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학군사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학군사관(ROTC)은 대학생을 선발하여 군사 교육을 실시하고 졸업과 동시에 장교로 임관시키는 제도이다. 1960년대 초 대한민국의 군사력 증강 필요성에 따라 창설되었으며, 단기간에 전문 지식을 갖춘 인력을 확보하고 예비 전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학군사관은 육군, 해군/해병대, 공군 등에서 운영되며, 각 군별로 설치된 대학교에서 군사 교육을 받는다. 학군사관 출신은 군뿐만 아니라 사회 각계각층에서 리더로 활동하고 있지만, 복무 기간, 지역구 선발, 영외 훈련, 취업의 어려움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장교 - 간부사관
    간부사관은 병사로 복무 중인 자를 장교로 임용하는 제도를 의미하며, 미군의 그린 투 골드와 유사하게 운영되지만, 소위 임관에는 학위가 필수가 아니고 소령 진급에는 학위가 요구된다.
  • 대한민국의 장교 - 갑종장교
    갑종장교는 대한민국 육군의 장교 양성 과정 중 갑종간부후보생 과정을 거쳐 4성 장군(대장)까지 진급한 오자복, 정호근, 조영길, 정수성, 권영기 등의 인물들을 배출한 제도이다.
  • 대한민국의 군사 교육 및 훈련 - 호국훈련
    호국훈련은 대한민국 국군이 실시하는 대규모 합동 군사 훈련으로, 1996년부터 한국군 단독으로 실시되다가 2008년부터 육해공 합동 훈련으로 확대되었으며, 북한은 이를 '북침 연습'이라며 비난한다.
  • 대한민국의 군사 교육 및 훈련 - 팀 스피리트
  • 학사 - 이학사
    이학사는 인류학, 농학,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의 교과목을 제공하며 자연과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등을 아우르는 학사 학위 프로그램이다.
  • 학사 - 의학 학사, 외과 학사
    의학 학사, 외과 학사(MBBS)는 영국 및 과거 대영 제국 국가에서 주로 수여되는 5년 또는 6년제 의학 학위로, 기초 및 임상 의학과 실습 교육을 포함하며, 졸업 후 의사 면허 취득 및 임상 진료 자격을 부여한다.
학군사관
개요
명칭학생군사교육단 (學生軍事敎育團)
영문 명칭Reserve Officers' Training Corps (ROTC)
약칭학군단 (學軍團)
표어조국을 굳건히, 정의롭게
창설일1961년 12월 22일
유형대한민국의 군사 교육 기관
관련 법규군 설치법
병역법
예비군 설치법
군인보수법
역사
1961년학생군사교육단 창설 (16개 대학)
1968년전국 대학으로 확대
2010년여자 ROTC 시범 운영
2012년여자 ROTC 전국 확대
조직
설치 대학전국 110개 4년제 대학교 (2023년 기준)
교육 과정2년 (과거 4년)
입단 자격4년제 대학교 2학년 재학생 (과거 1학년)
임관육군, 해군, 공군 소위
복무 기간2년 (과거 2년 4개월)
특징
교육 목표군사 지식과 리더십 함양, 국가 안보 의식 고취
교육 내용군사학 이론
체력 단련
사격 훈련
전술 훈련
지휘 통솔 훈련
혜택장학금 지급
해외 군사 문화 탐방 기회 제공
임관 후 다양한 특기 부여 기회 제공
전역 후 사회 진출 지원
관련 인물
주요 동문사회 각 분야에서 활약하는 정치인, 기업인, 군인, 법조인, 학자 등 다수

2. 역사

1960년대 초, 대한민국 정부는 남북 대치 상황에서 군사력 증강을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군사관 제도를 도입했다. 이는 대학 졸업 후 전문 지식을 갖춘 엘리트 자원을 단기간에 충원하여 상비전력을 증강하고,[9] 현역 복무 후에는 예비군 지휘관으로 편입시켜 예비전력을 강화하는 장점이 있었다. 또한, 육군사관학교에 비해 양성 교육 예산 부담을 줄일 수 있었다.

