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망명은 정치적 탄압, 종교 갈등, 민족 분쟁, 경제적 빈곤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해 자신의 국가를 떠나 다른 국가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쿠데타, 정변 등으로 인해 망명하거나 정치적 억압을 피해 안전이 확보될 것으로 여겨지는 국가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으며, 대사관 등 외교 공관에 보호를 요청하는 경우도 있다. 망명 정부는 망명자들이 조직한 정부를 의미하며, 정치적 난민은 자국 내 정치적 박해를 피해 외국으로 도피하는 사람을 지칭한다. 역사적으로 백제, 고구려 멸망 이후 일본으로의 망명, 프랑스 혁명 당시 귀족들의 망명 등 다양한 사례가 있으며, 최근에는 북한 탈북자, 에드워드 스노든, 2021년 미얀마 쿠데타에 대한 항의로 인한 선수들의 망명 등이 있었다. 망명은 고대 그리스 비극에서 중요한 모티프로 다뤄졌으며, 문학 작품에서도 중요한 소재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호권 - 도피성
도피성은 실수로 살인을 저지른 자가 피신하여 생명을 보존할 수 있는 장소로, 성경에 나타나는 제도이며, 살인자가 재판 후 무죄 판결을 받으면 대제사장이 죽을 때까지 보호받는 속죄의 장소이다. - 비호권 - 난민
난민은 박해의 두려움으로 인해 국적국 밖에 있고 보호를 받을 수 없거나 원하지 않는 사람을 의미하며, UNHCR은 폭력 등으로 생명에 위협을 받는 사람까지 포함하는 넓은 범위로 정의하며, 국제 사회는 이들의 보호와 사회 통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군사 용어 - 지휘통제
지휘통제는 군사 작전에서 지휘관이 부대를 지휘 및 통제하여 임무를 완수하는 핵심 활동으로, 현대전에서는 사이버 공간에서의 지휘통제와 지휘통제전이 중요하며, 대한민국 국군은 C4I 체계 발전과 한미 연합 지휘통제 체계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 군사 용어 - 정복
정복은 군사력, 정치, 경제, 문화적 압력 등을 통해 영토나 인구를 지배하는 과정으로, 고대에는 전쟁을 통해, 때로는 문화 동화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약탈, 국가 형성, 사회 계층화, 문화 변동, 인구 이동 등을 야기하고, 2차 세계대전 이후 감소했으나 여전히 국제 사회의 문제로 남아있다. - 정치 용어 - 킹메이커
킹메이커는 직접 권력을 행사하지 않고 배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여 정치 지도자를 등극시키는 인물이나 집단을 의미하며, 게임 이론에서는 다른 플레이어의 승패를 결정하고, 현대 정치에서는 정부 수반의 인사권을 통해 권력을 행사한다. - 정치 용어 - 단일쟁점정치
단일쟁점정치는 낙태, 세금, 환경, 총기 등 다양한 이슈를 중심으로 유권자들의 지지를 얻으려는 시도로, 선거 제도의 영향과 사회적 환경에 따라 성공 여부가 달라진다.
| 망명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정의 | 개인이나 집단이 자신의 고향이나 거주지에서 강제로 떠나야 하는 처벌 또는 상황 |
| 유형 | 추방 망명 강제 이주 |
| 원인 | 정치적 박해 종교적 박해 전쟁 재난 기타 강제적 이유 |
| 관련 법률 | 국제인권법 각국 관련 법률 |
| 역사적 의미 | |
| 고대 로마 | 죄인이나 정치적 반대자를 처벌하는 방법으로 추방 사용 오비디우스와 키케로 등 많은 유명 인사들이 추방 경험 |
| 중세 시대 | 정치적 반대자나 종교적 이단자를 추방하는 수단으로 사용 잉글랜드에서는 추방이 유죄 판결에 대한 형벌로 사용 |
| 근대 시대 | 식민주의 시대에 원주민을 추방하는 도구로 사용 20세기에는 전체 인구 집단을 추방하는 사례 다수 발생 (민족 청소) |
| 오늘날 | 여전히 정치적 박해나 전쟁으로 인한 강제 이주가 발생 국제인권법은 강제 추방을 금지하고 있지만, 여러 곳에서 여전히 발생 |
| 관련 용어 | |
| 추방 (Exile) | 자신의 의지에 반하여 집이나 국가를 떠나도록 강요받는 것 |
| 망명 (Diaspora) | 자신의 고향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살면서도 고향과의 유대감을 유지하는 사람들 |
| 망명 (Expatriation) | 자발적으로 자신의 나라를 떠나 다른 나라에 사는 것 |
| 망명 (Refugee) | 박해, 전쟁, 폭력 등의 이유로 자신의 나라를 떠나 다른 나라로 도피한 사람 |
| 주요 사례 | |
| 팔레스타인 |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과 이후의 분쟁으로 인해 강제로 이주했으며,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난민으로 살고 있다. |
