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송기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기숙은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장흥 출신의 소설가이자 평론가, 교육자이다.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1960년대 평론 활동을 시작하여 소설가로 등단했다. 긴급조치 위반, 교육지표 사건, 광주민주화운동 등으로 구금되었으며, 전남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1980년대에는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초대 공동의장을 맡았으며, 2000년 정년 퇴임 후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 위원장 등을 지냈다. 주요 작품으로 《자랏골의 비가》, 《암태도》, 《녹두장군》 등이 있으며, 1973년 현대문학상, 1994년 만해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2021년 숙환으로 별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산김정한문학상 수상자 - 백낙청
    백낙청은 대한민국의 영문학자이자 문학평론가, 사회운동가로서, 《창작과비평》 창간, D. H. 로런스 연구, 유신 정권 비판, 남북 화해와 통일 운동 참여, 민족 문학론과 분단 극복론 주창 등 비판적 지식인으로서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끼쳤다.
  • 요산김정한문학상 수상자 - 성석제
    성석제는 해학과 풍자를 통해 인간과 사회의 부조리를 그려내는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유머와 비애를 조화시키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으며 다양한 문학상을 수상했다.
  • 만해문학상 수상자 - 황석영
    황석영은 만주 출생으로 한국 전쟁을 겪고 성장하여 사회 현실과 시대상을 반영하는 소설을 쓴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 만해문학상 수상자 - 김지하
    김지하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사회운동가로, 1970년 부패 권력 비판으로 필화 사건을 겪고, 1974년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가 석방 후 생명 운동을 전개했으며, 1991년에는 분신 정국을 비판하여 변절 논란에 휩싸였다.
  • 장흥군 출신 - 임종석
    임종석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한양대학교 총학생회장과 전대협 의장 출신 학생운동가에서 정계에 입문하여 국회의원, 서울특별시 정무부시장, 문재인 정부 초대 대통령비서실장 등을 역임했다.
  • 장흥군 출신 - 위성곤
    위성곤은 제주대학교를 졸업하고 제주대학교 총학생회장,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을 역임한 후, 제20대, 제21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어 3선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송기숙
한자 이름宋基淑
로마자 표기Song Gisuk
출생일1935년 7월 5일
출생지일제강점기 조선 전라남도 장흥군
사망일2021년 12월 5일
국적대한민국
직업
직업소설가
언어한국어
학력
최종 학력전남대학교
활동
활동 기간1964년 - 2021년
장르소설
데뷔작1964년, 《현대문학》에 "창작 과정으로 본 손창섭" 발표
주요 작품백의민족
녹두장군
기타

2. 생애

송기숙은 1935년 7월 5일 일제강점기 조선 전라남도 장흥에서 태어났다.[3]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목포교육대학교와 전남대학교 교수를 지냈으며, 교육민주화선언문 작성으로 구속되었다가 석방되었다. 1980년 5·18 광주 민주화 운동으로 다시 구속되었으나 이듬해 석방되었다.[5]

2. 1. 초기 생애 및 학업

전라남도 장흥에서 태어나,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1961년 전남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1964년 같은 대학교에서 한국어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4] 1964년 《현대문학》에 평론 《창작 과정을 통해 본 손창섭》이 추천되었고, 1965년 《이상서설》로 추천이 완료되었다. 1966년 단편 〈대리복무〉, 장편 《자랏골의 비가》 등을 발표하였다. 1973년 전남대학교 교수가 되었다.[5]

2. 2. 작가 활동 및 민주화 운동

1964년 《현대문학》에 평론 《창작 과정을 통해 본 손창섭》이 추천되었고, 1965년 《이상서설》로 추천이 완료되었다. 1966년 단편 〈대리복무〉, 장편 《자랏골의 비가》 등을 발표했다. 1972년 긴급조치 제9호 위반으로 구속되었고, 1973년 전남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전남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던 1978년 '우리의 교육지표' 사건(교육지표사건)으로 1년여 간 구금, 해직되었다.[3] 이후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으로 다시 구속되었다가 이듬해 석방되었다.[3][5]

이후 《녹두장군》, 《암태도》, 《개는 왜 짖는가?》, 《휴전선 소식》 등을 발표했다. 1984년 전남대학교 교수로 복직하였으며, 1987년에는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를 창설하여 초대 공동의장을 맡았다. 2000년 8월 교수 정년 이후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 위원장 등을 지냈다. 현실의 부정에 과감히 대처하는 80년대 행동하는 작가로 알려져 있다.[3]

“창작 과정을 통해 본 송창섭”을 발표한 후 소설가가 되어, 「어떤 완충지대」(1968), 「백의민족」(1969), 「휴전선의 소식」(1971), 「사모곡 A단조」(1971), 「어느 해 봄」(1972), 「지리산의 정거천」(1973) 등의 작품을 발표했다.

그의 작품들은 1980년대 분단 문학의 중요한 성과로 평가받을 만큼 분단 극복의 의지를 보여주는 작품이 많다. 또한 한국적인 상황을 지방 도시의 현실을 통해 형상화하고 있으며, 미륵불이라는 민족 종교적인 소재를 통해 인간의 존엄성에 대해서도 탐구했다.

