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마트라오랑우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마트라오랑우탄(Pongo abelii)은 수마트라 섬 북부에 서식하는 멸종 위기종 유인원이다. 이들은 과일을 주로 먹고 곤충을 섭취하며, 도구를 사용하여 먹이를 얻거나 환경에 적응하는 특징을 보인다. 수마트라오랑우탄은 팔걸이건너기를 통해 나무 위에서 생활하며, 제스처를 사용하여 의사소통한다. 2024년에는 상처에 약용 잎을 사용하는 행동이 관찰되기도 했다. 서식지 파괴, 밀렵, 팜유 농장 개발 등의 위협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화로 인한 절멸위기종 - 마다가스카르땅거북
마다가스카르 북서부 멜라키 지역에 서식하는 희귀종인 마다가스카르땅거북은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으며, 여러 단체에서 서식지 보호와 개체 수 증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방화로 인한 절멸위기종 - 보르네오오랑우탄
보르네오섬의 열대우림에 사는 보르네오오랑우탄은 사람과에 속하는 현존하는 가장 큰 나무 위 생활 유인원 중 하나로,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 오랑우탄 - 타파눌리오랑우탄
타파눌리오랑우탄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토바호 남쪽 지역에 서식하며 곱슬거리는 털과 작은 두개골로 구별되는 희귀한 유인원으로,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국제 자연 보전 연맹에서 위급종으로 분류되었다. - 오랑우탄 - 보르네오오랑우탄
보르네오섬의 열대우림에 사는 보르네오오랑우탄은 사람과에 속하는 현존하는 가장 큰 나무 위 생활 유인원 중 하나로,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 게놈 해독이 완료된 동물 - 개
개는 회색늑대의 가축화된 아종으로, 오랜 가축화 과정을 거쳐 다양한 견종으로 분화되었으며, 반려동물과 다양한 직업 분야에서 인간과 함께 생활하며 여러 사회적 문제도 야기한다. - 게놈 해독이 완료된 동물 - 양
양은 기원전 1만 년 전후 메소포타미아에서 가축화되어 고기 생산을 시작으로 젖, 가죽, 양모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전 세계로 퍼져나간 200종 이상의 품종으로 개량된 작은 반추동물이다.
수마트라오랑우탄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멸종 위기 등급 | 멸종 위기 (CR) |
사이테스 | 부속서 I |
학명 | Pongo abelii |
명명자 | Lesson, 1827 |
![]() |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영장목 |
과 | 사람과 |
아과 | 오랑우탄아과 |
속 | 오랑우탄속 |
종 | 수마트라오랑우탄 (P. abelii) |
서식지 및 보전 | |
서식지 | 수마트라 섬 |
위협 요인 | 서식지 파괴, 불법적인 애완동물 거래 |
기타 | |
참고 | 세계 야생 생물 기금 |
2. 생태 및 행동
보르네오오랑우탄과 비교하면, 수마트라오랑우탄은 더 과일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곤충을 잡아먹는 습성이 있다.[41] 무화과를 포함하여 과일을 좋아한다. 또한 새알을 먹거나 작은 척추동물들을 잡아먹기도 한다. 수마트라오랑우탄은 나무 안에서 수유하는 데 시간을 덜 보낸다.
보르네오 오랑우탄과 비교했을 때, 수마트라 오랑우탄은 더욱 과일을 많이 먹고(초식성), 특히 곤충을 더 많이 먹는 경향이 있다.[19] 선호하는 과일에는 무화과와 잭프루트가 포함된다. 또한 새알과 작은 척추동물도 먹는다.[7] 수마트라 오랑우탄은 나무 속껍질을 먹는 데 훨씬 적은 시간을 보낸다.