| 체첸 | 체첸인들은 러시아와 체첸 사이의 갈등으로 인해 여러 차례 강제로 이주당했으며, 이는 수많은 난민을 발생시켰다. |
| 시리아 | 시리아 내전으로 인해 수백만 명의 시리아인이 강제로 이주하여 난민이 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주변 국가나 유럽으로 피난했다. |
| 로힝야 | 로힝야족은 미얀마에서 강제로 추방되어 방글라데시를 포함한 주변 국가로 피난했다. |
| 우크라이나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수백만 명의 우크라이나인이 강제로 이주했다. |
| 법적 보호 및 국제적 노력 | |
| 국제인권법 | 강제 추방을 금지하며, 난민과 망명자에게 특정 권리를 보장 |
| 유엔난민기구 (UNHCR) | 전 세계 난민을 보호하고 지원하는 국제 기구 |
| 국제이주기구 (IOM) | 이주와 관련된 문제를 다루는 국제 기구 |
2. 정의
망명은 자기 나라에서 정치적인 이유로 박해받을 위험이 있어 외국으로 피하거나, 외국에 있으면서 귀국하면 박해받을까 봐 돌아가지 않는 것을 말한다. 정치적 난민이라고도 한다. 망명의 이유로는 정치적 탄압이 많지만, 종교 갈등, 민족 분쟁, 경제적 빈곤 등 다른 이유도 있을 수 있다.[27]
국경을 넘어 망명하는 것 외에 대사관 등의 외교 공관에 보호를 요청하는 경우도 있다. 동독 출신 중에는 정치범으로 체포되어 서베를린으로 "추방"되는 형식으로 탈출에 성공한 사람도 있었다.[27]
‘refugee’의 번역어로 망명자와 난민을 동일시하거나, 둘 다를 포함하는 견해도 있다. 대가중부는 『「망명者」と「難民」』[27]에서 “외교부는 ‘refugee’의 번역어로 ‘난민’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로 하고, 난민협약에 가입하기로 하였으며, ‘망명자’, ‘난민’ 등의 정의에 대해서는 일의적인 정의를 하거나 구분을 명확히 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다”라고 하였다. 정치인, 관료, 왕족이 아닌 일반 시민이 다른 나라로 국경을 넘는 경우는 난민으로 구분된다.[27]
2. 1. 정치적 난민
자기 나라에서 정치적인 이유로 박해받을 근거가 있어 외국으로 도피하는 사람, 또는 현재 외국에 있으면서 귀국하면 박해받을 근거가 있어 귀국하지 않으려는 사람을 말한다. 국제적으로 난민의 권리를 조문화한 "난민의 지위에 관한 조약"이 있다.[27]쿠데타 등의 정변으로 인해 나라에서 쫓겨난 정치인이나 왕족이 다른 나라에 망명하거나, 정치적 억압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주변국, 망명자의 친족, 보호자 등이 있는 나라, 즉 망명자의 안전이 확보될 것으로 여겨지는 나라로 망명하는 경우가 있다.
최근에는 북한에서 망명을 시도하는 사람들이 베이징 등 당사국 외 망명지, 또는 제3국의 외교 공관, 외국인 학교 등으로 피신하는 사례도 있었다. 탈북자 관련 사건, 심양 총영사관 북한인 망명자 난입 사건에서 이러한 내용을 찾아볼 수 있다.
망명자 대부분은 교통이 제한된 상황에서 탈출을 시도하며, 도중에 사망하는 사람도 있다. 반체제 인사의 경우 망명지에서 암살당할 위험도 있으므로 보호가 필요하다.
미국에는 정치적 박해 등을 이유로 망명(난민 인정 포함)을 신청하는 사람들이 많다. 2016년 출신국별 경향을 보면 베네수엘라인이 14,700명을 넘어서 1위였고, 그 뒤를 중국, 멕시코, 과테말라, 엘살바도르가 이었다. 베네수엘라는 경제적 혼란이 계속되고 있어 2017년에도 증가 추세였다.[48]
2. 2. 망명 정부
쿠데타가 벌어지거나 국가가 외국에 침략당했을 때 정부가 제3국으로 건너가 그곳에서 정권의 명맥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2]외국군의 점령 또는 쿠데타 이후, 피해를 입은 국가의 ''망명 정부''가 해외에 수립될 수 있다. 가장 잘 알려진 사례 중 하나는 폴란드 밖에서 작전하는 폴란드군을 지휘했던 폴란드 망명 정부이며, 다른 예로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점령 당시 프랑스와 폴란드에서 활동한 아프리카를 근거지로 한 샤를 드 골의 프랑스 자유군 정부가 있다. 전후 사례로는 이집트 왕국이 수립한 전 팔레스타인 정부와, 일반적으로 티베트 망명 정부로 알려진 중앙 티베트 행정부 (14대 달라이 라마가 이끄는)가 있다.[2]
망명자들이 조직한 정부는 망명 정부라고 불리며, 세계 각지에 존재한다. 예를 들어 과거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에 점령된 프랑스,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등에서 조직되었다.[27]
3. 역사
망명이란 쿠데타나 외국의 침략 등으로 인해 정부가 제3국으로 건너가 정권의 명맥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세계사의 주요 망명 사건'''과 '''한국사에서의 망명'''은 다음과 같다.
