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페르사우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페르사우루스는 1972년 미국에서 처음 발견된 거대한 용각류 공룡으로, 지금까지 발견된 공룡 중 가장 긴 종일 가능성이 높다. 수페르사우루스는 부분적인 화석만 발견되었으나, 이후 발견된 짐보 표본을 통해 전체적인 골격 구조가 밝혀졌다. 수페르사우루스는 아파토사우루스와 유사한 특징을 가지며, 1985년 제임스 A. 옌센에 의해 공식적으로 명명되었다. 수페르사우루스는 디플로도쿠스과에 속하며, 2015년 연구에서는 딘헤이루사우루스 로우리난헨시스와 함께 수페르사우루스의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디플로도쿠스과 - 아파토사우루스
아파토사우루스는 북아메리카 쥐라기 후기 지층에서 발견된 거대한 용각류 공룡으로, 긴 목과 채찍 모양의 꼬리를 특징으로 하며 초식 생활을 했고, 브론토사우루스와의 분류 논쟁이 있었다. - 디플로도쿠스과 - 브론토사우루스
브론토사우루스는 오트니엘 찰스 마쉬가 1879년에 명명한 거대한 용각류 공룡으로, 한때 아파토사우루스와 동일 속으로 취급되어 사용이 중단되었으나 2015년 연구를 통해 유효한 속으로 재인정받았으며, "천둥 도마뱀"이라는 이름으로 대중문화에서 널리 알려져 있다. - 1985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파란트로푸스 아에티오피쿠스
파란트로푸스 아에티오피쿠스는 약 260만~330만 년 전 아프리카 동부에 살았던 파란트로푸스속의 초기 종으로, '강건한 오스트랄로피테쿠스'라고도 불리며 두개골 KNM WT 17000("블랙 스컬")을 통해 알려져 있고,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의 조상으로 여겨지나 분류학적 위치와 유효성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와 유사한 특징을 가진다. - 1985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카르노타우루스
카르노타우루스는 후기 백악기 남아메리카에 살았던 아벨리사우루스과의 수각류 공룡으로, 눈 위의 뿔, 짧고 깊은 두개골, 작은 앞다리가 특징이며, 비교적 완전한 골격과 피부 화석 덕분에 아벨리사우루스과의 진화와 생태 연구에 중요한 종인 카르노타우루스 사스트레이가 유일하게 알려진 종이다. - 모리슨층의 공룡 - 마르쇼사우루스
마르쇼사우루스는 1976년 미국 콜로라도주에서 발견된 몸길이 약 2.5미터의 작은 수각류 공룡으로, 가볍고 민첩한 골격과 모리슨 층에서의 발견, 그리고 장골 변형 등의 특징을 통해 행동 및 생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초기에는 메갈로사우루스류, 이후에는 피아트니츠키사우루스과와의 관계 연구가 이루어졌다. - 모리슨층의 공룡 - 드리오사우루스
쥐라기 후기 북아메리카에 서식한 드리오사우루스는 긴 목과 다리, 각질 부리를 가진 최대 3m 크기의 조각류 공룡으로, 모리슨 층 등 다양한 지역에서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1894년에 'Dryosaurus altus'로 재분류되었다.
수페르사우루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Supersaurus |
명명자 | Jensen, 1985년 |
속의 모식종 | †Supersaurus vivianae |
모식종 명명자 | Jensen, 1985년 |
화석 발견 시기 | 쥐라기 후기, |
하위 분류 | |
종 | †Supersaurus lourinhanensis? (Bonaparte & Mateus, 1999) |
속 동의어 | |
종 동의어 (S. vivianae) | |
학술 분류 | |
계 | 진핵생물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파충강 |
목 | 용반목 |
아목 | 용각아목 |
하목 | 용각하목 |
과 | 디플로도쿠스과 |
아과 | 디플로도쿠스아과 |
2. 발견 및 연구사
1972년 드라이 메사 채석장에서 ''수페르사우루스''의 최초 화석이 발견된 이후, 여러 고생물학자들이 이 공룡의 분류와 명명에 기여했다. 제임스 A. 젠슨은 ''수페르사우루스''를 처음 기술하고 명명했으며, 견갑골 BYU 9025를 모식 표본으로 지정했다.
