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비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비드는 음식을 진공 포장하여 저온에서 장시간 조리하는 방식으로, 1799년 처음 기술되었다. 1960년대에 산업적 식품 보존 방법으로 발전했으며, 1970년대 프랑스 요리사 조르주 프랄뤼에 의해 푸아그라 조리에 활용되면서 요리 기법으로 자리 잡았다. 수비드는 음식의 육즙과 향을 보존하고 균일한 조리가 가능하며, 맛과 영양을 극대화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브라우닝이 어렵고 보툴리즘 위험이 있으며, 플라스틱 용기 사용에 따른 유해성 논란도 존재한다. 현재 고급 레스토랑, 요리 TV 쇼, 가정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기술 발전과 함께 대중화될 전망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리법 - 땅속 화덕
땅속 화덕은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는 고대 조리 방식으로, 땅을 파서 만든 구덩이 또는 그 안에 불을 피워 조리하는 시설을 의미하며, 각 지역별로 재료, 조리법, 문화적 의미에 차이가 있다. - 조리법 - 구이
구이는 수분 없이 직접 열을 가해 익히는 조리법으로, 육류, 해산물, 채소, 유제품 등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여 세계 각지에서 즐겨 먹는 요리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수비드 | |
---|---|
개요 | |
명칭 | 수비드 |
프랑스어 명칭 | cuisson sous-vide (퀴송 수비드) |
영어 명칭 | Sous vide cooking (수 비드 쿠킹) |
정의 | 낮은 온도에서 장시간 조리하는 방법 |
상세 내용 | |
원리 | 음식물을 진공 포장한 후 정확하게 제어된 온도에서 물 또는 증기 수조에서 조리 |
온도 범위 | 55 ~ 60 °C (연한 익힘) 또는 66 ~ 71 °C (완전 익힘) |
목적 | 재료의 수분 손실을 최소화 재료 본연의 맛과 향을 보존 섬세한 질감 구현 |
특징 | 균일한 조리 가능 정밀한 온도 제어 식재료의 풍미 극대화 보관 기간 연장 |
역사 | |
기원 | 1799년 벤저민 톰슨의 실험적 연구 |
현대적 발전 | 1960년대 후반, 프랑스에서 산업적으로 개발 |
선구자 | 조르주 프랄뤼 (프랑스 요리사) |
대중화 | 1970년대 레스토랑에서 시작, 현재는 가정에서도 사용 |
활용 분야 | |
육류 | 스테이크, 갈비, 삼겹살 등 |
가금류 | 닭가슴살, 오리 가슴살 등 |
어패류 | 연어, 새우, 조개 등 |
채소 | 아스파라거스, 당근 등 |
기타 | 달걀, 과일 등 |
장비 | |
진공 포장기 | 음식물을 진공 상태로 포장 |
수조 | 정확한 온도 유지를 위한 장치 (순환 침수 조리 장치) |
온도계 | 정확한 온도 측정 |
주의 사항 | |
위생 | 정확한 온도 및 시간 준수 식품 안전에 유의 |
보툴리누스 중독 | 진공 포장 상태에서 Clostridium botulinum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번식 가능성 냉장 보관 시에도 주의 필요 |
기타 정보 | |
유사 조리법 | 저온 조리 |
2. 역사
수비드(Sous-vide) 조리는 저온에서 오랜 시간 동안 조리하며, 비닐봉지 등으로 음식을 가열 환경과 분리하고, 완전 또는 부분 진공 상태를 이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수비드는 1799년 럼퍼드 백작 벤자민 톰슨이 처음 기술했고, 1960년대 미국과 프랑스 엔지니어들이 산업적 식품 보존 방법으로 개발했다. 1974년 프랑스 셰프 조르주 프랄루스가 푸아그라 조리에 적용하면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2. 1. 초기 역사
럼퍼드 백작 벤자민 톰슨은 1799년에 저온 요리를 처음으로 기술하였다. 그는 감자를 건조시키기 위해 만든 기계로 고기를 구울 수 있는지 실험하면서 공기를 열 전달 매체로 사용했다. 톰슨의 말에 따르면 고기는 단순히 먹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완벽하게 익었고, 매우 훌륭한 맛이었다.1960년대 중반, 미국과 프랑스 엔지니어들은 열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압력을 가하여 식품을 준비하는 방식을 산업적 식품 보존 방법으로 개발했다. 연구원들은 음식이 맛과 질감에서 뚜렷한 개선을 보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방법이 개척되면서 진공 밀봉을 통해 음식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때때로 "크라이오배킹"이라고 불렀다. 요리하지 않고도 압력을 가하면 과일의 맛이 눈에 띄게 농축되었다.
