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리아 제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트리아 제국은 1804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란츠 2세가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1세로 즉위하면서 시작되었다. 나폴레옹 전쟁, 빈 회의를 거치며 유럽 강대국으로 부상했으나, 자유주의와 민족주의의 확산으로 1848년 혁명을 겪었다. 메테르니히 시대의 보수적인 정치 체제와는 달리, 1848년 이후에는 프란츠 요제프 1세가 즉위했다.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패배하고, 1867년 헝가리와의 타협(아우스글라이히)을 통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 전환되었다. 문화적으로는 슈베르트, 베토벤, 요한 슈트라우스 부자 등 음악가와 멘델, 도플러 등 과학자를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 제국 - 신성 동맹 (1815년)
신성 동맹은 1815년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1세가 제안하여 러시아, 프로이센, 오스트리아가 기독교적 가치관으로 유럽의 정치 질서를 재건하고 국제 평화를 목표로 결성되었으나, 자유주의 억압에 이용되면서 쇠퇴하고 해체되었다. - 오스트리아 제국 - 갈리치아
갈리치아는 동유럽의 역사적 지역으로, 우크라이나와 폴란드에 걸쳐 있으며, 갈리치아 공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등을 거치며 다양한 민족과 언어, 종교가 공존했고, 석유 산업이 발달했다. - 체코의 역사 - 프라하 창밖 투척사건
프라하 창밖 투척사건은 정치적, 종교적 불만을 가진 사람들이 관리나 반대파를 창밖으로 던진 사건으로, 1419년 제1차 사건은 후스 전쟁의, 1618년 제2차 사건은 30년 전쟁의 발단이 되었으며, 1948년 얀 마사리크 외무장관 의문사도 제3차 사건으로 불리며 암살 의혹이 있다. - 체코의 역사 - 뵈멘-메렌 보호령
뵈멘-메렌 보호령은 나치 독일이 체코슬로바키아 강점 후 보헤미아와 모라비아 지역에 세운 괴뢰 국가로, 독일의 보호령으로서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독일의 전쟁 수행을 위한 인력 및 자원 공급 기지 역할을 수행하며 체코인 탄압과 홀로코스트가 자행되다 독일 패망과 함께 소멸되었다. - 슬로바키아의 역사 - 빈 중재
제1차 빈 중재는 1938년 나치 독일과 이탈리아의 압력으로 체코슬로바키아의 일부 지역이 헝가리에 할양된 사건으로, 헝가리의 영토 확장과 제2차 세계 대전의 원인이 되었으나 종전 후 파리 조약으로 무효화되었다. - 슬로바키아의 역사 - 합스부르크 군주국
합스부르크 군주국은 합스부르크 가문이 다스린 여러 영토를 통칭하며, 오스트리아를 획득한 루돌프 1세 이후 결혼과 상속으로 세력을 확장하여 중부 유럽을 지배했으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 재편 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붕괴되었다.
