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수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수권은 1940년 전라남도 고흥군에서 태어나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과를 졸업하고 광주여고에서 교사로 재직한 시인이다. 그의 시는 한에 내재된 남성적 힘을 강조하며, 전라남도 토속적인 맛을 살린다는 평가를 받는다. 1975년 문학사상 신인상 수상을 시작으로, 소월시문학상, 정지용문학상, 영랑시문학상 등을 수상했으며, 2016년 폐암으로 사망했다. 주요 작품으로 시집 《산문에 기대어》, 《새야 새야 파랑새야》, 산문집 《다시 산문에 기대어》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천사범학교 동문 - 박노식 (1930년)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인 박노식은 1950년대 후반 데뷔하여 액션 영화와 사극에서 강렬한 남성미로 인기를 얻었으며, 1960년대 김기덕 감독 영화에 다수 출연, 대종상 남우조연상 등 여러 영화제에서 수상했고, 아들 박준규 또한 배우로 활동 중이다. - 고흥중학교 동문 - 박상천
박상천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으로, 제13·14·15·16·18대 국회의원과 법무부 장관을 역임하며 평화민주당,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민주당 등에서 주요 당직을 맡고 원내총무, 당 대표 등을 지냈다. - 고흥중학교 동문 - 김태영 (축구인)
김태영은 대한민국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수비수 포지션에서 국가대표로 활약하며 '마스크맨'이라는 별명을 얻었고, 월드컵 등 주요 국제 대회에 출전하여 2002년 월드컵 4강 진출에 기여했으며, 은퇴 후에는 지도자로 활동하고 있다. - 국민훈장 모란장 수훈자 - 정인승
정인승은 일제강점기 국어학자로서 국어사전 편찬에 기여하고, 해방 후에는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을 양성했으며,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옥고를 치른 후 건국훈장과 국민훈장을 수훈받았다. - 국민훈장 모란장 수훈자 - 손기정
손기정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이자 체육인으로,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나 일본 대표로 출전해야 했으며, 광복 후에는 육상 지도자로 활동하며 대한민국 체육 발전에 기여했다.
| 송수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한국어 이름 | 송수권 |
| 한자 이름 | 宋秀權 |
| 로마자 표기 | Song Sugwon |
| 출생 | 1940년 3월 15일 |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전라남도 고흥군 (현재의 대한민국) |
| 사망 | 2016년 4월 4일 (향년 76세) |
| 직업 | 시인 |
| 국적 | 대한민국 |
| 학력 | |
| 모교 | 알 수 없음 |
| 활동 정보 | |
| 장르 | 시 |
| 데뷔 작품 | 「산문(山門)에 기대어」 |
| 주요 작품 | 「산문(山門)에 기대어」 |
| 수상 | |
| 수상 내역 | 알 수 없음 |
2. 생애
송수권은 1940년 3월 15일 전라남도 고흥군에서 태어났다.[3] 순천사범학교와 고흥중학교를 졸업하고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과를 졸업했다. 광주여고에서 교사이자 교육 연구원으로 근무했다.[4]
한국문학번역원은 송수권의 시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정서가 '비애'이지만, 자기 연민이 아닌 내면의 힘과 품위 있는 남성성을 강조한다고 평가했다. 또한 남부 방언의 멋과 양식을 보존하여 역사 의식과 지역적 특색을 살린 작품을 많이 발표했다고 언급했다.[5]
송수권의 시는 기존의 무력하고 자조적인 한의 정서가 아니라, 한에 내재된 진솔하고 묵직한 남성적인 힘을 강조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전라남도의 토속적인 맛을 살리는 데 성공했다고 할 수 있다. 역사 의식을 가지고 민족 재생에 대한 의지가 담긴 작품을 많이 발표했다.