''수페르사우루스''의 발견과 거의 동시에, 젠슨은 또 다른 거대한 용각류 화석을 발견하고 "울트라사우루스"라고 명명했다. 그러나 "울트라사우루스"의 모식 표본은 나중에 ''수페르사우루스''의 뼈로 밝혀져 ''울트라사우루스''는 ''수페르사우루스''의 주니어 동의어가 되었다. 한편, 1983년 김항묵이 한국에서 발견한 공룡 화석에 ''울트라사우루스''라는 이름을 사용하면서 혼란이 발생했다. 젠슨의 "울트라사우루스"는 김항묵의 ''울트라사우루스''보다 늦게 발표되었기 때문에, 조지 올셰프스키가 젠슨의 용각류 이름을 ''울트라사우루스''로 변경했다.
1986년에는 와이오밍주 컨버스 카운티에서 "짐보"라는 별명을 가진 더 완전한 ''수페르사우루스'' 표본(WDC DMJ-021)이 발견되었다. 이 표본은 와이오밍 공룡 센터에 보관되어 있으며, ''수페르사우루스''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했다.
2. 1. 최초 발견
''수페르사우루스''의 최초 화석은 1972년 드라이 메사 채석장에서 발견되었다. 이 발견에서는 어깨뼈, 좌골, 꼬리 척추뼈 등 몇 개의 뼈만 발견되었다. 고생물학자 제임스 A. 젠슨은 ''수페르사우루스''를 기술했으며, 견갑골 BYU 9025(원래 BYU 5500으로 표기됨)를 모식 표본으로 지정했다. 이 견갑골은 세웠을 때 2.4m 높이였다. 이 표본은 1973년 초에 비공식적으로 "수페르사우루스"라는 이름이 붙었지만,[5][6] 10년 이상 지난 1985년에 공식적으로 기술되고 명명되었다.[8] 사우로포드 연구자 잭 맥킨토시는 한때 BYU ''수페르사우루스'' 자료가 바로사우루스의 대형 종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나중에는 ''수페르사우루스''가 유효한 속이라는 증거가 있다고 생각했다.[7]2. 2. 울트라사우루스
제임스 A. 젠슨은 원래의 ''수페르사우루스'' 표본을 기술하면서, 동시에 또 다른 거대한 용각류의 발견을 보고했는데, 이것이 바로 "울트라사우루스" ''매킨토시''[8] (이후 ''울트라사우루스 매킨토시''로 변경)이다. ''울트라사우루스''의 모식 표본(새로운 종을 정의하는 데 사용된 표본)은 등뼈(등 척추뼈, BYU 9044)였는데, 나중에 ''수페르사우루스''에서 유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뼈는 1972년 같은 채석장에서 발견된 원래의 ''수페르사우루스'' 표본에 속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울트라사우루스''는 먼저 명명되어 우선권을 갖는 ''수페르사우루스''의 주니어 동의어가 되었고, ''울트라사우루스''라는 이름은 폐기되었다.[9]같은 장소에서 발견되었고 원래 ''울트라사우루스''에 속한다고 생각되었던 다른 뼈들, 예를 들어 어깨뼈대(견갑골, BYU 9462)는 실제로 ''브라키오사우루스''에 속했고, 아마도 ''브라키오사우루스 알티토락스''의 큰 표본일 것이다.[9] ''브라키오사우루스'' 뼈는 크지만, 베를린 자연사 박물관에 있는 ''"브라키오사우루스" 브란카이''(''지라파티탄 브란카이'')의 마운트보다 약간 큰 개체임을 나타낸다.[10]
원래 ''수페르사우루스''와 ''브라키오사우루스'' 뼈는 길이가 약 25m 에서 30m이고 어깨 높이가 8m이며, 전체 높이가 15m이고, 무게가 아마도 70MT에 달하는 단일 공룡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졌다. 당시 질량 추정치는 최대 180MT[11]까지 이르렀는데, 이는 푸른고래와 마찬가지로 문제가 많은 ''브루하트카요사우루스''와 같은 범주에 속했다.