오스트리아 제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카이저툼 외스터라이히) |
통칭 | 오스트리아 |
시대 | 19세기 |
존속 기간 | 1804년 – 1867년 |
건국 | 선포 |
건국일 | 1804년 8월 11일 |
멸망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성립 |
멸망일 | 1867년 3월 30일 |
이전 국가 | 신성 로마 제국 오스트리아 대공국 잘츠부르크 선제후국 헝가리 왕국 (1301년–1526년) 보헤미아 왕국 크로아티아 왕국 (합스부르크 가) 슬라보니아 왕국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 트란실바니아 공국 (1711년–1867년) |
후계 국가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치슬라이타니아 헝가리 왕관령 이탈리아 왕국 |
정치 | |
정부 형태 | 전제군주제 (1804년–1860년) 입헌군주제 (1860년–1867년) |
수도 | 빈 |
국가원수 | 오스트리아 황제 |
황제 | 프란츠 1세 (1804년–1835년) 페르디난트 1세 (1835년–1848년) 프란츠 요제프 1세 (1848년–1867년) |
총리 |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 (1821년–1848년)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 폰 보이스트 (1867년) |
의회 | 제국 의회 (오스트리아) |
인구 | |
추정 인구 (1843년) | 37,500,000명 |
추정 인구 (1804년) | 21,200,000명 |
면적 | |
면적 (km²) | 698,700 |
언어 및 종교 | |
공용어 | 독일어 |
기타 언어 | 헝가리어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폴란드어 루신어 슬로베니아어 크로아티아어 세르비아어 루마니아어 롬바르드어 베네치아어 프리울리어 라딘어 이탈리아어 우크라이나어 이디시어 |
종교 | 다수: 로마 가톨릭교회 (국교) 소수: 루터교, 칼뱅주의, 동방 정교회, 동방 가톨릭교회, 유대교 |
경제 | |
통화 | 굴덴 탈러 (1804년–1857년) 페어라인스탈러 (1857년–1867년) |
역사적 사건 | |
신성 로마 제국 해체 | 1806년 8월 6일 |
빈 회의 | 1815년 6월 8일 |
1848년 혁명 | 1848년 3월 13일 |
10월 칙령 | 1860년 10월 20일 |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 1866년 6월 14일 |
기타 | |
국가 | 국기 |
국장 | 제국 국장 |
국가 | Gott erhalte Franz den Kaiser ("하느님, 황제 프란츠를 지켜 주소서") |
2. 역사
1804년 나폴레옹이 프랑스 황제로 즉위하여 프랑스 제국 성립을 선포하자,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인 프란츠 2세는 오스트리아 대공국을 중심으로 신성 로마 제국 영역 안팎의 자신의 영지를 포함한 지역을 오스트리아 제국으로 승격시켰다. 프란츠 1세는 신성 로마 제국의 제위를 유지하면서 오스트리아 제국의 황제로 즉위하였다.
1805년 오스트리아를 포함한 제3차 대프랑스 동맹을 격파한 나폴레옹은 신성 로마 제국 내 대부분의 소국을 복속시켜 라인 동맹을 만들었다. 이에 따라 1806년 프란츠 2세는 신성 로마 제국을 해체하는데, 이 때문에 그는 독일 역사상 최초이자 마지막인 이중 황제(Doppellkaiser)가 되었다.
1809년 프랑스와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수도 빈까지 점령당한 오스트리아는 나폴레옹에게 굴복하여, 1810년에는 프란츠 1세의 딸인 마리 루이즈가 나폴레옹과 혼인하게 된다. 그러나 1813년 오스트리아는 다시 프랑스와 싸워 라이프치히 전투에서 프랑스를 결정적으로 패배시키고 프랑스군을 독일 지역에서 몰아냈다. 1814년 파리를 점령하였고, 나폴레옹의 제국은 붕괴된다.
오스트리아 제국은 1814년부터 1815년까지 열린 빈 회의를 주도하며 롬바르디아, 티롤, 달마티아, 베네치아 등의 영토를 회복했을 뿐 아니라, 독일 내 여러 군소 국가들의 맹주이자 유럽 최강대국으로서의 지위를 다시 확인했다.
오스트리아 제국은 프랑스 혁명의 여파로 유럽 전역에 확산된 자유주의와 민족주의를 막기 어려웠다. 나폴레옹 몰락 후, 오스트리아의 메테르니히는 빈 체제를 주도하며 보수적인 구체제로 복귀하려 했다. 1820년대 이후 자유주의 및 민족주의 사상을 탄압했지만, 다민족 국가였던 오스트리아의 결속력은 약했고, 제국 내 자유주의와 민족주의 확산으로 여러 민족들의 독립운동이 격화되어 혼란스러운 상황에 놓였다.
1848년 프랑스에서 2월 혁명이 일어나 루이 필리프의 제정이 전복되자, 그 여파로 오스트리아에서도 자유주의 운동이 일어났다. 3월부터 빈을 포함한 대도시에서 황제의 무능함과 보수적 정치 체제에 반발하여 소요 사태가 발생했고, 메테르니히가 실각하고 황제 페르디난트 1세도 퇴위한다. 프란츠 요제프 1세가 새로운 황제로 즉위했다.
