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상함은 해상에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군함이다. 주요 임무는 대잠수함전, 대수상함전, 대공전, 육상 공격으로 나뉜다. 대잠수함전은 잠수함 공격, 대수상함전은 적 함선 공격, 대공전은 항공기 및 미사일 방어, 육상 공격은 함포 지원 및 전략 폭격이 있다. 미국 해군은 수상함을 전투력 투사 능력과 선박 보호 임무로 분류하며, 전투력 투사 능력은 제해권 확보 및 전력 투사를, 선박 보호는 호송선단, 해상 보급 그룹, 상륙 작전 그룹 보호를 목적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함 - 이지스 전투 시스템
이지스 전투 시스템은 미국 해군이 개발한 함대방공 및 탄도미사일 방어 시스템으로, 다기능 레이더를 중심으로 지휘결정 시스템, 무기관제 시스템, 미사일 및 발사대를 통합 운용하며, 여러 국가 해군에서 운용 중이나 오인 사격 가능성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 군함 - 구축함
구축함은 어뢰정의 공격으로부터 함대를 보호하기 위해 설계된 군함으로, 빠른 속도와 다양한 무장을 갖추어 함대 호위, 해안 경비, 대잠 작전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며, 첨단 기술 도입과 무인화, 자동화 등의 기술 발전을 통해 해상 전력의 핵심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군사 용어 - 망명
망명은 정치적 탄압, 종교 갈등, 경제적 빈곤 등 다양한 이유로 자신의 국가를 떠나 다른 국가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며, 쿠데타, 정변, 정치적 박해 등을 피해 안전한 국가로 이동하거나 망명 정부를 조직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 군사 용어 - 지휘통제
지휘통제는 군사 작전에서 지휘관이 부대를 지휘 및 통제하여 임무를 완수하는 핵심 활동으로, 현대전에서는 사이버 공간에서의 지휘통제와 지휘통제전이 중요하며, 대한민국 국군은 C4I 체계 발전과 한미 연합 지휘통제 체계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 수상함 | |
|---|---|
| 개요 | |
![]() | |
| 유형 | 구축함, 프리깃함, 코르벳함 |
| 역할 | 함대 방공 대잠전 대함전 지상 공격 해상 차단 |
| 크기 | 다양함 |
| 승무원 | 100명 이상 |
| 센서 | 레이더 소나 전자전 장비 광학 센서 |
| 무장 | 함포 미사일 어뢰 기뢰 대잠 로켓 |
| 추진 | 가스터빈 엔진 디젤 엔진 전기 모터 복합 추진 시스템 |
| 특징 | |
| 특징 | 고속 고도의 자동화 다양한 무기 시스템 장거리 작전 능력 스텔스 기술 (일부 함정) |
| 분류 | |
| 분류 | 구축함: 대형 수상함, 다목적 임무 수행 프리깃함: 중형 수상함, 대잠전 및 호위 임무 수행 코르벳함: 소형 수상함, 연안 방어 및 초계 임무 수행 |
| 국가별 수상함 | |
| 미국 해군 | 알레이버크급 구축함,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 프리덤급 연안전투함, 인디펜던스급 연안전투함 |
| 영국 해군 | 45형 구축함, 26형 호위함, 31형 호위함 |
| 러시아 해군 | 슬라바급 순양함, 소브레멘니급 구축함, 스테레구시치급 초계함, 게파르트급 호위함 |
|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 055형 구축함, 052D형 구축함, 054A형 호위함, 056형 초계함 |
| 일본 해상자위대 | 마야급 구축함, 아사히급 구축함, 모가미급 호위함 |
| 대한민국 해군 | 세종대왕급 구축함, 정조대왕급 구축함,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대구급 호위함, 인천급 호위함, 포항급 초계함 |
| 같이 보기 | |
| 같이 보기 | 군함 해군 상륙함 기뢰 부설함 군수 지원함 항공모함 |
2. 주요 임무
수상함의 주요 임무는 다음과 같다.