키메라 ''울트라사우루스''의 명명 과정 또한 복잡했다. ''울트라사우루스''(마지막 "u" 포함)가 원래 선택되었고, 1979년 발견 이후 언론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새로운 종의 이름은 공식화되기 위해 설명과 함께 출판되어야 한다.[12]
젠슨이 1985년에 자신의 발견을 출판하기 전에, 또 다른 고생물학자인 김항묵은 1983년 출판물에서 자신이 거대한 공룡이라고 믿었던 것을 설명하기 위해 ''울트라사우루스''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이는 젠슨의 발견과는 다른, 훨씬 더 작은 공룡이었지만, 김항묵은 상완골을 척골로 착각했기 때문에 이 동물이 마찬가지로 거대한 동물이라고 생각했다. 명명의 논리는 잘못되었지만, 김항묵의 발견에서 나온 ''울트라사우루스''는 명명에 대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여 의심스러운 속이지만 합법적인 속으로 간주되었다.[10][12] 따라서 젠슨은 1985년까지 자신의 "울트라사우루스" 발견을 출판하지 않았기 때문에, 김항묵의 사용이 이름의 공식적인 우선권을 유지했고, 젠슨은 새로운 이름을 선택해야 했다. 1991년, 그의 제안에 따라 조지 올셰프스키는 한 글자를 바꾸어 젠슨의 용각류 이름을 ''울트라사우루스''(마지막 "o" 포함)로 바꾸었다.[12]
나중에 새로운 이름이 두 개의 별개의, 이미 알려진 종의 뼈를 지칭한다는 것이 밝혀졌을 때, ''울트라사우루스''라는 이름은 무효로 간주되었고 ''수페르사우루스''의 주니어 동의어가 되었다. ''울트라사우루스''의 모식 표본이 ''수페르사우루스''의 등 척추뼈였기 때문에, ''울트라사우루스''는 ''브라키오사우루스''의 주니어 동의어가 아니다. 이 동물은 디플로도쿠스과에 속하고, ''울트라사우루스''는 항상 브라키오사우루스과를 지칭했기 때문에 ''울트라사우루스'' 대신 ''수페르사우루스''라는 이름을 유지했다.[9]
2. 3. 디스티로사우루스
최초의 ''수페르사우루스'' 채석장 근처에서 발견된 등뼈(등 척추 표본 BYU 5750) 화석은 '''''디스티로사우루스 에드위니'''''로 명명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수페르사우루스 비비아네''의 표본으로 간주되어, ''디스티로사우루스''는 ''수페르사우루스''의 어린 동물이명이 되었다.[13]3. 특징
수페르사우루스는 티토니아절 모리슨 층의 지층대 5에 존재했다.[4] 1972년 드라이 메사 채석장에서 최초의 화석이 발견되었는데, 어깨 거들, 좌골, 꼬리 척추뼈 등 몇 개의 뼈만 얻을 수 있었다. 제임스 A. 옌센은 견갑골 BYU 9025(원래 BYU 5500)를 모식 표본으로 지정하여 ''수페르사우루스''를 기술했다. 이 어깨 거들은 세웠을 때 2.4m 높이였다. 이 표본은 1973년 초 "수페르사우루스"라는 비공식적인 이름으로 불렸지만,[5][6] 1985년에 공식적으로 기술되고 명명되었다.[8]
1986년 와이오밍주 컨버스 카운티에서 발견된 더 완전한 표본 WDC DMJ-021은 "짐보"라는 별명이 붙여졌으며, 골격의 약 30%를 나타내고 와이오밍 공룡 센터에 보관되어 있다. WDC DMJ-021과 이전의 ''수페르사우루스'' 표본들을 비교한 결과, 일부 꼬리 척추뼈와 자뼈는 다른 디플로도쿠스과에 속했을 가능성도 제기되었다.[14]
3. 1. 크기 및 형태