외부적으로 민족주의의 확산은 이탈리아와 독일의 통일 운동을 자극하여 오스트리아의 영향력을 감소시켰다. 프랑스의 지원을 받는 사르데냐 왕국과의 싸움에서 패배하여 이탈리아 지역에서의 기존 지배력을 잃었고,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패배하며 독일의 맹주 자리에서 밀려났다. 이는 신성 로마 제국 이후 독일의 중심 국가였던 오스트리아가 독일 제국에서 배제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프로이센과 이탈리아의 동맹으로 오스트리아 제국은 베네치아를 포함한 북부 이탈리아 지역을 이탈리아에게 상실하게 된다.
제국 전역에 민족주의 바람이 불면서 각 민족의 분리 요구가 거세졌고, 다민족 국가인 제국의 붕괴를 막기 위해 정치 체제 변화가 필요했다. 이탈리아와 독일 지역에서 축출된 후 동쪽 지역 발전을 모색했던 오스트리아 제국은 헝가리인들과 타협하게 되었다.
헝가리인들은 1840년부터 자치를 요구하며 혁명을 일으켰다. 러시아가 헝가리인들의 반란을 진압하기도 했으나, 오히려 헝가리인의 단결만 강화되었다.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패배 후인 1867년 5월 29일, 프란츠 요제프 1세는 헝가리 귀족들과 타협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2. 1. 성립 배경
1804년 나폴레옹이 프랑스 황제로 즉위하여 프랑스 제국 성립을 선포하자,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인 프란츠 2세는 오스트리아 대공국을 중심으로 신성 로마 제국 영역 안팎의 자신의 영지를 포함한 지역을 오스트리아 제국으로 승격시켰다. 프란츠 2세는 신성 로마 제국의 제위를 유지하면서 오스트리아 제국의 프란츠 1세로 즉위하였다. 1805년 오스트리아를 포함한 제3차 대프랑스 동맹을 격파한 나폴레옹은 신성 로마 제국 내 대부분의 소국을 복속시켜 라인 동맹을 만들었다. 이에 따라 황제는 1806년 신성 로마 제국을 해체하는데, 이 때문에 그는 독일 역사상 최초이자 마지막인 이중 황제(Doppellkaiser)가 되었다.1809년 프랑스와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수도 빈까지 점령당한 오스트리아는 나폴레옹에게 굴복하여, 1810년에는 프란츠 1세의 딸인 마리 루이즈가 나폴레옹과 혼인하게 된다. 그러나 1813년 오스트리아는 다시 프랑스와 싸워 라이프치히 전투에서 프랑스를 결정적으로 패배시키고 프랑스군을 독일 지역에서 몰아냈다. 1814년 파리를 점령하였고, 나폴레옹의 제국은 붕괴된다.
오스트리아 제국은 1814년부터 1815년까지 열린 빈 회의를 이끌며 롬바르디아, 티롤, 달마티아, 베네치아 등의 영토를 회복했을 뿐 아니라, 독일 내 여러 군소 국가들의 맹주이자 유럽 최강대국으로서의 지위를 다시 확인했다.
17세기 초부터 이어진 30년 전쟁을 거쳐 성립된 베스트팔렌 체제, 18세기의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이나 7년 전쟁 등으로 인해 신성 로마 제국은 사실상 유명무실해졌다. 더욱이 프랑스 혁명을 거친 나폴레옹의 프랑스 제1제국의 출현으로 중세 이래의 신성 로마 제국은 명실상부하게 소멸하였다. 합스부르크 가문은 사실상 국가를 형성하고 있던 중동유럽에 걸쳐 있는 오스트리아 대공국을 중심으로 하는 지배 영역(합스부르크 제국)을 가지고 오스트리아 제국을 형성하여, 제국의 세력권을 재편성하였다.