2016년 4월 4일 폐암으로 사망했다.[7]
3. 작품 세계
그는 평범한 사람들의 삶을 중심 소재로 다루며, 가진 자와 못 가진 자의 대립보다는 삶 자체에 주목했다. 고전 한국 서정시의 맥을 잇고 있으며, 평생 전라남도에서 살아온 경험을 바탕으로 지역 문화를 시에 담아냈다.[4]
3. 1. 주요 작품 경향
송수권의 작품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정서는 '비애'이다. 그러나 그의 시는 자기 비하로 이어지는 나약한 비애가 아니라, 그 비애 속에서 내재적 친밀함과 힘을 가진, 품위 있는 남성적 정체성을 강조한다. 그는 역사 의식과 지역적 차이를 통해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기 위해, 남부 방언의 풍미와 스타일을 보존하는 데 성공한 많은 작품들을 발표했다.[5]
송수권의 작품은 평범한 사람들의 삶을 중심으로 하며, 삶을 가진 자와 가지지 못한 자 사이의 대립으로 보지 않는다. 또한 송수권의 작품은 고전 한국 서정시의 흐름을 따른다. 그는 사망할 때까지를 포함하여 평생 대부분을 전라남도에서 살았기에, 자신의 시에 지역 문화를 불어넣을 수 있었다.[4]
4. 작품 목록
송수권 시인은 1975년 《문학사상》을 통해 등단하였다.[9]
| 종류 | 제목 | 출판년도 |
|---|---|---|
| 시집 | 산문에 기대어한국어 | 1980년 |
| 시집 | 꿈꾸는 섬한국어 | 1982년 |
| 시집 | 아도(啞陶)한국어 | 1984년 |
| 산문집 | 다시 산문에 기대어한국어 | 1985년 |
| 시집 | 새야 새야 파랑새야한국어 | 1986년 |
| 시집 | 우리들의 땅한국어 | 1988년 |
| 산문집 | 사랑이 커다랗게 날개를 접고한국어 | 1989년 |
| 산문집 | 남도 기행한국어 | 1990년 |
| 시집 | 자다가도 그대 생각하면 웃는다한국어 | 1991년 |
| 시집 | 별밤지기한국어 | 1992년 |
| 산문집 | 쪽빛 세상한국어 | 1998년 |
| 시집 | 들꽃세상한국어 | 1999년 |
| 시집 | 초록의 감옥한국어 | 1999년 |
| 시집 | 파천무한국어 | 2001년 |
| 시집 | 만다라의 바다한국어 | 2002년 |
| 시집 | 언 땅에 조선매화 한 그루 심고한국어 | 2005년 |
| 시집 | 시골길 또는 술통한국어 | 2007년 |
4. 1. 시집
- 산문에 기대어한국어, 1980년
- 꿈꾸는 섬한국어, 1982년
- 아도(啞陶)한국어, 1984년
- 새야 새야 파랑새야한국어, 1986년
- 우리들의 땅한국어, 1988년
- 자다가도 그대 생각하면 웃는다한국어, 1991년
- 별밤지기한국어, 1992년
- 들꽃세상한국어, 1999년
- 초록의 감옥한국어, 1999년
- 파천무한국어, 2001년
- 만다라의 바다한국어, 2002년
- 언 땅에 조선매화 한 그루 심고한국어, 2005년
- 시골길 또는 술통한국어, 2007년
4. 2. 산문집
5. 수상 경력
| 연도 | 수상 내역 |
|---|---|
| 1975 | 문학사상 신인상 |
| 1985 | 금호문화재단 금호예술상 |
| 1987 | 전라남도 문화상 |
| 1988 | 소월시문학상 |
| 1990 | 국민훈장 목련장 |
| 1993 | 서라벌문학상 |
| 1995 | 제10회 평화문학상 |
| 1996 | 제7회 김달진문학상 |
| 1999 | 제11회 정지용문학상 |
| 2003 | 제1회 영랑시문학상 |
| 2012 | 제8회 김삿갓문학상 |
참조
[1]
뉴스
남도 서정시인 송수권, 봄날 떠나다
https://www.hankooki[...]
[2]
웹사이트
Song Sugweon
http://klti.or.kr/ke[...]
2013-09-21
[3]
웹사이트
Naver Search
http://people.search[...]
Naver
2013-12-08
[4]
서적
Who's Who in Korean Literature
Hollym
[5]
웹사이트
Song Sugweon
http://klti.or.kr/ke[...]
2013-09-21
[6]
블로그
송수권(宋秀權)
https://m.blog.daum.[...]
[7]
웹사이트
전통 서정시 이은 송수권 시인 별세
https://www.hani.co.[...]
2016-04-04
[8]
웹사이트
NAVER
http://people.search[...]
[9]
웹사이트
韓国現代文学大辞典
http://term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