1974년, 프랑스 로안의 레스토랑 트루아그로 (피에르와 미셸 트루아그로 소속)의 프랑스 요리사 조르주 프랄루스는 이 방법을 채택했다. 그는 푸아그라를 이 방식으로 요리했을 때 원래의 모양을 유지하고, 과도한 지방을 잃지 않으며, 더 나은 질감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2. 2. 산업적 발전
1960년대 중반, 미국과 프랑스 엔지니어들은 열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압력을 가하여 식품을 보존하는 산업적 방법을 개발했다. 이들은 럼퍼드와 마찬가지로 이 방법을 통해 음식이 맛과 질감에서 뚜렷하게 개선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방법이 개척되면서 진공 밀봉을 통해 음식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때때로 "크라이오배킹"이라고 불렀다. 요리하지 않고도 압력을 가하면 과일의 맛이 눈에 띄게 농축되었다.1974년 프랑스 로안의 레스토랑 트루아그로 (피에르와 미셸 트루아그로 소속)의 프랑스 요리사 조르주 프랄뤼에 의해 채택되었다. 그는 푸아그라를 이 방식으로 조리하면 원래의 모습을 유지하고 지방이 과도하게 손실되지 않으며 질감이 더 좋아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버지니아주 스털링에 위치한 식품 제조업체 Cuisine Solutions의 프랑스 수석 과학자 브루노 구소는 수비드 개발에 기여했다. 1991년, 그는 모회사인 Cuisine Solutions의 서비스 부서로 CREA를 설립했다. CREA를 통해 그는 다양한 식품에 대한 온도의 영향을 연구하고 최고의 셰프들에게 이 방법을 교육하는 것으로 유명해졌다. 그는 다양한 음식에 대한 조리 시간과 온도의 매개변수를 개발했다.
구소와 프랄뤼는 1970년대에 수비드 개발을 독립적으로 진행했고 결국 협력하게 되었다. 구소는 진공 밀봉과 저온 조리를 결합하는 것을 개척했다. 현대 수비드의 아버지로 여겨지는 프랄뤼는 더 높은 온도에서 요리했다.
2. 3. 현대적 발전
럼퍼드 백작 벤저민 톰프슨은 1799년에 저온 조리법을 처음으로 기술했다. 그는 감자를 건조하는 기계를 실험하던 중 공기를 열 전달 매체로 사용하여 고기를 굽는 실험을 진행했다. 톰슨은 이 실험을 통해 고기가 완벽하게 익고 훌륭한 맛을 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6]1960년대 중반, 미국과 프랑스 엔지니어들은 산업적 식품 보존 방법으로 열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압력을 가하여 식품을 준비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이들은 음식이 맛과 질감에서 뚜렷한 개선을 보인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방법은 진공 밀봉을 통해 음식에 압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크라이오배킹"이라고도 불렸다.
1974년, 프랑스 요리사 조르주 프랄뤼는 프랑스 로안의 레스토랑 트루아그로에서 이 방법을 채택했다. 그는 푸아그라를 이 방식으로 조리하면 원래 모양을 유지하고 지방 손실이 적으며 질감이 더 좋아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브루노 구소는 버지니아주 스털링에 위치한 식품 제조업체 Cuisine Solutions의 프랑스 수석 과학자였다. 1991년, 그는 모회사인 Cuisine Solutions의 서비스 부서로 Centre de Recherche et d'Études pour l'Alimentation (CREA)를 설립했다. CREA를 통해 그는 다양한 식품에 대한 온도의 영향을 연구하고 최고의 셰프들에게 이 방법을 교육했다. 그는 다양한 음식에 대한 조리 시간과 온도의 매개변수를 개발했다.