1961년 6월 1일 학도군사 훈련단(학훈단) 창설과 함께 육군본부는 ROTC 후보생들에게 장교후보생으로서의 긍지와 품위를 고양시키기 위하여 학훈단의 부대 상징을 제정하였다. 각 학훈단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 미국 내 대학에서 사용 중이던 ROTC 휘장 디자인을 모방해 ROTC 영문자를 초록색 바탕에 노란색 글자로 표기한 문양으로 결정하여, 각 학훈단에서는 ROTC 후보생들의 교복 왼쪽 팔 상박부에 부착하였다. 5기생부터는 자주국방 정신과 민족의 주체의식 확립 차원에서 방패 모양의 청색 바탕에 '학훈단'이라는 흰색 글자를 쓴 휘장을 사용하였으며, 1972년 학도군사훈련단 명칭이 학생군사교육단으로 변경됨에 따라 약칭도 학훈단에서 학군단으로 바뀌었다.

초기에는 '예비역 장교훈련단' 또는 '예비역 무관후보생'으로 정하였다. 그러나 장교 양성 과정인 ROTC 제도가 예비역 신분으로 관리되었고 호칭상으로도 어감이 좋지 못했을 뿐 아니라, 장교 임관 후 군 복무를 시키기 위해서는 전·평시의 보충 소집 영장을 하령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육군은 타군과는 달리 실제로 임관 인원 전원을 현역으로 임용하기 때문에 임관 장교 전원을 예비역 장교로 임명한다는 것은 이치에도 맞지 않았고, 대학원 졸업생 등의 병역특례에 관한 특별조치법의 규정에 의한 특수 전문 요원인 석사 출신의 예비역 장교와도 신분 관리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관련 병역법 개정을 추진하였다.

1983년 후보생 신분을 후보생 기간은 대학생이라는 고유의 학생 신분과 군의 후보생 신분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는 상태이고, 군부대 정원, 급여 및 수당 등과의 관계, 그리고 군법 및 군 징계의 적용 제한 등의 문제점과 현역으로 관리할 경우 대학과의 문제 야기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제1국민역으로 결정하였다. 이러한 병역법 개정에 따라 후보생 명칭을 예비역 장교후보생에서 학군사관후보생으로 바꾸어 후보생 기간 중에는 '학군사관후보생', 임관 시에는 '학군출신장교' 등 일관성을 유지하게 되었다.

2. 1. 창설 배경

대한민국 최초의 학군단은 1959년 3월 11일 한국해양대학교에 설치된 해군 부산 군사교육단(해군 제1001학생군사교육단)으로, 해군에서 먼저 시작되었다.[8] 한국해양대학교는 1947년부터 1949년까지 국방부 소속이었고, 1958년에는 해군 예비원령(대통령령 제1935호)이 시행되어 학생 총원이 학군사관후보생 신분이었다. 이는 상선사관 및 국가 해운인력을 양성하는 해양대학교의 학생들이 졸업 후 해군 예비역 신분으로 상선에서 승선 근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도였다. 학생들은 재학 중 군사학 및 군사훈련을 이수하고, 졸업과 동시에 해군 소위로 임관하여 예비역으로 편입, 상선에서 군 복무를 수행했다.

1960년대 초, 대한민국 정부는 남북 대치 상황에서 군사력 증강의 필요성을 느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군사관 제도를 도입했다. 이는 대학 졸업 후 전문 지식을 갖춘 엘리트 자원을 단기간에 충원하여 상비전력을 증강하고,[9] 현역 복무 후에는 예비군 지휘관으로 편입시켜 예비전력을 강화하는 장점이 있었다. 또한, 육군사관학교에 비해 양성 교육 예산 부담을 줄일 수 있었다.