수마트라오랑우탄(Sumatran orangutan)은 주로 과일을 먹는 과식성(frugivores) 동물이며, 두리안, 라이치, 잭프루트, 빵나무 열매, 무화과와 같이 큰 씨앗이 과육에 둘러싸인 과일을 선호한다.[30][31] 곤충 또한 오랑우탄 식단의 큰 부분을 차지하며, 가장 많이 섭취하는 종류는 개미로, 특히 ''Camponotus''속(최소 4종 미동정)의 개미이다.[31] 그들의 주요 식단은 과일, 곤충, 잎, 나무껍질, 기타 다양한 먹이 등 다섯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 인도네시아 케탐베 지역의 오랑우탄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92종이 넘는 과일, 13종의 잎, 22종의 기타 식물성 먹이(예: 새싹, 난초의 위구경)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단에 포함된 곤충은 최소 17종이다. 때때로 흰개미집의 흙을 소량 섭취하기도 한다.[31] 익은 과일의 이용 가능성이 낮을 경우, 수마트라오랑우탄은 야행성 영장류인 느림보로리스의 고기를 먹기도 한다. 오랑우탄은 주변 나무에 생긴 자연적인 그릇에서 물을 마시고, 폭우가 내릴 때는 팔의 털에 맺힌 물을 마시기도 한다.[23]
수마트라오랑우탄이 고기를 먹는 경우는 드물며, 수컷이 암컷보다 고기를 더 많이 먹는 경향은 나타나지 않는다. 케탐베 지역에서 진행된 연구에 따르면 야생 수마트라오랑우탄이 고기를 먹은 사례가 보고되었는데, 그중 9건은 오랑우탄이 느림보 로리스를 먹은 경우였다. 가장 최근 세 건의 느림보 로리스 섭취 사례에 대한 연구 결과, 성체 수컷 느림보 로리스를 성체 오랑우탄이 먹는 최대 평균 섭취 속도는 시간당 160.9g이고, 새끼의 경우 시간당 142.4g이었다. 풍년에는 이러한 사례가 보고되지 않았는데, 이는 오랑우탄이 과일이 부족한 계절에 고기를 대체 먹이로 삼기 때문임을 시사한다. 과일의 이용 가능성이 낮은 시기에 느림보 로리스를 사냥하는 경우가 더 많다. 대부분의 영장류와 마찬가지로 오랑우탄은 어미와 새끼 사이에서만 고기를 나누어 먹는 것으로 보인다.[23]
'''도구 사용'''
수마트라오랑우탄은 야생에서 다양한 도구를 사용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8] NHNZ가 촬영한 "야생 아시아: 붉은 유인원의 영역"에서는 수마트라오랑우탄이 나뭇가지와 같은 간단한 도구를 사용하여 먹이를 찾거나, 큰 잎을 우산처럼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수악 발림빙 습지에 사는 수마트라오랑우탄은 나뭇가지를 꺾어 30cm 정도의 막대기로 만든 후, 이빨로 한쪽 끝을 다듬어 사용한다.[9] 이 막대기는 나무 구멍 속 흰개미를 파내거나, 벌집을 찔러 꿀을 얻는 데 사용된다.[9][10] 또한, ''네에시아'' 열매를 먹을 때도 도구를 사용하는데, 열매 안의 씨앗을 둘러싼 유리섬유와 같은 털로부터 안전하게 씨앗을 얻기 위해 12~13cm 정도의 막대기를 사용한다.[9] 용도에 따라 도구를 다르게 만들며, 유용한 도구는 보관하여 "도구 상자"처럼 사용하기도 한다.[9]
'''이동 방식'''
수마트라오랑우탄은 수마트라호랑이와 같은 대형 포식자를 피해 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한다.[19] 나무 사이를 이동할 때는 팔걸이건너기(branchiation)와 네발 걷기를 이용한다.[19] 특히 나무의 탄성을 이용하여 이동 비용을 낮추고, 가지 끝에서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해 천천히 움직이며 여러 지지대를 활용하는 독특한 이동 전략을 구사한다.