2. 2. 오스트리아 제국의 성립 (1804-1815)
1804년 나폴레옹이 프랑스 황제로 즉위하여 프랑스 제국 성립을 선포하자,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인 프란츠 2세는 오스트리아 대공국을 중심으로 신성 로마 제국 영역 안팎의 자신의 영지를 포함한 지역을 오스트리아 제국으로 승격시켰다.[2] 프란츠 2세는 신성 로마 제국의 제위를 유지하면서 오스트리아 제국의 프란츠 1세로 즉위하였다.1805년 오스트리아를 포함한 제3차 대프랑스 동맹을 격파한 나폴레옹은 신성 로마 제국 내 대부분의 소국을 복속시켜 라인동맹을 만들었다. 이에 따라 프란츠 2세는 1806년 신성 로마 제국을 해체하는데, 이 때문에 그는 독일 역사상 최초이자 마지막인 이중황제(Doppellkaiser)가 되었다.[6]
1809년 프랑스와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수도 빈까지 점령당한 오스트리아는 나폴레옹에게 굴복하였고, 1810년에는 프란츠 1세의 딸인 마리 루이즈가 나폴레옹과 혼인하게 된다. 그러나 1813년 오스트리아는 다시 프랑스와 싸워 라이프치히 전투에서 프랑스를 결정적으로 패배시키고 프랑스군을 독일 지역에서 몰아냈다. 1814년 파리를 점령하였고, 나폴레옹의 제국은 붕괴된다.
오스트리아 제국은 1814년부터 1815년까지 열린 빈 회의를 이끌며 롬바르디아, 티롤, 달마티아, 베네치아 등의 영토를 회복했을 뿐 아니라, 독일 내 여러 군소 국가들의 맹주이자 유럽 최강대국으로서의 지위를 다시 확인했다.[21]
2. 3. 메테르니히 시대 (1815-1848)
오스트리아 제국은 프랑스 혁명의 여파로 유럽 전역에 확산된 자유주의와 민족주의를 막기 어려웠다.[7] 나폴레옹 몰락 후, 오스트리아의 메테르니히는 빈 체제를 주도하며 보수적인 구체제로 복귀하려 했다. 1820년대 이후 자유주의 및 민족주의 사상을 탄압했지만,[7] 다민족 국가였던 오스트리아의 결속력은 약했고, 제국 내 자유주의와 민족주의 확산으로 여러 민족들의 독립운동이 격화되어 혼란스러운 상황에 놓였다.
1815년부터 1848년까지는 "메테르니히 시대"로 불린다.[7] 이 시기 동안 메테르니히는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외교 정책을 장악하고 유럽 정치에도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는 혁명과 자유주의에 강력히 반대했으며,[8] 절대 군주제만이 적절한 정부 체제라고 믿었다.[7] 메테르니히는 세력 균형 외교를 통해[10] 국제 정치적 균형을 유지하고 합스부르크 왕가의 권력과 영향력을 보존하려 했다.
빈 회의(1815)에서 오스트리아 제국은 주요 수혜자였으며,[10] 영국, 프로이센, 러시아 제국과 동맹을 맺어 사국 동맹을 구성했다.[8] 빈 회의를 통해 새로운 영토를 얻었고, 독일 연방을 통해 북쪽과 이탈리아로 영향력을 확장했다.[8] 오스트리아는 독일 연방의 주요 회원국이 되었다.[15]
메테르니히는 유럽 강국 간의 정치적 균형을 유지하고 혁명적 노력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 회의를 열었다. 엑스라샤펠 회의(1818), 카를스바트 회의(1819), 트로파우 회의(1820), 라이바흐 회의(1821), 베로나 회의(1822) 등이 열렸으며,[7] 이러한 회의는 "메테르니히 회의" 또는 "메테르니히 시스템"으로도 불린다.
국내적으로 메테르니히는 혁명적이고 자유주의적인 이상을 억압하기 위해 1819년 카를스바트 칙령을 이용하여 교육, 언론, 연설에 대한 엄격한 검열을 시행했다.[7] 또한 광범위한 스파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불안을 진압했다.
1835년 프란츠 1세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페르디난트 1세가 즉위했지만, 건강 문제로 통치 능력이 없었다.[8] 오스트리아 제국의 지도력은 메테르니히, 루이 대공, 프란츠 안톤 폰 콜로브라트 등으로 구성된 국무회의로 이양되었다.