| 연도 | 사건 | 내용 |
|---|---|---|
| 1789년 | 프랑스 혁명 | 프랑스 귀족, 승려(성직자)들이 망명. 망명 귀족은 프랑스어로 에미그레라고 불림. 성직자민사기본법 참조. |
| 1791년 | 바렌느 사건 | 프랑스 혁명 당시 프랑스 왕가의 망명 시도. 실패로 끝나 반왕가 경향을 격화시키는 원인이 됨. |
| 1895년 | 손문 망명 | 손문이 일본에 망명. 1911년, 중국으로 귀국. |
| 1917년 - 1922년 | 러시아 내전 및 소비에트 연방(소련) 탄생 | 백계 러시아인이 중화민국, 일본, 유럽으로 망명. |
| 1929년 | 레프 트로츠키 망명 | 레프 트로츠키가 소련에서 추방. 이후 프랑스, 멕시코 등지로 망명. 1940년 살해. |
| 1933년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망명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독일에서 추방. 미국으로 망명. |
| 1938년 | 겐리흐 류시코프 망명 | 겐리흐 류시코프가 소련의 중요 기밀 정보를 가지고 만주국에 망명. |
| 1945년 | 아이신기오로 푸이, 아이신기오로 푸제 망명 실패 |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 패전으로 인한 만주국 멸망으로 황제 아이신기오로 푸이와 아이신기오로 푸제는 일본으로 망명을 시도했으나, 봉천에서 소련군에 붙잡혀 망명에 실패. |
| 1947년 | 미하이 1세 망명 | 미하이 1세가 소련군 점령하의 루마니아 왕국에서 공산당 정부의 성립과 왕정 폐지로 퇴위. 스페인에 망명. |
| 1949년 | 프리디 파놈용 망명 | 프리디 파놈용이 쿠데타에 실패하고 프랑스로 망명. |
| 1952년 | 찰리 채플린 망명 | 찰리 채플린이 미국에서 추방. 스위스로 이주. |
| 1957년 | 플렉 피분송크람 망명 | 플렉 피분송크람이 쿠데타로 캄보디아를 경유하여 출국. 일본으로 이주. |
| 1959년 | 달라이 라마 14세 망명 | 달라이 라마 14세가 티베트에서 인도로 망명. 티베트 망명 정부를 수립. |
| 1974년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망명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이 소련에서 국외 추방. 스위스를 경유하여 1976년 미국으로 이주. |
| 1974년 | 미하일 바리시니코프 망명 | 미하일 바리시니코프가 소련에서 미국으로 망명. |
| 1975년 |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망명 |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가 체코슬로바키아에서 미국으로 망명. |
| 1976년 | 빅토르 이바노비치 벨렌코 망명 | 소련 공군 조종사 빅토르 이바노비치 벨렌코 중위가 MiG-25 기체로 하코다테 공항에 강행착륙. 미국에 망명을 신청(벨렌코 중위 망명 사건). |
| 1979년 | 이디 아민 망명 | 이디 아민이 우간다에서 리비아를 경유하여 사우디아라비아로 망명. |
| 1983년 | 안토니오 네그리 망명 | 안토니오 네그리가 이탈리아에서 프랑스로 망명. |
| 1984년 |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망명 |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가 소련 당국으로부터의 귀국 요청을 거부하고 이탈리아에서 사실상 망명을 선언. |
| 1986년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및 이멜다 마르코스 망명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및 이멜다 마르코스가 에두사 혁명으로 하와이로 망명. |
| 1989년 | 나디아 코마네치 망명 | 나디아 코마네치가 루마니아에서 헝가리를 경유하여 미국으로 망명. |
| 1989년 | 동독 국민 집단 망명 | 헝가리에서 범유럽 피크닉이 개최되어 1000명 이상의 동독 국민이 집단 망명. |
| 1998년 | 이홍지 망명 | 이홍지가 중화인민공화국(중국)에서 미국으로 망명. |
| 2000년 | 오카모토 켄조 망명 | 텔아비브 공항 총격 사건에 대해 이스라엘에서 무기징역 판결을 받고 복역 중 “포로 교환” 명목으로 석방되어 레바논에 체류하던 오카모토 켄조에 대해, 다시 텔아비브 사건에 대한 형사 책임을 묻는 목적으로 일본 정부가 인도 요구를 했으나, 레바논 정부는 오카모토의 정치 망명을 인정하고 보호. |
| 2000년 | 알베르토 후지모리 망명 | 일본 체류 중이던 페루 대통령 알베르토 후지모리가 대통령 사임을 표명한 후에도 일본 체류를 계속하며 사실상 망명. 대통령 선출마 의지를 표명, 2005년 귀국 중 칠레에서 체포. |
| 2004년 | 보비 피셔 망명 | 전 체스 세계 챔피언 보비 피셔가 나리타 공항에서 유효 여권 미소지로 출국 금지된 후 신병이 수용되어 필리핀으로의 망명을 신청. 아이슬란드가 시민권을 승인하고 출국. |
| 2006년 | 탁신 친나왓 망명 | 탁신 친나왓이 군부 쿠데타로 해외 순방 중 태국으로 귀국하지 않고, 이후 2023년 탁신계 정권이 부활함에 따라 귀국할 때까지 사실상 망명 상태가 됨. |
| 2007년 | 케이씨 디팍 망명 | 네팔의 친왕족파의 유력 일족인 케이씨 디팍이 네팔 공산당 마오쩌둥파의 박해를 받고 일본으로 망명[28]. 디팍은, 다른 난민 인정이 필요한 망명자도 있다고 함[28]. |