구소와 프랄뤼는 1970년대에 수비드 개발을 독립적으로 진행했고 결국 협력하게 되었다. 구소는 진공 밀봉과 저온 조리를 결합하는 것을 개척했다. 현대 수비드의 아버지로 여겨지는 프랄뤼는 더 높은 온도에서 요리했다.
3. 주요 특징
수비드는 일반적인 조리 온도보다 훨씬 낮은 온도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고기를 조리할 때, 결합 조직의 질긴 콜라겐은 고기의 단백질이 질감을 질기게 하고 수분이 배출될 정도로 변성되지 않고도 젤라틴으로 변성될 수 있다.
반면, 부드러운 채소는 끓이면 과도하게 익는 경우가 많다. 저온 조리는 식물 세포벽이 터지지 않도록 하여 더 촉촉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채소를 물의 끓는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조리하면 단단하거나 다소 바삭한 질감을 유지하면서 완전히 익힐 수 있다(필요한 경우 저온 살균 가능). 세포벽은 일반적으로 터지지 않지만, 채소 세포를 연결하는 펙틴 다당류의 중합체 분해와 채소 내 전분의 젤라틴화는 과도한 조리 없이도 가능하다.
공기 배제는 요리적인 관점에서 부차적이지만 실용적인 중요성을 지닌다. 밀봉된 상태로 조리된 음식을 냉장 보관할 수 있어 케이터링 산업에 특히 유용하며, 장시간 조리가 필요하고 산화에 취약한 음식(예: 고기의 지방)에서 산소를 차단하여 장기간 공기에 노출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산패를 막을 수 있다. 또한, 봉투에 갇힌 공기의 열 절연 특성 없이 수조와 음식 간의 열 전달을 개선한다.
3. 1. 균일한 조리
튼튼한 비닐봉투에 음식을 밀봉하면 다른 방식으로 조리할 경우 손실될 수 있는 육즙과 향을 보존할 수 있다. 포장된 음식을 원하는 최종 조리 온도로 설정된 수조에 넣으면, 중탕과 마찬가지로 음식은 담겨진 물보다 더 뜨거워질 수 없기 때문에 과도하게 조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그 결과 수조의 정밀한 온도 제어와 수조 온도가 목표 조리 온도와 같다는 사실로 인해 매우 정밀하게 조리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충분한 시간을 들인다면 수비드 조리에서는 불규칙한 모양과 매우 두꺼운 음식에도 온도, 즉 조리가 매우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반대로, 오븐 로스팅이나 그릴과 같은 일반적인 고온 조리에서는 음식이 원하는 내부 조리 온도보다 훨씬 높은 열에 노출되며, 원하는 조리 온도에 도달하기 전에 고온에서 꺼내야 한다. 음식을 너무 늦게 열에서 꺼내면 과도하게 익게 되고, 너무 일찍 꺼내면 덜 익게 된다.
3. 2. 맛과 영양 보존

수비드는 튼튼한 비닐봉투에 음식을 밀봉하여 육즙과 향을 보존하는 조리법이다. 다른 방식으로 조리할 경우 손실될 수 있는 성분들을 보존할 수 있다. 포장된 음식을 원하는 최종 조리 온도로 설정된 수조에 넣으면, 중탕과 마찬가지로 음식은 담겨진 물보다 더 뜨거워질 수 없기 때문에 과도하게 조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수조의 정밀한 온도 제어와 수조 온도가 목표 조리 온도와 같다는 점은 매우 정밀한 조리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충분한 시간을 들여 조리하면 불규칙한 모양과 매우 두꺼운 음식도 온도(즉, 조리)가 매우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오븐 로스팅이나 그릴과 같은 일반적인 고온 조리에서는 음식이 원하는 내부 조리 온도보다 훨씬 높은 열에 노출되며, 원하는 조리 온도에 도달하기 전에 고온에서 꺼내야 한다. 음식을 너무 늦게 열에서 꺼내면 과도하게 익게 되고, 너무 일찍 꺼내면 덜 익게 된다.
수비드는 일반적인 조리에 사용되는 온도보다 훨씬 낮은 온도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고기를 조리할 때, 결합 조직의 질긴 콜라겐은 고기의 단백질이 질감을 질기게 하고 수분이 배출될 정도로 변성될 만큼 충분히 가열하지 않고도 젤라틴으로 변성될 수 있다.