2. 2. 명칭 및 제도 변천

1961년 6월 1일 학도군사 훈련단 창설과 동시에 육군본부에서는 학훈단의 부대 상징을 통일시키고 ROTC 후보생들에게 장교후보생으로서의 긍지와 품위를 고양시키기 위하여 학훈단의 부대 상징을 제정하기로 하였다. 이에 따라 각 학훈단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 그 당시 미국 내 대학에서 사용 중이던 ROTC 휘장 디자인을 모방해 ROTC 영문자를 초록색 바탕에 노란색 글자로 표기한 문양으로 최종 결정하였으며, 각 학훈단에서는 위 휘장을 ROTC 후보생들의 교복 왼쪽 팔 상박부에 부착토록 함으로써 일반 대학생들의 복장과 차별화하였다. 5기생부터는 자주국방 정신과 민족의 주체의식 확립 차원에서 방패 모양의 청색 바탕에 학도군사훈련단의 약자인 '학훈단'이라는 흰색 글자를 쓴 휘장을 사용하였으며, 1972년부터 학도군사훈련단 명칭이 학생군사교육단으로 변경됨에 따라 약칭도 학훈단에서 학군단으로 개정되었다.

학군사관후보생에 대한 호칭은 초기에는 예비역 장교로 임관 후 보충 소집 절차를 거쳐 군에 복무하도록 한 제도의 성격을 고려하여 '예비역 장교훈련단' 또는 '예비역 무관후보생'으로 정하였다. 그러나 장교 양성 과정인 ROTC 제도가 예비역 신분으로 관리되었고 호칭상으로도 어감이 좋지 못했을 뿐 아니라, 장교 임관 후 군 복무를 시키기 위해서는 전·평시의 보충 소집 영장을 하령해야 하는 등의 번잡성이 있었다. 또한 육군의 경우에는 타군과는 달리 실제로 임관 인원 전원을 현역으로 임용하기 때문에 임관 장교 전원을 예비역 장교로 임명한다는 것은 이치에도 맞지 않았고, 대학원 졸업생 등의 병역특례에 관한 특별조치법의 규정에 의한 특수 전문 요원인 석사 출신의 예비역 장교와도 신분 관리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관련 병역법 개정을 추진하였다.

1983년 후보생 신분을 후보생 기간은 대학생이라는 고유의 학생 신분과 군의 후보생 신분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는 상태이고, 군부대 정원, 급여 및 수당 등과의 관계, 그리고 군법 및 군 징계의 적용 제한 등의 문제점과 현역으로 관리할 경우 대학과의 문제 야기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제1국민역으로 결정하였다. 이러한 병역법 개정에 따라 후보생 명칭을 예비역 장교후보생에서 학군사관후보생으로 개칭하여 후보생 기간 중에는 '학군사관후보생', 임관 시에는 '학군출신장교' 등 일관성을 유지하게 되었다.

3. 특징


  • 육군 학군단의 경우 4학년 후보생이 되면 해병대로 전환할 기회가 주어진다. 해병대로 전환할 경우 복무 기간이 4개월 단축된다. 원래 해병대로 창설된 학군단은 처음부터 적용되며, 복무 기간 역시 처음부터 단축된다.[7]
  • 장교 임관 과정 중 유일하게 영외 생활을 한다. 사관학교는 4년 또는 2년[12]간 영내생활을 하며 학사사관과 간부사관 역시 영내생활을 한다. 학기 중에는 일주일 당 7시간의 수업을 받는 군사학 과목만 더 이수하며 매 방학마다 4주씩 기초군사훈련을 받는다.

4. 학군사관 출신 인물 및 통계

2017년 기준으로 학군사관 제도는 약 19만 명의 장교를 배출했다. 10기까지 대장 6명을 포함한 장군 52명, 17기까지 대령 215명을 배출했으며, 현역 국군 장교 2만여 명 중 학군사관 출신 장군이 20여 명에 이른다.[10]

군뿐만 아니라 사회 각계각층에서 리더로서 거대한 학군사관 인맥을 형성하고 있다. 2008년 ROTC 중앙회에서 회원 10만여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야인원주요 인물
입법·행정 분야2,145명전 경찰청장 등
정계1,001명국회의원 17명 등
언론계915명국장급 이상 60여 명
교육계7,738명서울대학교 이장무 총장, 서강대학교 손병두 총장, 숭실대학교 황준성 총장, 단국대학교 장호성 총장, 명지대학교 유병진 총장 등 대학교 총장 8명, 교수 3,217명, 교사 4,521명
경제계10,000명손길승 SK텔레콤 명예회장, 박영주 이건산업 회장, 허진규 일진그룹 회장, 이충구 유닉스전자 회장, 삼성 사장단 54명 중 10여 명, 강성원 LS니꼬동제련 사장[10], 정해붕 하나SK카드 사장, 김영진 한독약품 회장, 송범 대림C&S 대표, 황호건 어울림네트웍스 대표, 이왕돈 대전방송(TJB) 사장, 전원식 도레이폴리텍 대표, 류재승 웅진개발 대표 등 (50대 기업 임원 34.8%)
연예계배우 안성기(한국외국어대학교), 희극 배우 이상용(고려대학교), 배우 주현(건국대학교), 가수 마블제이(경희대학교) 등