''수페르사우루스''는 가장 큰 공룡 중 하나로, 잘 보존된 화석을 통해 그 크기를 짐작할 수 있다. 와이오밍 공룡 센터(WDC) 표본(별명 "짐보")의 길이는 33m에서 36m에 달하며, 브리검 영 대학교(BYU) 표본은 39m, 세 번째 표본은 40m를 초과할 수 있다.[19][2] 체중은 35MT에서 44MT 사이로 추정된다.[2][14][15]처음 기술된 ''수페르사우루스'' 표본은 큰 디플로도쿠스과 공룡임을 시사하는 개별 뼈였다. BYU 9024라는 큰 경추(목뼈)도 나중에 ''수페르사우루스''로 분류되었는데,[16] 이 척추뼈는 1.38m 길이로, 알려진 경추 중 가장 길다.[17] 이 척추뼈는 마이크 테일러와 맷 웨델에 의해 ''바로사우루스''의 척추뼈로 재분류되기도 했으나,[18] 브라이언 커티스는 추가 표본을 근거로 다시 ''수페르사우루스''로 재분류했다.[19]
더 완전한 표본인 WDC DMJ-021을 ''수페르사우루스''로 분류하면서, ''아파토사우루스''와 해부학적으로 매우 유사하지만, 특히 길어진 경추로 인해 덜 튼튼하게 만들어져 알려진 가장 긴 용각류 목 중 하나를 갖게 되었음이 밝혀졌다.[14]
골격 비교를 통해 디플로도쿠스나 바로사우루스보다 아파토사우루스와 유사한 형태를 가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드라이 메사 발굴지의 표본과 짐보 발굴지의 꼬리 척추골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보여 별종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또한 늑골 내부에는 빈 공간이 있어 기낭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디플로도쿠스나 바로사우루스에는 없는 특징이며, 아파토사우루스와 가깝다는 근거가 된다.
코끼리와의 비교를 통해 하루 식량은 약 500kg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체중도 30톤을 넘었으며, 그 크기로 보아 100년 이상 산 개체도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3. 2. 골격 구조
Supersaurus영어는 아파토사우루스와 해부학적으로 매우 유사하지만, 특히 길어진 경추로 인해 덜 튼튼하게 만들어져 알려진 가장 긴 용각류 목 중 하나를 갖게 되었다.[14] 체장은 최대 40m에 달한다. 골격 비교를 통해 디플로도쿠스나 바로사우루스보다 아파토사우루스와 유사한 형태를 가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드라이 메사 발굴지의 표본과 짐보 발굴지의 꼬리 척추뼈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보여 별종일 가능성도 있다.또한 늑골 내부에는 빈 공간이 있어 기낭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디플로도쿠스나 바로사우루스에는 없는 특징이며, 아파토사우루스와 가깝다는 근거가 되고 있다.
3. 3. 생태

코끼리와 비교하여 계산해 보면, 하루에 약 500kg의 먹이를 먹었을 것으로 보인다. 몸무게도 30톤이 넘었으며, 그 크기로 보아 100년 이상 산 개체도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
4. 분류
디플로도쿠스과 내에서 ''수페르사우루스''의 분류는 여러 번 바뀌었다. 처음에는 바로사우루스와 가까운 디플로도키나에로 분류되었으나, "짐보"라는 표본(WDC DMJ-021) 발견 이후 아파토사우루스와 더 가까운 아파토사우루스아과로 재분류되었다.[14]
그러나 2011년 연구에서는 ''아파토사우루스''가 디플로도쿠스과 계통수의 기저에 위치하며, ''수페르사우루스'' 등은 디플로도쿠스와 더 가까워져 디플로도키나에로 분류된다는 결과도 나왔다.[21]
2015년 연구에서는 ''딘헤이루사우루스 로우리난헨시스''가 ''수페르사우루스''와 묶여 ''수페르사우루스''의 새 종(S. lourinhanensis)이 되어야 한다는 결과가 나왔다.[22]
이처럼 ''수페르사우루스''의 분류는 연구에 따라 계속 변동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바뀔 가능성이 있다.