부드러운 채소는 끓이면 과도하게 익는 경우가 많다. 저온 조리는 식물 세포벽이 터지지 않도록 하여 더 촉촉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채소를 물의 끓는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조리하면 단단하거나 다소 바삭한 질감을 유지하면서 완전히 익힐 수 있다(필요한 경우 저온 살균 가능). 세포벽은 일반적으로 터지지 않지만, 채소 세포를 연결하는 펙틴 다당류의 중합체 분해와 채소 내 전분의 젤라틴화는 과도한 조리 없이도 가능하다.
공기 배제는 요리적인 관점에서 부차적이지만 실용적인 중요성을 갖는다. 조리된 음식을 밀봉된 상태로 냉장 보관할 수 있어 케이터링 산업에 특히 유용하며, 장시간 조리가 필요하고 산화에 취약한 음식(예: 고기의 지방)에서 산소를 차단하여 장기간 공기에 노출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산패를 막을 수 있다. 또한, 봉투에 갇힌 공기의 열 절연 특성 없이 수조와 음식 간의 열 전달을 개선한다.
균일한 조리를 보장하는 것 외에도, 수비드 조리는 원하는 관능적인 풍미를 개발하고 산화로 인한 불쾌한 풍미를 제한하는 데 도움이 된다.[7]
3. 3. 온도 조절
수비드는 튼튼한 비닐봉투에 음식을 밀봉하여 육즙과 향을 보존하는 조리법이다. 포장된 음식을 원하는 온도로 설정된 수조에 넣어 조리하면, 중탕과 같이 음식이 물보다 더 뜨거워지지 않아 과도한 조리를 방지할 수 있다.
수조의 정밀한 온도 제어와 목표 조리 온도가 동일하다는 점은 매우 정밀한 조리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충분한 시간을 들이면 불규칙한 모양이나 매우 두꺼운 음식도 균일하게 조리할 수 있다.
일반적인 고온 조리와 달리 수비드는 훨씬 낮은 온도를 사용한다. 고기의 경우, 질긴 콜라겐이 젤라틴으로 변성되면서도 단백질이 질겨지거나 수분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
부드러운 채소는 끓는점에서 과도하게 익는 경우가 많지만, 수비드는 낮은 온도에서 조리하여 세포벽을 보호하고 촉촉함을 유지한다. 채소 세포를 연결하는 펙틴 다당류의 중합체 분해와 전분의 젤라틴화는 과도한 조리 없이도 가능하다.
조리 온도의 정확성과 일정성은 음식에 따라 중요도가 다르다. 15mm 두께의 생선은 44°C에서 61°C 사이에서 17~18분 안에 조리 가능하다.
반면, 달걀은 온도에 따라 변성되는 단백질이 다르므로 정확한 온도 유지가 중요하다. 콩피 달걀 노른자는 보통 63°C에서 조리하는데, 이는 흰자를 익히면서 노른자를 굳히지 않는 온도이다. 물의 온도는 64°C로 설정된다.[8]
일반적인 조리 시간은 음식 중심부가 목표 온도보다 몇 도 낮을 때 결정된다. 이후 가열을 중단하면 잔열로 인해 잠시 동안 조리가 계속된다. 음식 중심부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은 초기 온도, 두께, 모양, 물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4. 한계점
수비드 요리의 한계점은 마이야르 반응(브라우닝)이 물의 끓는점 이상 온도에서 발생한다는 것이다. 브라우닝으로 생성된 풍미와 '겉면' 질감은 스테이크와 같은 특정 유형의 고기 요리에서 매우 바람직하게 여겨진다. 그러나 수비드 기술만으로는 이러한 풍미와 질감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많은 경우, 요리사는 토칭이나 매우 뜨거운 팬에서 시어링하는 기술을 사용하여 수비드 요리 전후에 고기 등을 브라우닝한다. 이러한 2차 브라우닝은 짧게, 때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보다 높은 열에서 수행하여 음식 표면에만 영향을 미치고 내부는 과도하게 익히지 않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생선 껍질도 수비드 후 고온에서 조리해 바삭하게 만들 수 있다.