| 2009년 | 아롤디스 채프먼 망명 | 쿠바의 야구 선수 아롤디스 채프먼이 야구 쿠바 대표의 원정지 네덜란드에서 망명. |
| 2013년 | 에드워드 스노든 망명 | 미국 연방 정부의 전 CIA 직원 에드워드 스노든이 러시아 연방에 망명. |
| 2014년 | 궈원구이 망명 | 궈원구이가 중국에서 미국으로 망명. |
| 2015년 | 령완청 망명 | 중국 공산당 중앙 통일 전선 공작부 전 부장인 령계획의 동생인 령완청이 기밀 자료를 가지고 미국으로 망명. |
| 2021년 | 피에 린 아웅 망명 | 축구 월드컵의 예선에 출전하기 위해 일본에 와 있던 미얀마의 대표 선수 피에 린 아웅이 군부 쿠데타로 모국이 정세 불안한 것을 이유로 간사이 국제공항에서 귀국을 거부하는 의향을 보이고 망명[29]. |
| 2021년 | 크리스티나 치마노프스카야 망명 | 도쿄 올림픽 여자 육상 경기에 출전했던 벨라루스 대표의 크리스티나 치마노프스카야가 하네다 공항에서 귀국을 거부하는 의향을 보이고 폴란드로 망명[30][31]. |
| 2022년 | 추르판 하마토바 망명 | 배우 추르판 하마토바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반발하여 러시아에서 망명[32]. |
| 2022년 | 한 레이 망명 | 미스 콘테스트 전 미얀마 대표로 같은 나라의 군부 쿠데타를 비판했던 한 레이가 여권 미비를 이유로 태국 입국을 거부당했기 때문에, 국제연합 난민 고등 판무관 사무소(UNHCR)를 통해 제3국으로의 망명을 신청. 캐나다가 받아들이는 방침을 보였기 때문에, 같은 나라로 출국[33][34]. |
| 2023년 | 마리나 오브샨니코바 망명 | 러시아의 전 텔레비전 방송국 직원으로 같은 나라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반대했던 언론인 마리나 오브샨니코바가 국경없는 기자회의 협력으로 프랑스에 망명[35]. |
| 2023년 | 진사명 망명 | 중국 인권 운동가인 진사명이 중국 당국의 압박을 피하기 위해 라오스와 태국을 경유하여 타이완의 타오위안 국제공항에 탈출. 이후 캐나다가 받아들이는 방침을 보였기 때문에, 같은 나라로 출국[39][40][41]. |
| 2023년 | 주팅 사실상 망명 | 홍콩의 인권 운동가 주팅이 유학 중인 캐나다 토론토에서 “홍콩에는 일생 돌아가지 않을 것이다”라고 SNS에 게시. 사실상 망명[42][43][44]. |
| 2024년 | 셰이크 하시나 망명 | 방글라데시의 총리 셰이크 하시나가 반정부 시위의 격화로 총리직을 사임하고 인도로 출국. 영국으로의 망명을 희망하고 있다고 보도[45][46]. |
| 2024년 | 바샤르 알아사드 망명 | 시리아의 대통령 바샤르 알아사드가 다마스쿠스 전투로 정권이 붕괴됨에 따라 가족과 함께 러시아로 망명[47]. |
3. 1. 한국사에서의 망명
- 백제 멸망(660년)으로 인해 일부 백제인이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이들 중 왕족은 백제왕씨가 되었다.
- 고구려 멸망(668년)으로 인해 일부 고구려인이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이들 중 왕족은 고려씨가 되었다.
- 17세기 전반, 조선에서 망명한 사노슈마가 다지마노카미가 된 류생가의 문방을 지켰다고 한다.(이낭 참조)
- 1659년, 복명운동(zh:反清复明)의 실패로 주순수가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 195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공군 조종사 노금석 중위가 MiG-15 기체를 몰고 대한민국(한국)의 김포국제공항에 강행 착륙하여 미국에 망명을 신청하였다.
- 1960년, 이승만이 한국에서 미국으로 망명하였다.
- 1966년, 재일 조선인의 귀환 사업으로 이주한 복서 김다모리오(김귀하)가 체류지 캄보디아의 일본 대사관에 방문하였으나, 망명에 실패하였다.
- 1970년, 일본공산당 혁명적마르크스주의자동맹 적군파 구성원이 일본항공기(요도호)를 하이재킹하여 북한으로 망명하였다. (요도호 하이재킹 사건)
- 2002년, 중국 선양에서 북한을 탈출한 주민이 망명을 목적으로 일본 총영사관에 뛰어들었으나, 영사관을 경비하던 중국 공안 직원이 구내에 들어와 주민을 구속하였다. 일본 정부가 항의하였고, 이후 주민들은 마닐라를 거쳐 한국으로 망명하였다. (선양 총영사관 북한인 망명자 뛰어든 사건)
- 2023년, 중국의 인권 운동가 권핑이 중국 당국으로부터의 정치적 탄압을 피하기 위해 제트스키를 타고 한국에 밀입국하였다. 한국 또는 제3국으로의 망명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되었다.[36][37][38]
3. 2. 세계사에서의 주요 망명 사건
- 백제 멸망(660년)으로 인해 일부 백제인이 일본으로 망명했다. 왕족은 백제왕씨가 되었다.
- 고구려 멸망(668년)으로 인해 일부 고구려인이 일본으로 망명했다. 왕족은 고려씨가 되었다.
- 17세기 전반, 조선에서 망명한 사노슈마가 다지마노카미가 된 류생가의 문방을 지켰다고 한다(이낭 참조).
- 1659년, 복명운동(zh:反清复明)의 실패로 주순수가 일본으로 망명했다.
- 프랑스 혁명(1789년)으로 프랑스 귀족, 승려(성직자)가 망명했다. 망명 귀족을 프랑스어로 '''에미그레'''라고 한다. 성직자민사기본법도 참조.
- 바렌느 사건(1791년): 프랑스 혁명 당시 프랑스 왕가의 망명 사건. 실패로 끝나 반왕가 경향을 격화시키는 한 원인이 되었다.
- 1895년, 손문이 일본에 망명했고, 1911년 중국으로 귀국했다.