4. 1. 초기 분류
대부분의 디플로도쿠스과 연구에서는 디플로도쿠스과를 두 개의 주요 하위 그룹, 즉 디플로도키나에(아파토사우루스보다 디플로도쿠스와 더 가까운 디플로도쿠스과)와 아파토사우루스아과(디플로도쿠스보다 아파토사우루스와 더 가까운 디플로도쿠스과)로 분류했다. 원래 ''수페르사우루스''는 목이 긴 디플로도쿠스과 공룡인 바로사우루스와 관련이 있어 디플로도키나에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더 완전한 WDC DMJ-021의 할당으로, 대부분의 후기 연구에서는 ''수페르사우루스''가 아파토사우루스아과 그룹에서 아파토사우루스와 가까운 친척으로 밝혀졌다.[14] 하지만 일부 후기 연구에서는 이러한 패러다임에 의문을 제기했다. 2011년 Whitlock이 발표한 디플로도쿠스류 관계에 대한 한 포괄적인 연구에서는 ''아파토사우루스'' 자체가 디플로도쿠스과 계통수의 기저에 놓여 있으며, ''수페르사우루스''를 포함한 다른 "아파토사우루스아과"는 점진적으로 ''디플로도쿠스''와 더 가깝게 관련되어 있어 디플로도키나에로 분류된다고 보았다.[21]2015년, 디플로도쿠스류에 대한 표본 수준의 계통 발생 연구에서는 ''딘헤이루사우루스 로우리난헨시스''가 ''수페르사우루스''와 묶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딘헤이루사우루스 로우리난헨시스''를 ''S. lourinhanensis''라는 새로운 조합으로 ''수페르사우루스''의 새로운 종으로 보아야 한다고 생각했다.[22]
4. 2. 아파토사우루스아과로의 재분류
와이오밍주 컨버스 카운티에서 1986년 브랜든 플라이어와 바트 레스코가 하이킹 중 짐보(Jimbo)라는 별명을 가진 표본(WDC DMJ-021)을 발견하면서, ''수페르사우루스''는 아파토사우루스와 더 가까운 아파토사우루스아과로 재분류되었다.[14] 이 표본은 골격의 약 30%를 차지하며, 와이오밍 공룡 센터에 보관되어 있다.[14] 짐보 표본의 발견으로 ''수페르사우루스''가 디플로도키나에에 속하며 바로사우루스와 관련이 있다는 이전의 생각은 바뀌게 되었다.[14]
대부분의 연구에서 ''수페르사우루스''는 아파토사우루스의 가까운 친척으로 밝혀졌지만,[14] 2011년 연구에서는 ''아파토사우루스''가 디플로도쿠스과 계통수의 기저에 놓여 있고, ''수페르사우루스''를 포함한 다른 "아파토사우루스아과"는 점진적으로 디플로도쿠스와 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21] 2015년 연구에서는 딘헤이루사우루스 로우리난헨시스가 ''수페르사우루스''와 묶여 ''수페르사우루스''의 새로운 종이 되어야 한다는 결과가 나왔다.[22]
4. 3. 최근 연구 동향
디플로도쿠스과 공룡은 크게 두 그룹, 즉 아파토사우루스보다 디플로도쿠스와 더 가까운 디플로도키나에와 디플로도쿠스보다 아파토사우루스와 더 가까운 아파토사우루스아과로 나뉜다. 처음에는 ''수페르사우루스''가 바로사우루스와 가까운 디플로도키나에 속한다고 생각했지만, "짐보"라는 별명을 가진 더 완전한 WDC DMJ-021 표본이 발견되면서 대부분의 후기 연구에서는 ''수페르사우루스''가 아파토사우루스와 가까운 아파토사우루스아과로 분류되었다.[14]하지만 2011년 휘틀록(Whitlock)의 연구에서는 ''아파토사우루스''가 디플로도쿠스과 계통수의 기저에 위치하며, ''수페르사우루스''를 포함한 다른 "아파토사우루스아과"는 점차 디플로도쿠스와 더 가까워져 디플로도키나에로 분류된다는 다른 결과가 나왔다.[21]
2015년 디플로도쿠스류 표본 수준의 계통 발생 연구에서는 ''딘헤이루사우루스 로우리난헨시스''가 ''수페르사우루스''와 묶인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 연구에서는 ''딘헤이루사우루스 로우리난헨시스''를 ''수페르사우루스''의 새로운 종, 즉 ''S. lourinhanensis''로 보아야 한다고 제안했다.[22]
참조
[1]
논문
A New Diplodocid, ''Dinheirosaurus lourinhanensis'' gen. et sp. nov., from the Late Jurassic Beds of Portugal
http://www.museulour[...]