5. 안전성
음식 안전은 시간과 온도의 함수 관계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되는 낮은 온도에서도 충분한 시간 동안 조리하면 안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수비드 생선 조리법은 55°C 이하에서 조리된다. 그러나 면역 결핍이 있는 사람이나 임신한 여성은 살균되지 않은 음식을 피해야 한다.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박테리아는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성장하여 보툴리누스 독소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수비드 조리는 보툴리즘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주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4시간 이내에 가열하여 제공하는 음식은 안전하지만, 더 오래 조리하는 고기는 4시간 이내에 최소 55°C에 도달하고, 살균을 위해 충분한 시간 동안 유지해야 한다.
살균은 보툴리즘 박테리아를 죽이지만, 보툴리즘 포자는 생존하여 냉각 후 다시 활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쿡-칠(cook-chill)" 방식에서는 정확한 냉각 조건이 중요하며, 살균된 음식은 진공 팩에 밀봉된 채 약 3°C에서 최대 2주 동안 보관할 수 있다.
5. 1. 보툴리누스 중독 위험
음식 안전은 시간과 온도의 함수이며, 음식을 안전하게 만들기에 일반적으로 불충분하다고 여겨지는 온도는 충분히 오랫동안 유지되면 완벽하게 안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수비드 생선 레시피는 55°C 이하에서 조리된다. 면역 결핍이 있는 사람은 적절하게 살균되지 않은 음식을 절대 먹어서는 안 된다. 임신 중인 여성이 살균되지 않은 음식을 먹는 것은 자신과 태아를 위험에 노출시키므로 살균되지 않은 레시피를 피할 수 있다.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박테리아는 무산소성 생물인 음식에서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성장하여 치명적인 보툴리누스 독소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수비드 조리는 보툴리즘 중독을 피하기 위해 주의 깊게 통제된 조건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4시간 이내에 가열 및 제공되는 음식은 안전하다고 간주되지만, 부드럽게 하기 위해 더 오래 조리되는 고기는 4시간 이내에 최소 55°C의 온도에 도달한 다음, 고기를 살균하기 위해 충분한 시간 동안 유지해야 한다.
살균은 보툴리즘 박테리아를 죽이지만, 많은 보존 식품에서와 마찬가지로, 강한 보툴리즘 포자가 생존하여 냉각 후 다시 활성화될 가능성은 여전히 우려 사항으로 남아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볼드윈의 논문에서는 "쿡-칠(cook-chill)"에 대한 정확한 냉각 요건을 명시하여 보툴리즘 포자가 성장하거나 증식할 기회를 갖지 못하도록 한다. 살균된 음식은 진공 팩 내에서 밀봉된 채 약 3°C에서 최대 2주 동안 보관할 수 있다. 공기 노출도 포자 성장을 비활성화한다.
5. 2. 내분비 교란 물질
대부분의 플라스틱은 가열 시 에스트로겐과 유사하게 작용하는 내분비 교란 물질을 방출한다.[9] 이러한 위험의 정도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10][11]또한 일부 증거에 따르면 헤테로고리 방향족 아민과 비스페놀 A가 수비드 조리 시 플라스틱 용기에서 식품으로 이동한다.[12]
6. 활용
헤스턴 블루멘탈, 폴 보퀴즈, 마이클 칼슨, 토마스 켈러, 그랜트 아차츠, 페란 아드리아, 조엘 로부숑, 필리프 로샤, 알레산드로 스트라타, 찰리 트로터, 마이클 미나, 호안 로카와 같은 셰프들이 많은 고급 레스토랑에서 수비드 방식을 사용한다. Amtrak은 아셀라 익스프레스를 포함한 열차에서 제공되는 식사에 이 방식을 사용한다.