1848년 프랑스에서 2월 혁명이 일어나 루이 필리프의 제정이 전복되자, 오스트리아에서도 자유주의 운동이 일어났다. 3월부터 빈을 포함한 대도시에서 황제의 무능함과 보수적 정치 체제에 반발하여 소요 사태가 발생했고, 그 결과 메테르니히가 실각하고 황제 페르디난트 1세도 퇴위했다. 프란츠 요제프 1세가 새로운 황제로 즉위했다.
역사가들은 메테르니히 시대를 대체로 안정의 시기로 평가한다.[11] 오스트리아 제국은 전쟁을 치르지 않았고 급진적인 내부 개혁도 없었지만,[11] 경제 성장과 번영의 시대로 여겨지기도 한다.[11] 1843년까지 오스트리아 인구는 3,750만 명으로 증가했고, 비엔나 인구는 40만 명에 달했다. 메테르니히 시대 동안 오스트리아 제국은 안정적인 경제를 유지했고, 나폴레옹 전쟁 이후 큰 적자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거의 균형 잡힌 예산에 도달했다.[12]
2. 4. 1848년 혁명과 그 이후 (1848-1867)
1848년 프랑스에서 2월 혁명이 일어나 루이 필리프의 제정이 전복되자, 그 여파로 오스트리아에서도 자유주의 운동이 일어났다. 3월부터 빈을 포함한 대도시에서 황제의 무능함과 보수적 정치체제에 반발하여 소요 사태가 발생했고, 그 결과 수상 메테르니히가 실각하고 황제 페르디난트 1세도 퇴위한다. 새로운 황제로 페르디난트 1세의 조카인 프란츠 요제프 1세가 즉위하게 된다.[13]외부적으로 민족주의의 확산은 이탈리아와 독일의 통일 운동을 자극함으로써, 오스트리아의 영향력을 감소시켰다.
프랑스의 지원을 받는 사르데냐 왕국과의 싸움에서 패배하여 이탈리아 지역에서의 기존 지배력을 잃은데 이어, 독일의 맹주 자리를 놓고 1866년 벌인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도 패배한다. 이는 신성 로마 제국 이후 독일의 중심 국가로서의 역할을 했던 오스트리아가 독일 제국의 범위에서 배제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뿐만 아니라, 독일 통일 과정에서 프로이센과 이탈리아가 동맹을 맺으면서 오스트리아 제국은 베네치아를 포함한 북부 이탈리아 지역을 이탈리아에게 상실하게 된다.
민족주의의 바람이 제국 전역을 휩쓸면서 각 민족의 분리 요구는 거세졌고, 다민족 국가인 제국의 붕괴를 막기 위해서는 정치체제의 변화가 필요했다. 이탈리아와 독일 지역에서 축출된 후 동쪽 지역의 발전을 모색했던 오스트리아 제국은 헝가리인들과 타협을 하게 됐다.
헝가리인들은 1840년부터 자치를 요구하며 혁명을 일으켰다. 한때 러시아가 헝가리인들의 반란을 진압한 바 있었으나 오히려 헝가리인의 단결만 낳았다.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패배 후인 1867년 5월 29일, 프란츠 요제프 1세는 헝가리의 귀족들과 타협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1848년 3월부터 1849년 11월까지 오스트리아 제국은 대부분 민족주의적인 성격을 띤 혁명 운동의 위협을 받았다. 그 외에도 자유주의적, 심지어 사회주의적 흐름이 제국의 오랜 보수주의에 저항했다. 대부분의 혁명 계획은 실패했지만, 일부 변화가 있었다. 중요하고 지속적인 개혁으로는 농노제 폐지, 검열 철폐, 그리고 페르디난트 1세 (오스트리아)가 제국 전역에 헌법을 시행하겠다고 약속한 것이 포함된다.[13]

1848년 혁명과 그 이후의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사건 |
---|---|
1848년 | 2월 24일 파리 2월 혁명. 혁명의 기류가 유럽 전역으로 확산. |
3월 13일 빈 3월 혁명. 메테르니히 망명. | |
3월 15일 부다페스트에서 혁명(1848년 헝가리 혁명). | |
5월 18일 프랑크푸르트 국민 의회 개최. | |
6월 2일 프라하에서 슬라브 민족 회의(범슬라브주의#제1회 범슬라브 회의(1848년)) 개최. | |
10월 6일 빈 10월 봉기(빈 10월 혁명). | |
12월 2일 페르디난트 1세 퇴위. 프란츠 요제프 1세 즉위. | |
1849년 | 3월 러시아 제국군(러시아 제국 육군)이 헝가리에 개입. |
4월 헝가리 독립 선언. | |
8월 헝가리군 항복, 코슈트 라요슈 망명. | |
3월 칙정 헌법(슈타디온 헌법) 공포. | |
