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북도서방위사령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북도서방위사령부는 천안함 침몰 사건과 연평도 포격 이후, 조선인민군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창설된 대한민국 국방부 예하 부대이다. 2011년 6월 15일 해병대사령부에서 창설되었으며, 서해 5도와 북방한계선을 방위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사령관은 해병대 중장이 겸임하며, 제6해병여단과 연평부대가 배속되어 있다. 육군, 해군, 공군 전력 또한 서북도서방위사령부의 지휘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해병대의 사령부 - 제주방어사령부
    6.25 전쟁 초기 조선인민군으로부터 제주도를 방어하기 위해 "해군 제주기지"로 창설되어 제6해역사령부로 개편, 제주방어사령부로 재편되었으나 2016년 해체 후 제9해병여단이 창설되어 제주 지역의 해안 방어 임무를 수행한다.
  • 대한민국의 합동부대 - 제주방어사령부
    6.25 전쟁 초기 조선인민군으로부터 제주도를 방어하기 위해 "해군 제주기지"로 창설되어 제6해역사령부로 개편, 제주방어사령부로 재편되었으나 2016년 해체 후 제9해병여단이 창설되어 제주 지역의 해안 방어 임무를 수행한다.
  • 대한민국의 합동부대 - 주월한국군사령부
    주월한국군사령부는 베트남 전쟁 당시 대한민국 국군의 파병 부대를 지휘하기 위해 1965년 창설되어 사이공에서 업무를 시작했으며, 1973년 한국군 철수 결정에 따라 해체되었다.
  • 화성시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해병대
    대한민국 해병대는 1949년 창설된 해군 예하 상륙전 부대로,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 등에 참전했으며, 사령부 재창설과 전력 증강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나, 병영 부조리 문제도 안고 있다.
  • 화성시 소재의 관공서 - 화성소방서
    화성소방서는 경기도 화성시의 소방 업무를 수행하며, 소방 행정, 재난 예방, 재난 대응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9개의 119안전센터 등을 관할한다.
서북도서방위사령부
개요
이름서북도서방위사령부
영문 명칭Northwest Islands Defense Command
활동 기간2011년 6월 15일 ~ 현재
국가대한민국
소속대한민국 국방부
대한민국 해병대
종류합동 지역 사령부
역할서해 5개 도서 방어
명령 체계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해병대 사령부
본부경기도 화성시
지휘관
사령관[[파일:Flag of the ROK Army & Marine Corps Lieutenant General (OF-8).svg|30px]] 중장 주일석 (해사 46기)
지휘관 명칭사령관

2. 역사

천안함 침몰 사건과 연평도 포격 이후, 이명박 정부는 기존 군 지휘체계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조선인민군의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국방개혁 307계획을 수립하였다. 이 계획의 일환으로 서해 5도북방한계선 방위를 위한 서북도서방위사령부(서방사) 창설이 추진되었다.[3]

당초 합동군 사령부 형태로 창설될 예정이었으나, 헌법 조항 위배 문제로 인해 해병대사령부를 모체로 한 서방사 창설로 변경되었다.[4][5]

2011년 6월 15일, 6·15 남북 공동선언 11주년을 맞아 경기도 화성시 해병대사령부에서 유낙준 해병 중장을 지휘관으로 하는 서방사 창설식이 거행되었다. 이는 북한의 강경 대남 정책에 대한 대응 조치였다.[6]

2. 1. 창설 배경

천안함 침몰 사건과 연평도 포격 이후, 이명박 정부는 각 군 참모총장합동참모본부에 군정권과 군령권이 나뉘어 있어 지휘체계가 복잡하고, 이 때문에 비상시 신속한 대응이 늦어진다는 문제점을 인지하였다. 이에 국방개혁 2020을 폐기 및 취소하고 국방개혁 307계획을 수립하였다. 이 계획의 일환으로 조선인민군의 위협에 대비하고자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 연평도, 우도서해 5도북방한계선을 방위하는 서북해역사령부 창설이 발표되었다.[3]

2011년 3월 2일, 국방부는 비공개 당정회의에서 당초 합동군 사령부로 창설될 예정이었던 서북해역사령부가 헌법 89조 16항에 위배된다는 지적에 따라 이를 백지화하고, 각 군 참모총장의 작전 부대 지휘 권한을 축소한 서북도서방위사령부 창설 안건을 보고하였다. 작전 지역은 서북 해역 전체에서 5개 도서로 축소되었고, 합동군 체제에서 해병대 사령부를 모체로 하여 해병대 사령관이 겸직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이는 헌법 89조 16항에 명시된 대장 계급의 합동군 사령관 직책 신설이 대장급 국무회의 심의 대상이 되어 헌법 조항을 개정해야 하는 문제를 야기했기 때문이다.[4][5]

6·15 남북 공동선언 11주년인 2011년 6월 15일, 경기도 화성시 해병대사령부에서 유낙준 해병 중장을 지휘관으로 하는 서북도서방위사령부 창설식이 거행되었다. 이는 강경대남정책에 대한 대응으로 해석되었다.[6]