- 대잠수함전(ASW): 잠수함은 해군과 민간 선박에 큰 위협이 되므로, 대잠수함전은 수상 전투함의 중요한 역할이다. 많은 수상 전투함이 잠수함을 공격하기 위한 무기와 센서를 갖추고 있지만, 최근에는 함재 헬리콥터가 주요 대잠수함 자산으로 활용된다.
- 대수상함전(ASuW): 주로 대함 미사일을 사용하여 수행하며, 함선뿐만 아니라 헬리콥터에서도 발사할 수 있다. 특히 고속정과 같은 소형 함선을 공격하는 데 사용된다. 함포도 대수상함전에서 사용될 수 있다.
- 대공전(AAW): 일반적으로 방어적인 성격을 띠며, 함선과 다른 아군 함선을 항공기 및 접근하는 미사일(항공기, 다른 함선, 잠수함 또는 지상 플랫폼에서 발사될 수 있음)로부터 보호한다. 일부 수상 전투함은 탄도 미사일 방어 및/또는 대위성 미사일 능력을 개발하고 있다.
- 육상 공격: 함포 지원을 통해 상륙 작전을 지원하거나, 토마호크 또는 칼리브르와 같은 지상 공격 미사일 순항 미사일을 사용하여 장거리에서 고가치 표적을 파괴하는 전략 폭격을 수행한다.
2. 1. 대잠수함전 (ASW)
대잠수함전(ASW)은 수상 전투함의 중요한 역할이며, 잠수함은 해군과 민간 선박에 심각한 위협을 가한다. 많은 수상 전투함은 잠수함을 공격하기 위한 무기와 센서를 탑재하지만, 최근에는 함재 헬리콥터가 주요 대잠수함 자산으로 사용되고 있다.2. 2. 대수상함전 (ASuW)
대수상함전(ASuW)은 주로 대함 미사일을 사용하여 수행하며, 함선뿐만 아니라 헬리콥터에서도 발사할 수 있다. 특히 고속정과 같은 소형 함선을 공격하는 데 사용된다. 함포도 대수상함전에서 사용될 수 있다.2. 3. 대공전 (AAW)
대공 방어(AAW)는 일반적으로 방어적인 성격을 띠며, 함선과 다른 아군 함선을 항공기 및 접근하는 미사일(항공기, 다른 함선, 잠수함 또는 지상 플랫폼에서 발사될 수 있음)로부터 보호한다. 일부 수상 전투함은 탄도 미사일 방어 및/또는 대위성 미사일 능력을 개발하고 있다.2. 4. 육상 공격
육상 공격은 두 가지 주요 형태로 이루어진다.- 함포 지원 - 상륙 부대에 대한 지원으로, 종종 상륙 작전의 일부로 수행된다.
- 전략 폭격 - 고가치 표적을 파괴하는 것으로, 종종 토마호크 또는 칼리브르와 같은 지상 공격 미사일 순항 미사일을 사용하여 장거리에서 수행된다.
3. 미 해군의 분류
미국 해군의 수상함 군사 작전 임무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2]
- 전투력 투사 능력 (BFC)
- 선박 보호 (POS)
3. 1. 전투력 투사 능력 (BFC)
미국 해군의 수상 전투함 군사 작전 임무 중 하나는 전투력 투사 능력(BFC)이다.[2] 전투력 투사 능력(BFC)은 제해권 확보 및 전력 투사가 가능한 함정을 의미하며,[1][3] 다음과 같이 나뉜다.- 항모 타격 전단
- 항모 없이 수상전투단(SAG)의 일원
3. 2. 선박 보호 (POS)
미국 해군의 수상 전투함 군사 작전 임무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2]- 전투력 투사 능력 (BFC): 제해권 확보 및 전력 투사가 가능한 함정을 의미한다.[1][3]
- 항모 타격 전단
- 항모가 없는 수상전투단(SAG)의 일원
- 선박 보호 (POS): 다음을 보호하기 위한 함정을 의미한다.
- 전통적인 호송선단
- 해상 보급 그룹
- 상륙 작전 그룹
참조
[1]
웹사이트
Naval Transformational Roadmap
http://www.onr.navy.[...]
Office of Naval Research
2009-08-29
[2]
웹사이트
Surface Combatant Force Requirement Study
http://www.fas.org/m[...]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009-08-29
[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