그러나 병 복무 기간이 계속 감축되는 와중에 학군사관의 복무 기간은 28개월로 고정되어 있어 학군사관의 인기가 감소하고 있다. 2023년 임관한 학군 61기 후보생은 미달 사태가 발생했다.[11] 과거 학군 35기가 소위로 임관한 1997년에는 학군사관 복무 기간이 28개월, 병 복무 기간이 26개월이었으나, 2021년 현재 병 복무 기간은 18개월로 줄어든 반면 학군사관 복무 기간은 그대로이기 때문이다.

1990년 미국 의회 도서관의 연구에 따르면, 신임 소위의 약 40%가 학군사관 프로그램에서 임관되었으며, 대부분 의무 복무 기간이 끝나면 전역했다. 육군사관학교는 신임 소위의 또 다른 40%를 배출했으며, 5%는 각 군사학교 졸업생, 15%는 의무병과, 법무병과 및 군종에서 직접 임관된 전문가였다.[5] 대한민국 학군사관 프로그램은 군사 훈련이 공통적인 문화적, 조직적 기준점이 되면서 국가 통합과 문화적 동질성에 기여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며, 군 장교는 기업 관리자가 되고, 군 징집병은 공장 노동자가 되었다. 그 예로 현대자동차가 학군사관 훈련을 받은 직원을 체계적으로 선호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6]

2011년 대한민국에는 109개 대학에서 9,063명의 학군사관 후보생이 있었다.[2]

5. 문제점

2017년 기준으로 학군사관은 약 19만 명의 장교를 배출했으며, 52명의 장군(10기 출신 6명 포함)을 포함하여 다수의 대령 및 현역 군인을 배출하며 군 내에서 중요한 인맥을 형성하고 있다. 2008년 학군단 중앙회 회원 10만 명 대상 설문조사에 따르면, 학군사관 출신들은 입법, 행정, 정계, 언론, 교육, 기업, 연예계 등 사회 각계각층에서 리더로 활동하고 있다.

그러나 병역 기간이 단축되는 추세와 달리 학군사관의 복무 기간은 고정되어 있어, 2023년에 임관한 61기 학군사관 후보생 충원에 어려움을 겪었다.[4] 이는 병역 기간이 짧을수록 선호도가 높은 한국 사회의 특성 때문이다. 1997년 35기 소위 임관 당시 복무 기간은 28개월(또는 26개월)이었고, 장교 임관 시 4개월의 훈련을 추가로 받아야 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상대적으로 복무 기간이 긴 학군사관의 인기는 감소할 수밖에 없었다.

5. 1. 과거의 문제점

학사사관이 후반기에 존재하던 시절, 학군사관은 후반기 학사사관에게 구타 및 가혹행위를 하는 경우가 많아 문제가 되었다. 특히 학군사관이 같은 해에 임관하는 타 출신 장교들보다 몇 개월 늦게 임관한다는 점을 이용하여, 과거 학군사관 출신 소위, 중위급 장교들은 같은 해에 임관한 학사사관 출신 장교들에게 '이등병 특유의 개월수 따지기'를 하며 강압적인 위계서열을 행사하고 구타 및 가혹행위를 일삼았다.[13] 이는 복무 기간이 짧고 제대가 빠른 학군사관에게만 나타나는 문제점이며, 육군사관학교육군3사관학교는 최소 5년 이상 의무 복무해야 하기 때문에 소대장 시절에 학군사관처럼 행동하면 대위 때 어려움을 겪는다. 특히 평생 군 복무를 하는 육군사관학교 출신의 경우, 이러한 행동은 영관급 장교 진출을 어렵게 만든다.