1851년 | 「질베스터 칙령」(칙정 헌법의 실효). |
1859년 | 이탈리아 통일 운동, 솔페리노 전투에서 패배. 롬바르디아 할양. |
1860년 | 「10월 칙령」공포. |
1861년 | 「2월 칙령」공포. |
1864년 | 제2차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전쟁. |
1866년 |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쾨니히그레츠 전투(사도바 전투). 리사 해전. 베네치아 할양. 독일 연방의 종말과 북독일 연방 성립. |
1867년 | 헝가리와 타협,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성립. 이후 헝가리 왕국 이외의 영토는 오스트리아 제국이 됨. |
2. 5.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의 전환 (1867)
민족주의의 바람이 제국 전역을 휩쓸면서 각 민족의 분리 요구는 거세졌고, 다민족 국가인 제국의 붕괴를 막기 위해서는 정치 체제의 변화가 필요했다. 이탈리아와 독일 지역에서 축출된 후 동쪽 지역의 발전을 모색했던 오스트리아 제국은 헝가리인들과 타협하게 되었다.[17][18]헝가리인들은 1840년부터 자치를 요구하며 혁명을 일으켰다. 한때 러시아가 헝가리인들의 반란을 진압한 바 있었으나 오히려 헝가리인의 단결만 낳았다.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패배 후인 1867년 5월 29일, 프란츠 요제프 1세는 헝가리의 귀족들과 타협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오스트리아군이 패배하고 독일 연방이 해체된 후, 186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타협이 채택되었다. 이 조약에 따라 헝가리 왕국과 오스트리아 제국은 두 개의 별개의 실체로서 동등한 기반으로 결합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 이중 제국을 형성했다.
3. 정치
4. 역대 황제
재위 기간 | 이름 | 비고 |
---|---|---|
1804년 - 1835년 | 프란츠 1세 (1768-1835) | |
1835년 - 1848년 | 페르디난트 1세 (1793-1875) | |
1848년 - 1916년 | 프란츠 요제프 1세 (1830-1916) | 1867년부터는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카이저 |
5. 문화
이 시기 빈에서는 슈베르트, 체르니와 같은 작곡가가 활동하였고, 독일의 베토벤 역시 빈으로 옮겨와서 죽을 때까지 이곳에서 작품활동을 하였다. 요한 슈트라우스 1세, 요한 슈트라우스 2세도 이 시기 오스트리아 제국 출신이며, 헝가리의 피아니스트 프란츠 리스트 역시 오스트리아 제국에서 활동했다.[29]
문학에서는 프란츠 그릴파르처가 이 시기의 대표적 극작가이다.[29]
한편 오스트리아 제국의 수도사 그레고어 멘델은 멘델의 유전법칙을 발견했으며, 크리스티안 도플러는 도플러 효과를 발견했다. 제국에서는 고등 교육의 주요 언어가 독일어였다.[29]
참조
[1]
간행물
October Diploma
[2]
서적
Germany Since 1789: A Nation Forged and Renewed
Palgrave Macmillan
[3]
서적
Hungary's Long Nineteenth Century: Constitutional and Democratic Traditions
Koninklijke Brill NV, Leiden, the Netherlands
[4]
서적
Verfassung, Verfassungsrecht und Lehre des Öffentlichen Rechts in Österreich bis 1848: Eine Darstellung der materiellen und formellen Verfassungssituation und der Lehre des öffentlichen Rechts
Lang, Frankfurt am Main
[5]
간행물
Austerlitz, 1805. december 2. A három császár csatája – magyar szemmel
http://tortenelemsza[...]