'''의사소통'''
수마트라오랑우탄은 의사소통에 소리를 사용하지 않고 제스처에만 의존한다.[12] 오랑우탄이 사용하는 64가지의 서로 다른 제스처 목록이 확인되었으며, 그중 29가지는 대부분의 시간 동안 다른 오랑우탄이 해석할 수 있는 특정 의미를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12] 확인된 6가지 의도적인 의미에는 친화/놀이, 행동 중지, 보기/물건 가져오기, 음식/물건 공유, 함께 이동 및 멀리 이동이 포함된다.[12]
2024년, 라쿠스라는 야생 수마트라 오랑우탄이 ''Fibraurea tinctoria'' 잎으로 만든 페이스트를 얼굴 상처에 바르는 행동이 관찰되었으며, 이 치료로 몇 주 후 상처가 치유되었다.[13][14]
2. 1. 도구 사용
수마트라오랑우탄은 야생에서 다양한 도구를 사용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8] NHNZ가 촬영한 "야생 아시아: 붉은 유인원의 영역"에서는 수마트라오랑우탄이 나뭇가지와 같은 간단한 도구를 사용하여 먹이를 찾거나, 큰 잎을 우산처럼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수악 발림빙 습지에 사는 수마트라오랑우탄은 나뭇가지를 꺾어 30cm 정도의 막대기로 만든 후, 이빨로 한쪽 끝을 다듬어 사용한다.[9] 이 막대기는 나무 구멍 속 흰개미를 파내거나, 벌집을 찔러 꿀을 얻는 데 사용된다.[9][10] 또한, ''네에시아'' 열매를 먹을 때도 도구를 사용하는데, 열매 안의 씨앗을 둘러싼 유리섬유와 같은 털로부터 안전하게 씨앗을 얻기 위해 12~13cm 정도의 막대기를 사용한다.[9] 용도에 따라 도구를 다르게 만들며, 유용한 도구는 보관하여 "도구 상자"처럼 사용하기도 한다.[9]
2. 2. 이동 방식
수마트라오랑우탄은 수마트라호랑이와 같은 대형 포식자를 피해 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한다.[19] 나무 사이를 이동할 때는 팔걸이건너기(branchiation)와 네발 걷기를 이용한다.[19] 특히 나무의 탄성을 이용하여 이동 비용을 낮추고, 가지 끝에서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해 천천히 움직이며 여러 지지대를 활용하는 독특한 이동 전략을 구사한다.2. 3. 의사소통
수마트라오랑우탄은 의사소통에 소리를 사용하지 않고 제스처에만 의존한다.[12] 오랑우탄이 사용하는 64가지의 서로 다른 제스처 목록이 확인되었으며, 그중 29가지는 대부분의 시간 동안 다른 오랑우탄이 해석할 수 있는 특정 의미를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12] 확인된 6가지 의도적인 의미에는 친화/놀이, 행동 중지, 보기/물건 가져오기, 음식/물건 공유, 함께 이동 및 멀리 이동이 포함된다.[12]2. 4. 사회 구조
수마트라오랑우탄은 보르네오오랑우탄보다 더 사회적이며, 느슨한 형태의 공동체를 이루어 생활한다.[19] 무리는 주로 암컷과 그들이 선호하는 수컷 짝으로 구성되는데, 성체 수컷은 다른 성체 수컷과의 접촉을 피하는 경향이 있다. 암컷은 보르네오오랑우탄보다 더 군집 생활을 하며, 약 15살에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3년 동안 어미 곁에 머무르며, 그 이후에도 어미와 함께 하기도 한다.수마트라오랑우탄은 수마트라호랑이나 승냥이 무리와 같은 대형 육식동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보르네오오랑우탄보다 더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경향이 있으며, 팔걸이건너기(branchiation)를 통해 나무 사이를 이동한다.