장교이나 부사관과 달리 지휘 보직이 많고, 중령에 이르러서는 누가 먼저 진급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호봉은 서열로 인정되지 않고 오직 계급만 서열로 인정된다. 만약 장교도 병이나 부사관처럼 호봉을 서열로 인정하면, 먼저 진급한 후배 연대장에게 진급이 누락된 고참 대대장이 항명할 가능성이 높아져 군 지휘 체계가 문란해진다.

5. 2. 현재의 문제점

학군사관 제도는 여러 구조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다른 장교 임관 과정(사관학교, 육군3사관학교, 학사사관, 단기 부사관)과 달리 전국 단위가 아닌 지역별 대학 내 선발을 거쳐 자질 부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지잡대 학군단 출신 장교의 자격 논란으로 이어진다.[4]

둘째, 대한민국 군대 훈련 과정 중 유일하게 영외 훈련을 실시하여 군대 내 부조리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4학년 후보생이 훈육관 지시 없이 3학년 후보생을 소집하는 등 군인이면서도 과도한 통제를 받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4]

셋째, 복무 기간이 짧아 지속적인 지휘 공백을 초래한다. 육군사관학교, 학사사관 등은 1년 복무 후 전출, 대위 진급 등으로 소대장 직을 떠나지만, 학군사관은 의무 복무 기간 만료로 전역하여 중대에 소대장 부족 현상이 발생하고 신임 소대장들의 업무 부담이 커진다.[4]

넷째, 취업에 불리하게 작용하여 지원자가 감소하고 있다. 대기업은 졸업 후 1년 이내 신입사원이나 졸업 예정자를 선호하여, 2년 이상 대학을 졸업한 장교는 취업이 어렵다. 이로 인해 명문대생의 학군사관 기피 현상이 나타나고 일부 대학은 학군단 정원을 축소한다.[4]

6. 학생군사교육단 목록

다음은 육군, 해군 및 해병대, 공군별 학생군사교육단(ROTC)이 설치된 대학교 목록과 폐지된 학군단 목록이다.[14]

'''육군'''

'''해군 및 해병대'''

'''공군'''

'''폐지된 학군단'''

6. 1. 육군 학군단

1960년대 초, 대한민국 정부는 남북 대치 상황에서 군사력 증강을 위해 대학교 재학생 중 우수 자원을 선발하여 군사 교육을 실시하고 졸업 후 장교로 임관시키는 학군사관 제도를 시행하였다. 이는 각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엘리트 자원을 단기간에 충원하여 현역 복무 후 예비군 지휘관으로 편입시킴으로써 상비 전력을 증강시키는 장점이 있었다. 또한, 학군사관은 4년간 교육하는 사관학교에 비해 훈련 교육 예산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었다.[14]

다음은 육군 학생군사교육단이 설치된 대학교 목록이다. 단번 순이며, 권역은 학생군사학교의 분류를 따랐다. 설치 연도는 정식으로 단번을 부여받고 승격 혹은 설치된 연도를 기준으로 하였다.[14]