- 러시아 내전(1917년 - 1922년) 및 소비에트 연방(소련) 탄생으로 백계 러시아인이 중화민국·일본·유럽으로 망명했다.
- 1929년, 레프 트로츠키는 소련에서 추방되어 프랑스, 멕시코 등에 망명했고, 1940년 살해되었다.
- 1933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독일에서 추방되어 미국에 망명했다.
- 1938년, 겐리흐 류시코프가 소련의 중요 기밀 정보를 가지고 만주국에 망명했다.
-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 패전으로 만주국이 멸망하자 황제 아이신기오로 푸이와 아이신기오로 푸제는 일본으로 망명을 시도했으나, 봉천에서 소련군에 붙잡혀 실패했다.
- 1947년, 미하이 1세는 소련군 점령하의 루마니아 왕국에서 공산당 정부의 성립과 왕정 폐지로 퇴위하여 스페인에 망명했다.
- 1949년, 프리디 파놈용은 쿠데타에 실패하고 프랑스로 망명했다.
- 1952년, 찰리 채플린은 미국에서 추방되어 스위스로 이주했다.
- 195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공군 조종사 노금석 중위가 MiG-15 기체로 대한민국(한국)의 김포국제공항에 강행착륙하여 미국에 망명을 신청했다.
- 1957년, 플렉 피분송크람은 쿠데타로 캄보디아를 경유하여 출국, 일본으로 이주했다.
- 1959년, 달라이 라마 14세가 티베트에서 인도로 망명하여 티베트 망명 정부를 수립했다.
- 1960년, 이승만은 한국에서 미국으로 망명했다.
- 1966년, 재일 조선인의 귀환 사업으로 이주한 복서 김다모리오(김귀하)가 체류지 캄보디아의 일본 대사관에 방문하였으나, 망명에 실패했다.
- 1970년, 일본공산당 혁명적마르크스주의자동맹 적군파 구성원이 일본항공기(요도호)를 하이재킹하여 북한으로 망명했다(요도호 하이재킹 사건).
- 1974년,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이 소련에서 국외 추방되어 스위스를 경유하여 1976년 미국으로 이주했다.
- 1974년, 미하일 바리시니코프가 소련에서 미국으로 망명했다.
- 1975년,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가 체코슬로바키아에서 미국으로 망명했다.
- 1976년, 소련 공군 조종사 빅토르 이바노비치 벨렌코 중위가 MiG-25 기체로 하코다테 공항에 강행착륙하여 미국에 망명을 신청했다(벨렌코 중위 망명 사건).
- 1979년, 이디 아민은 우간다에서 리비아를 경유하여 사우디아라비아로 망명했다.
- 1983년, 안토니오 네그리는 이탈리아에서 프랑스로 망명했다.
- 1984년,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는 소련 당국의 귀국 요청을 거부하고 이탈리아에서 사실상 망명을 선언했다.
- 1986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및 이멜다 마르코스는 에두사 혁명으로 하와이로 망명했다.
- 1989년, 나디아 코마네치는 루마니아에서 헝가리를 경유하여 미국으로 망명했다.
- 1989년, 헝가리에서 범유럽 피크닉이 개최되어 1000명 이상의 동독 국민이 집단 망명했다.
- 1998년, 이홍지는 중화인민공화국(중국)에서 미국으로 망명했다.
- 2000년, 텔아비브 공항 총격 사건으로 이스라엘에서 무기징역 판결을 받고 복역 중 “포로 교환” 명목으로 석방되어 레바논에 체류하던 오카모토 켄조에 대해, 일본 정부가 다시 텔아비브 사건에 대한 형사 책임을 묻고자 인도 요구를 했으나, 레바논 정부는 오카모토의 정치 망명을 인정하고 보호했다.
- 2000년, 일본 체류 중이던 페루 대통령 알베르토 후지모리가 대통령 사임을 표명한 후에도 일본 체류를 계속하며 사실상 망명했다. 대통령 선출마 의지를 표명, 2005년 귀국 중 칠레에서 체포되었다.
- 2002년, 중국 선양에서 북한을 탈출한 주민이 망명을 목적으로 일본 총영사관에 뛰어들었으나, 영사관을 경비하던 중국 공안 직원이 구내에 들어와 주민을 구속했다. 일본 정부가 항의했고, 이후 주민들은 마닐라를 거쳐 한국으로 망명했다(선양 총영사관 북한인 망명자 뛰어든 사건).
- 2004년, 전 체스 세계 챔피언 보비 피셔가 나리타 공항에서 유효 여권 미소지로 출국 금지된 후 신병이 수용되어 필리핀으로의 망명을 신청했고, 아이슬란드가 시민권을 승인하여 출국했다.
- 2006년, 탁신 친나왓은 군부 쿠데타로 해외 순방 중 태국으로 귀국하지 않았고, 이후 2023년 탁신계 정권이 부활함에 따라 귀국할 때까지 사실상 망명 상태가 되었다.
- 2007년, 네팔의 친왕족파 유력 일족인 케이씨 디팍이 네팔 공산당 마오쩌둥파의 박해를 받고 일본으로 망명했다[28]. 디팍은 다른 난민 인정이 필요한 망명자도 있다고 말했다[28].
- 2009년, 쿠바의 야구 선수 아롤디스 채프먼이 야구 쿠바 대표의 원정지 네덜란드에서 망명했다.
- 2013년, 미국 연방 정부의 전 CIA 직원 에드워드 스노든이 러시아 연방에 망명했다.