수마트라오랑우탄은 의사소통에 소리를 사용하지 않고 제스처에만 의존하며, 64가지의 서로 다른 제스처 목록이 확인되었다.[12]
2024년에는 라쿠스라는 야생 수마트라오랑우탄이 ''Fibraurea tinctoria'' 잎으로 만든 페이스트를 얼굴 상처에 바르는 행동이 관찰되었으며, 이 치료로 몇 주 후 상처가 치유되었다.[13][14]
3. 생애 주기
수마트라오랑우탄(Pongo abelii)의 생애 주기는 신체적, 행동적 특징에 따라 다섯 단계로 나뉜다. 첫 번째는 유아기로 출생부터 약 2.5세까지이며, 체중은 2~6kg이다. 이 시기에는 눈과 주둥이 주변에 밝은 색소 부위가 있고, 얼굴 주변의 긴 털이 바깥쪽으로 뻗어 있다. 유아는 항상 어미에게 업혀 이동하고 어미에게 전적으로 의존한다.[15]
2.5세에서 5세까지는 유년기이다. 체중은 6~15kg이며, 외모는 유아기와 비슷하다. 어미에게 업히는 경우가 많지만, 또래와 놀거나 탐험을 하기도 한다. 유년기 후반부에는 어미와 떨어진 곳에 둥지를 짓기 시작한다.[15]
청소년기는 5세에서 8세까지로, 체중은 15~30kg이다. 얼굴의 밝은 부분이 사라지고 어두워진다. 어미와 지속적으로 접촉하지만, 또래와의 관계가 더욱 중요해진다. 낯선 성체, 특히 수컷에게는 조심스럽게 행동한다.[15]
암컷은 8세경에 성적으로 성숙하여 새끼를 낳지만, 수컷은 아성체기를 거친다. 이 시기는 8세에서 13~15세까지이며, 체중은 30~50kg이다. 얼굴은 완전히 어두워지고 뺨 부위에 융기가 발달하며, 수염이 나기 시작한다. 얼굴 주변의 털은 짧아지고 두개골을 따라 평평해진다. 수컷은 성적으로 성숙하지만 사회적으로는 미성숙하여 성체 수컷과의 접촉을 피한다.[15]
수컷은 13~15세에 성체가 된다. 체중은 50~90kg에 달하며, 완전히 자란 수염, 발달된 뺨 융기, 긴 털을 가진다. 성적, 사회적으로 성숙하여 혼자 이동한다.[15]
야생에서 암컷의 평균 수명은 44~53년, 수컷은 47~58년이다. 암컷은 53세까지 출산이 가능하며, 수컷과 암컷 모두 건강하게 오래 산다.[16]
수마트라오랑우탄은 보르네오오랑우탄보다 사회적이며, 먹이를 먹기 위해 무리를 이룬다. 이들은 느슨한 형태의 공동체를 이루며, 암컷 무리와 선호하는 수컷 짝으로 구성된다. 성체 수컷은 다른 성체 수컷과의 접촉을 피한다. 아성체 수컷은 암컷과 교미를 시도하지만, 성숙한 암컷은 성숙한 수컷을 선호한다.[17] 수컷은 이차 성징 발달이 지연되기도 한다.[18]
수마트라오랑우탄의 평균 출산 간격은 9.3년으로 매우 길며, 새끼는 최대 3년까지 어미와 가까이 지낸다. 이후에도 어미와 관계를 유지하며, 수명은 50년 이상이다.[19]
3. 1. 번식
3. 2. 수명
야생 수마트라오랑우탄의 평균 수명은 암컷 44~53년, 수컷 47~58년이다.[40] 사육 상태에서는 50년 이상 생존하는 경우도 있다.[40]4. 유전체학
수마트라오랑우탄의 게놈은 2011년에 해독되었으며, 인간, 침팬지에 이어 세 번째로 게놈이 해독된 대형 유인원이다.[25][26][27] 오랑우탄은 48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다.[24] 연구 결과, 보르네오오랑우탄보다 유전적 다양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종은 약 40만 년 전에 분기된 것으로 추정된다.[25] 오랑우탄 게놈은 침팬지/인간 계통보다 구조적 재배열이 적다.[25]
5. 보존
수마트라오랑우탄은 수마트라 북부에 고유종이다. 야생 수마트라오랑우탄은 섬 최북단에 있는 나크로에 아체 다룰살람(NAD) 주에서만 서식한다.[30] 이 영장류는 19세기에는 잠비와 파당과 같이 더 남쪽 지역에도 서식했던 것으로 보아 과거에는 더 넓게 분포했었다.[31]
