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포병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도포병여단은 1974년 3월 1일 수도군단 포병단으로 창설되어 1991년 12월 1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경기도 시흥시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인천광역시와 김포시에 예하 대대가 분산되어 있다. 대한민국 육군 포병여단 중 규모가 가장 작으며, K9 자주곡사포, K239 천무, TPQ-74K 등을 운용한다. 1993년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흥시 소재의 관공서 - 시흥소방서
시흥소방서는 1996년 개서하여 시흥시를 관할하며 화재, 구조, 구급 활동을 책임지는 기관으로, 소방행정과, 재난예방과, 재난대응과, 소방안전특별점검단, 현장대응단으로 구성되어 4개의 119안전센터와 1개의 구조대를 산하에 두고 있다. - 시흥시 소재의 관공서 - 경기도시흥교육지원청
경기도시흥교육지원청은 시흥시의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2004년 안산교육청에서 분리되어 개청 후 201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시흥시 관내 초, 중, 고등학교를 관리하고 산하에 다수의 학교를 두고 있다. - 대한민국 육군의 포병여단 - 제3포병여단 (대한민국)
제3포병여단은 대한민국 육군 포병 여단으로, 1953년 제3야전포병단으로 창설되어 1982년 제3포병여단으로 개편되었으며, 비공개 부대이다. - 대한민국 육군의 포병여단 - 화력여단 (대한민국)
화력여단은 대한민국 육군의 부대로, 천무 다연장로켓, 전술지대지유도탄, ATACMS 등을 운용하며 북한 장사정포에 대응하여 주요 목표를 타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1974년 설립 - TV 와카야마
TV 와카야마는 와카야마현을 방송 권역으로 하는 독립 UHF 방송국으로, 자체 제작 프로그램과 다른 방송사 프로그램을 편성하며, 아사히 방송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고, TV 도쿄 계열 방송의 대체 방송 역할을 하기도 하며, 지역 사회에 깊이 뿌리내린 방송국이다. - 1974년 설립 - 진주시외버스터미널
진주시외버스터미널은 경상남도 진주시에 위치하여 서울, 부산, 대구, 광주를 포함한 전국 각지로 향하는 다양한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편리한 교통 서비스를 제공한다.
수도포병여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수도포병여단 |
원어 명칭 | 수도포병여단 (首都砲兵旅團) |
별칭 | 충의포병 (忠義砲兵)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병과 | 포병 |
역할 | 군단 화력 지원 |
규모 | 여단 |
상급 부대 | 수도군단 |
주둔지 | 경기도 시흥시 |
기념일 | 12월 1일 부대 창설 기념일 |
역사 | |
창설 | 1974년 3월 1일 (수도군단 포병단) |
재편성 | 1991년 12월 1일 (수도포병여단) |
지휘관 | |
현재 지휘관 | 준장 임태호 (육사 51기) |
지휘관 직책 | 여단장 |
장비 | |
주요 장비 | K9 자주포 천무 다연장로켓 |
기타 | |
슬로건 | (알 수 없음) |
2. 역사
1974년 수도군단 포병부로 창설되었으며, 1991년 현재의 명칭인 수도포병여단으로 개칭되었다.[6]
2. 1. 창설과 발전
1974년 3월 1일 수도군단 포병단으로 창설되었으며, 1991년 12월 1일 현재의 명칭인 수도포병여단으로 변경되었다.[2]여단 본부는 경기도 시흥시에 위치하며, 예하 대대는 인천광역시와 김포시에 분산되어 있다. 여단 본부는 후방에, 예하 대대는 거의 전방에 위치한다. 부대 규모는 대한민국 육군 포병여단 중 가장 작으며, 총 5개의 예하 대대와 본부대로 구성되어 있다.[3]
2. 2. 부대 이전
수도포병여단은 1974년 3월 1일 수도군단 포병단으로 창설되었으며, 1991년 12월 1일 현재의 명칭인 수도포병여단으로 변경되었다.[2] 1991년에 경기도 시흥시로 이전하였다.[6] 여단 본부는 시흥시에 있으며, 예하 대대는 인천광역시와 김포시에 분산되어 있다.[3]3. 편성
- 여단 본부 및 본부근무대
- 제653포병대대 "충정"
- 제668포병대대 "석정"
- 제669포병대대 "포성"