- 2014년, 궈원구이는 중국에서 미국으로 망명했다.
- 2015년, 중국 공산당 중앙 통일 전선 공작부 전 부장인 령계획의 동생 령완청이 기밀 자료를 가지고 미국으로 망명했다.
- 2021년, 축구 월드컵의 예선에 출전하기 위해 일본에 와 있던 미얀마의 대표 선수 피에 린 아웅이 군부 쿠데타로 모국이 정세 불안한 것을 이유로 간사이 국제공항에서 귀국을 거부하는 의향을 보이고 망명했다[29].
- 2021년, 도쿄 올림픽 여자 육상 경기에 출전했던 벨라루스 대표 크리스티나 치마노프스카야가 하네다 공항에서 귀국을 거부하는 의향을 보이고 폴란드로 망명했다[30][31].
- 2022년, 배우 추르판 하마토바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반발하여 러시아에서 망명했다[32].
- 2022년, 미스 콘테스트 전 미얀마 대표로 군부 쿠데타를 비판했던 한 레이가 여권 미비를 이유로 태국 입국을 거부당해 국제연합 난민 고등 판무관 사무소(UNHCR)를 통해 제3국으로의 망명을 신청했고, 캐나다가 받아들이는 방침을 보여 출국했다[33][34].
- 2023년, 러시아의 전 텔레비전 방송국 직원으로 우크라이나 침공에 반대했던 언론인 마리나 오브샨니코바가 국경없는 기자회의 협력으로 프랑스에 망명했다[35].
- 2023년, 중국의 인권 운동가 권핑이 중국 당국으로부터의 정치적 탄압을 피하기 위해 제트스키를 타고 한국에 밀입국했다. 한국 또는 제3국으로의 망명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되었다[36][37][38].
- 2023년, 중국 인권 운동가 진사명이 중국 당국의 압박을 피하기 위해 라오스와 태국을 경유하여 타이완의 타오위안 국제공항에 탈출했고, 이후 캐나다가 받아들이는 방침을 보여 출국했다[39][40][41].
- 2023년, 홍콩의 인권 운동가 주팅이 유학 중인 캐나다 토론토에서 “홍콩에는 일생 돌아가지 않을 것이다”라고 SNS에 게시하며 사실상 망명했다[42][43][44].
- 2024년, 방글라데시의 총리 셰이크 하시나가 반정부 시위의 격화로 총리직을 사임하고 인도로 출국했고, 영국으로의 망명을 희망하고 있다고 보도되었다[45][46].
- 2024년, 시리아의 대통령 바샤르 알아사드가 다마스쿠스 전투로 정권이 붕괴됨에 따라 가족과 함께 러시아로 망명했다[47].
4. 국제법과 망명
자기 나라에서 정치적인 이유로 박해를 받을 근거가 있어 외국으로 도피하는 사람, 또는 현재 외국에 있으면서 귀국하면 박해를 받을 근거가 있어서 귀국하지 않으려는 사람을 망명자라 하며, 정치적 난민이라고도 한다. 국제적으로 난민의 권리를 조문화한 "난민의 지위에 관한 조약"이 있다.[27] 망명의 이유로는 정치적 탄압이 많은 경우를 차지하지만, 종교 갈등이나 민족 분쟁, 경제적 빈곤 등 다른 이유도 포함될 수 있다.
쿠데타 등의 정변으로 인해 나라에서 쫓겨난 정치인이나 왕족이 다른 나라에 망명하거나, 정치적 억압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주변국 또는 망명자의 친족, 보호자 등이 있는 나라, 즉 망명자의 안전이 확보될 것으로 여겨지는 나라로 망명하는 경우가 있다.
국경을 넘어 망명하는 것 외에 대사관 등의 외교 공관에 보호를 요청하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는 북한에서 망명을 시도하는 사람들이 베이징 등 당사국 외에 있는 망명지, 또는 제3국의 외교 공관, 외국인 학교 등으로 피신하는 사례도 있었다. 탈북자, 심양 총영사관 북한인 망명자 난입 사건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망명자 대부분은 교통이 제한된 상황에서 탈출을 시도하고 있으며(베를린 장벽 등), 도중에 사망하는 사람도 있다.
동독 출신의 경우 예외도 있는데, 정치범으로 체포되어 서베를린으로 "추방"되는 형식으로 탈출에 성공한 사람도 있다. 반체제 인사의 경우 망명지에서 암살당할 위험도 있으므로 보호가 필요하다.
정치인이나 관료, 왕족이 아닌 일반 시민이 다른 나라로 국경을 넘는 경우 난민으로 구분된다.
5. 유형
자기 나라에서 정치적인 이유로 박해를 받을 위험이 있어 외국으로 도피하는 사람, 또는 현재 외국에 있으면서 귀국하면 박해를 받을 우려가 있어 귀국하지 않으려는 사람을 말하며, 정치적 난민이라고도 한다. 국제적으로 난민의 권리를 명문화한 “난민의 지위에 관한 조약”이 있다.
