔페리노의 회상》을 저술했다.[2] 뒤낭은 이 책에서 전투와 그로 인한 고통, 그리고 구호 활동의 필요성을 묘사하며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졌다.


  • "평화로운 시기에 전쟁 시 부상자들을 헌신적이고, 자격을 갖춘 자원 봉사자들이 돌볼 수 있도록 구호 단체를 설립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까요?"[2]
  • "각국의 군사 전문가들이 모여 국제적인 원칙을 공식화하고, 협약에 의해 승인되어 불가침의 성격을 가지며, 각 유럽 국가의 부상자 구호 단체의 기초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까요?"[2]


이 책의 출판은 국제적인 인도주의 운동의 시발점이 되었으며, 국제 적십자 위원회제네바 협약 설립에 큰 영향을 주었다.

3. 1. 국제 적십자 위원회 창설

1863년 앙리 뒤낭이 쓴 《솔페리노의 회상》을 계기로[11] 〈부상병 구호 국제위원회〉 (5인 위원회)가 조직되었고, 1876년에는 이것이 국제적십자위원회(ICRC)로 발전했다.[5][6] 뒤낭은 솔페리노 전투에서 수천 명의 부상당한 병사들이 고통받는 모습을 목격한 후 이 책을 썼다.[2] 그는 이 책에서 전투의 참상과 구호 활동의 필요성을 묘사하며, 평화로운 시기에 부상병들을 돌볼 수 있는 구호 단체의 설립과 국제적인 원칙의 수립을 제안했다.[2] 이러한 제안은 국제 적십자 및 적신월 운동과 제네바 협약의 설립으로 이어졌다.[3]

3. 2. 제네바 협약 체결

1863년 《솔페리노의 회상》을 계기로[11] 〈부상병 구호 국제위원회〉(5인 위원회)가 조직되었고, 1876년에는 이것이 국제적십자위원회로 발전했다. 1864년에는 뒤낭의 저서에서 제안된 내용에 따라 〈전상자의 상태 개선에 관한 제1회 적십자 조약〉(1864년 8월 22일의 제네바 조약)이 체결되었다.[2]

이 책의 출판은 국제 적십자 위원회(국제 적십자 및 적신월 운동)와 제네바 협약의 설립으로 이어졌다.[3]

4. 한국어 번역 및 출판

1894년 일본에서 『삭이불리노지기념(朔爾弗里諾之紀念)』이라는 제목으로 처음 번역되었으며, 번역자는 도원선사(桃源仙史)(본명: 데라케무라 카즈스케(寺家村和助))였다.[5][7] 2020년 11월 5일에는 이소노미아 편집부에서 완역본이 출간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키우치 리사부로가 일본어로 번역한 『솔페리노의 회상』이 1948년 하쿠스이샤(白水社)에서 출판되었고, 이후 일본 적십자사 출판 보급회, 일본 장애인 재활 협회 등 여러 출판사를 통해 오랫동안 출판되었다.[8]

4. 1. 한국어 번역의 역사

『솔페리노의 회상』의 최초 한국어 번역은 1894년 일본에서 출판된 『삭이불리노지기념(朔爾弗里諾之紀念)』으로 추정된다. 이 책은 도원선사(桃源仙史)(본명: 데라케무라 카즈스케(寺家村和助))가 번역하였다.[5][7] 2020년 11월 5일에는 이소노미아 편집부에서 완역본이 출간되었다.

참조

[1] 서적 Un souvenir de Solférino http://gallica.bnf.f[...] Impremerie Jules-Guillaume Fick 2016-05-08
[2] 서적 A Memory of Solferino
[3] 간행물 From Solferino to the birth of contemporary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https://www.icrc.org[...] 국제 적십자 위원회 2009-04-22
[4] 서적 赤十字とアンリ・デュナン 中央公論社 1991-09-25
[5] 웹사이트 展示紹介 Vol.5 アンリー・デュナン著『ソルフェリーノの思い出』 http://www.jrc.or.jp[...] 日本赤十字社 2010-11-01
[6] 뉴스 武力紛争の被害者保護 国際法基盤強めたい 赤十字国際委ソマルガ委員長に聞く 1987-06-29
[7] 서적 朔爾弗里諾之紀念 兵事新報社 1894-07-27
[8] 웹사이트 ソルフェリーノの思い出 http://iss.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9] 서적 Un souvenir de Solférino http://gallica.bnf.f[...] Impremerie Jules-Guillaume Fick 2016-05-08
[10] 서적 A Memory of Solferino
[11] 간행물 From Solferino to the birth of contemporary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https://www.icrc.org[...] 국제적십자위원회 2016-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