아이언 셰프 아메리카와 탑 셰프와 같은 요리 TV 쇼와 파네라 브레드와 같은 레스토랑에서 수비드가 흔해졌다.[13] 허리케인 대피자를 위해 상당량의 식사를 신속하게 생산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비전문 요리사들도 수비드 요리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초창기에는 열광적인 사람들이 열 침지 순환기를 실험실 등급으로 사용했는데, 종종 eBay에서 중고로 구입했으며 아무리 조심스럽게 세척하더라도 주방용으로 설계되지 않았다. 2008년부터 오버 인스트루먼트(Auber Instruments)와 프레시 밀 솔루션(Fresh Meals Solutions)은 상업용 밥솥, 슬로우 쿠커, 전기 수프 냄비 및 유사한 장치를 제어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비교적 저렴하면서도 매우 정확한 PID 제어기를 부착된 열전대 프로브와 함께 제공했다. 2009년 말에는 실험실 표준 장비보다 저렴하고 가정용으로 제작된 여러 기계를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맥주 쿨러"와 같이 단단한 측면의 단열 용기를 사용하여 수비드 기술의 일부 효과를 재현할 수 있다. 정확한 온도계로 확인하고 재밀봉 가능한 봉투와 결합된 따뜻한 물로 채워 요리할 음식을 포장하여 공기를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 수반되는 열 손실로 인해 장기간(4시간 이상) 요리는 불가능하다.
''수비드''(프랑스어: sous vide)는 "진공 상태에서"라는 뜻으로, 음식을 모든 공기를 제거한 플라스틱 봉투에 밀봉해야 함을 의미한다. 상업용 또는 가정용 진공 실러의 대안으로, 음식을 열린 측면의 비닐 봉투에 넣은 다음 물에 부분적으로 담가 공기를 밀어낼 수 있다. 이 방법은 봉투의 열린 측면을 냄비 측면에 고정하여 물이 입구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 목표는 음식과 뜨거운 물이 완전히 접촉하여 산화로 인한 잡미를 줄이면서 균일하게 요리하는 것이다.[14]
저렴한 장치는 이제 요리 용기의 측면에 부착할 수 있는 클립이 있는 "스틱" 형태로 제공된다. 수비드 스틱은 가열 요소, 제어기 및 전동 임펠러를 제공한다. 더 비싼 장치는 물 온도에 대한 더 정밀한 제어 정도를 제공한다. 장치는 대부분의 장치와 관련된 앱을 통해 더욱 사용자 친화적으로 변하고 있다. 모바일 앱은 음성 제어 통합 및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일부 장치를 통해 사람들을 요리 과정으로 안내한다.[15]
참조
[1]
논문
Low-temperature long-time cooking of meat: Eating quality and underlying mechanisms
2018-09
[2]
논문
Combined effects of aging and low temperature, long time heating on pork toughness
2019-04
[3]
논문
The Satiating Properties of Pork are not Affected by Cooking Methods, Sousvide Holding Time or Mincing in Healthy Men-A Randomized Cross-Over Meal Test Study
2017-08
[4]
웹사이트
What are the benefits of sous vide cooking?
https://www.nestlepr[...]
Nestle Professional
2023-05-24
[5]
웹사이트
What is Sous Vide? An introduction by SousVide Supreme
https://sousvidesupr[...]
SousVide Supreme {{!}} Official Site
[6]
서적
Essay X: On the construction of kitchen fire-places and kitchen utensils together with remarks and observations relating to the various processes of cookery; and proposals for improving that most useful art
https://books.google[...]
T. Cadell jun. and W. Davies
1802
[7]
논문
The effects of sous-vide cooking method on the formation of heterocyclic aromatic amines in beef chops
[8]
웹사이트
Great British Chefs
https://www.greatbri[...]
[9]
논문
Most plastic products release estrogenic chemicals: a potential health problem that can be solved
2011-07
[10]
뉴스
Is It Safe to Cook With Plastic Bags? And Other Sous Vide Questions, Explained
https://www.bonappet[...]
2018-02-14
[11]
웹사이트
Author says use of plastic for sous vide is safe
https://www.sfgate.c[...]
2011-05-20
[12]
논문
Formation of Heterocyclic Aromatic Amines and Migration Level of Bisphenol-A in Sous-Vide-Cooked Trout Fillets at Different Cooking Temperatures and Cooking Levels
American Chemical Society (ACS)
2016-04-08
[13]
뉴스
Sous Vide Cooking Technique
http://www.amazingfo[...]
2013-03-13
[14]
논문
Sous vide cooking: A review
2012-01-01
[15]
뉴스
Sous vide is couture convenience food. Is this the year home cooks finally embrace it?
https://www.washing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