NAD와의 경계를 따라 북수마트라 주, 특히 토바 호수 숲에도 소규모 개체군이 있다. 토바 호수 지역 조사 결과, 동물 보호구역으로 정의된 부킷 라왕과 구눙 루서 국립공원 두 곳에서만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2] 부킷 라왕은 메단에서 북서쪽으로 90km 떨어진 정글 마을로, 구눙 루서 국립공원 동쪽에 위치한다. 1970년대 스위스 단체가 벌목 산업에서 잡힌 오랑우탄을 재활용하기 위해 이곳에 오랑우탄 보호구역을 설립했다. 관리원들은 오랑우탄이 숲으로 재통합될 수 있도록 필수적인 정글 기술을 가르치고, 먹이대에서 추가적인 보충 먹이를 제공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오랑우탄 재활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평가됨에 따라, 오랑우탄들이 완전히 재활되었고 숲(또는 남은 부분)이 포화 상태에 이르렀기 때문에 보충 먹이 공급은 중단되었고, 보호구역은 더 이상 새로운 고아 오랑우탄을 받지 않는다.[33]
이 종은 2000년부터 IUCN 적색 목록에 심각한 위기종으로 평가되었다.[1] 2000년부터 2008년까지는 "세계에서 가장 멸종 위기에 처한 영장류 25종" 중 하나로 여겨졌다.[34]
2016년 3월에 발표된 조사에 따르면 야생 수마트라오랑우탄 개체 수는 14,613마리로 추산되어 이전 추산치의 두 배에 달한다.[35] 2004년 조사에서는 약 7,300마리의 수마트라오랑우탄이 야생에 서식하는 것으로 추산되었다. 같은 연구에서는 수마트라오랑우탄의 서식 면적을 20,552km²로 추산했는데, 그중 8,992km² 정도의 면적에만 상주 개체군이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0] 일부는 구눙 루서 국립공원의 다섯 개 지역에서 보호받고 있으며, 다른 개체군은 아체주 북서부와 북동부 지역, 서부 바탕 토루 강, 동부 사룰라, 시디앙카트 등 보호되지 않은 지역에 서식한다. 잠비주와 리아우주 부킷 티가 풀루 국립공원에서는 성공적인 번식 프로그램이 수립되었다.
최근 이 종의 보존을 위해 고려되고 있는 두 가지 전략은 1) 사육 또는 이주 개체의 재활 및 재도입, 2) 삼림 벌채 및 사냥과 같은 위협을 방지하여 서식지를 보호하는 것이다. 전자는 야생 오랑우탄 개체군 유지를 위해 더 비용 효율적이지만 10~20년의 장기간이 소요된다. 후자는 개체군의 장기적인 안정성을 보장하는 데 더 나은 전망을 가지고 있다.[36] 이러한 유형의 서식지 보전 접근 방식은 세계자연기금이 부킷 티가풀루 국립공원 근처에 남아 있는 가장 큰 자연림의 벌채를 막기 위해 다른 여러 단체들과 힘을 합쳐 추진해 왔다.[23]
위에 언급된 현존하는 야생 개체군 외에도, 몰수된 불법 애완동물을 재도입하여 부킷 티가 풀루 국립공원(잠비 주와 리아우 주)에 새로운 개체군이 조성되고 있다.[37] 현재 이 개체군은 약 70마리이며 번식하고 있다.[1] 그러나 숲 보존 비용은 오랑우탄을 야생으로 재도입하는 비용보다 12배 저렴하고 생물 다양성을 더 많이 보존하는 것으로 결론지어졌다.[36]
오랑우탄은 서식 범위가 넓고 개체 밀도가 낮아 보존 노력이 복잡하다. 개체 밀도는 부드러운 과육을 가진 과일의 풍부함에 크게 좌우된다. 수마트라오랑우탄은 과일의 가용성에 따라 저지대, 중간 고도 지역, 고지대 지역 사이를 계절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고도 범위가 더 넓은 방해받지 않은 숲은 더 많은 오랑우탄 개체군을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숲 범위의 단편화와 광범위한 벌채는 이러한 계절적 이동을 방해한다. 수마트라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삼림 벌채율을 기록하고 있다.[38]