2. 2. 창설 과정

천안함 침몰 사건과 연평도 포격 이후, 이명박 정부는 각 군 참모총장합동참모본부로 각각 군정권과 군령권이 나뉘어 있는 복잡한 지휘체계 때문에 비상시 신속한 대응이 늦어지는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여 국방개혁 2020을 폐기 및 취소시키고, 국방개혁 307계획을 수립하였다. 이 계획의 일환으로 조선인민군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 연평도, 우도서해 5도북방한계선을 방위하기 위한 서북해역사령부 창설이 발표되었다.[3]

2011년 3월 2일, 국방부는 비공개 당정회의에서 합동군 사령부로 창설될 예정이었던 서북해역사령부가 헌법 89조 16항에 위배된다는 지적에 따라 이를 백지화하고, 각 군 참모총장의 작전 부대 지휘 권한이 축소된 서북도서방위사령부 창설 안건을 보고하였다. 작전 지역이 서북 해역 전체에서 5개 도서로 축소되고, 합동군 체제에서 해병대 사령부를 모체로 하여 해병대 사령관이 겸직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이는 헌법 89조 16항에 명시된 대장 계급의 합동군 사령관 직책 신설이 대장급 국무회의 심의 대상이 되어 헌법 조항 개정 절차가 필요했기 때문이다.[4][5]

6·15 남북 공동선언 11주년인 2011년 6월 15일, 경기도 화성시 해병대사령부에서 유낙준 해병 중장을 지휘관으로 하는 서북도서방위사령부 창설식이 거행되었다. 이는 강경대남정책에 대한 대응 조치의 일환이었다.[6]

3. 조직

서북도서방위사령부는 해병대사령부 예하에 정보작전지원본부(NSOC)와 항공작전지원본부(ASOC)를 예하 부서로 가진 화력처를 추가 신설하여 만들어졌다. 타 군과의 유연한 합동 작전을 위해 정보처와 화력처의 처장을 공군 대령과 육군 대령으로 두었다. 지휘부는 육군 4명, 해군 9명, 해병대 56명, 공군 8명, 총 77명으로 구성되어 있다.[7]

3. 1. 부서

기존 해병대사령부 예하에 정보작전지원본부(NSOC)와 항공작전지원본부(ASOC)를 예하 부서로 가진 화력처를 추가 신설하였다. 타 군과의 유연한 합동 작전을 위해 정보처와 화력처의 처장을 공군 대령과 육군 대령으로 두어 육군 4명, 해군 9명, 해병대 56명, 공군 8명, 총 77명으로 지휘부가 구성되어 있다.[7]

  • 사령관 (해병 중장)
  • 부사령관 (해병 소장)
  • 참모장 (해병 준장)
  • 인사처
  • 계획처
  • 군수처
  • 지통처
  • 교훈처
  • 공병처
  • 정보처 (공군 대령)
  • 작전처
  • 화력처 (육군 대령)
  • 정보지원작전본부 (NSOC)
  • 항공지원작전본부 (ASOC)
  • 해상지원작전본부 (MSOC)

3. 2. 부대


  • 제6해병여단
  • 연평부대
  • 국지도발/전시 지휘
  • * 육군 전력
  • * 해군 전력
  • * 공군 전력


4. 역대 지휘관

해병대 사령관이 서북도서방위사령관을 겸임하고 있다.

대수계급성명취임일이임일비고
초대--유낙준2011년 6월 15일2011년 10월 17일-
2대--이호연2011년 10월 18일2013년 9월 27일[8]
3대--이영주2013년 9월 28일2015년 4월 13일[9]
4대--이상훈2015년 4월 13일2017년 4월 13일-
5대--전진구2017년 4월 13일2019년 4월 12일-
6대--이승도2019년 4월 12일2021년 4월 12일-
7대--김태성2021년 4월 13일2022년 12월 7일-
8대--김계환2022년 12월 7일2024년 12월 6일-
9대--주일석2024년 12월 7일-


참조

[1] 웹인용 서북도서방위사령부령 제4조 http://www.law.go.kr[...] 대한민국 법제처 2018-07-13
[2] 뉴스 서북도서사령부 창설 현판식 http://article.joins[...] 연합뉴스 2014-06-20
[3] 뉴스 서해 5도·NLL 지키는 서북해역사령부 창설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2-03-12
[4] 뉴스 국방부, 서북 해역 사령부 없던 일로…왜? http://news.sbs.co.k[...] SBS 2012-03-12
[5] 뉴스 합동군사령관 신설안 백지화...서북해역사령부 계획 축소 http://www.ytn.co.kr[...] YTN 2012-03-12
[6] 뉴스 서북도서방위사령부 '6.15공동선언일' 창설... 왜? http://view.asiae.co[...] 아시아경제 2011-06-20
[7] 뉴스 내일 서북도서방위사령부 창설(종합)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1-06-20
[8] 뉴스 이호연 해병대사령관 취임… 서북도서방위사령관 동시 취임 https://web.archive.[...] 뉴시스 2014-06-20
[9] 뉴스 28일 이영주 신임 해병대사령관 취임식 http://kbr2hys.korea[...] 화성뉴스 2014-06-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