단번교명권역설치 연도비고
101서울대학교서울서부1961
102고려대학교서울동부1961
103성균관대학교서울동부1961인문사회과학캠퍼스
1031경기북부1980자연과학캠퍼스
104결번
105전남대학교호남1961광주캠퍼스
1051여수캠퍼스
106전북대학교호남1961
107연세대학교서울서부1961
108경희대학교서울동부1961서울캠퍼스
1081경기북부국제캠퍼스
109경북대학교대구경북1961
110부산대학교부산경남1961
111중앙대학교서울서부1961서울캠퍼스
1111경기남부1980다빈치캠퍼스
112동국대학교서울서부1961
113건국대학교서울동부1961
114결번
115한양대학교서울동부1961
116충남대학교충청남부1961
117동아대학교부산경남1961
118조선대학교호남1961
119한국외국어대학교서울동부
120인하대학교경기북부
121영남대학교대구경북
122경기대학교경기남부
123충북대학교충청북부
124결번
125단국대학교경기남부1965죽전캠퍼스
12511980천안캠퍼스
126경상국립대학교부산경남
127강원대학교강원1966
128원광대학교호남
129국민대학교서울서부
130명지대학교경기북부1970
131서강대학교서울서부
132인천대학교경기북부
133홍익대학교서울서부1972서울캠퍼스
1331충청북부1991세종캠퍼스
134결번
135국립공주대학교충청남부1974
136숭실대학교서울서부
137청주대학교충청북부
138계명대학교대구경북1977
139아주대학교경기남부1978
140울산대학교대구경북
141경남대학교부산경남1976
142광운대학교서울동부1980
143서울시립대학교서울동부1980
144전주대학교호남
145대구대학교대구경북
146한남대학교충청남부
147가톨릭관동대학교강원1981
148동의대학교부산경남
149경성대학교부산경남
150한국교원대학교충청북부
151가천대학교경기북부1985
152국립금오공과대학교대구경북
153우석대학교충청남부
154결번
155국립군산대학교호남
156상지대학교강원1992
157국립부경대학교부산경남1992
158수원대학교경기남부
159국립순천대학교호남
160국립목포대학교호남
161국립안동대학교대구경북
162세종대학교서울동부
163국립강릉원주대학교강원1992
164결번
165국립창원대학교부산경남
166호서대학교충청북부
167순천향대학교충청북부
168대전대학교충청남부
169목원대학교충청남부
170배재대학교충청남부1992
171한림대학교강원1992
172동신대학교호남
173인제대학교부산경남1992
174결번
175교육단 폐지(서울교육대학교, 2015)
176경인교육대학교경기북부1992
177교육단 폐지(대구교육대학교, 2015)
178교육단 폐지(부산교육대학교, 2015)
179교육단 폐지(광주교육대학교, 2015)
180교육단 폐지(춘천교육대학교, 2021)
181교육단 폐지(진주교육대학교, 2015)
182폐교로 인한 교육단 폐지(서남대학교, 2018)
183세명대학교강원1993
184결번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호남대학교호남
194결번
195서원대학교충청북부
196한성대학교서울동부
197결번
198대구한의대학교대구경북
199부산외국어대학교부산경남
200건양대학교충청남부2005
201서울과학기술대학교서울동부2006
202상명대학교서울서부서울캠퍼스
2021충청북부천안캠퍼스
203용인대학교경기남부
204결번
205강남대학교경기북부
206서경대학교서울서부2007
207가톨릭대학교경기북부
208대진대학교강원
209백석대학교충청남부2007
210한밭대학교충청남부2006
211선문대학교충청북부2006
212대구가톨릭대학교대구경북
213동양대학교대구경북2007
214결번
215동명대학교부산경남
216평택대학교경기남부
217숙명여자대학교서울서부2010여자대학 최초
218성신여자대학교서울동부
219폐교로 인한 교육단 폐지(경남과학기술대학교, 2021)
220경동대학교강원2012
221광주대학교호남
222남서울대학교경기남부
223우송대학교충청남부
224결번
225이화여자대학교서울서부2016
1021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충청북부
1071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강원
1121동국대학교 WISE캠퍼스대구경북
1131건국대학교 GLOCAL캠퍼스강원
1151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경기북부


6. 2. 해군/해병대 학군단

대한민국 최초의 학군단은 해군에서 탄생했다. 1959년 3월 11일, 한국해양대학교에 해군 부산 군사교육대(해군 제1001학군단)가 창설되면서 제3군 해군 학군단이 시작되었다.[14] 해군 학군단이 한국해양대학교에 설치된 이유는 이 학교가 1947년부터 1949년까지 국방부 소속이었고, 1958년 해군예비역법령에 따라 모든 학생이 학군 후보생인 상선대학 형태였기 때문이다. 현재는 선발된 학군단과 병역준비역 제도가 함께 시행되고 있다.

해군 및 해병대 학군단 설치 대학은 다음과 같다.