[2]
논문
Age of the Brushy Basin Member of the Morrison Formation, Colorado Plateau, western USA
[3]
논문
Seis-ing up the Super-Morrison formation sauropods
[4]
서적
Jurassic West: The Dinosaurs of the Morrison Formation and Their World
Indiana University Press
[5]
뉴스
Supersaurus, giant of the giants
1973-05-13
[6]
뉴스
Supersaurus, the biggest brute ever
1973-06
[7]
서적
Thunder-lizards: The Sauropod Dinosaurs
Indiana University Press
[8]
논문
Three new sauropod dinosaurs from the Upper Jurassic of Colorado
[9]
서적
The Continental Jurassic: Transactions of the Continental Jurassic Symposium
http://www.miketaylo[...]
Museum of Northern Arizona Bulletin
[10]
논문
The brachiosaur giants of the Morrison and Tendaguru with a description of a new subgenus, ''Giraffatitan'', and a comparison of the world's largest dinosaurs
http://gspauldino.co[...]
[11]
서적
Dinosaurs, Spitfires and Sea Dragons
Harvard University Press
[12]
웹사이트
Supersaurus, Ultrasaurus and Dystylosaurus in 2019, part 1: what we know now
https://svpow.com/20[...]
2019-06-13
[13]
서적
Western Association of Vertebrate Paleontologists and Southwest Paleontological Symposium - Proceedings 2001
[14]
논문
Morphology of a specimen of ''Supersaurus'' (Dinosauria, Sauropoda) from the Morrison Formation of Wyoming, and a re-evaluation of diplodocid phylogeny
https://www.research[...]
[15]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http://worldcat.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6]
논문
New Brachiosaur Material from the Late Jurassic of Utah and Colorado
1987
[17]
논문
''Sauroposeidon proteles'', a new sauropod from the Early Cretaceous of Oklahoma
http://sauroposeidon[...]
2016-10-17
[18]
웹사이트
Supersaurus, Ultrasaurus and Dystylosaurus in 2019, part 2: what we found in Utah
https://svpow.com/20[...]
2019
[19]
웹사이트
New Dry Mesa Dinosaur Quarry Supersaurus vivianae (Jensen 1985) axial elements provide additional insight into its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size, suggesting an animal that exceeded 39 meters in length
https://vertpaleo.or[...]
2021
[20]
서적
Dinosaur Behavior: An Illustrated Guid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3-10-31
[21]
논문
A phylogenetic analysis of Diplodocoidea (Saurischia: Sauropoda)
[22]
논문
A specimen-level phylogenetic analysis and taxonomic revision of Diplodocidae (Dinosauria, Sauropoda)
[23]
문서
昔の本では、ブラキオサウルスのような姿で描かれる事が多い。
[24]
논문
Morphology of a specimen of ''Supersaurus'' (Dinosauria, Sauropoda) from the Morrison Formation of Wyoming, and a re-evaluation of diplodocid phylogeny
https://www.research[...]
[25]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http://worldcat.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6]
논문
"Dragons" on the landscape: Modeling the abundance of large carnivorous dinosaurs of the Upper Jurassic Morrison Formation (USA) and the Upper Cretaceous Dinosaur Park Formation (Canad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