- 제757포병대대 "천군"
- 제330표적획득대대 "천리안"
4. 장비
K9 155mm 자주포[4], K9A1[4], M270 다연장로켓 시스템[4], K-136 '구룡' 다연장로켓[4], TPQ-74K[4], K-239[4]
5. 사건사고
1993년 6월 10일, 수도포병여단 예하 967포병대대가 경기도 연천군의 다락대 포병사격 훈련장에서 동원예비군 155mm 포사격 훈련 중 고폭탄 1발과 조명탄 2발이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하여 현역 3명과 예비군 16명 등 총 19명이 사망했다.[11]
5. 1.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건
1993년 6월 10일, 경기도 연천군의 한 포병사격 훈련장에서 향토예비군이 155mm 곡사포 사격 훈련을 하던 중 고폭탄 1발과 조명탄 2발이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11] 이 사고로 현역병 3명과 예비군 16명 등 총 19명이 사망했다.[11] 사고 당시 수도포병여단 예하 967포병대대가 동원예비군 155mm 포사격 훈련을 하고 있었다.[11]6. 역대 여단장
대(代) | 성명 | 재임 기간 | 출신 학교・기수 | 전직 | 후직 | 비고 |
---|---|---|---|---|---|---|
1 | 오희완 | 1991년 - | ||||
2 | 김정웅 | - 1993년 10월 | 육사 24기 | 폭발 사고로 인해 경질 | ||
3 | 서종표 | 1993년 10월 - 1996년 4월 8일 | 육사 25기 | 25사단장 | ||
4 | 조연식 | 1996년 4월 8일 - | 갑종 224기 | 28사단장 | ||
12 | 허일회 | 2004년 - 2006년 | 학군 17기 | 학생중앙군사학교 참모장 | ||
13 | 장기윤 | 2006년 - 2008년 11월 21일 | 육사 36기 | 국방부 전력정책관[8] | ||
14 | 고현수 | 2008년 11월 21일 - 2010년 | 학군 20기 | 합동참모본부 화력과장 | ||
15 | 이규학 | 2010년 - 2012년 | 육사 39기 | 1군단 화력참모 | 한미연합사령부 화력처장 | |
16 | 조영진 | 2012년 - 2013년 | 육사 40기 | 서북도서방위사령부 화력참모처장 | ||
17 | 강천수 | 2013년 - 2014년 11월 10일 | 육사 40기 | 서북도서방위사령부 화력처장 | ||
18 | 임문균 | 2014년 11월 10일[9] - 2016년 5월 4일 | 학군 25기 | 제8사단 포병여단장 | 3군 화력부장 | |
19 | 김섭 | 2016년 5월 4일 - | 학군 26기 |
7.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육군FAQ
https://www.mma.go.k[...]
[2]
웹사이트
부대열전<67>육군수도포병여단
https://kookbang.dem[...]
국방일보
2014-01-23
[3]
웹사이트
직계가족복무부대 지원가능 해당부대 내역
http://www.mma.go.kr[...]
Army Headquarters Military History Research Institute Department
2013-06-12
[4]
웹사이트
2019 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군부대) 운영단체-교육시설 목록
https://www.mcst.go.[...]
Republic of Korea Army (ROKA)
2021-04-18
[5]
웹사이트
Female soldiers who donated their entire performance bonus for five consecutive years
https://www.tmvhcm.c[...]
Sports Korea TV
2024-02-20
[6]
URL
https://kookbang.dem[...]
[7]
URL
http://imnews.imbc.c[...]
[8]
뉴스
「鉄兜も蝶は座る」エッセイ集話題(“ ‘철모에도 나비는 앉는다’ 에세이집 화제”)
http://newsline.so/n[...]
2017-11-21
[9]
웹사이트
ROTC卒業生将軍進級の現状
http://www.caurotc.c[...]
中央大学ROTC同窓会
2017-11-21
[10]
웹인용
부대열전<67>육군수도포병여단
https://kookbang.dem[...]
국방일보
2014-01-23
[11]
뉴스
경기도 연천 포사격 훈련장의 폭발사고 19명 사망
http://imnews.imbc.c[...]
MBC뉴스
2012-0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