단번교명권역설치 연도비고
1001한국해양대학교(구분 없음)해병대 지원 가능
1002제주대학교(구분 없음)해병대 지원 가능
1003국립부경대학교(구분 없음)1973해병대 지원 가능
2002국립목포해양대학교(구분 없음)해병대 지원 가능
1004국립목포해양대학교(구분 없음)해병대 지원 가능


6. 3. 공군 학군단

단번학교 이름지역설치 연도비고
1한국항공대학교(구분 없음)
2한서대학교(구분 없음)
3한국교통대학교(구분 없음)2013
4서울과학기술대학교(구분 없음)
5경상국립대학교(구분 없음)
6숙명여자대학교(구분 없음)
7연세대학교(구분 없음)


6. 4. 폐지된 학군단

학교명학군단 번호폐지 연도폐지 사유
서울교육대학교제175학생군사교육단2015년후보생 지원 및 학생 관심도 미흡
대구교육대학교제177학생군사교육단2015년후보생 지원 및 학생 관심도 미흡
부산교육대학교제178학생군사교육단2015년후보생 지원 및 학생 관심도 미흡
광주교육대학교제179학생군사교육단2015년후보생 지원 및 학생 관심도 미흡
진주교육대학교제181학생군사교육단2015년후보생 지원 및 학생 관심도 미흡
서남대학교제182학생군사교육단2018년학교 폐교
춘천교육대학교제180학생군사교육단2021년후보생 지원 및 학생 관심도 미흡


7. 외국의 사례

대한민국 이외에는 미국, 인도 등 몇몇 국가에서만 학군사관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운영하지 않는다.

'''미국'''

미국은 학군단(ROTC) 제도를 운영하며, 미성년자의 경우 주니어 학군단(JROTC) 출신이어야 한다. 주니어 학군단(JROTC)은 초등학교부터 훈련을 받으며 주로 제식훈련이나 전쟁사 등을 공부하지만, 직접적인 군사 훈련은 하지 않는다. 학군단(ROTC)의 경우, 전 주니어 학군단(JROTC) 출신자가 대학교에 진학하면 대학교 1학년부터 4년간 훈련을 받는다.

미국에서 소위로 임관되는 학군사관의 수는 그린 투 골드(Green To Gold)와 동일하지만, 대부분 석사장교처럼 소위 임관과 동시에 예비역으로 전역하며, 타 출신 장교의 결원 만큼만 현역에 배치되는데 많게는 5%, 적게는 1~2% 정도만 현역으로 배치된다.

미군에서 만기 전역한 인원 중 병역이 예비역 소위인 사람이 있다면 100% ROTC 출신이라고 보면 무방하다. 미군대한민국 국군과는 달리 소위로 임관한 다음 현역으로 2년을 복무해야 중위로 진급하는데 보통 3년 이상 복무하므로 비(非) ROTC 출신은 최소 중위 이상으로 제대한다. 이는 ROTC의 원래 의미인 '''장교로 징병할 인원을 미리 훈련시키는 것'''에 부합한다.

8. 대한민국-미국 ROTC 교류

미국 학군 사관 후보생들은 문화 이해 및 언어 능력 (CULP) 프로그램과 같은 문화 교류에서 대한민국 학군사관 후보생들과 정기적으로 협력한다.[2]

참조

[1] 웹사이트 Blue Suits and Blue Berets? http://www.hanyang.a[...] 2013-07-24
[2] 뉴스 Korea, U.S. ROTC cadets cement alliance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1-07-01
[3] 웹사이트 Banned South Korean earns military exemption http://thestar.com.m[...] 2012-08-25
[4] 웹사이트 Women are showing keen interest in ROTC http://koreajoongang[...] 2011-04-26
[5] 서적 South Korea: A Country Study https://archive.org/[...] Library of Congress
[6] 서적 Transformations in Twentieth Century Korea Routledge
[7]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 네이버 지식백과 [Naver Encyclopedia]
[8] 문서 장교의 학력이 대졸이상으로 제한되어 있지 않았다.
[9] 웹사이트 국방일보 백선엽 장군 회고록 http://kookbang.dema[...]
[1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news.hankyung[...] 2017-10-15
[11] 뉴스 (밀리터리 인사이드) 자리 없어 못 간다던 ‘ROTC’…왜 찬바람 불까 https://www.seoul.co[...]
[12] 문서 육군3사관학교
[13] 문서 지잡대의 학군단 인가를 취소해서 확보함.
[14] 웹인용 학군사관 모집 https://www.armyoffi[...] 2023-02-2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