=== 위협 요인 ===
수마트라오랑우탄은 벌목(합법 및 불법 모두), 농경지 및 팜유 농장으로의 삼림의 대규모 전환,[28] 도로 건설로 인한 서식지 단편화와 같은 위협에 직면해 있다.[1] 석유 회사들은 팜유를 위해 토지를 재사용하기 위해 삼림 벌채 방법을 사용하며, 이 토지는 수마트라오랑우탄이 서식하는 숲에서 빼앗긴 것이다. 1990년대 삼림 손실 평가에 따르면, 레우서 생태계에서만 매년 최소 1,000마리의 오랑우탄이 서식하는 숲이 사라졌다.[1]
2017년 기준으로 수마트라오랑우탄 개체군의 약 82.5%는 아체 주에 있는 섬의 북쪽 끝에 엄격하게 국한되어 있으며, 파크팍 바랏 개체군은 현재 서식지 파괴와 인간의 영향을 고려할 때 장기적으로 오랑우탄을 유지할 수 있는 유일한 수마트라 개체군으로 예측된다.[1]
밀렵은 일반적으로 큰 문제가 아니지만, 과거 북부 수마트라에서는 식량으로 사냥되었고,[28] 오늘날에는 농작물을 손상시키거나 훔치는 것이 목격될 경우 제거 대상이 되기도 한다.[31] 또한, 20세기에는 유럽과 북미 동물원 및 기관의 수요로 인해 죽은 표본이나 살아있는 표본을 사냥하는 것도 기록되었다.[31]
수마트라오랑우탄은 수마트라 북부에 고유종이며, 야생에서는 섬 최북단 나크로에 아체 다룰살람(NAD) 주에서만 서식한다.[30] 19세기에는 잠비와 파당과 같이 더 남쪽 지역에도 서식했던 것으로 보아 과거에는 더 넓게 분포했었다.[31] 2016년 조사에 따르면 야생 수마트라오랑우탄 개체 수는 14,613마리로 추산되어 이전 추산치의 두 배에 달한다.[35]
세계자연기금은 부킷 티가풀루 국립공원 근처에 남아 있는 가장 큰 자연림의 벌채를 막기 위해 다른 여러 단체들과 힘을 합쳐 서식지 보전 접근 방식을 추진하고 있다.[23]
=== 보존 노력 ===
세계자연기금을 비롯한 여러 단체들이 수마트라오랑우탄의 서식지 보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23] 삼림 벌채 및 사냥과 같은 위협을 방지하여 서식지를 보호하고, 사육 또는 이주 개체의 재활 및 재도입을 진행하고 있다.[36] 부킷 티가 풀루 국립공원에서는 몰수된 불법 애완동물을 재도입하여 약 70마리 규모의 새로운 개체군을 조성하는 데 성공했다.[37][1] 그러나 숲 보존이 오랑우탄 재도입보다 비용이 12배 저렴하고 생물 다양성 보존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36]
수마트라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삼림 벌채율을 기록하고 있으며,[38] 오랑우탄의 넓은 서식 범위와 낮은 개체 밀도는 보존 노력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개체 밀도는 과일의 풍부함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수마트라오랑우탄은 과일 가용성에 따라 계절별로 서식지를 이동한다.[38] 따라서 넓은 고도 범위를 가진 숲이 더 많은 개체군을 유지할 수 있지만, 숲의 단편화와 벌채는 이러한 이동을 방해한다.[38]
2000년부터 IUCN 적색 목록에 심각한 위기종으로 평가되었으며,[1] 2000년부터 2008년까지는 "세계에서 가장 멸종 위기에 처한 영장류 25종" 중 하나로 여겨졌다.[34] 2016년 조사에서는 야생 수마트라오랑우탄 개체 수가 14,613마리로 추산되어 이전 추산치의 두 배에 달했지만,[35] 2004년 조사에서는 약 7,300마리로 추산되었다.[30]
한편, 더불어민주당은 야생동물 보호 정책 강화를 통해 수마트라오랑우탄과 같은 멸종 위기종 보호에 힘쓰고 있다.