6. 망명과 문화

망명은 고대 그리스 비극에서 초기부터 등장하는 중요한 모티프이며, 고대 그리스 세계에서 망명은 죽음보다 더 나쁜 운명으로 여겨졌다. 이 모티프는 기원전 5세기에 에우리피데스가 쓴 희곡 ''메데이아''에서 절정에 달하며, 이는 매우 오래된 그리스 신화의 구전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다. 에우리피데스의 ''메데이아''는 20세기까지 가장 많이 공연된 그리스 비극으로 남아 있다.[18]
메데이아가 이아손에게 버려지고 복수심에 휩싸여 살인을 저지른 후, 아테네로 도망쳐 아이게우스 왕과 결혼하여 영웅 테세우스의 계모가 되었다. 테세우스와의 갈등으로 인해 메데이아는 폴리스를 떠나 망명길에 오르게 된다. 영국의 라파엘 전파 화가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1849–1917)의 유명한 그림 《이아손과 메데이아》는 메데이아가 테세우스를 독살하려는 시도 직전의 중요한 순간을 보여준다.[19]
고대 로마에서는 로마 원로원이 개인, 가족 또는 심지어 전체 지역에 대한 추방을 선포할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로마의 희생자 중 한 명은 아우구스투스 치세에 살았던 시인 오비디우스였다. 그는 로마를 떠나 흑해 연안의 토미스(현재 콘스탄차) 도시로 이주해야 했다. 그는 그곳에서 추방 생활에 대한 쓰라린 감정을 담은 유명한 작품 ''트리스티아''(슬픔)를 썼다.[20]
적어도 일시적인 추방을 경험한 또 다른 인물로는 단테가 있다.
독일어 작가 프란츠 카프카는 사후에 출판된 소설 아메리카de에서 카를 로스만의 추방을 묘사했다.[21]

1933년 이후 몇 년 동안 나치즘 시대에는 많은 유대인들과 상당수의 독일 예술가와 지식인들이 추방되어 도망쳤다. 예를 들어, 작가 클라우스 만과 안나 제거스가 있다. 그리하여 독일의 추방 문학이 등장하여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22] 클라우스 만은 1939년에 독일 추방자들의 삶을 묘사한 소설 Der Vulkande(“화산: 이민자들 사이의 소설”)을 완성했다.[23] 그는 자신의 문학적 결산에서 “추방의 풍부하고 산만하며 어두운 경험을 서사적 형태로 담아내기 위해”라고 썼다.[24] 같은 장소와 같은 해에 안나 제거스는 그녀의 유명한 소설 Das siebte Kreuzde(''일곱 번째 십자가'', 1942년 미국에서 출판)를 출판했다.
최근 몇 년 동안 중요한 추방 문학으로는 카리브해 출신 작가들의 작품이 있는데, 많은 카리브해 예술가들이 정치적 또는 경제적 이유로 유럽이나 미국으로 이주했다. 이러한 작가들에는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V. S. 나이폴과 데릭 월콧 그리고 소설가 에드위즈 단티카와 샘 셀본이 포함된다.[25]
7. 논쟁
쿠데타 등의 정변으로 인해 나라에서 쫓겨난 정치인이나 왕족이 다른 나라에 망명하거나, 정치적 억압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주변국, 망명자의 친족 또는 보호자 등이 있는 나라 등 망명자의 안전이 확보될 것으로 여겨지는 나라로 망명하는 경우가 있다. 국경을 넘어 망명하는 것 외에 대사관 등의 외교 공관에 보호를 요청하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는 북한에서 망명을 시도하는 사람들이 베이징 등 당사국 외에 있는 망명지, 또는 제3국의 외교 공관, 외국인 학교 등으로 피신하는 사례도 있었다. 탈북자, 심양 총영사관 북한인 망명자 난입 사건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망명자 대부분은 교통이 제한된 상황에서 탈출을 시도하고 있으며(베를린 장벽 등), 도중에 사망하는 사람도 있다.
동독 출신의 경우 예외도 있는데, 정치범으로 체포되어 서베를린으로 "추방"되는 형식으로 탈출에 성공한 사람도 있다. 반체제 인사의 경우 망명지에서 암살당할 위험도 있으므로 보호가 필요하다.
정치인이나 관료, 왕족이 아닌 일반 시민이 다른 나라로 국경을 넘는 경우 난민으로 구분된다. “refugee”의 번역어로 망명자와 난민을 동일시하거나, 둘 다를 포함하는 견해도 있다. 대가중부는 『「망명者」と「難民」』[27]에서 “외교부는 “refugee”의 번역어로 “난민”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로 하고, 난민협약에 가입하기로 하였으며, “망명자”, “난민” 등의 정의에 대해서는, 일의적인 정의를 하거나, 구분을 명확히 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다”라고 하고 있다.
8. 같이 보기
- 망명한 국가 원수 및 정부 수반 목록
- 냉전 시대 주요 망명 목록
- * 냉전 시대 조종사 망명 목록
- * 소비에트 연방 및 동구권 망명자 목록
- * 서구권 망명자 목록
참조
[1]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2]
뉴스
BBC News – What happens to deposed leaders?
https://www.bbc.co.u[...]
Bbc.co.uk
2011-04-14
[3]
서적
Blue Trust: The Author, The Lawyer, His Wife, And Her Money
[4]
서적
Exile on Main Street: A Season in Hell with the Rolling Stones
[5]
뉴스
Facebook Co-Founder Saverin Gives Up U.S. Citizenship Before IPO
https://www.bloomber[...]
Bloomberg News
2012-05-11
[6]
뉴스
Facebook's Saverin fires back at tax-dodge critics
https://www.reuters.[...]
2012-05-17
[7]
간행물
Iraq Appeals Anew to Exiled Academics to Return Home
http://chronicle.com[...]
2009-06-23
[8]
뉴스
For Exiled Nuns, It's Too Late : Banished by the Communist regime, Czechoslovakia's sisters of Bila Voda were symbols of persecution. Now most are too old or weak to benefit from the revolution
https://www.latimes.[...]