ELTE, Budapest
2017-07-00 #dead link
[6]
웹사이트
Maximilian I Duke and Elector of Bavaria (1573-1651)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6-06
[7]
서적
The Decline and Fall of the Habsburg Empire, 1815–1918
Longman
[8]
서적
The Habsburg Empire in European Affairs: 1814–1918
Rand Mcnally
[9]
뉴스
Metternich and the Modern Era
(URL 없음)
Daily News
1996-09-06
[10]
웹사이트
Metternich's Theory of European Order: A Political Agenda for 'Perpetual Peace'
(URL 없음)
The Review of Politics
[11]
서적
The Fall of the House of Habsburg
Viking
[12]
웹사이트
History of Austria, Austria in the Age of Metternich
(URL 없음)
2015-03-24
[13]
웹사이트
Ferdinand (I) Biography, Reign, & Facts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5-28
[14]
뉴스
Bach, Alexander, Baron
[15]
서적
Handbook of Austria and Lombardy-Venetia Cancellations on the Postage Stamp Issues 1850–1864
[16]
서적
Historical Data
[17]
웹사이트
February Patent Austrian history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5-28
[18]
서적
[19]
서적
Napoleon's great adversaries: the Archduke Charles and the Austrian army, 1792–1814
Indiana UP
[20]
서적
1805, Austerlitz: Napoleon and the Destruction of the Third Coalition
[21]
서적
The Role of Metternich in Undermining Napole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2]
서적
Crimea: The Last Crusade
Allen Lane
[23]
웹사이트
Najnovije doba hrvatske povjesti (R. Horvat)/Prelom s Ugarskom – Wikizvor
https://hr.wikisourc[...]
2019-06-15
[24]
웹사이트
Kaiserliche Entschließung vom 26. Juni 1849, wodurch die Grunzüge für die Organisation der Politischen Verwaltungs-Behörden genehmiget werden
https://alex.onb.ac.[...]
1849-06-26
[25]
웹사이트
Verordnung der Minister des Inneren, der Justiz und der Finanzen vom 19. Jänner 1853, womit die Allerhöchsten Entschließungen über die Einrichtung und Amtswirksamkeit der Bezirksämter, Kreisbehörden und Statthaltereien, über die Einrichtung der Gerichtsstellen und das Schema der systemisirten Gehalte und Diätenclassen, sowie über die Ausführung der Organisirung für die Kronländer Oesterreich ob und unter der Enns, Böhmen, Mähren, Schlesien, Galizien und Lodomerien mit Krakau, Bukowina, Salzburg, Tirol mit Vorarlberg, Steiermark, Kärnthen, Krain, Görz, Gradiska und Istrien mit Triest, Dalmatien, Kroatien und Slawonien, Siebenbürgen, die serbische Wojwodschaft mit dem Banate, kundgemacht werden.
https://alex.onb.ac.[...]
1853-01-19
[26]
웹사이트
Verordnung des Ministeriums des Inneren vom 12. Mai 1851, wodurch in Folge Allerhöchster Entschließung vom 12. Mai 1851 die Organisirung politischen Verwaltung im Großfürstenthume Siebenbürgen kundgemacht wird.
https://alex.onb.ac.[...]
1851-05-12
[27]
웹사이트
Verordnung der Minister des Inneren, der Justiz und der Finanzen vom 4. Juni 1854, betreffend die politische und gerichtliche Organisirung des Großfürstenthumes Siebenbürgen.
https://alex.onb.ac.[...]
1854-06-04
[28]
웹사이트
Verordnung der Minister des Inneren, der Justiz und der Finanzen vom 1. Februar 1854, betreffend die politische und gerichtliche Organisirung der serbischen Woiwodschaft und des Temeser Banates.
https://alex.onb.ac.[...]
1854-02-01
[29]
서적
Language and power in the lat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ドナウ・ヨーロッパ史
山川出版社
[33]
기타
아우스글라이히
[34]
기타
독일 연방에 속하지 않는 영토가 있던 국가
[35]
기타
1863년 이후 안할트에 합병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