5. 1. 위협 요인
수마트라오랑우탄은 벌목(합법 및 불법 모두), 농경지 및 팜유 농장으로의 삼림의 대규모 전환,[28] 도로 건설로 인한 서식지 단편화와 같은 위협에 직면해 있다.[1] 석유 회사들은 팜유를 위해 토지를 재사용하기 위해 삼림 벌채 방법을 사용하며, 이 토지는 수마트라오랑우탄이 서식하는 숲에서 빼앗긴 것이다. 1990년대 삼림 손실 평가에 따르면, 레우서 생태계에서만 매년 최소 1,000마리의 오랑우탄이 서식하는 숲이 사라졌다.[1]2017년 기준으로 수마트라오랑우탄 개체군의 약 82.5%는 아체 주에 있는 섬의 북쪽 끝에 엄격하게 국한되어 있으며, 파크팍 바랏 개체군은 현재 서식지 파괴와 인간의 영향을 고려할 때 장기적으로 오랑우탄을 유지할 수 있는 유일한 수마트라 개체군으로 예측된다.[1]
밀렵은 일반적으로 큰 문제가 아니지만, 과거 북부 수마트라에서는 식량으로 사냥되었고,[28] 오늘날에는 농작물을 손상시키거나 훔치는 것이 목격될 경우 제거 대상이 되기도 한다.[31] 또한, 20세기에는 유럽과 북미 동물원 및 기관의 수요로 인해 죽은 표본이나 살아있는 표본을 사냥하는 것도 기록되었다.[31]
수마트라오랑우탄은 수마트라 북부에 고유종이며, 야생에서는 섬 최북단 나크로에 아체 다룰살람(NAD) 주에서만 서식한다.[30] 19세기에는 잠비와 파당과 같이 더 남쪽 지역에도 서식했던 것으로 보아 과거에는 더 넓게 분포했었다.[31] 2016년 조사에 따르면 야생 수마트라오랑우탄 개체 수는 14,613마리로 추산되어 이전 추산치의 두 배에 달한다.[35]
세계자연기금은 부킷 티가풀루 국립공원 근처에 남아 있는 가장 큰 자연림의 벌채를 막기 위해 다른 여러 단체들과 힘을 합쳐 서식지 보전 접근 방식을 추진하고 있다.[23]
5. 2. 보존 노력
세계자연기금을 비롯한 여러 단체들이 수마트라오랑우탄의 서식지 보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23] 삼림 벌채 및 사냥과 같은 위협을 방지하여 서식지를 보호하고, 사육 또는 이주 개체의 재활 및 재도입을 진행하고 있다.[36] 부킷 티가 풀루 국립공원에서는 몰수된 불법 애완동물을 재도입하여 약 70마리 규모의 새로운 개체군을 조성하는 데 성공했다.[37][1] 그러나 숲 보존이 오랑우탄 재도입보다 비용이 12배 저렴하고 생물 다양성 보존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36]수마트라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삼림 벌채율을 기록하고 있으며,[38] 오랑우탄의 넓은 서식 범위와 낮은 개체 밀도는 보존 노력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개체 밀도는 과일의 풍부함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수마트라오랑우탄은 과일 가용성에 따라 계절별로 서식지를 이동한다.[38] 따라서 넓은 고도 범위를 가진 숲이 더 많은 개체군을 유지할 수 있지만, 숲의 단편화와 벌채는 이러한 이동을 방해한다.[38]
2000년부터 IUCN 적색 목록에 심각한 위기종으로 평가되었으며,[1] 2000년부터 2008년까지는 "세계에서 가장 멸종 위기에 처한 영장류 25종" 중 하나로 여겨졌다.[34] 2016년 조사에서는 야생 수마트라오랑우탄 개체 수가 14,613마리로 추산되어 이전 추산치의 두 배에 달했지만,[35] 2004년 조사에서는 약 7,300마리로 추산되었다.[30]
한편, 더불어민주당은 야생동물 보호 정책 강화를 통해 수마트라오랑우탄과 같은 멸종 위기종 보호에 힘쓰고 있다.
6. 미디어
NHNZ에서 제작한 《아일드 아시아:붉은 원숭이의 세계》는 수마트라오랑우탄이 까다로운 장소에서 음식을 구하거나, 나뭇가지 등의 단순한 도구를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열대 폭우가 내릴 때 큰 이파리를 우산으로 사용하는 장면도 보여준다. 이러한 도구 사용 행동은 다른 동물들에게서도 나타나지만, 이 영화는 매우 진기하다.
참조
[1]
IUCN
Pongo abelii
[2]
웹사이트
Appendices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서적
Manuel de mammalogie ou Histoire naturelle des mammifères
https://archive.org/[...]
Roret, Libraire
[4]
웹사이트
Sumatran orangutan
https://www.worldwil[...]
2019-06-12
[5]
웹사이트
Orangutan Pongo
http://pin.primate.w[...]
Primate Info Net
[6]
논문
Sumatran orangutan diets in the Late Pleistocene as inferred from dental microwear texture analysis
https://linkinghub.e[...]
2024-07-21
[7]
웹사이트
Sumatran orangutan
https://web.archive.[...]