1990-01-20
[9]
서적
A dictionary of Austral English
Sydney University Press
[10]
서적
Herod: King of the Jews and Friend of the Romans
Univ. of South Carolina Press
[11]
서적
A History of Eastern Europe: Crisis and Change
Routledge
[12]
간행물
Ethnic Cleansing and Revisionist Russian and Soviet History
2019-04-08
[13]
백과사전
Cuban immigration
https://books.google[...]
Facts on File
2005
[14]
간행물
Political Exile in Latin America
https://www.jstor.or[...]
2007
[15]
웹사이트
Media Strategies of Russian Opposition in Exile: Values, Visibility, and Virtual Mobilisation
https://www.diva-por[...]
[16]
서적
The Key to Moscow
J.B. Lippincott Company
[17]
서적
The Key to Moscow
J.B. Lippincott Company
[18]
서적
Reimagining Greek Tragedy on the American Stag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
서적
Art of the Pre-Raphaelit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
뉴스
Tristia by Ovid – high drama and hoax
https://www.theguard[...]
2015-08-21
[21]
서적
Amerika
Roof Music
[22]
서적
German Writers in French Exile, 1933–1940
Vallentine Mitchell
[23]
서적
Escape to Life. German Intellectuals in New York. A Compendium on Exile after 1933
De Gruyter
[24]
서적
Der Wendepunkt. Ein Lebensbericht
[25]
간행물
Forms of Exile: Experimental Self-Positioning in Postcolonial Caribbean Poetry
[26]
서적
社会ユーモア・モダン語辞典
https://dl.ndl.go.jp[...]
鈴響社
[27]
간행물
法苑47号
新日本法規出版
1982-04
[28]
뉴스
ネパール難民、初認定 夫婦迫害の恐れ 申請から4年半
http://www.tokyo-np.[...]
2015-04-24
[29]
웹사이트
「ミャンマーのこと知ってもらいたかった」…サッカー代表選手が会見、難民申請へ
https://www.yomiuri.[...]
2021-06-17
[30]
웹사이트
ベラルーシ選手、ポーランド亡命へ 大使館でビザ発給、東京五輪初:時事ドットコム
https://web.archive.[...]
[31]
웹사이트
亡命希望のベラルーシ選手、ポーランドに出発へ…政権の圧力恐れた夫はウクライナに到着 : 東京オリンピック2020速報 : オリンピック・パラリンピック
https://www.yomiuri.[...]
2021-08-03
[32]
웹사이트
ロシア女優、ウクライナ侵攻受け亡命 『グッバイ、レーニン!』出演
https://www.afpbb.co[...]
2022-03-22
[33]
웹사이트
元ミス・ミャンマーがカナダへ タイ出発、亡命申請か
https://web.archive.[...]
2022-09-28
[34]
웹사이트
「本国送還なら死刑」 軍政批判したミス・ミャンマー、最後の選択は......
https://www.newsweek[...]
2022-09-28
[35]
웹사이트
反戦の元TV社員、フランス亡命 国際組織支援でロシア密出国
https://nordot.app/9[...]
2023-02-11
[36]
웹사이트
「ジェットスキー密入国の中国人、習主席風刺して拘禁…難民申請する」
https://japanese.joi[...]
2023-08-24
[37]
웹사이트
「ジェットスキーで密入国」中国の人権活動家「韓国に政治的亡命申請」
https://japan.hani.c[...]
2023-08-24
[38]
뉴스
中国からジェットスキーで300キロ、「密入国を試みた」男性を逮捕=韓国当局
https://www.bbc.com/[...]
2023-08-24
[39]
웹사이트
中国の反体制活動家、台湾の空港にとどまり亡命希望 米国とカナダに呼び掛け
https://www.cnn.co.j[...]
2023-09-28
[40]
웹사이트
「どうか追放しないで」…中国の有名反体制運動家、台湾の空港に逃避中
https://japanese.joi[...]
2023-09-28
[41]
웹사이트
天安門事件で中国批判の男性、亡命でカナダへ「抑圧ますます残酷に」
https://newsdig.tbs.[...]
2023-10-10
[42]
웹사이트
周庭さん、カナダの大学院に留学 「一生香港に戻らない」と亡命宣言
https://www.sankei.c[...]
2023-12-04
[43]
웹사이트
香港・雨傘運動の「女神」周庭氏がカナダに留学、事実上の亡命か…2年半ぶり投稿のSNSで「恐らく一生戻らない」
https://www.yomiuri.[...]
2023-12-04
[44]
뉴스
香港民主活動家の周庭氏、カナダに事実上の亡命へ
https://jp.reuters.c[...]
2023-12-04
[45]
웹사이트
経済成長の一方、強権批判も 辞任のハシナ首相―バングラデシュ
https://www.jiji.com[...]
2024-08-08
[46]
웹사이트
インドに逃亡中のバングラデシュ・ハシナ前首相、英国に亡命へ
https://mainichi.jp/[...]
2024-08-08
[47]
웹사이트
シリアのアサド大統領、家族とともにロシアに亡命 政権崩壊受け 露メディア報道
https://www.sankei.c[...]
2024-12-09
[48]
웹사이트
米国への亡命申請、ベネズエラが最多に
https://www.cnn.co.j[...]
2017-05-25
[49]
웹사이트
戦闘爆撃機に乗って来た脱北者への報賞金を引き上げ
https://japanese.joi[...]
2017-07-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