2. 3. 별세

宿患|숙환중국어으로 2021년 12월 5일 오후 8시 향년 86세로 별세하였다.[7]

3. 작품 세계

송기숙은 봉건 시대부터 일제 강점기, 분단 시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역사 속 서민들의 삶과 그들이 이어온 연속성을 담아내고자 했다.[6] 그의 작품 《자랏골의 비가》(1977), 《암태도》(1981), 《녹두장군》 등에서는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한 서민들의 저항 정신을 엿볼 수 있다.[6]

송기숙은 “창작 과정을 통해 본 송창섭”을 발표한 후 소설가가 되어, 「어떤 완충지대」(1968), 「백의민족」(1969) 등을 발표했다. 그의 작품들은 1980년대 분단 문학의 중요한 성과로 평가받으며, 미륵불이라는 민족 종교적인 소재를 통해 인간의 존엄성에 대해서도 탐구했다.

3. 1. 주요 작품

송기숙은 장편소설, 단편소설, 수필 등 다양한 형식의 작품을 발표했다.[6]
장편소설

  • 《자랏골의 비가》 (1977): 전라도의 한 마을을 배경으로 3대에 걸친 가족의 비극과 갈등, 그리고 젊은 세대의 극복을 그린 작품이다.[6]
  • 《암태도》 (1981): 일제강점기 암태도 소작쟁의를 소재로, 억압적인 사회 시스템에 맞서 싸우는 소작농들의 저항 정신을 다루었다.[6]
  • 《녹두장군》 (1994): 갑오농민전쟁을 배경으로, 반봉건적이고 반외세적인 농민들의 의식을 보여주는 역사소설이다.[6]
  • 《오월의 미소》 (2000)

단편소설

  • 《백의민족》 (1972)
  • 《도깨비 잔치》 (1978)
  • 《재수 없는 금의환향》 (1979)
  • 〈흰옷을 입은 민족〉
  • 〈도깨비들의 향연〉
  • 〈영광스러운 고향으로의 불운한 귀환〉
  • 〈개는 왜 짖는가?〉
  • 〈그리고 다른, 그리고 너〉
  • 〈테러리스트〉
  • 〈어머니의 깃발〉
  • 〈파랑새〉

수필

  • 《녹두꽃이 필 때》

그 외

  • 《거짓말 잘하는 사윗감 구함》
  • 《정승 장인과 건달 사위》


송기숙의 작품들은 봉건 시대부터 일제강점기, 분단 시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역사 속 서민들의 삶과 저항 정신을 담아내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6]

3. 2. 주제 의식

송기숙의 글쓰기는 봉건 시대부터 일제 강점기, 분단 시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역사 속에서 서민들의 삶과 그들이 이어온 연속성을 포괄하고 담아내고자 하는 열망에서 비롯된다.[6] 이러한 열망은 전라도의 외딴 마을에서 평범한 가족의 3대에 걸친 비극을 다룬 《자라골의 비가》(1977)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자라골의 묘지를 배경으로 이 소설은 이 작은 마을에서 많은 갈등과 슬픔을 야기한 일련의 사건들을 회고적으로 서술하며, 마을의 젊은 세대가 비극의 원인을 제거하는 데 성공함으로써 긍정적인 결말을 맺는다. 《암태도》(1981)와 「녹두장군」에서도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한 서민들의 저항 정신에 대한 유사한 믿음을 엿볼 수 있다.[6] 《암태도》는 일제 강점기 암태도에서 지주와 소작농 간의 갈등에 초점을 맞추고, 억압적인 사회 시스템에 맞서 자아실현을 위해 투쟁하는 소작농들을 용감한 투사로 설정한다. 「녹두장군」에서 송기숙은 갑오농민전쟁을 소재로 삼아 그 반봉건적이고 반외세적인 성격을 부각한다. 이 작품은 조선 후기 농민들 사이에서 형성되기 시작한 반봉건 의식의 정점으로서 역사적 사건에 대한 작가의 긍정적 평가를 보여준다.[6]

그의 작품들은 1980년대 분단 문학의 중요한 성과로 평가받을 만큼 분단 극복의 의지를 보여주는 작품이 많다. 또한 한국적인 상황을 지방 도시의 현실을 통해 형상화하고 있으며, 미륵불이라는 민족 종교적인 소재를 통해 인간의 존엄성에 대해서도 탐구했다.

4. 수상 내역


  • 1973년 제18회 현대문학상 - 단편집 《백의 민족》
  • 1994년 제9회 만해문학상
  • 1995년 제12회 금호예술상
  • 1996년 제13회 요산문학상
  • 2022년 금관문화훈장

5. 가족 관계

배우자김영애
자녀슬하 1남 4녀 (송석희, 송강희, 송원, 송송희)


참조

[1] 뉴스 ‘녹두장군’ 소설가 송기숙씨 별세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21-12-06
[2] 웹사이트 Song Gisuk http://klti.or.kr/ke[...] 2013-09-21
[3] 웹사이트 Naver Search http://people.search[...] Naver 2013-12-08
[4] 서적 Who's Who in Korean Literature Hollym
[5] 웹사이트 Song Gisuk http://klti.or.kr/ke[...] 2013-09-21
[6] 웹사이트 Song Gisuk http://klti.or.kr/ke[...] 2013-09-21
[7] 뉴스 동학·광주 등 민중 수난 ‘붓과 행동으로 헤쳐 온 지식인’ 송기숙 별세 https://www.hani.co.[...] 2021-12-07
[8] 웹사이트 송기숙 http://people.search[...] 2014
[9] 웹사이트 한국현대문학대사전 http://terms.naver.c[...]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