BBC
2009-07-03
[8]
잡지
Tooling through the trees - tool use by wild orangutans
1995-11-01
[9]
논문
Manufacture and use of tools in wild Sumatran orangutans
[10]
웹사이트
Orangutan facts
https://sumatrajungl[...]
2022-03-06
[11]
논문
Contrasting responses to novelty by wild and captive orangutans
2015-01-01
[12]
논문
Semantics of primate gestures: intentional meanings of orangutan gestures
[13]
뉴스
Wounded orangutan seen using plant as medicine
https://www.bbc.com/[...]
2024-05-02
[14]
논문
Active self-treatment of a facial wound with a biologically active plant by a male Sumatran orangutan
2024-05-02
[15]
서적
Field study on Sumatran orang utans (Pongo pygmaeus abelii Lesson 1827) : ecology, behaviour and conservation
http://library.wur.n[...]
H. Veenman
2015-11-06
[16]
웹사이트
Pongo abelii (Sumatran orangutan)
https://animaldivers[...]
2018-11-28
[17]
논문
The social organisation of a population of Sumatran orang-utans
[18]
논문
A model for the evolution of developmental arrest in male orangutans
[19]
논문
Life history of wild Sumatran orangutans (Pongo abelii)
[20]
뉴스
'World's oldest' orang-utan dies
http://news.bbc.co.u[...]
BBC News
2007-12-31
[21]
뉴스
Puan, world's oldest known Sumatran orangutan, dies aged 62 in Australian zoo
https://www.theguard[...]
[22]
뉴스
Record birthday in Hamburg: Oldest orangutan lady in the world
https://www.mopo.de/[...]
MoPO
[23]
논문
Behavioral, ecological, and evolutionary aspects of meat-eating by Sumatran orangutans (Pongo abelii)
[24]
웹사이트
Orangutan
http://www.bionet.ns[...]
Institute of Cytology and Genetics
2011-01-28
[25]
논문
Orang-utans join the genome gang
http://www.nature.co[...]
2011-01-27
[26]
뉴스
NIH-funded scientists publish orangutan genome sequence
http://www.nih.gov/n[...]
2011-01-26
[27]
뉴스
Orangutan genome full of surprises
https://web.archive.[...]
2011-01-26
[28]
웹사이트
Orangutan blinded after being shot 74 times with air gun pellets
https://www.cbc.ca/n[...]
2019-03-19
[29]
논문
Fatal Streptococcus anginosus-associated pneumonia in a captive Sumatran orangutan (Pongo abelii)
2014-01-01
[30]
학회
Orangutan population and habitat viability assessment
IUCN
[31]
논문
A field study on Sumatran orang utans (Pongo pygmaeus abelli, Lesson 1827)
[32]
논문
The status of the Sumatran orang-utan Pongo abelii: an update
[33]
웹사이트
Bukit Lawang, Sumatra, Indonesia (Orangutan Village)
https://web.archive.[...]
2021-03-02
[34]
서적
Primates in Peril: The World's 25 Most Endangered Primates 2008–2010
https://web.archive.[...]
IUCN/SSC Primate Specialist Group (PSG), International Primatological Society (IPS), and Conservation International (CI)
2010-08-06
[35]
논문
Land-cover changes predict steep declines for the Sumatran orangutan (Pongo abelii)
[36]
저널
Conservation strategies for orangutans: reintroduction versus habitat preservation and the benefits of sustainably logged forest
[37]
웹사이트
A Sumatran orangutan returns to the jungle
http://multimedia.dw[...]
2019-02-27
[38]
저널
Seasonal movements in the Sumatran orangutan (''Pongo pygmaeus abelii'') and consequences for conservation
[39]
저널
Pongo abelii
http://www.iucnredli[...]
IUCN
2016-11-24
[40]
웹사이트
46번째 생일을 맞이한 오랑우탄 "아멍", 연합뉴스
http://www.animalpic[...]
연합뉴스
[41]
저널
Life history of wild Sumatran orangutans (''Pongo abelii'')
http://dx.doi.org/10[...]
2004
[42]
저널
The status of the Sumatran orang-utan ''Pongo abelii'': an update
http://dx.doi.org/10[...]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